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도 제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목포에서 신의주까지의 도로가 정비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임진각까지로 구간이 한정되기도 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도로 확장 및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주요 경유지로는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이 있으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황해북도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국도 제1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종류일반 국도
노선 번호1호선
노선 이름국도 제1호선
다른 이름목포신의주선
총 연장1068.3 km
대한민국 구간 실질 연장509.9 km
제정일1971년 8월 31일
도로 방향남북
기점전라남도 목포시
기점 방향
주요 경유 국가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종점평안북도 신의주시
종점 방향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AH1
로마자 표기Gukdo Je Il(1) Hoseon
한자 표기國道 第一號線
일본어 표기国道1号線
일본어(로마자)Kokudō 1-gōsen
영어 표기National Route 1
주요 경유지
경유 도시 및 지역전라남도 목포시
전라남도 무안군
전라남도 함평군
전라남도 나주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장성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충청남도 논산시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남도 계룡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북도 청주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평택시
경기도 오산시
경기도 화성시
경기도 수원시
경기도 의왕시
경기도 안양시
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파주시
경기도 장단군
경기도 개성시
경기도 개풍군
황해도 금천군
황해도 평산군
황해도 서흥군
황해도 봉산군
황해도 황주군
평안남도 중화군
평안남도 대동군
평안남도 평양시
평안남도 대동군
평안남도 평원군
평안남도 안주군
평안북도 박천군
평안북도 정주군
평안북도 선천군
평안북도 철산군
평안북도 용천군
평안북도 신의주시
주요 교차 도로
고속도로경부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논산천안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오산화성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
강진광주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일반 국도국도 제2호선
국도 제4호선
국도 제6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21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6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0호선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34호선
국도 제36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8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5호선
국도 제46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국가지원지방도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2. 역사

국도 제1호선은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된 구간을 포함하고 있다. 서울특별시에서 수원시까지는 조선 정조 때 놓인 시흥대로경수대로와 겹치고, 서울에서 의주군까지는 의주로와 겹친다. 의주로는 중국과의 사신 왕래에 사용되어 국가에서 관리했으며, 베이징 시까지 이어져 '''연행로'''라고도 불렸다.[21]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제국목포시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시까지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 3호선(목포 ~ 경성)과 2호선(경성 ~ 신의주)으로 명명했다.[22]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대부분 조선의 대로를 사용했으나, 일본 제국이 직선 도로를 선호하여 여러 구간에서 이전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했다.[23] 서울 북부 경기도 구간에서는 통일로가 의주로와 겹치나, 그 외 구간은 국도 1호선, 39호선, 지방도 307호선에 걸쳐 있다.[24] 천안 이남 구간은 조선 시대 우로였던 제7로[25] 대신 대부분 새로 길을 조성했다. 조선의 7로는 천안시-차령산맥-공주시-부여군-강경읍으로 이어졌으나, 국도 1호선은 천안시-조치원읍-대전광역시-논산시로 연결된다.[23][26] 일제는 국도 1호선을 만주 침략의 이동로와 호남 지역에서 징발된 운송로로 사용했다.[27]

6.25 전쟁 이후 국도 1호선은 임진각까지로 한정되었다. 이후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논산시대전광역시 구간, 완주군 삼례읍논산시 연무읍 구간,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완공되었다. 2000년에는 경의선 도로 연결 공사로 개성공업지구와 연결되었다. 2010년에는 전주시 우회 국도가 완공되었고, 세종특별자치시 설치에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 관통 구간이 이설되고 왕복 6~8차로로 확장되었다.

2012년 6월 29일, 목포대교 개통으로 국도 제1호선 기점이 유달산우체국 부근에서 목포대교 남측 종점인 고하도 ~ 허사도 (신외항)로 변경되었다.[28] 2012년 기준 국도 제1호선의 총 연장은 943.37km로 이전보다 약 4.27km 연장되었다.[29] 노선 변경 승인은 2013년 2월 28일에 이루어졌다.[30]

2. 1. 조선시대

국도 제1호선의 일부 구간은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다. 서울특별시에서 수원시까지의 구간은 조선 정조 시기 놓인 시흥대로경수대로와 겹치며,[19][20] 서울에서 의주군까지 이어지던 조선 시대의 의주로는 중국과의 사신 왕래에 사용되는 주요 도로였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였으며,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지금의 국도 1호선과 겹친다. 의주로는 책문을 넘어 베이징시까지 이어지기에 '''연행로'''라고도 하였다.[21]

일제강점기일본 제국목포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까지의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 3호선(목포 ~ 경성)과 2호선(경성 ~ 신의주)으로 각각 명칭하였다.[22]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거의 대부분 조선의 대로(大路)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구간에서 이전의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하였다. 이는 일본 제국이 기존 도읍 사이의 지리적 관계보다는 직선 도로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다.[23]

2. 2.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목포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까지의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 3호선(목포 ~ 경성)과 2호선(경성 ~ 신의주)으로 각각 명칭하였다.[22]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거의 대부분 조선의 대로(大路)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구간에서 이전의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하였다. 이는 일본 제국이 기존 도읍 사이의 지리적 관계보다는 직선 도로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다.[23] 서울 북부 경기도 구간에서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에서 파주시 문산읍 신원리까지의 통일로 구간은 조선 시대 의주로와 겹치나, 의주로의 그 이외 구간은 지금의 국도 1호선과 39호선 그리고 지방도로 307호선에 걸쳐 있다.[24] 천안 이남 구간에서는 조선 시대 우로였던 제7로[25] 대신 대부분 새로 길을 조성하였다. 조선의 7로는 천안 - 차령 - 공주 - 부여 - 강경으로 이어졌으나, 국도 1호선은 천안 - 조치원 - 대전 - 논산으로 연결된다.[23][26] 일제는 이렇게 놓인 국도 1호선을 이용하여 서울 이북 구간은 만주 침략의 이동로로, 호남 구간은 징발된 의 운송로로 사용하였다.[27]

2. 3. 대한민국

국도 제1호선의 일부 구간은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고 있었다. 서울특별시에서 수원시까지의 구간은 조선 정조 시기 놓인 시흥대로경수대로와 겹치며,[19][20] 서울에서 의주군까지 이어지던 조선 시대의 의주로는 중국과의 사신 왕래에 사용되는 주요 도로였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였으며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지금의 국도 1호선과 겹친다. 의주로는 책문을 넘어 베이징시까지 이어지기에 '''연행로'''라고도 하였다.[21]

