맨위로가기

순천부 (중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천부는 명나라 시대에 북경을 관할하기 위해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원나라 시대의 대도(大都路)를 계승하여 1403년(영락 원년) 순천부로 개칭되었다. 청나라 시대에는 직례성에 속했으며, 1743년에는 4개의 로청과 24개의 주·현으로 행정 구역이 개편되었다. 중화민국 시기인 1914년 폐지되었으며, 이후 수도 지역을 거쳐 1928년 북평 특별시로 변경되었다. 순천부 지부는 높은 위상을 가졌으며, 베이징 성벽 밖의 지역은 직예총독과 이중 행정 관할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의 역사 - 북양정부
    북양정부는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의 초기 정부로, 위안스카이 사후 군벌 간 권력 다툼으로 혼란해졌으나 장제스의 북벌과 장쉐량의 투항으로 소멸되었다.
  • 베이징시의 역사 - 대도
    대도는 1267년 쿠빌라이 칸이 건설하여 원나라의 수도로 삼은 도시이며, 몽골어로는 칸발릭,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는 캄발룩으로 기록되었고, 명나라가 들어서면서 베이징으로 개칭되었다.
  • 명나라 - 홍건적의 난
    홍건적의 난은 14세기 중반 원나라 말기에 백련교도 한산동과 유복통 등이 주도하여 부패한 정치와 자연재해로 피폐해진 민심을 기반으로 일어난 대규모 농민 반란으로, 고려 침입과 주원장의 명나라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 명나라 - 자금성
    자금성은 명, 청나라 황제들이 거주했던 베이징의 거대한 궁궐로, 황실의 권력과 위엄을 상징하며 현재 고궁박물원으로 개장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청나라 - 만주
    만주는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을 포함한 중국 동북 지역을 가리키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가 지배했으며, 지리적으로는 광활한 평야와 산맥을 특징으로 하며, 현재는 중국 정부가 "동북"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 청나라 - 제1차 아편 전쟁
    제1차 아편 전쟁은 1839년부터 1842년까지 청나라와 영국 간에 벌어진 전쟁으로, 광저우 무역 체제와 아편 밀매가 원인이 되어 영국의 승리로 끝났으며, 난징 조약 체결로 청나라의 몰락을 가속화하고 서구 열강의 아시아 침략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순천부 (중국)
지도
개요
유형
존속 기간1403년 ~ 1911년
위치베이징
역사
설치1403년 영락제에 의해 설치
폐지신해혁명 이후 폐지
행정
관할 구역대흥현
완평현
양향현
순의현
방산현
계현
통현
무청현
평곡현
창평현
밀운현
회유현
풍대구
석경산구
주요 직책
지부순천부의 장관

2. 연혁

원나라 시대에 황실 수도는 대도(大都路, ''Dadulu'')로 알려졌으며 중서성(Zhongshu Sheng)의 통제를 받았다. 명나라 홍무제 원년(1368년) 8월, 대도는 북평부로 개명되었고, 같은 해 10월 산동성에 귀속되었다. 영락제 원년(1403년) 음력 1월, 수도는 북경으로 개명되었고, 북평부는 순천부로 개칭되었다.[3]

청나라 시대 순천부는 많은 변화를 겪었으며, 건륭제 시기인 1743년에 경계와 행정 구획이 확립되었다. 당시 순천부는 4개의 루팅(路廳, ''luting'')과 24개의 주(州, ''zhou'') 현(縣, ''xian'')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실 지사(府尹, ''fuyin'')의 관할을 받았다.[1]

1914년 (민국 3년), 중화민국에 의해 순천부는 폐지되었다.[1]

2. 1. 명나라 시기

명나라 초기에는 '''연왕부'''(燕王府)라고 불렸으나, 정난의 변으로 권력을 잡은 영락제가 1403년(영락 원년)에 순천부로 이름을 바꾸고 명나라의 수도로 삼았다.

1491년(홍치 4년)에는 100,518호 669,033명, 1578년(만력 6년)에는 101,134호 706,861명의 인구를 기록했다.[5] 순천부는 5개의 주(州)와 22개의 현(縣)을 관할했다.

