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 혜문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 혜문왕은 진 효공의 아들로, 기원전 337년부터 기원전 311년까지 진나라의 왕으로 재위했다. 상앙의 변법을 계승하여 국정을 운영하며, 군사력을 강화하고 팽창주의 정책을 추진하여 주변국을 침략했다. 장의를 등용하여 외교 정책을 펼쳤으며, 파촉을 정복하고 초나라를 공격하여 한중 지역을 점령하는 등의 군사적 업적을 남겼다. 혜문왕은 46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아들인 진 무왕이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356년 출생 - 알렉산드로스 대왕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56년경 마케도니아에서 태어나 아리스토텔레스에게 교육받고 20세에 왕위를 계승하여 그리스 통일, 페르시아 제국 정복, 인도 원정 등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건설하고 헬레니즘 문화 확산에 기여했으나 32세에 요절하여 제국은 분열되었다.
  • 기원전 356년 출생 - 레온나토스
    레온나토스는 알렉산드로스 3세의 친구이자 장군으로서 동방 원정에 참여했으며, 알렉산드로스 사후 헬레스폰투스 프리지아 태수가 되었으나 라미아 전쟁에서 전사하여 제국 분열에 영향을 미쳤다.
  • 진나라의 왕 - 진 시황제
    진 시황제는 중국 최초로 중국을 통일하고 황제 칭호를 사용한 인물로, 전국 통일 후 군현제 실시, 도량형과 문자 통일 등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를 구축했으나 분서갱유와 대규모 토목 공사, 불로불사 추구 등으로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하는 논쟁적인 인물이다.
  • 진나라의 왕 - 진왕 자영
    진왕 자영은 혼란한 진나라를 잠시 다스린 마지막 군주로, 조고를 제거했으나 유방에게 항복 후 항우에게 처형당했으며, 그의 정확한 신분은 사료마다 달라 논란이 있다.
진 혜문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 (嬴)
해당 없음
이름사 (駟) 또는 인 (駰)
칭호해당 없음
재위 기간기원전 338년 – 기원전 311년
추존혜문왕 (惠文王) 또는 혜왕 (惠王)
아버지진 효공
배우자혜문후
선태후
자녀통, 서후
진 무왕
진 소양왕
윤, 서후
시, 고릉군
괴, 경양군
의, 연나라의 왕후
왕가
왕조
생애
출생기원전 356년
사망기원전 311년 (44–45세)
묘지공릉
즉위 전 칭호
혜문군 (惠文君)

2. 생애

혜문왕은 진 효공의 아들로, 어릴 적 이름은 사공(驷)이었다.[3] 십대 시절 태자 신분으로 법을 어겼는데, 당시 상앙은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진나라의 법을 개혁하고 있었으므로 태자라도 예외 없이 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효공은 이를 받아들여, 사공의 스승인 공자 건은 코를 베는 형벌을, 또 다른 스승인 공손고는 얼굴에 문신을 새기는 형벌을 받았다.[3] 사공은 왕궁에서 추방되었다.[3]

이 일로 혜문왕은 상앙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훗날 왕위에 오르자 상앙을 반역 혐의로 처형했지만, 아버지 효공과 상앙이 이룩한 진나라의 개혁된 제도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상앙의 변법은 그대로 유지하여 국정 운영의 기본 방침으로 삼았다.[1] 이는 초나라가 오기의 개혁 성과를 파기한 것과 대비되어 높이 평가받는다.[1]

주(周)나라에서 선물을 받을 만큼 강성해진 진나라는 이 국력을 바탕으로 모략가인 장의를 등용했다. 장의는 여러 차례 위, 제, 초나라 등을 공격하게 하였고, 기원전 324년에는 왕호를 사용하게 하였다.

기원전 318년, 한, 조, 위, 연, 초 5개국 연합군이 함곡관을 공격해 왔으나, 혜문왕은 동생인 저리질에게 군사를 맡겨 이들을 격파하고 8만 명의 목을 베었다(함곡관 전투).[1][5]

혜문왕은 군사력을 강화하여 주변국을 압박하고, 끊임없이 영토 확장을 추진했다. 기원전 316년에는 파와 촉(파촉) 지역을 정복하여 거대한 곡창 지대를 확보하고 경제력을 강화했다.[1] 기원전 312년에는 초나라의 공격을 격퇴하고 한중 지역을 점령하여 한중군을 설치했다. 이는 초나라 쇠퇴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남전 전투).[1]

혜문왕은 27년 동안 진나라를 통치했으며 기원전 311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혜문왕의 뒤는 혜문왕후 소생의 아들 진 무왕이 이었다.[7]

2. 1. 즉위 전

혜문왕은 진 효공의 아들로, 어릴 적 이름은 사공(驷)이었다.[3] 십대 시절 태자였을 때 법을 어겼다.[3] 당시 상앙은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진나라의 법을 개혁하고 있었는데, 태자라도 예외 없이 벌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효공은 이를 받아들여, 사공의 스승인 공자 건은 코를 베는 형벌을, 또 다른 스승인 공손고는 얼굴에 문신을 새기는 형벌을 받았다.[3] 사공은 왕궁에서 추방되었다.[3]

이 일로 혜문왕은 상앙에게 원한을 품게 되었다. 훗날 왕위에 오르자 상앙을 반역 혐의로 처형했지만, 아버지 효공과 상앙이 이룩한 진나라의 개혁된 제도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2. 2. 상앙 숙청과 변법 계승

혜문왕은 태자 시절 상앙의 변법을 어겨 벌을 받은 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효공 사후 상앙에게 죄를 씌워 거열형에 처했으나, 상앙의 변법은 그대로 유지하여 국정 운영의 기본 방침으로 삼았다.[1] 이는 초나라가 오기의 개혁 성과를 파기한 것과 대비되어 높이 평가받는다.[1]

2. 3. 장의 등용과 외교 정책

진나라는 상앙의 개혁으로 국력이 크게 강해져 주변 나라들이 두려워할 정도였다. 주(周)나라에서 선물을 받을 만큼 강성해진 진나라는 이 국력을 바탕으로 모략가인 장의를 등용했다. 장의는 여러 차례 위, 제, 초나라 등을 공격하게 하였고, 기원전 324년에는 왕호를 사용하게 하였다.