일제강점기에 들어 일본 제국목포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까지의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 3호선(목포 ~ 경성)과 2호선(경성 ~ 신의주)으로 각각 명칭하였다.[22]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거의 대부분 조선의 대로(大路)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구간에서 이전의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하였다. 이는 일본 제국이 기존 도읍 사이의 지리적 관계보다는 직선 도로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다.[23] 서울 북부의 경기도 구간에서는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에서 파주시 문산읍 신원리까지의 통일로 구간은 조선 시대의 의주로와 겹치나, 의주로의 그 이외 구간은 지금의 국도 1호선과 39호선 그리고 지방도로 307호선에 걸쳐 있다.[24] 천안 이남의 구간에서는 조선 시대 우로였던 제7로의 구간[25] 대신 대부분 새로 길을 조성하였다. 조선의 7로는 천안 - 차령 - 공주 - 부여 - 강경으로 이어졌으나, 국도 1호선은 천안 - 조치원 - 대전 - 논산으로 연결된다.[23][26] 일제는 이렇게 놓인 국도 1호선을 이용하여 서울 이북 구간은 만주 침략의 이동로로, 호남 구간은 징발된 의 운송로로 사용하였다.[27]

국도 1호선은 6.25 전쟁 이후 그 구간이 임진각까지로 잠시 한정되었다. 그 뒤에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논산시대전광역시 구간, 완주군 삼례읍논산시 연무읍 구간,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완공되었다. 2000년에는 경의선 도로 연결 공사로 개성공업지구와 연결되었다. 2010년, 전주시를 우회하는 새로운 국도 1호선이 완공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설치에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관통하는 구간이 일부 이설되고 왕복 6~8차로로 확장되었다.

2012년 6월 29일, 목포대교가 개통되어 국도 제1호선 기점이 종전 유달산우체국 부근에서 목포대교 남측 종점인 고하도 ~ 허사도 (신외항)로 변경되었다.[28] 이에 따라 2012년 기준 국도 제1호선의 총 연장은 943.37km로 이전 길이 939.1 km 보다 약 4.27km가 연장되었다.[29] 실제 노선 변경 승인은 2013년 2월 28일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30]

2. 4. 연혁

국도 제1호선의 일부 구간은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다. 서울특별시에서 수원시까지의 구간은 조선 정조 시기 놓인 시흥대로경수대로와 겹치며,[19][20] 서울에서 의주군까지 이어지던 조선 시대의 의주로는 중국과의 사신 왕래에 사용되는 주요 도로였기 때문에 국가에서 관리하였으며,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지금의 국도 1호선과 겹친다. 의주로는 책문을 넘어 베이징시까지 이어지기에 '''연행로'''라고도 불렸다.[21]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목포에서 서울을 거쳐 신의주까지의 도로를 정비하여 국도 3호선(목포 ~ 경성)과 2호선(경성 ~ 신의주)으로 각각 명칭하였다.[22] "신작로"라 불린 새 도로는 거의 대부분 조선의 대로(大路)를 사용하였으나, 여러 구간에서 이전의 도로망을 버리고 새로 조성하였다. 이는 일본 제국이 기존 도읍 사이의 지리적 관계보다는 직선 도로를 선호하였기 때문이다.[23] 서울 북부의 경기도 구간에서는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에서 파주시 문산읍 신원리까지의 통일로 구간은 조선 시대의 의주로와 겹치나, 의주로의 그 이외 구간은 지금의 국도 1호선과 39호선 그리고 지방도로 307호선에 걸쳐 있다.[24] 천안 이남의 구간에서는 조선 시대 우로였던 제7로의 구간[25] 대신 대부분 새로 길을 조성하였다. 조선의 7로는 천안 - 차령 - 공주 - 부여 - 강경으로 이어졌으나, 국도 1호선은 천안 - 조치원 - 대전 - 논산으로 연결된다.[23][26] 일제는 이렇게 놓인 국도 1호선을 이용하여 서울 이북 구간은 만주 침략의 이동로로, 호남 구간은 징발된 의 운송로로 사용하였다.[27]

국도 1호선은 6.25 전쟁 이후 그 구간이 임진각까지로 잠시 한정되었다. 이후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논산시대전광역시 구간, 완주군 삼례읍논산시 연무읍 구간, 1994년부터 1999년까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연기군(現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구간이 4차선으로 확장, 완공되었다. 2000년에는 경의선 도로 연결 공사로 개성공업지구와 연결되었다. 2010년 전주시를 우회하는 새로운 국도 1호선이 완공되었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설치에 따라 행정중심복합도시를 관통하는 구간이 일부 이설되고 왕복 6~8차로로 확장되었다.