명나라 시기 순천부의 행정 구역[2][3]
현/주명(한자)현/주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大興縣대흥현베이징시 다싱 구동남쪽에 대통하(大通河)가 있는데, 백옥하(白玉河)에서 물이 나와 요도성(繞都城)의 동남을 지나고 하류는 고려장(高麗莊)에 이르러 백하(白河, 원나라때의 운하)로 들어간다.
宛平縣완평현베이징 시 펑타이 구상건하(桑乾河)가 산서성 마읍현에서 나와 1000리를 흘러 현내로 들어오며, 노구교 아래를 지나 두 갈래로 흐른다.
良鄕縣양향현베이징 시 팡산 구부의 서남에 있으며, 유리하(琉璃河)가 있다.
固安縣고안현랑팡 시 구안 현원나라에선 고안주(固安州)라고 했다. 1368년(홍무 원년) 12월 현으로 격하했다.
永靑縣영청현랑팡 시 융칭 현부남쪽에 있는데, 현 남쪽에 거마하가 있다.
東安縣동안현랑팡 시 안치 구부의 동남에 있으며, 원나라에선 동안주(東安州)라고 했다. 1368년 12월 현으로 격하했다.
香河縣향하현랑팡 시 샹허 현원나라에선 곽주(漷州)에 속했다. 1377년(홍무 10년) 주와 함께 폐지했다가 1380년(홍무 13년) 재설치해 본부에 속하게 했다.
通州통주베이징 시 퉁저우 구홍무초에 치소인 노현을 주에 통폐합했다. 서쪽에 통혜하, 서남에 혼하(渾河, 상건하라고 함.)가 있다.
三河縣삼하현랑팡 시 싼허 시통주에 속하며 주 동쪽에 있다. 현북쪽에 구하(泃河), 현서쪽에 여하(洳河), 현서남쪽에 포구하(鮑丘河)가 있다.
武靑縣무청현톈진시 우칭 구통주에 속하며 주 남쪽에 있다. 1379년(홍무 12년)에 통주로 이관되었다.
漷縣곽현베이징 시 퉁저우구 남동통주에 속하며 주 남쪽에 있다. 원나라에서 곽주(漷州)라고 했는데, 1377년(홍무 10년) 2월에 현으로 격하했다.
寶坻縣보저현톈진 시 바오디 구통주에 속하며 주 동남에 있다. 원나라에서 직례성 대도로에 속하게 했는데, 1377년(홍무 10년) 2월 통주로 이관되었다.
覇州패주랑팡 시 바저우 시홍무초에 치소이던 익진현(益津縣)을 통폐합했다. 3현을 관할한다.
文安縣문안현랑팡 시 원안 현패주의 속현으로 패주의 약간동쪽, 그리고 남쪽에 있다.
大城縣대성현랑팡 시 다청 현패주의 속현으로 주 동남에 있다.
保定縣보정현랑팡 시 원안 현 서북패주의 속현으로 주 서남(약간 서쪽)에 있다. 1374년(홍무 7년) 9월 패주에 통폐합되었다가 1380년(홍무 13년) 11월 복원했다.
涿州탁주바오딩 시 줘저우 시홍무초에 치소이던 범양현(范陽縣)을 통폐합했다. 1현을 관할한다.
房山縣방산현베이징 시 팡산 구탁주의 속현으로 탁주 북서쪽(약간서쪽)에 있다.
昌平州창평주베이징 시 창핑 구원나라에선 직례 대도로 창평현이었는데, 1506년(정덕 원년) 7월 주로 격상했으나 얼마 못가 폐지했다. 1450년(정덕 8년)에 주로 복원되었다.
順義縣순의현베이징 시 순이 구창평주의 속현으로 주의 동남에 있다. (약간 남쪽) 원나라에선 순주(順州)라고 했는데, 1368년(홍무 원년) 12월 현으로 격하하고 순천부에 속하게 했다.
懷柔縣회유현베이징 시 화이러우 구창평주의 속현으로 주의 동북에 있다. 1368년(홍무 원년) 11월 단주(檀州)에 통폐합했다가 동년 12월 밀운현과 창평현에서 분리해 복구하여 순천부에 속하게 했다.
密雲縣밀운현베이징 시 미윈 구창평주의 속현으로 주의 동북쪽에 있다. 원나라땐 단주(檀州)라고 했던 것에 훗날 현을 설치하고 주의 치소로 삼았다. 1368년(홍무 원년) 11월 현을 폐하고 주에 통폐합했다.
薊州계주톈진 시 지저우 구홍무초에 조의 치소이던 어양현을 통폐합했다. 4개의 속현이 있다.
玉田縣옥전현탕산 시 위톈 현계주의 속현으로 주 동남에 있다.
豊潤縣풍윤현탕산시 펑룬 구계주의 속현으로 주 동남에 있다.
遵化縣준화현탕산 시 쭌화 시계주의 속현으로 주 동쪽에 있다.
平谷縣평곡현베이징 시 핑구 구계주의 속현으로 주 서북쪽에 있다. 1377년(홍무 10년) 2월 삼하현에 통폐합했다. 1380(홍무 13년) 11월 복구했다.


