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GS칼텍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S칼텍스는 1967년 호남정유로 설립되어, 석유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다. 1996년 LG정유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2005년 GS칼텍스로 변경되었다. 여수, 인천, 진주 등 국내 주요 시설과 해외 지사 및 법인을 운영하며, 석유, 석유화학, 윤활유 사업을 영위한다. 하루 80만 배럴의 원유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윤활유 브랜드 Kixx를 출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GS칼텍스 - GS칼텍스배
    GS칼텍스배는 매일경제신문, MBN, 바둑TV가 주최하고 GS칼텍스가 후원하는 대한민국의 바둑 기전으로, 총 규모 4억 8천 5백만원에 우승 상금 7,000만원, 준우승 상금 3,000만원이 걸려 있으며, 테크론배와 LG정유배를 거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GS칼텍스 - Kixx
    Kixx는 GS칼텍스가 2005년 출시한 윤활유 브랜드로, 해외 시장 확장과 친환경 제품 출시, 그리고 "All Ways with You" 슬로건 발표를 통해 브랜드 체계를 재정립했다.
  • 대한민국의 정유 회사 - 남해화학
    남해화학은 1974년에 설립되어 비료 및 화학 제품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하며, 1995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후 농협경제지주 계열사로 편입되어 국내 비료 시장에 기여하고 해외에도 제품을 수출한다.
  • 대한민국의 정유 회사 - SK인천석유화학
    SK인천석유화학은 1969년 설립되어 SK그룹에 인수된 대한민국의 정유 및 석유화학 회사로, 하루 27만 5천 배럴의 원유 정제 능력을 바탕으로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하며 인천광역시에 위치한다.
GS칼텍스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 (한국어)GS칼텍스 주식회사
명칭 (로마자)GS Kaltaekseu Jusikhoesa
명칭 (한글)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명칭 (영문)GS Caltex Corporation
설립일1967년 5월 19일
이전 회사명호남정유 (1967년 ~ 1996년)
LG정유 (1996년 ~ 2005년)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08 (역삼동)
사업 지역전 세계
산업정유
화학 제품 제조
주요 제품석유 제품
방향족 화합물
올레핀
폴리머
윤활유
기유
슬로건I am your energy
GS칼텍스 로고
GS칼텍스 로고
재무 정보 (2022년 기준)
매출액58조 5,320억원
영업이익3조 9,790억원
순이익2조 7,890억원
자산 총액26조 380억원
지배 구조
소유주GS에너지 (50.0%)
셰브론 (50.0%)
모회사GS, GS에너지
경영진
대표이사 사장허세홍
직원 수
직원 수3,248명 (2022년)
자회사
기타 정보
웹사이트GS칼텍스 공식 웹사이트
미디어 허브GS칼텍스 미디어 허브
과거 정보
해체된 자회사LG정유유통 (1997년)
LG정유판매 (1998년)
호유해운 (1999년)

2. 연혁

GS칼텍스의 연혁은 다음과 같다.

'''1967년 ~ 1986년''': 호남정유 설립, 여수 및 인천 공장 준공, 기술연구소 설립.

'''1986년 ~ 1996년''': 한국측 단독 경영, 폴리프로필렌 공장, 파라자일렌방향족 공장 준공, 휘발유 브랜드 '테크론' 도입, 싱가포르 법인 설립.

'''1996년 ~ 2005년''': LG정유로 사명 변경, 대전 중앙기술연구소 및 GS타워로 본사 이전, GS파워, 해양에너지 등 인수, 오만 소하르 정유공장 위탁운영, 칭다오 리동화공유한공사 설립, 휘발유 브랜드 'KiXX' 출시.

'''2005년 ~ 2012년''': '''GS칼텍스'''로 사명 변경, 칭다오, 랑팡, 재단 설립, 가평 인재개발원 준공, 150억불 수출의 탑 수상. 제3 중질유분해시설(VHCR) 준공, 쑤저우 소료유한공사 및 GS Caltex Czech 설립, 200억불 수출의 탑 수상.