2012년 6월 29일 목포대교가 개통되어 국도 제1호선 기점이 종전 유달산우체국 부근에서 목포대교 남측 종점인 고하도 ~ 허사도 (신외항)로 변경되었다.[28] 이에 따라 2012년 기준 국도 제1호선의 총 연장은 943.37km로 이전 길이 939.1km보다 약 4.27km가 연장되었다.[29] 실제 노선 변경 승인은 2013년 2월 28일이 되어서야 이루어졌다.[30]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1호선''' 목포 ~ 신의주선이 됨.[31]
  • 1973년 9월 7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나주군 다시면 월태리 ~ 문평면 옥당리 3.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2]
  • 1973년 9월 8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대덕군 진잠면 내동리 ~ 기성면 관저리 1.85km 구간을 1.15km로, 대덕군 기성면 가수원리 1.1km 구간을 800m로,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동 ~ 죽림동 2.2km 구간을 2.18km로, 연기군 남면 갈운리 420m 구간을 360m로, 논산군 논산읍 취암동 ~ 반월동 1.77km 구간을 1.2km로, 논산군 연산면 천호리 ~ 두마면 망석리 1.97km 구간을 논산군 연산면 천호리 ~ 두마면 광석리 1.35km로 도로구역 변경[33]
  • 1975년 8월 20일 : 화성군 태안면 반정리 ~ 오산읍 세교리 구간 개통[34]
  • 1982년 1월 25일 : 화성군 오산읍 신월리 ~ 수청리 임업시험장앞 3.425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3.1km 구간 폐지[35]
  • 1985년 6월 8일 : 수원시 권선동 ~ 화성군 태안면 진안리 3.6km 구간 개통, 기존 3.5km 구간 폐지[36]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논산군 은진면 연서리, 대덕군 기성면 방동리 ~ 두마면 금암리 구간 폐지[37]
  • 1987년 7월 29일 : 논산군 논산읍 취암동 700m 구간 개통, 기존 600m 구간 폐지[38]
  • 1988년 3월 25일 : 연기군 전의면 대곡리 구간 개량[39]
  • 1993년 5월 6일 : 태인우회도로(정읍군 태인면 태성리) 1.2km 구간, 금산우회도로(김제군 금산면 구월리 ~ 성계리) 2.1km 구간 개통[40]
  • 1994년 12월 29일 : 천안군 목천면 삼성리 ~ 소사리 2.6km 구간 개통 및 기존 3.3km 구간 폐지[41]
  • 1996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을 한강대교 통과에서 성산대교 통과로 변경[42]
  • 1996년 11월 20일 : 1999년 12월 31일까지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건설을 위해 목포시 대양동 목포 나들목 ~ 산정동 4.908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3]
  • 1997년 9월 1일 : 기존 논산시 부창동 ~ 덕지동 3.3km 구간 폐지[44]
  • 1997년 11월 5일 : 충청남도 연기군 금남면 나성리 ~ 대전광역시 유성구 외삼동 10.25km 구간 개통, 기존 5.54km 구간 폐지[45]
  • 1997년 12월 16일 : 논산시 두마면 광석리 ~ 지산동 ~ 내동 21km 구간 개통, 기존 18.2km 구간 폐지[46]
  • 1998년 1월 8일 : 연기군 조치원읍 죽림리 ~ 남면 나성리 13.2km 구간 개통, 기존 8.31km 구간 폐지[47]
  • 1998년 6월 20일 : 자유의 다리 ~ 판문점간 도로(파주시 문산읍 마정리 ~ 군내면 점원리) 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48]
  • 1998년 9월 4일 : 병점지하차도(화성군 태안읍 병점리 ~ 진안리) 720m 구간 개통[49]
  • 1998년 9월 16일 : 목포시 연산동 ~ 삼향동 5.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0]
  • 1998년 9월 28일 : 목포 ~ 삼호간 도로(목포시 석천동 ~ 대양동) 1.9km 구간 확장 개통[51]
  • 1998년 12월 2일 : 논산시 연무읍 죽평리 ~ 강산동 9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 폐지[52]
  • 1998년 12월 31일 : 병점육교(오산시 세교동 ~ 화성군 태안읍 병점리) 1.28km 구간 개통[53]
  • 1999년 3월 29일 : 내기리우회도로(나주시 산포면 내기리) 3.8km 구간 개통[54]
  • 1999년 3월 31일 : 여산우회도로(익산시 여산면 호산리 ~ 여산리) 2.3km 구간 개통[55]
  • 1999년 7월 1일 : 금마우회도로(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1.9km 구간 개통, 기존 2.4km 구간 폐지[56]
  • 2000년 12월 31일 : 연기군 조치원읍 번암리 ~ 전동면 미곡리 13.11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연기군 조치원읍 죽림리 ~ 전동면 청람리 13.6km 구간 폐지[57], 연기군 전동면 미곡리 ~ 천안시 광덕면 행정리 6.9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연기군 전동면 청람리 ~ 천안시 광덕면 행정리 7.8km 구간 폐지[58]
  • 2001년 6월 20일 : 삼례 ~ 금마간 도로 및 금마우회도로(완주군 삼례읍 후평리 ~ 익산시 금마면 동고도리) 9.7km 구간 확장 개통[59]
  • 2001년 11월 16일 : 목포시 국도대체우회도로(목포시 연산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4.908km 구간 개통[60]
  • 2004년 2월 : 파주시 군내면 백연리 ~ 장단면 동장리 5.1km 구간 확장 개통[61]
  • 2004년 7월 5일 : 완주군 이서면 이성리 ~ 덕진구 원동 7.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2]
  • 2004년 9월 13일 : 나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중 다시 ~ 왕곡 ~ 금천간 도로(나주시 다시면 복암리 ~ 금천면 석전리 19.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63]
  • 2004년 12월 10일 : 논산시 연무읍 마전리 ~ 죽평리 4.3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64]
  • 2004년 12월 24일 : 반포 ~ 봉암간 도로(공주시 반포면 봉곡리 ~ 연기군 금남면 두만리) 5.8km 구간 신설 개통[65], 기존 공주시 반포면 공암리 ~ 연기군 금남면 감성리 8km 구간 폐지[66]
  • 2005년 12월 30일 : 정읍시 장명동 ~ 태인면 오봉리 12.92km 구간 확장 개통[67]
  • 2006년 9월 6일 : 무안우회도로(무안군 청계면 태봉리 ~ 무안읍 성동리) 8.9km 구간 확장 개통[68]
  • 2007년 1월 3일 : 대전광역시 유성구 방동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10.0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계룡시 금암동 연화 교차로 ~ 공주시 반포면 온천리 박정자삼거리 11.36km 구간 폐지[69][70]
  • 2007년 8월 6일 : 나주시 다시면 월태리 ~ 금천면 석전리 19.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71]
  • 2008년 8월 14일 : 정읍시 옹동면 용호리 ~ 김제시 금구면 용복리 10.1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2km 구간 폐지[72]
  • 2008년 12월 24일 : 광주 ~ 장성간 도로(장성군 남면 삼태리 ~ 장성읍 단광리) 7.3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6.75km 구간 폐지[73], 장성 ~ 야은간 도로(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 상오리) 구간 5.4km 확장 개통 및 기존 5.8km 구간 폐지[74]
  • 2008년 12월 26일 : 구이 ~ 용정간 도로(전주시 완산구 삼천동3가 ~ 덕진구 용정동) 14.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8.3km 구간 폐지[75]
  • 2008년 12월 30일 : 정읍시 태인면 오봉리 ~ 옹동면 용호리 3.7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9km 구간 폐지[76]
  • 2010년 12월 10일 : 전주시 덕진구 용정동 ~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 4.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7km 구간 폐지[77]
  • 2010년 12월 31일 : 성환우회도로(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수헐리 ~ 성환읍 성환리) 6.95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5.2km 구간 폐지[78]
  • 2011년 1월 3일 : 성환우회도로 개통 연기[79]
  • 2011년 5월 12일 : 성환우회도로(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수헐리 ~ 성환읍 성환리) 6.95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5.2km 구간 폐지[80]
  • 2012년 1월 18일 : 산포면사거리 입체화 고가(나주시 산포면 매성리 ~ 등정리) 800m 구간 개통[81]
  • 2012년 6월 21일 : 목포시 달동 ~ 죽교동 3.8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82]
  • 2012년 6월 29일 : 고하 ~ 죽교간 도로 및 목포대교(목포시 달동 ~ 죽교동) 4.129km 구간 개통[83]
  • 2012년 8월 1일 : 세종시 ~ 대전유성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두만리 ~ 용포리) 3.95km 구간 신설 개통[84]
  • 2012년 9월 26일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등정리 ~ 광주광역시 남구 양과동 9.13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8.5km 구간 폐지[85], 남평우회도로 및 금천 ~ 왕곡간 도로(나주시 왕곡면 장산리 ~ 금천면 석전리) 10.6km 구간 개통[86]
  • 2012년 9월 27일 : 행정중심복합도시 우회도로 2공구(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대평리 ~ 연기면 연기리) 11.7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9.1km 구간 폐지[87]
  • 2012년 12월 28일 : 소정 ~ 배방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 ~ 소정면 소정리) 2.79km 구간 확장 개통[88]
  • 2013년 2월 28일 : 기점을 "전라남도 목포시 대의동2가"에서 "전라남도 목포시 충무동"으로 노선 변경하고[30] 기존 목포시 대의동2가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8.53km 구간 폐지[89]
  • 2013년 10월 10일 : 주추지하차도(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2.211km 구간 개통[90]
  • 2013년 12월 31일 : 삼산 ~ 금붕간 도로(정읍시 신월동 ~ 송산동) 3.2km 구간 확장 개통[91]
  • 2014년 12월 30일 : 다사 ~ 왕곡간 도로(나주시 다시면 월태리 ~ 장산리) 8.9km 구간 확장 개통[92]
  • 2014년 12월 31일 : 다사 ~ 왕곡간 도로 개통으로 기존(나주시 다시면 월태리 ~ 금천면 석전리) 13.6km 구간 폐지[93]
  • 2015년 9월 24일 : 야은 ~ 원덕간 도로(장성군 장성읍 상오리 ~ 북하면 대악리) 5.2km 구간 확장 개통[94]
  • 2015년 12월 21일 : 야은 ~ 원덕간 도로(장성군 장성읍 상오리 ~ 북하면 약수리) 10.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6km 구간 폐지[95]
  • 2016년 2월 5일 : 정읍 ~ 원덕간 도로 2공구(정읍시 입암면 신면리 ~ 신월동) 4.8km 구간 임시 개통[96]
  • 2016년 6월 15일 : 정읍 ~ 원덕간 도로 1공구(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 신성리) 3.64km 구간 임시 개통[97]
  • 2016년 7월 7일 : 정읍 ~ 원덕간 도로 1공구(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 북이면 원덕리) 10.5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1.4km 구간 폐지[98] 정읍 ~ 원덕간 도로 2공구(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 정읍시 입암면 신면리) 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 정읍시 입암면 마석리 12.88km 구간 폐지[99]

