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산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직산역은 1934년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69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의 지상역으로, 경부선 열차가 통과하는 통과선이 있으며, 2개의 출구가 있다. 2005년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일반 열차 취급이 중단되었으며, 2009년 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인근에는 직산읍행정복지센터, 천안시의회, 충남테크노파크 등이 위치해 있다. 2026년 두정역과 직산역 사이에 부성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전철역 - 성환역
성환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5년 개업 후 청일전쟁 격전지라는 역사적 배경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및 KTX 정차를 통해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나, 시설 노후화 및 부역명 관련 논란이 있다. - 천안시의 전철역 - 쌍용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은 2008년 개업한 지상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주변에 대형 쇼핑 시설, 교육 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차 인원 회복세를 보이고 봉명역과 천안아산역 사이에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군포역
직산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역 이름 (한국어) | 직산역 |
역 이름 (한자) | 稷 |
역 이름 (로마자) | Jiksan |
부역명 | 충남테크노파크 |
역 번호 | P167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천안대로 1471-33 (모시리 58-11) |
좌표 | '36°52′15″N 127°08′38″E' |
구글 지도 검색어 | 직산역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KORAIL)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
승강장 | 2면 4선 (쌍섬식 승강장) |
구조 | 지상역 (교상역) |
역 등급 | 3급 |
통계 | |
일일 승객 수 (2012년) | 2,290명 (1호선) |
2012년 승차 인원 | 1,096명 |
노선 정보 | |
영업 거리 | 서울역 기점 89.8 km |
이전 역 | 성환역 (P166) |
이전 역 간 거리 | 5.4 km |
다음 역 | 두정역 (P168) |
다음 역 간 거리 | 3.8 km |
역사 | |
개업일 | 1934년 1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일 | 2005년 1월 20일 |
기타 | |
전보 약호 | 해당 사항 없음 |
비고 | 경부선 기점: 서울역 |
![]() |
2. 역사
- 1934년 12월 1일 : 배치간이역으로 영업 개시
- 1969년 2월 21일 : 보통역으로 승격[7][5]
- 1976년 8월 22일 : 삼천리산업 전용선 부설
- 1986년 12월 24일 : 역사 준공
- 1988년 4월 1일 : GS칼텍스 전용선 신설 사용 개시
- 1997년 5월 1일 : 전용선화물 한 화물취급 지정
- 2001년 : 현 역사 준공
- 2005년 1월 20일 : 전철 개통, 운행 개시, 일반열차 취급 중단
- 2009년 7월 20일 : 부역명으로 '충남테크노파크' 제정
- 2009년 10월 31일 : 화물 취급 중지[8]
-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9]
- 2014년 12월 17일 : 부역명 '충남테크노파크' 해제
- 2026년 : 두정역과 직산역 사이에 부성역 개통예정[10]
3. 역 구조
직산역은 쌍섬식 승강장 2면 4선을 갖춘 지상역이자 고가역사이다. 바깥쪽 2개 선로에는 열차가 정차하고, 안쪽 2개 선로는 경부선 열차가 통과한다. 출구는 1번(역 동쪽)과 2번(역 서쪽) 2곳이 있다.
3. 1. 승강장
직산역은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 구조이다. 안쪽 2개 선로는 경부선 열차가 통과하는 통과선이며, 바깥쪽 2개 선로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가 정차한다. 출구는 동쪽과 서쪽에 각각 1개씩, 총 2개가 있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3. 1. 1. 승강장 구조
쌍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이다. 안쪽 2개 선로는 통과선이다. 출구는 2개이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 | 수도권 전철 1호선 | 천안⋅아산⋅신창 방면 |
---|---|---|
2⋅3 | 경부선 | 통과선 |
4 | 수도권 전철 1호선 | 평택⋅수원⋅구로⋅광운대 방면 |
4. 역 주변
직산읍행정복지센터, 천안시의회, 천안시농업기술센터, 천안시 서북구청, 삼은초등학교, 업성초등학교, 충남테크노파크 등이 있다. 주변에는 인가가 적은 편이며, 북동쪽의 아파트 밀집 지역까지는 도보로 약 30분 정도 소요된다.[1] 천안서북경찰서 직산파출소, 직산우체국도 근처에 있다.[2]
5. 승차량 변동
노선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경부선 | 566 | 804 | 891 | 977 | 1,093 | 1,119 | 1,203 | 1,073 | 1,048 | 1,207 | 1,031 | 1,005 | 966 | 944 | 935 | 607 | 648 | 804 | [11] |
6. 인접한 역
완행한국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