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안동은 대한민국 화성시의 행정동으로, 2006년 태안읍 폐지 후 진안동, 기산동, 반정동, 능동 등 4개 법정동을 관할하며 설치되었다. 1896년 수원군 태촌면과 안녕면의 일부였으며,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주요 교육 시설로는 병점초등학교, 진안초등학교, 진안중학교, 기산중학교 등이 있으며, 국도 제1호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이 위치하여 교통이 편리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의 행정동 - 새솔동
새솔동은 2018년 화성시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 즉 시화간척지 일부에 설치된 동으로, 국도 제77호선을 통해 안산시와 연결되며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새로운 송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 화성시의 법정동 - 병점동
병점동은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과거 태안읍 병점리에서 2006년 동부출장소 승격과 함께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병점1동과 병점2동으로 나뉘고, 국도 제1호선과 병점역을 중심으로 교통망이 발달해 교육 시설과 아파트 단지가 밀집되어 있다. - 화성시의 법정동 - 새솔동
새솔동은 2018년 화성시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 즉 시화간척지 일부에 설치된 동으로, 국도 제77호선을 통해 안산시와 연결되며 다양한 아파트 단지가 조성된 '새로운 송산'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 화성시의 행정 구역 - 우정읍
화성시 우정읍은 고려 시대 쌍부현에서 조선 시대 오정면, 압정면으로 나뉘었다가 2003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기아 오토랜드 화성과 조암터미널 등의 주요 시설을 포함한 13개 법정리를 관할한다. - 화성시의 행정 구역 - 팔탄면
팔탄면은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면으로, 조선시대에는 팔탄면과 공향면으로 나뉘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통합되어 현재 16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기관과 기업들이 위치해 있다.
진안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진안동 |
한자 표기 | 陳雁洞 |
영문 표기 | Jinan-dong |
면적 | 6.219 |
세대 | 17,890 |
세대 조사 | 2017.12.31. |
인구 | 39,096 |
인구 조사 | 2017.12.31. |
법정동 | 진안동, 능동, 기산동, 반정동 |
통 | 31 |
반 | 181 |
동주민센터 | 경기도 화성시 병점4로 34 |
홈페이지 | 진안동 행정복지센터 |
2. 역사
1896년 수원군 태촌면(현 진안동, 기산동, 능동), 안녕면(현 반정동)이었다.[1][2][3] 1914년 4월 1일 태촌면과 장주면을 합쳐 태장면이 되고, 안녕면과 용북면을 합쳐 안용면이 되었다.[1] 1963년 1월 1일 화성군 태장면과 안룡면의 북부가 수원시에 편입되고, 남은 지역을 합쳐 태안면(台安面)이 되었다.[1] 1985년 10월 1일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되었다.[2] 2006년 1월 2일 화성시 태안읍이 폐지되고 6개 행정동으로 분리·전환되면서, 진안동, 기산동, 반정동, 능동 등 4개 법정동을 관할하는 '''진안동'''이 설치되었다.[3] 2007년 1월 29일 능동의 대부분 지역이 신설된 동탄동에 편입되었다. 2010년 1월 4일 진안동 주민센터 신청사가 준공되었다. 2020년 7월 24일 수원시 영통구 신동, 망포동 일부와 화성시 반정동 일부를 교환하였다.[4]
2. 1. 조선 시대
1896년 수원군 태촌면(현 진안동, 기산동, 능동), 안녕면(현 반정동)이었다. 1914년 4월 1일 태촌면과 장주면을 합쳐 태장면이 되고, 안녕면과 용북면을 합쳐 안용면이 되었다. 1963년 1월 1일 화성군 태장면과 안룡면의 북부가 수원시에 편입하고, 남은 지역을 합쳐 태안면(台安面)이 되었다.2. 2. 일제 강점기
1896년 수원군 태촌면(현 진안동, 기산동, 능동), 안녕면(현 반정동)이었다.[1][2][3] 1914년 4월 1일 태촌면과 장주면을 합쳐 태장면이 되고, 안녕면과 용북면을 합쳐 안용면이 되었다.[1]2. 3. 해방 이후
1963년 1월 1일 화성군 태장면과 안룡면의 북부가 수원시에 편입되고, 남은 지역을 합쳐 태안면(台安面)이 되었다.[1] 1985년 10월 1일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되었다.[2] 2006년 1월 2일 화성시 태안읍이 폐지되고 6개 행정동으로 분리·전환되면서, 진안동, 기산동, 반정동, 능동 등 4개 법정동을 관할하는 진안동이 설치되었다.[3] 2007년 1월 29일 능동의 대부분 지역이 신설된 동탄동에 편입되었다. 2010년 1월 4일 진안동 주민센터 신청사가 준공되었다. 2020년 7월 24일 수원시 영통구 신동, 망포동 일부와 화성시 반정동 일부를 교환하였다.[4]3. 행정 구역
3. 1. 법정동
진안동은 법정동인 진안동, 기산동, 반정동과 능동의 일부를 관할한다.[5]법정동 | 한자명 | 통 | 비고 |
---|---|---|---|
진안동 | 陳雁洞 | 진안1통~진안16통 | |
능동 | 陵洞 | 능1통~능5통 | |
기산동 | 機山洞 | 기산1통~기산8통 | |
반정동 | 伴亭洞 | 반정1통, 반정2통 | |
4법정동 | 31통 |
2007년 능동의 동탄신도시 구역만 동탄동에 편입되면서 잔여 지역이 진안동에 남았다.[5] 이 때문에 능동 1통·3통은 동탄3동에 둘러싸인 두입지이고 2통·4통·5통은 월경지인 기형적 행정 구역이 되었다.[5] 해당 지역은 생활권 등을 고려하면 동탄3동에 편입되는 게 타당한데, 주민들 간 갈등으로 행정동의 경계 정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5]
4. 교육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5. 교통
국도 제1호선이 진안동을 통과하며, 비상활주로구간을 거쳐 수원시 권선구 권선동 경수대로로 직결된다.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이 진안동에 위치하고 있다.
6. 주거 시설
6. 1. 아파트
단지명 | 건설사 | 시행사 | 주소 | 입주 | 비고 |
---|---|---|---|---|---|
진안골마을 주공 10단지 | 한라건설㈜ | 대한주택공사 | 2004년 5월 | ||
진안골마을 주공 11단지 | 2004년 4월 | ||||
진안골마을 주공 12단지 | 한국건설㈜ | 국민임대 | |||
반정 아이파크캐슬 4단지 | 현대산업개발 롯데건설 | ㈜하나자산신탁 ㈜더시티 | 2022년 12월 | ||
반정 아이파크캐슬 5단지 | |||||
행림마을 래미안 1단지 | 삼성물산㈜ 건설부문 | ㈜엘디산업 | 2003년 12월 |
참조
[1]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
대통령령
[3]
조례
화성시 조례
2005-12-02
[4]
대통령령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http://www.law.go.kr[...]
2020-06-23
[5]
웹사이트
화성시행정지도
http://www.hscity.go[...]
화성시청
201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