3. 주요 경유지

(계백로)중세 교차로중세 교차로계백로 93번길
세동로 249번길세동 교차로세동 교차로세동로계룡1터널계룡1터널약 2,665m
충청남도 진입


3. 1. 대한민국

(계백로)중세 교차로중세 교차로계백로 93번길
세동로 249번길세동 교차로세동 교차로세동로계룡1터널계룡1터널약 2,665m
충청남도 진입


3.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개성시 - 장풍 - 금천 - 평산 - 서흥 - 봉산 - 황주 - 중화 - 평양시 - 대동 - 평원 - 안주 - 박천 - 정주 - 선천 - 철산 - 룡천 - 신의주

4. 노선

경수대로


국도 제1호선은 목포시를 기점으로 하여 파주시 문산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노선은 다음과 같다.

4. 1.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남 지역)

목포시 (달동 · 산정동 · 연산동 · 대양동) - 무안군 (삼향읍 · 청계면 · 무안읍) - 함평군 (엄다면 · 학교면 · 함평읍) - 나주시 (다시면 · 오량동 · 동수동 · 왕곡면 · 부덕동 · 평산동 · 금천면 · 산포면 · 남평읍)한국어

목포시무안군, 함평군, 나주시를 지난다.

이름[100]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고하도
(신항 교차로)
고하대로
허사로81번길
목포시유달동기점
목포대교
죽교동
북항 교차로북항로
북항동행정복지센터북항동
목포종합사회복지관
전남중앙병원
원산동
연산동행정복지센터연산로연산동
연산동산정로
목포기상대
삽진산단입구
(삽진고가교)
대양로
산정 교차로국도 제2호선
(압해로)
용당로
삼향동국도 제2호선과 중복
연산교
내화 교차로대양산단로
목포 나들목국도 제2호선
(고하대로)
영산로
무안군삼향읍국도 제2호선과 중복
과거 서해안고속도로 시점
남양저수지지방도 제825호선
(왕산로)
지방도 제825호선과 중복
남양 교차로지방도 제825호선
(삼향중앙로)
삼향농공단지삼향공단길
청계교
청계면
구암삼거리지방도 제815호선
(문화로)
지방도 제815호선과 중복
목포대사거리
(목포대학교 도림캠퍼스)
해안로
도림길
청계시외버스정류장
청계면사무소
청계 교차로지방도 제815호선
(청계공항로)
청운로
청계초등학교
신흥삼거리청계공단길
태봉 교차로무안로하행 진출 불가
사마 교차로도대로
사마교
무안읍
평용 교차로
(평용교)
창포로
교촌 교차로
(교촌교)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공항로)
고절교
송사천교
(이름 없음)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지방도 제811호선
(무안로)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811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송촌교
용월교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811호선과 중복
무안 나들목15호선 서해안고속도로함평군엄다면
엄다중학교 (폐교)지방도 제811호선
(신송길)
엄다길
해정사거리곤재로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소학교
학야교
학교사거리
(학교고가교)
국도 제23호선
(함영로)
학교면
함평역
신동창교
학다리삼거리학동로
농공단지삼거리
고막1교고막천로
고막교
나주시다시면
평수교
용호마을앞송촌동곡길문평면
구고막원역앞지방도 제825호선
(체암로)
고막원길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지방도 제825호선과 중복
문평공단사거리다시로
금신길
금옥마을앞금옥길
다시교다시면
다시면소재지지방도 제801호선
(월암로)
대용길
다시공용버스터미널
다시 교차로지방도 제825호선
(영산로)
복암 교차로백호로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영산교
이창동
오량교
동수1교
동수2교
동수 교차로
(동수3교)
국도 제23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나주서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49, 60호선과 중복
장산1교왕곡면
왕곡 교차로
(장산2교)
국도 제13호선
(예향로)
구산교
만봉천교
이창동
부덕 교차로국도 제23호선
(영나로)
영산동
부덕교
봉황천교
송림교
방축교
월산교
동악교
금천면
신천 교차로
(신천2교)
금영로
문화로
광암교
석전 교차로
(지하차도)
빛가람로
금천 나들목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
(빛가람장성로)
영산로
내기삼거리내기1길산포면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매성교
내기 교차로혁신로
산포 교차로
(산포교)
산포로
등정3 교차로산남로
등정2교
등정 교차로산남로
동정3교
남평읍
남평대교
광이 교차로회재로