'''2012년 ~ 현재''': GS에너지 분리, 여수 예울마루 개관, GS Caltex China 설립, 250억불 최고 수출의 탑 수상, '마음톡톡' 협약, 진주 복합수지공장 준공, 새 비전 선포, GS Caltex Mexico 설립, 창립 50주년, 허세홍 사장 취임, 국세 4천억 원 탑 수상, 예울마루 전체 조성사업 완료, 여수공장 제3제품부두 준공, 국가고객만족도(NCSI) 14년 연속 1위, 올레핀 생산시설(MFC) 준공.

2. 1. 1967년 ~ 1986년: 호남정유 설립 및 성장

1967년 호남정유로 설립되었다.[1] 1969년 여수공장에 제1 원유정제시설(CDU, 일산 6만 배럴)을 준공하고, 인천광역시윤활유 공장을 준공하였다.[1] 1972년 여수공장에 제2 원유정제시설(CDU, 일산 6만 배럴)을 준공하였다.[1] 1981년 여수공장에 제3 원유정제시설(CDU, 일산 15만 배럴)을 준공하였고,[1] 1986년 기술연구소를 설립하였다.[1]

2. 2. 1986년 ~ 1996년: 한국측 단독 경영 및 사업 다각화

1986년 한국측 단독 경영 체제가 출범하였다. 1988년 폴리프로필렌 공장(PP, 연산 12만톤)을 준공하였다. 1990년 제1 파라자일렌 공정(PX, 연산 20만톤) 및 제1 방향족 공장(연산 50만톤)을 준공하였다. 1995년 국내 최초로 휘발유 브랜드 '테크론'을 도입하였고, 제2 파라자일렌 공정(No.2 PX, 연산 35만톤), 제1 중질유분해시설(RFCC, 일산 7만배럴)을 준공하였으며, 싱가포르 법인을 설립하였다.[1]

2. 3. 1996년 ~ 2005년: LG정유 시대 및 해외 진출

연도내용
1996년
1998년대전 중앙기술연구소를 준공하였다.[1]
1999년본사를 LG강남타워(現 GS타워)로 이전하였다.[1]
2000년
2003년
2005년휘발유 브랜드 KiXX를 출시하였다.[1]


2. 4. 2005년 ~ 2012년: GS칼텍스 출범 및 글로벌 확장

2005년, 사명을 '''LG정유'''에서 '''GS칼텍스'''로 변경하였다.[1] 2006년에는 GS칼텍스(칭다오) 석유유한공사를 설립하고, GS칼텍스(랑팡) 소료유한공사를 인수하였으며, GS칼텍스 재단을 설립하였다.[1] 2007년에는 제2 중질유분해시설(HCR, 일산 5.5만배럴) 및 윤활기유 공장(일산 1.6만배럴)을 준공하고, 가평 인재개발원을 준공하였다.[1] 2008년에는 15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1]

2010년, 제3 중질유분해시설(VHCR, 일산 6만배럴)을 준공하고, GS칼텍스(쑤저우) 소료유한공사를 설립하였다.[1] 2011년에는 GS Caltex Czech를 설립하고, 윤활기유 공장(일산 2만6천배럴) 및 제3 원유정제시설(CDU, 일산 18만배럴)을 확장하였으며, 200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1]

