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비엘 대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비엘 대수는 가환환 K 위의 가군 A와 쌍선형 연산 ★: A⊗K A → A로 정의되며, (a ★ b) ★ c = a ★ (b ★ c) + a ★ (c ★ b)의 진비엘 항등식을 만족해야 한다. 진비엘 대수에 곱셈 ab = a★b + b★a를 부여하면 가환 결합 대수가 되며, 이는 리 대수가 라이프니츠 대수의 특수한 경우라는 사실의 코쥘 쌍대이다. 체 위의 벡터 공간 V로 생성되는 자유 진비엘 대수는 셔플 대수의 구조를 갖는다. 진비엘 대수는 1995년 장루이 로데에 의해 고안되었으며, "진비엘 대수"라는 이름은 장미셸 르메트르가 처음 사용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수 구조 - 환 (수학)
환은 덧셈에 대해 아벨 군, 곱셈에 대해 모노이드를 이루며 분배 법칙이 성립하는 대수 구조로, 가환환과 비가환환으로 나뉘고 모든 비영 원소가 곱셈 역원을 갖는 비영 가환환을 체라고 한다. - 대수 구조 - 계수
계수는 수학에서 다항식, 급수, 또는 식의 항에 곱해지는 곱셈 인자를 의미하며, 다항식에서는 숫자, 매개변수 등으로 나타낼 수 있고, 선형대수학, 푸리에 급수, 이항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리 대수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 리 대수 - 아핀 리 대수
아핀 리 대수는 카츠-무디 대수의 특수한 경우로, 유한 차원 단순 리 대수에 대응하는 루프 대수의 중심 확장으로 구성되며, 딘킨 도표를 통해 분류되고, 끈 이론과 2차원 등각장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진비엘 대수 | |
---|---|
진비엘 대수 | |
정의 | 곱셈이 다음 관계를 만족시키는 대수이다. 여기서 x, y, z는 대수의 임의의 원소이다. |
관계식 | (x * y) * z = x * (y * z + z * y) |
쌍대 | 진비엘 대수의 쌍대는 라이프니츠 대수이다. |
어원 | 이 용어는 장루이 로데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라이프니츠의 이름을 거꾸로 쓴 것이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목록 | Loday 1995 |
추가 참고 문헌 | Loday 2001, Zinbiel 2012 |
2. 정의
가환환 K 위의 '''진비엘 대수'''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정의된다.
- K-가군 A
- K-쌍선형 이항 연산 (★): A⊗KA → A
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진비엘 항등식'''을 만족시켜야 한다.
(a ★ b) ★ c = a ★ (b ★ c) + a ★ (c ★ b)
3. 성질
진비엘 대수 에 다음과 같은 곱셈을 부여하면, 이는 가환 결합 대수를 이룬다.
:
즉, 진비엘 대수는 추가 구조를 갖춘 가환 결합 대수로 여길 수 있다. (이는 리 대수가 라이프니츠 대수의 특수한 경우라는 사실의 코쥘 쌍대이다.) 특히, 만약 라면, 반대칭 괄호
:
를 정의하여
:
를 정의하여, 진비엘 대수를 위와 같은 반대칭 괄호를 갖춘 가환 결합 대수로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대칭 괄호는
:
4. 예
체 위에서, 벡터 공간 로 생성되는 자유 진비엘 대수는 등급 벡터 공간으로서 상수항을 생략한 축소 텐서 대수 이다. 이에 대응되는 가환 결합 대수 구조는 셔플 대수의 것이다.
5. 역사
장루이 로데가 1995년에 고안하였다.[4] “진비엘 대수”(algèbre de Zinbiel프랑스어)라는 이름은 장미셸 르메트르(Jean-Michel Lemaire프랑스어)가 최초로 사용하였으며,[2] 라이프니츠 대수의 “라이프니츠”(Leibnizde)의 철자를 뒤집은 것이다.
참조
[1]
harvnb
[2]
서적
Dialgebras and related operads
http://www.math.uiuc[...]
Springer-Verlag
[3]
서적
Operads and universal algebra
http://www.worldscib[...]
2020-02-22
[4]
논문
Cup-product for Leibniz cohomology and dual Leibniz algebras
http://www.math.uiu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