4. 2. 광주광역시

구간[100]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칠석IC교칠석10번길광주광역시남구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건덕터널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상행 연장 280m
하행 연장 260m
지산IC2교포충로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대촌육교
지산교
행암 교차로효천로
도동길
효천역
광주인성고등학교
송암고가송암로
효덕 교차로
(효덕지하차도)
제2순환로
효덕로
광주남부시외버스정류소
회서로
백운 교차로국도 제22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
(대남대로)
독립로
봉선로
국도 제22호선과 중복
국가지원지방도 제60호선과 중복
주월 교차로회재로국도 제22호선과 중복
금화로
건강관리협회화정로서구
농성 교차로
(농성역)
국도 제22호선
(상무대로)
교직원공제회앞
(농성삼익앞)
내방로
이마트 광주점
광천사거리
(신세계백화점 광주신세계점)
무진대로
제2광천교
북구
동운고가 남단하남대로
무등로
동운고가
동운고가 북단서암대로
비엔날레로
대자로
광주문화예술회관
운암동시외버스정류장
운암사거리광주광역시도 제36호선
(하서로)
화운로
서광주 나들목과 간접 연결
구립운암도서관
예술고 교차로광주광역시도 제54호선
(서강로)
광주굿모닝병원
운암한국병원
동림다목적체육관
동림지구앞동림용산로
북문대로201번길
광주광역시 장애인종합복지관
(동림교 하부)빛고을대로
산동교
광산구
신창 교차로장신로
첨단 교차로신창로
산월 나들목제2순환로
첨단월봉로
호남고속도로 진출입 불가
상완 교차로상완길
수월교임방울대로
비아육교
광산 교차로
(광산 나들목)
25호선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3호선
(사암로)
(첨단과기로)
도천 교차로비아로
비아정류소
아산 교차로비아중앙로


4. 3.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이북 지역)

진남1로시목 교차로시목1길진원면마흥 교차로못재로
율곡길못재터널상행 연장 1209m
하행 연장 1229m장성 나들목
(가작 교차로)25호선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24호선
(노사로)장성읍국도 제24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장성 교차로
(삼가교)국도 제24호선
(함장로)국도 제24호선과 중복월산 교차로단풍로북장성 나들목25호선 호남고속도로성산 교차로단풍로야은 교차로
(야은교)지방도 제708호선
(단풍로)덕진 교차로단풍로
덕진길구산 교차로지방도 제898호선
(단풍로)
덕진구산길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구산지하차도대악 교차로단풍로
대방길북하면단전 교차로(남)단풍로상행 진출만 가능단전 교차로(북)단풍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용두터널상행 연장 830m
하행 연장 845m약수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단풍로)원동 교차로
(원동교)백양로
원동길상행 진입 불가
하행 진출 불가쌍웅터널상행 연장 535m
하행 연장 555m북하면신성 교차로
(북상교)백양로곰재터널상행 연장 400m
하행 연장 410m호남제2터널북이면상행 연장 1750m
하행 연장 1720m



2008년 이전에는 남면삼거리 - 시목 교차로 - 마흥 교차로 - 못재육교 - 가작 교차로 (장성 나들목) - 장성오거리 - 장성공용버스터미널 - 장성경찰서 - 장성농협 - 장성군청 - 장성읍 행정복지센터 - 광주지방법원 장성군법원 - 장성중학교 - 장성하이텍고등학교 - 장성교 - 성산 교차로 - 야은삼거리 - 덕진 교차로 구간을 통과하였다.

2016년 이전에는 덕진 교차로 - 구산 교차로 - 구신재 - 월성삼거리 - 신촌교 - 북하사거리 - 약수삼거리 - 장성호관광지 - 쌍용교 - 곰재 - 사가삼거리 - 북이면 행정복지센터 - 백양역사거리 - 갈재(220m) 구간을 통과하였다.