2. 5. 2012년 ~ 현재: 지속가능한 성장 추구


  • 2012년 GS에너지 분리 설립, 여수 예울마루 개관, GS Caltex China를 설립하고, 250억불 최고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1]
  • 2013년 제4 중질유분해시설(VGOFCC)을 준공하고, 사회공헌사업 '마음톡톡' 협약을 맺었으며, 진주 복합수지공장을 준공하였다.[1]
  • 2014년 새로운 비전(New Vision) 'Value No.1 Energy and Chemical Partner'를 선포하였다.[1]
  • 2016년 GS Caltex Mexico를 설립하였다.[1]
  • 2017년 창립 50주년을 맞았다.[1]
  • 2019년 허세홍 대표이사 사장이 취임하고, 제53회 납세자의 날 '국세 4천억 원 탑'을 수상하였으며, 여수문화예술공원 GS칼텍스 예울마루 전체 조성사업을 완료하고, 여수공장 제3제품부두를 준공하였다.[1]
  • 2022년 국가고객만족도(NCSI) 주유소 부문 14년 연속 1위에 선정되었고, 올레핀 생산시설(MFC)을 준공하였다.[1]

3. 사업 영역

GS칼텍스는 석유, 석유화학, 윤활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분야내용
석유하루 80만 배럴(800000oilbbl)의 원유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하루 27만 4천 배럴(274000oilbbl)을 처리할 수 있는 한국 최대의 중질유 고도화 시설(HOU)을 운영하여 경질유와 고급 휘발유를 생산한다.
석유화학1988년 폴리프로필렌 공장 건설을 시작으로, 1990년 방향족 사업으로 확장하였다. 현재 연간 280만 톤의 방향족 제품과 18만 톤의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하고 있다. 여수 제2공장 인근 430000m2 부지에 올레핀 공장(MFC)을 건설 중이며, 이 공장은 연간 75만 톤의 에틸렌과 50만 톤의 폴리에틸렌을 생산할 예정이다.[1]
윤활유2007년 11월, 하루 1만 6천 배럴(16000oilbbl) 생산 능력으로 윤활 기유 생산을 시작했다. 2011년 현재 하루 2만 6천 배럴(26000oilbbl) 생산 능력의 70% 이상을 수출한다. 하루 9천 배럴(9000oilbbl)의 윤활유와 연간 8천 톤의 그리스 제품을 생산하며, 2005년 자체 윤활유 브랜드 Kixx를 출시했다.


3. 1. 석유

GS칼텍스는 하루 800000oilbbl의 원유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 회사는 한국 최대의 중질유 고도화(HOU) 시설(하루 274000oilbbl)을 운영하며, 경질유와 고급 휘발유를 생산한다.

3. 2. 석유화학

GS칼텍스는 1988년에 폴리프로필렌 공장을 건설했으며, 1990년에는 방향족 사업으로 확장했다. 현재 GS칼텍스는 연간 280만 톤의 방향족 제품과 18만 톤의 폴리프로필렌을 생산한다. 여수 제2공장 인근 430000m2 부지에 올레핀 공장(MFC - 혼합 원료 크래커)을 건설하고 있다. 이 공장은 연간 75만 톤의 에틸렌과 50만 톤의 폴리에틸렌을 생산할 예정이다.[1]

3. 3. 윤활유

2007년 11월, GS칼텍스는 하루 16000oilbbl의 생산 능력으로 윤활 기유 생산을 시작했다. 2011년 현재 생산 능력은 하루 26000oilbbl에 달했으며, GS칼텍스는 전체 윤활 기유 생산량의 70% 이상을 수출한다. GS칼텍스는 하루 9000oilbbl의 윤활유와 연간 8000 톤의 그리스 제품을 생산한다. 2005년 GS칼텍스는 자체 윤활유 브랜드인 "Kixx"를 출시했다. 처음에는 승용차, 상용차 및 오토바이에 맞춤형 엔진 오일을 제공하는 데 주력했던 Kixx는 2017년에 자동차 및 산업용 윤활유 솔루션의 광범위한 포트폴리오를 포함하도록 확장했다.