기원전 322년, 장의는 진나라와 위나라가 연횡하여 한나라를 함께 공격하기 위해 위의 혜왕을 설득하여 위나라의 재상이 되었다.[3] 기원전 319년 장의가 파면되어 위나라에서 추방된 후, 기원전 317년에 진나라로 돌아와 다시 상국 지위에 올랐다. 그전까지 중산국악지가 진나라의 상국을 역임했다.[4]

기원전 318년, 한, 조, 위, 연, 초 5개국이 연합군을 결성하여 진나라를 공격해 왔으나, 혜문왕은 동생인 저리질에게 군사를 맡겨 이들을 격파하고 8만 명의 목을 베었다(함곡관 전투).[1][5]

2. 4. 군사적 업적

혜문왕은 군사력을 강화하여 주변국을 압박하고, 끊임없이 영토 확장을 추진했다.

기원전 318년, 한, 조, 위, 연, 초 5개국 연합군이 함곡관을 공격해 왔으나, 혜문왕은 동생인 저리질을 보내 격파하고 8만 명의 목을 베는 대승을 거두었다(함곡관 전투).[1]

기원전 316년, 사마착의 건의를 받아들여 파와 촉(파촉) 지역을 정복했다. 이 지역은 삼성퇴문화를 기반으로 한 독자적인 문화를 가진 나라들이 번성했던 곳으로, 진나라는 이 곳을 정복하여 거대한 곡창 지대를 확보하고 경제력을 강화했다. 이는 장강 유역을 통한 군사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초나라에 대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1]

기원전 312년, 초나라의 공격을 격퇴하고 한중 지역을 점령하여 한중군을 설치했다. 이는 초나라 쇠퇴의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남전 전투).[1]

2. 5. 죽음

혜문왕은 27년 동안 진나라를 통치했으며 기원전 311년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혜문왕의 뒤는 혜문왕후 소생의 아들 진 무왕이 이었다.[7]

사기에 따르면 혜문왕은 공릉에 묻혔다. 사기정의는 괄지지를 인용하여 공릉의 위치가 옹주 함양현 서북 14리라고 기록하고 있다. 현재 함양시 내에 두 곳의 봉분이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혜문왕의 무덤으로 추정된다.[7]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왕후혜문후위나라 사람, 진 무왕의 생모
비빈미팔자초나라 사람, 진 소양왕의 생모
아들진 무왕혜문후 소생
진 소양왕 (영직)미팔자 소생
공자 통
공자 장진 소양왕보다 형
공자 옹진 소양왕보다 형
공자 운 (촉후휘)
공자 비 (고릉군)미팔자 소생
아들(계속)공자 리 (경양군)미팔자 소생
공자 요, 공자 지학자 마페이바이(马非百)는 혜문왕의 서자로 추정
연역왕후사료에 남아있는 진 혜문왕의 유일한 딸


4. 평가

혜문왕은 상앙의 변법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진나라의 부국강병을 이끌었다. 비록 태자 시절 상앙의 법에 저촉되어 보좌역들이 처벌받는 사건이 있었고, 이로 인해 상앙을 처형했지만, 그의 신법은 그대로 유지하여 국정 방침에 큰 변화를 주지 않았다.[1]

장의를 등용하여 여러 나라를 공격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쳤다. 이러한 군사적 성공을 바탕으로 혜문왕은 왕호를 칭하며 진나라의 위상을 높였다.[3]

기원전 318년에는 한, 조, 위, 연, 초 5개국의 연합군이 진나라를 공격해 왔으나, 혜문왕은 동생인 저리질을 시켜 이를 격파하고 8만 명의 목을 베는 대승을 거두었다(함곡관 전투).[6] 이러한 혜문왕의 치세는 진나라가 전국시대 최강국으로 발돋움하고, 훗날 천하를 통일하는 데 결정적인 기틀을 마련한 시기로 평가된다.

5. 대중문화


  • 2012년 드라마 《대진제국 2: 연맹》에서 배우 푸다룽이 연기했다.
  • 2015년 드라마 《미월전》에서 배우 방력신이 연기했다.
  • 2017년 드라마 《봉황전 기》에서 배우 라가량이 연기했다.
  • 2017년 드라마 《소왕: 대진제국의 새벽》에서 배우 푸다룽이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nnals of Qin http://www.guoxue.co[...] guoxue.com 2012-05-07
[2] 서적 Han (2010), 340
[3] 웹사이트 Harvard University reference page for a 2006 class called Moral Reasoning; includes a useful map. https://archive.toda[...]
[4] 문서 [[前漢|漢]]の成立後に高祖・[[劉邦]]の諱を避け相国に改名、ここでは一旦相邦の名を使用する。
[5] 문서 紀元前322年に張儀が秦を出て魏の宰相となった際には再び樛斿が相国の地位に就き、[[紀元前318年]]に[[楽池]]にその座を交代している。
[6] 서적 『史記』巻五・秦本紀第五:七年、楽池相秦。……八年、張儀復相秦。
[7] 간행물 春秋戦国時代秦王陵の被葬者と変遷 http://repo.komazaw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