2. 2. 청나라 시기

청나라 시대에 순천부는 직례성에 속했으며, 그 경계와 행정 구획은 건륭제 시기인 1743년에 확립되었다. 당시 순천부는 4개의 로청(路廳, luting)과 24개의 주(州, zhou) 현(縣, xian)으로 구성되었다.[1] 순천부 지부(府尹, fuyin)는 청나라 3품(正三品, zhengsanpin) 관료로, 다른 부의 지부보다 2~3계급 높은 품계였다. 일부 순천부 지부는 시랑(侍郎) 품계의 제국 대신일 정도로 명성이 높았다. 3품 청나라 관료의 야문은 구리 도장을 사용했지만, 순천부 야문은 은 도장을 사용했다는 점이 특이하다.

순천부 지부는 직예총독과 종속적인 관계가 아니었다. 베이징 성벽 밖의 순천부 지역은 직예총독과 순천부 지부 야문의 이중 행정 관할을 받았지만, 직예총독은 베이징 성벽 내에서는 권한이 없었다.

초기 청나라 시대 베이징 시 행정의 특징은 한족만주족의 거주지와 행정이 분리되었다는 점이다. 만주 팔기군은 모두 서교(西郊)에 위치한 삼대영(三大營, sandaying) 또는 소위 내성에 거주했고, 한족과 기타 민족은 외성에 거주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내 팔기 외 오성"(內八旗外五城, neibaqiwaiwucheng)이라는 옛 중국 속담이 생겨났다. 순천부(順天府) 지사는 외성에 거주하는 한족 및 기타 민족을 관할했으며, 팔기군의 관할은 구문 제독(九門提督, jiumen tidu)의 군사 사무소에 속했다.

청나라 때 순천부의 관할 구역은 다음과 같았다.

주(州)현(縣)
통주산허, 우칭, 곽, 보저우, 영화
패주문안, 대성, 보정
탁주방산
창평주순의, 회유, 밀운
계주옥전, 풍윤, 준화, 평곡
직할대흥, 완평, 양향, 고안, 영청, 동안, 향하

[4]

2. 3. 중화민국 시기

1910년 청나라가 멸망하면서 순천부는 점차 폐지되었다.[1] 1914년 민국 3년, 중화민국에 의해 순천부는 폐지되고 수도 지역(京兆地方)이 되었다.[1] 1928년 6월 20일에는 북평 특별시가 되었다.[1] 순천부 야문의 잔재는 오늘날 북경시 동성구 동공가(東公街)에서 찾아볼 수 있다.[1]

3. 행정 구역

명나라 시대 순천부는 5개 주(州)와 22개 현(縣)을 관할했으며, 1490년에 100,518가구, 669,033명, 1578년에 101,134가구, 706,861명이 거주했다.[2]

청나라는 순천부를 직례성에 소속시키고 5주 19현으로 개편했다.[4] 1743년부터는 4개의 로청(路廳)으로 나누어 다스렸다.