4. 주요 시설

GS칼텍스는 국내외에 생산 시설, 연구 시설, 해외 지사 및 법인 등 다양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4. 1. 공장 및 사업장

종류주소면적생산 제품
본사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508 GS타워
고객센터서울특별시 금천구 디지털로 130 남성프라자 2층
노동조합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918 (GS칼텍스 여수공장)
TT윤활유출하장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955
제품부두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1083-99
정유부속의원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1083-101
여수공장 사택(장구미)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1081
여수1공장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로 9186000000m2석유, 석유화학 제품
여수2공장전라남도 여수시 산단중앙로 669
인천윤활유공장인천광역시 서구 중봉대로 36568100m2윤활유, 그리스
진주복합수지공장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용봉로 130
기술연구소대전광역시 유성구 엑스포로 359
인재개발원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용문천길 251-56


4. 2. 해외 네트워크

국가법인/지사명
영국GS칼텍스 런던지사
아랍에미리트GS칼텍스 아부다비지사
중국GS칼텍스 상해지사
일본GS칼텍스 동경지사
러시아GS칼텍스 모스크바지사
싱가포르GS칼텍스 싱가포르법인
인도GS칼텍스 인도법인
중국GS칼텍스 중국법인
중국GS칼텍스(쑤저우) 무역유한공사
중국GS칼텍스(쑤저우) 소료유한공사
중국GS칼텍스(랑팡) 소료유한공사
체코GS칼텍스 체코법인
멕시코GS칼텍스 멕시코법인
베트남GS칼텍스 베트남대표사무소


5. 디자인 및 상징색

호남정유 시절까지는 미국칼텍스사 로고와 파란 삼각형 모양에 석유 방울로 표현된 빨간색 방울이 그려진 심벌마크를 사용하였다. 한미 합작회사임을 강조하여 미국 칼텍스사의 심벌마크를 사용하였으며, 호남정유의 심벌마크는 오른쪽 삼각형에 석유방울 모양으로 되어있다.[1] 1995년 럭키금성그룹에서 LG그룹으로 변경한 이후에는 주유소 벽면마다 호남정유 심벌마크와 함께 LG 로고를 삽입하였다.[1] 1996년 LG정유부터 LG그룹의 심벌마크로 통일하여 사용하였다가 2005년 LG정유에서 GS칼텍스로 변경한 이후에는 GS그룹 심벌마크를 통일하여 사용하고 있다.[1] 당시 미국 칼텍스사 심벌마크는 검은 테두리원에 빨간색 별과 별 중간 부분에 CALTEX라는 검은색 영문 로고가 삽입된 마크다.[1]

호남정유 시절에는 파란색 바탕에 빨간색 바탕에 호남정유라는 로고를 사용한 디자인이었다가 1996년 호남정유에서 LG정유로 변경한 이후에는 청록색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으며, 2005년 LG정유에서 GS칼텍스로 변경한 이후에는 청록색을 유지하고 있다.[1]

6. 사회적 책임 및 윤리 경영

GS칼텍스는 사회적 책임 및 윤리 경영을 중요한 가치로 내세우고 있으나, 2008년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 사건으로 인해 이러한 가치가 훼손되기도 했다.

분류:GS칼텍스

분류:대한민국의 기업

6. 1. 고객 정보 유출 사건

2008년 9월, 강남구 역삼동 유흥가 골목에서 GS칼텍스 고객 정보 1125만 건이 인터넷에 유출되었다. 유출 혐의로 주범인 GS넥스프레젠테이션 직원에게 징역 1년 6개월, 다른 3명에게도 1년의 실형이 선고되었다.[4]

참조

[1] 뉴스 Lee pays respect to late LG tycoon https://en.yna.co.kr[...] 2012-10-23
[2] 뉴스 GS Caltex celebrates its 50th anniversary https://www.koreaher[...] 2017-05-18
[3] 뉴스 Ex-LG units to get new names https://koreajoongan[...] 2005-01-07
[4] 웹사이트 GS칼텍스 고객정보 유출한 자회사 직원에 1년 6월 실형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09-01-21
[5] 뉴스 다큐멘터리 재계 50년 호남정유의 탄생 https://news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