4. 4.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입암면, 삼산동, 과교동, 시기동, 상동, 금붕동, 상동, 구룡동, 북면, 정우면, 태인면, 옹동면, 감곡면) - 김제시 (금산면, 금구면) - 전주시 완산구 용복동 - 완주군 이서면 - 전주시 완산구 중동 - 완주군 이서면 - 전주시 덕진구 (원동, 성덕동, 용정동, 화전동) - 완주군 삼례읍 - 익산시 (왕궁면, 춘포면, 덕기동, 금마면, 왕궁면, 여산면)

이름[6]한글 명칭연결위치비고
호남 제2터널호남제2터널정읍시입암면우측 터널: 약 1760m
좌측 터널: 약 1720m
전라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경계선
입암터널입암터널우측 터널: 약 308m
좌측 터널: 약 301m
입암 교차로
(내장산IC사거리)
(내장산 나들목)
입암 교차로
(내장산IC사거리)
(내장산 나들목)
호남고속도로
지방도 제708호선한국어(입암로한국어, 첨단과학로한국어)
면접길
신월 교차로신월 교차로지방도 제708호선한국어(정읍사읍한국어)상교동한국어
신월터널신월터널약 860m
내장산동한국어
송산 2 교차로송산2 교차로천변로한국어
송산 교차로송산 교차로국도 제21호선한국어, 국도 제29호선한국어(내장산로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용호터널용호터널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우측 터널: 약 285m
좌측 터널: 약 250m
장명동한국어
용호 교차로용호 교차로지방도 제708호선한국어(정읍북로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지방도 제708호선한국어 중복
박동 교차로박동 교차로서부산업도로한국어북면한국어
정읍대교정읍대교
화해 교차로화해 교차로지방도 제708호선한국어(칠북로한국어)
우산 교차로우산 교차로정읍북로한국어정우면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지경 교차로지경 교차로태고로한국어
태세교태세교
태인면한국어
태인 교차로태인 교차로석지로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태인 나들목
(호남고속도로한국어 연결)
왕림 교차로왕림 교차로국도 제30호선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오성 교차로오성 교차로정읍북로한국어
녹동 교차로녹동 교차로정읍북로한국어옹동면한국어
용호 교차로용호 교차로정읍북로한국어
솥튼터널솥튼터널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우측 터널: 약 780m
좌측 터널: 약 700m
감곡면한국어
통석 교차로통석 교차로금평로한국어, 정읍북로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원평 교차로원평 교차로지방도 제714호선한국어, 지방도 제736호선한국어(봉황로한국어)김제시금산면한국어
낙수 교차로낙수 교차로지방도 제712호선한국어(봉남로한국어), 원평로한국어, 금평로한국어, 구성길한국어, 낙수길한국어
봉은 교차로봉은 교차로구성길한국어, 봉은길한국어
용복 교차로용복 교차로양시로한국어금구면한국어
금구사거리금구사거리대성로한국어
금구 나들목금구 나들목지방도 제714호선한국어(풍요로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김제 나들목 연결
월전삼거리월전삼거리봉두로한국어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대야삼거리대야삼거리지방도 제713호선한국어(이선암로한국어)
쑥고개 교차로쑥고개 교차로국도 제21호선한국어, 국도 제27호선한국어(호남로한국어), 쑥고개로한국어전주시완산구국도 제21호선한국어 중복
국도 제27호선한국어 중복
이서 교차로이서 교차로지방도 제716호선한국어(공주빚추위로한국어)완주군이서면한국어
대흥 교차로대흥 교차로국도 제21호선한국어, 국도 제26호선한국어(번영로한국어)전주시덕진구
용정 분기점용정 분기점국도 제21호선한국어(새만금북로한국어)국도 제27호선한국어 중복
만경강교만경강교
완주군삼례읍한국어
해전 분기점
해전 교차로
해전 분기점
해전 교차로
국도 제27호선한국어(평동로한국어)
쌍정 교차로쌍정 교차로군성로한국어, 삼례로한국어
익산시왕궁면한국어
온수 교차로온수 교차로금오길한국어, 왕춘길한국어
쌍제육교쌍제육교왕춘길한국어
왕궁교왕궁교
천동 교차로천동 교차로군성로한국어
신궁육교신궁육교
춘포면한국어
팔봉 교차로팔봉 교차로군성로한국어, 덕지 1길한국어, 탐니길한국어
왕궁면한국어
금마 교차로금마 교차로지방도 제722호선한국어(무왕로한국어)금마면한국어
동고도 교차로동고도 교차로고도길한국어
연명 교차로연명 교차로지방도 제799호선한국어(호반로한국어)여산면한국어지방도 제799호선한국어 중복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제799호선한국어(가람로한국어)
신리 교차로신리 교차로지방도 제799호선한국어(가람로한국어)
(이름 없음)(이름 없음)지방도 제799호선한국어(여강로한국어)
여산 교차로여산 교차로가람로한국어
(생태통로)(생태통로)


4. 5. 충청남도 (대전광역시 이남 지역)

논산시 연무읍에서 시작하여 계룡시를 거쳐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이어지는 구간이다.

연무읍 신량1교와 신량2교를 지나 마전 교차로에서 득안대로84번길과 교차한다. 신명육교를 지나 황화 교차로에서 황화로와 만난다. 육군훈련소연무초등학교를 지나 연무삼거리에서 안심로와 교차하고, 마산사거리에서 연무로와 만난다. 동산 교차로에서는 국가지원지방도 제68호선 (동안로)과 교차한다.

은진면에 진입하여 토양삼거리에서 안심로와 만나고, 토양사거리에서 연은로와 교차한다. 방축교를 지나 방축사거리에서 매죽헌로, 방축길과 교차하고, 은진사거리에서 탑정로와 만난다.

취암동으로 들어서 소방서사거리에서 대학로, 원댕이길과 교차하고, 강산사거리에서 논산대로, 득안대로와 만난다. 논산중앙초등학교를 지나 내동사거리에서 시민로와 교차하며, 백제종합병원을 지나 취암사거리에서 중앙로와 만난다. 주공사거리에서 논산대로348번길, 논산대로351번길과 교차하고, 공운삼거리에서 체육로와 만난다. 논산시보건소와 논산종합사회복지관을 지나 공운교에서 지방도 제643호선 (관촉로)과 교차한다. 계백사거리에서 계백로, 덕지길과 만나고 계백교를 지난다.

부적면에서는 부적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 (논산우회도로)과 만나고, 마구평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91호선 (백일헌로)과 교차한다. 외성삼거리에서 충곡로, 부황길과 만나고, 임리삼거리에서 관창로와 교차한다.

연산면에 진입하여 고정삼거리에서 고정길과 만나고, 연산사거리에서 지방도 제697호선 (황산벌로)과 교차한다. 신암삼거리에서 황룡재로와 만나고 개태사역을 지난다.

엄사면 광석 교차로에서 도곡로와 만나고, 계룡문화예술의전당을 지난다. 유동삼거리에서 지방도 제645호선 (문화로)과 교차하고, 삼진삼거리에서 엄사중앙로와 만난다. 양정시외버스정류소를 지나 양정삼거리에서 금암로와 교차하고, 연화 교차로(연화입체교)에서 계룡대로와 만난다. 계룡대교를 지난다.