로청(路廳)위치관할 주(州) 및 현(縣)
서로청(西路廳)노구교탁주, 대흥, 완평, 양향, 방산
동로청(東路廳)장가만통주, 계주, 삼하, 무청, 보저, 영하, 향하
남로청(南路廳)황촌파주, 보정, 문안, 대성, 고안, 영청, 동안
북로청(北路廳)사하진 공화성창평주, 순의, 회유, 밀운, 평곡

[2]

3. 1. 명나라 시대 행정 구역

명나라 초기에는 '''연왕부'''(燕王府)라고 불렸으나, 정난의 변으로 권력을 잡은 영락제가 1403년(영락 원년)에 순천부로 이름을 바꾸고 명나라의 수도로 삼았다.[5]

1491년(홍치 4년)에 100,518호 669,033명을 거느렸고, 1578년(만력 6년)에는 101,134호 706,861명을 거느렸다.[5]

명나라 시대 순천부 행정 구역[3]
현/주명(한자)현/주명(한글)대략적 위치비고
大興縣대흥현다싱 구동남쪽에 대통하(大通河, 통혜하(通惠河))가 있는데, 백옥하(白玉河)에서 나와 도성을 돌아 동남쪽 고려장(高麗莊)에 이르러 백하(白河, 원나라 때 운하)로 들어간다. 옥하(玉河)는 옥천산(玉泉山)에서 발원하여 북경도성 동남부를 거쳐 대통하로 흐른다.
宛平縣완평현펑타이 구상건하(桑乾河)가 산서성 마읍현에서 1,000리를 흘러 현 안으로 들어온다. 노구교 아래를 지나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하나는 통주에서 백하로, 다른 하나는 무청현에서 위하(衛河)에 합해져 바다로 들어간다.
良鄕縣양향현팡산 구부의 서남쪽에 있다. 유리하(琉璃河, 망수(望水))는 하류가 전(澱)으로 들어가며, 북쪽에 천진관(天津關)이 있다.
固安縣고안현구안 현원나라에서는 고안주(固安州)였다. 1368년(홍무 원년) 12월 현으로 격하되었다. 현 서남쪽에 거마하(拒馬河, 래수(淶水))가 있는데, 대군(代郡)에서 발원하여 백하의 백구(白溝)에서 합류, 삼각전(三角澱)으로 들어간다.
永靑縣영청현융칭 현부 남쪽에 있으며, 현 남쪽에 거마하가 있다.
東安縣동안현안치 구부의 동남쪽에 있다. 원나라에서는 동안주(東安州)였으며, 당시 치소는 현 서쪽에 있었다. 1368년 12월 현으로 격하되었고, 1370년(홍무 3년) 치소가 현재 위치로 옮겨졌다. 남쪽에 봉하(鳳河)가 있는데, 상건하의 분류(分流)로 삼각전으로 들어간다.
香河縣향하현샹허 현원나라에서는 곽주(漷州)에 속했다. 1377년(홍무 10년) 주와 함께 폐지되었다가 1380년(홍무 13년) 재설치되어 본부에 속하게 되었다. 현 서쪽에 판증구하(板罾口河)가 있는데, 통주 동쪽 고산(孤山)에서 나와 현 경계를 지나 백하로 들어간다.
通州통주퉁저우 구홍무 초에 치소인 노현을 주에 통폐합했다. 서쪽에 통혜하, 서남쪽에 혼하(渾河, 상건하)가 있다. 혼하는 주 동쪽 장가만(長家灣)에서 백하에 합해진다. 장가만순검사(張家灣巡檢司)와 주 서남쪽에 홍인교순검사(弘仁橋巡檢司)가 있다. 4현을 관할한다.
三河縣삼하현싼허 시통주 동쪽에 있다. 현 북쪽에 구하(泃河), 서쪽에 여하(洳河), 서남쪽에 포구하(鮑丘河)가 있다.
武靑縣무청현우칭 구통주 남쪽에 있다. 1379년(홍무 12년) 통주로 이관되었다. 현 남쪽에 삼각전이 있는데, 옛 옹노현의 자리로 200리 둘레에 여러 물이 모이는 곳이다.
漷縣곽현퉁저우구 남동통주 남쪽에 있다. 원나라 때 곽주(漷州)였으나, 1377년(홍무 10년) 2월 현으로 격하되었다. 곽하(漷河, 신하(新河))는 동쪽으로 백하로 들어가는데, 노구(盧溝)의 하류이다.
寶坻縣보저현바오디 구통주 동남쪽에 있다. 원나라 때 직례성 대도로에 속했다가 1377년(홍무 10년) 2월 통주로 이관되었다. 동쪽에 조하(潮河), 남쪽에 구하가 있다. 현 동남쪽에 양성수어천호소(樑城守禦千戶所)가 있는데, 1400년(건문 2년) 연왕이 설치했다. 노대순검사(蘆臺巡檢司)가 있다.
覇州패주바저우 시홍무 초에 치소인 익진현(益津縣)을 통폐합했다. 거마하가 본래 주 북쪽에 있었으나, 남쪽으로 유로가 바뀌었다. 남쪽에 사하(沙河), 동쪽에 원가구순검사(苑家口巡檢司)가 있다. 3현을 관할한다.
文安縣문안현원안 현패주 동쪽, 남쪽에 있다. 서쪽에 역수(易水), 동북쪽에 득승(得勝), 화소등전(火燒等澱)이 있다.
大城縣대성현다청 현패주 동남쪽에 있다. 현 동북쪽에 황차하(黃汊河)가 있는데, 교하에서 갈라져 삼각전으로 들어간다.
保定縣보정현원안 현 서북패주 서남쪽(약간 서쪽)에 있다. 1374년(홍무 7년) 9월 패주에 통폐합되었다가 1380년(홍무 13년) 11월 복원되었다. 옥대하(玉帶河)가 현 북쪽에서 동쪽으로 흘러 회통하(會通河)로 들어가고, 현 서남쪽의 자하(磁河)는 현 동남쪽에서 옥대하와 합쳐진다.
涿州탁주줘저우 시홍무 초에 치소인 범양현(范陽縣)을 통폐합했다. 주 서쪽에 독록산(獨鹿山), 북쪽에 탁수(涿水), 서북쪽에 협하(挾河), 남쪽에 범수(範水)가 있다. 1현을 관할한다.
房山縣방산현팡산 구탁주 북서쪽(약간 서쪽)에 있다. 서쪽에 대방산(大房山), 북쪽에 대안산(大安山), 서남쪽에 청룡담(青龍潭)이 있고, 청룡담 아래에는 협하(한촌하(韓村河))가 흘러 탁주에서 호량하(湖良河)와 합쳐진다. 현 북쪽에 자가무순검사(磁家務巡檢司)가 있다.
昌平州창평주창핑 구원나라 때 직례 대도로 창평현이었으나, 1506년(정덕 원년) 7월 주(州)로 승격되었다가 얼마 못 가 폐지되었다. 1450년(정덕 8년)에 주로 복원되었다. 옛 치소는 부도성(浮圖城)이었는데, 1450년(경태 원년) 동쪽에 영안성(永安城)을 쌓고 1452년(정덕 3년) 주의 치소를 옮겼다. 북쪽에 천수산(天壽山), 동남쪽에 백수산(白浮山)과 공화성(鞏華城), 동북쪽에 황화진(黃花鎮), 서남쪽에 주필산(駐蹕山), 남쪽에 유하(榆河, 온여하(溫餘河), 하류는 사하(沙河))가 있으며, 백하로 들어간다. 공화성은 1531년(가정 10년)에 만들어졌고, 홍치 연간에 황화진에 발해수어천호소(渤海守禦千戶所)가 설치되었다.
順義縣순의현순이 구창평주 동남쪽(약간 남쪽)에 있다. 원나라 때 순주(順州)였으나, 1368년(홍무 원년) 12월 현으로 격하되어 순천부에 속했다가, 1506년(정덕 원년) 7월 창평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동쪽에 백하, 서남쪽에 유하와 조하가 있다.
懷柔縣회유현화이러우 구창평주 동북쪽에 있다. 1368년(홍무 원년) 11월 단주(檀州)에 통폐합되었다가 같은 해 12월 밀운현, 창평현과 함께 분리, 복구되어 순천부에 속했다. 1506년(정덕 원년) 창평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동쪽에 서곡산(黍谷山), 서쪽에 백하가 있다.
密雲縣밀운현미윈 구창평주 동북쪽에 있다. 원나라 때 단주(檀州)였던 곳에 현을 설치하고 주의 치소로 삼았다. 1368년(홍무 원년) 11월 현을 폐지하고 주에 통폐합했다가, 같은 해 12월 현을 복구하고 주를 폐지하여 순천부에 속하게 했다. 1506년(정덕 원년) 7월 창평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 남쪽에 백단산(白檀山), 서쪽에 백하, 동쪽에 조하, 북쪽에 고북구(古北口)가 있다. 1379년(홍무 12년) 9월 수어천호소(守禦千戶所)를 설치했고, 1397년(홍무 30년) 밀운후위(密雲後衛)로 변경되었다. 석당령(石塘嶺)이 있다.
薊州계주지저우 구홍무 초에 치소인 어양현(漁陽縣)을 통폐합했다. 서북쪽에 반산(盤山), 동북쪽에 공동산(崆峒山), 북쪽에 구수(泃水), 남쪽에 고하(沽河), 북쪽에 황애욕(黃崖峪)이 있다. 동쪽에 석문진(石門鎭)이 있다. 4개의 속현을 관할한다.
玉田縣옥전현위톈 현계주 동남쪽에 있다. 동북쪽에 무종산(無終山)과 서무산(徐無山), 동쪽에 리하(梨河), 북쪽에 경수(浭水), 동남쪽에 흥주좌둔위(興州左屯衛)가 있다.
豊潤縣풍윤현펑룬 구계주 동남쪽에 있다. 남쪽에 사하, 서남쪽에 경수가 있다.
遵化縣준화현쭌화 시계주 동쪽에 있다. 동북쪽에 오봉산(五峯山), 남쪽에 영영산(靈靈山)과 용문협(龍門峽), 동쪽에 난하(灤河), 서남쪽에 리하, 북쪽에 희봉구(喜峯口), 마란욕(馬蘭峪), 송정등관(鬆亭等關)이 있다.
平谷縣평곡현핑구 구계주 서북쪽에 있다. 1377년(홍무 10년) 2월 삼하현에 통폐합되었다가 1380년(홍무 13년) 11월 복구되었다. 동남쪽에 구하(泃河)와 여하(洳河), 서북쪽에 영주중둔위(營州中屯衛)가 있다. 영주중둔위는 1403년(영락 원년) 용산현(龍山縣) 옛 땅에 설치되었다. 동쪽에 황종욕관(黃鬆峪關)이 있다.