계룡대교를 건너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진입한다. 두마 교차로에서 국도 제4호선 (계백로)과 교차하고, 중세 교차로에서 계백로93번길, 세동로249번길과 만난다. 세동 교차로에서 세동로와 교차하고, 계룡1터널을 지난다.

구간 정보
구분내용
논산시연무읍 · 은진면 · 취암동 · 부적면 · 연산면
계룡시엄사면
대전광역시 유성구송정동 · 방동 · 송정동 · 세동

[8][3][4][5]

4. 6.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유성구 송정동, 방동, 송정동, 세동을 지난다.

이름[8]한글 이름연결 도로비고
계룡대교계룡대교국도 제4호선 중복 구간
충청남도-대전광역시 경계
두마 교차로두마 교차로국도 제4호선
(계백로)
국도 제4호선 중복 구간 종료
중세 교차로중세 교차로계백로93번길
세동로249번길
세동 교차로세동 교차로세동로
계룡1터널계룡1터널약 2,665m
충청남도 진입



; 기존 구간 (2007년 이전 노선)

4. 7.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이남 지역)

(금벽로, 현충원로)국도 제32호선과 중복사봉 교차로사봉길박정자삼거리동학사1로온천교희망 교차로상하신길공암 교차로송곡로공암교반포 교차로국도 제32호선
(금벽로)금천교성강 교차로남산길
성강길
수실2길용수1교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공주시 반포면송곡교송곡 교차로오얏마루길용수2교

[100][3][5][8]

4. 8. 세종특별자치시·충청북도

세종특별자치시 금남면 용수2교부터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구정사거리까지 구간은 국도 제23호선국도 제43호선과 중복된다.

이름[100]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용수2교세종특별자치시금남면
용수3교송곡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용수4교
가자교
국곡 교차로안금로
두만 교차로세종로
감성교
감성 교차로안금로하행 진입 불가
발산 교차로발산1길
대평 교차로갈매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출 불가
해들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행복대로)
대평동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학나래교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과 중복
새롬동
한솔동
가람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6호선
(금송로)
나리로
사오리지하차도rowspan="3" |
새롬동
다정동
너비뜰 교차로국도 제36호선
(장기로)
가름로
종촌동국도 제36호선과 중복
주추지하차도국도 제36호선 상부도로 통과
아름동
은하수 교차로
(모개고가차도)
국도 제43호선
(정안세종로)
미리내로
국도 제36호선과 중복
빗돌터널해밀동국도 제36호선과 중복
연장 310m
연기교국도 제36호선과 중복
연기면
연기삼거리수왕로
연기사거리당산로
봉암교
연서면
(이름 없음)봉암길
월암교
월하오거리당산로
월하1길
번암사거리국도 제36호선
(허만석로)
번암안동네길
조치원읍
월하 교차로도원로
신흥사거리대첩로
욱일 교차로행복길
세종여고 교차로봉산로
서창사거리충현로
원마루길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고대고속버스정류소
신안1리사거리새내로
섭골길
신안과선교허만석로상행 진출 불가
하행 진입 불가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홍대고속버스정류소
서창역
신안2리사거리운주산로
안터길
조천1교
청주시흥덕구 오송읍
오송 교차로
조천2교세종특별자치시전동면
전동 교차로전동고가로전동삼거리를 통해 연결
석곡교상석곡길
청람 교차로동막골길
조천3교
전의2 교차로김처선로
운주산로
전의면
조천4교
전동면
조천5교전의면
전의 교차로의당전의로
유천 교차로국도 제23호선
국도 제43호선
(차령로)
국도 제23, 43호선과 중복
유정2교
천안시동남구 광덕면
구정사거리지방도 제623호선
(행정길)
운주산로
행정삼거리차령고개로세종특별자치시소정면
운당리삼거리소정구길
운당 교차로국도 제43호선
(세종평택로)
소정안골1길
곡교천교국도 제23호선과 중복
곡교천교삼거리가송로
소정대교
소정육교앞궁리길
소정구길
대곡사거리세종특별자치시도 제32호선
(취금헌로)


4. 9.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이북 지역)

국도 제1호선한국어목포시에서 파주시 문산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충청남도 구간 중 세종특별자치시 이북 지역은 천안시를 지난다.

천안시 구간은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에서 시작하여, 남천안 나들목에서 논산천안고속도로와 교차한다. 이후 선문대학교 천안캠퍼스, 천안여고 삼거리, 천안박물관, 천안삼거리공원을 지나 삼룡사거리에서 충절로와 교차한다. 굴울사거리, 구성삼거리를 지나 천안동남소방서를 거쳐 고재사거리에서 유량로, 고재15길과 만난다. 도로원점삼거리에서 버들로와 교차하고, 동부교를 건너 동부사거리에서 원성천1길, 태조산길과 교차한다. 천안로사거리(천안로지하차도)에서 천안대로, 만남로와 교차하며, 천안 나들목에서 경부고속도로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망향로)과 만난다.

천안대교를 건너 천안터널을 지나면 천안시 서북구에 진입한다. 두정고가교에서 삼성대로, 천안대로와 교차하고, 부대동사거리, 공대사거리,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교정삼거리를 지난다. 메가마트 천안점과 천안농산물도매시장을 지나 업성동삼거리에서 번영로와 교차한다. 직산역이 있는 직산역사거리를 지나 직산사거리(직산지하차도)에서 봉주로, 부송로와 만난다. 수헐 교차로에서 국도 제34호선 (삼사로), 천안대로와 교차하며, 이후 국도 제34호선과 중복된다.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으로 진입하여 상덕과선교, 매주 교차로(매주육교)를 지나고, 우신2 교차로(우신2교)에서 국도 제34호선 (삼사로)과 분기되어 국도 제34호선과의 중복 구간이 끝난다. 성환철도육교, 대홍 교차로, 홍경교, 대홍삼거리, 안궁삼거리를 거쳐 안성천교를 건너 경기도 평택시로 이어진다.

아래는 천안시 내 구간의 주요 시설 및 교차로, 교량, 터널 등을 나타낸 표이다.