3. 2. 청나라 시대 행정 구역

1743년 이후, 순천부는 4개의 로청(路廳)으로 나뉘었다. 각 로청과 관할 주현(州縣)은 다음과 같다.

로청(路廳)위치관할 주(州) 및 현(縣)
서로청(西路廳)노구교탁주, 대흥, 완평, 양향, 방산
동로청(東路廳)장가만통주, 계주, 삼하, 무청, 보저, 영하, 향하
남로청(南路廳)황촌파주, 보정, 문안, 대성, 고안, 영청, 동안
북로청(北路廳)사하진의 공화성창평주, 순의, 회유, 밀운, 평곡

[2]

4. 순천부 지부 (府尹)

순천부 지부(府尹, fuyin)는 수도 베이징을 포함하는 행정 구역의 특성상 명성이 높았다. 청나라 3품(正三品, zhengsanpin) 관료로서 다른 부의 지부보다 2~3계급 높았으며, 일부 순천부 지부는 시랑(侍郎) 품계의 제국 대신이었다. 3품 관료는 구리 도장을 사용했지만, 순천부 야문은 은 도장을 사용했다. 순천부의 하위 부와 현이 형식적으로 직예총독 관할이었으나, 순천부 지부는 직예총독과 종속 관계가 아니었다. 베이징 성벽 밖 순천부 지역은 직예총독과 순천부 지부 야문의 이중 행정 관할이었고, 직예총독은 베이징 성벽 내에서는 권한이 없었다.[1]

참조

[1] 서적 中國官制史 文津出版社 1993
[2] 서적 History of Ming (明史)
[3] 서적 明史
[4] 서적 清史稿
[5] 서적 명사-권40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