이름[100]접속 노선소재지비고
제3소사교천안시동남구 목천읍국도 제23호선과 중복
남천안 나들목25호선 논산천안고속도로
도리티삼거리청당산업길
선문대학교 천안캠퍼스동남구
천안여고 삼거리
(천안생활체육공원)
삼룡3길
청삼 교차로국도 제21호선
(남부대로)
천안박물관
천안삼거리공원
삼룡사거리충절로
굴울사거리정골1길
구성삼거리충무로
천안동남소방서
고재사거리유량로
고재15길
도로원점삼거리버들로
동부교
동부사거리원성천1길
태조산길
천안로사거리
(천안로지하차도)
천안대로
만남로
천안 나들목1호선 경부고속도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3호선
(망향로)
천안대교서북구
천안터널상행 연장 280m
하행 연장 275m
두정고가교삼성대로
천안대로
부대동사거리부성13로
안터길
공대사거리공대길
신당새터2길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교정삼거리천일고1길
메가마트 천안점
천안농산물도매시장
업성동삼거리번영로
직산역사거리
(직산역)
서북구 직산읍
직산사거리
(직산지하차도)
봉주로
부송로
수헐 교차로국도 제34호선
(삼사로)
천안대로
국도 제34호선과 중복
상덕과선교
서북구 성환읍
매주 교차로
(매주육교)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연암율금로)
송덕3교
우신3교
우신2 교차로
(우신2교)
국도 제34호선
(삼사로)
성환철도육교
대홍 교차로천안대로
홍경교
대홍삼거리연암로
안궁삼거리문화촌1길
안성천교


4. 10.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남 지역)

경기도 구간은 평택시에서 시작하여 오산시, 화성시, 수원시, 의왕시, 군포시, 안양시를 거쳐 서울특별시로 이어진다.[100]

평택시에서는 안성천교에서 시작하여 비전지하차도사거리, 평택시청, 법원사거리, 송탄 교차로, 장당사거리, 진위역 등을 지난다. 오산시에서는 갈곶리삼거리, 한전사거리, 오산대역, 세마대사거리를 거친다. 화성시에서는 병점육교, 병점사거리, 진안 교차로를 지나 수원시로 진입한다.[100]

수원시에서는 권선구, 팔달구, 장안구를 차례로 지나며, 비행장사거리, 터미널사거리, 동수원사거리, 창룡문, 종합운동장사거리, 장안구청사거리, 지지대 교차로 등을 거친다. 의왕시에서는 북수원 나들목, 고천사거리, 오전동사거리를 지나 안양시로 이어진다.[100]

안양시에서는 동안구와 만안구를 지나며, 호계사거리, 범계사거리, 비산사거리, 석수역 등을 거쳐 서울특별시로 이어진다.[100]

주요 교차 도로는 다음과 같다.

지자체주요 교차 도로 및 시설
평택시국도 제38호선 (서동대로), 국도 제45호선 (남북대로), 지방도 제302호선 (청원로)
오산시지방도 제310호선 (밀머리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2호선 (경기동로)
화성시국도 제43호선 (봉영로),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효행로)
수원시국도 제42호선, 국도 제43호선 (중부대로), 영동고속도로 (북수원 나들목)
의왕시지방도 제309호선 (봉담과천로)
안양시국도 제47호선 (흥안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관악대로), 제2경인고속도로 (석수 나들목)



이 구간의 주요 도로는 경기대로와 경수대로이다. 안성천교에서 대성교 구간은 경기대로, 비행장 사거리에서 석수역 구간은 경수대로이다.[12]

4. 11. 서울특별시

금천문화원박미삼거리독산로홈플러스 시흥점시흥사거리시흥대로
금하로시흥대교시흥대교 교차로금하로안양천교금천 나들목서해안고속도로금천교 교차로범안로금천 교차로서부샛길철산교 교차로디지털로광명교 교차로가마산로구일초교앞 교차로구일로안양천철교고척교 교차로국도 제46호선
(경인로)오금교 교차로구로중앙로
목동로신정교 교차로도림천로오목교 교차로영등포로
오목로목동교 교차로국회대로신월 나들목 (경인고속도로)과 간접 연결양평교 교차로양평로성산대교남단 교차로국도 제6호선
국도 제48호선
국도 제77호선
(노들로)국도 제48호선 중복성산대교성산대교북단 교차로국도 제77호선
(강변북로)내부순환로입구국도 제48호선
(성산로)
내부순환로월드컵경기장삼거리월드컵로월드컵경기장 교차로월드컵로
증산로월드컵터널약 300m상암사거리월드컵북로중동교 교차로
(증산지하차도)성암로증산3교 교차로북가좌동로
증산로3길증산역 교차로증가로
증산로9길와산교 교차로용암로13길
증산로15길새절역 교차로가좌로신사오거리
(응암역)은평로
진흥로역촌동행정복지센터역말사거리역말로예일디자인고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예일여자고등학교
예일여자중학교구산역 교차로서오릉로연신내역 교차로통일로
연서로은평소방서
신도고등학교박석고개 교차로진관1로구파발사거리진관3로경기도로 이어짐


4. 12.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북 지역)

(동산육교)고양대로고양시 덕양구서울 - 경기도 경계지축차량기지앞 (서울 지하철 3호선)지방도 제356호선
(삼송로)고양시 덕양구(신원지하차도)권율대로고양시 덕양구통일로 나들목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고양시 덕양구대자삼거리국도 제39호선
(호국로)고양시 덕양구필리핀참전비앞대양로고양시 덕양구관산동주민센터
고양외국어고등학교
고양제일중학교고양시 덕양구관산삼거리성현로고양시 덕양구가장동삼거리동헌로고양시 덕양구내유초등학교고양시 덕양구장곡검문소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명봉산로)고양시 덕양구농협하나로클럽 파주점파주시 조리읍봉일천입구 교차로봉천로
소곡로파주시 조리읍고봉로
두루봉로파주시 조리읍봉일천사거리지방도 제363호선
(중앙로)
대원로파주시 조리읍등원 교차로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파주로)파주시 조리읍PX마을앞 교차로학령로파주시 금촌동금촌신사거리새꽃로파주시 월롱면영태삼거리한태말길파주시 월롱면월롱삼거리지방도 제360호선
(휴암로)파주시 월롱면월롱역파주시 월롱면월롱 교차로도감로
엘지로파주시 월롱면월롱교파주시 월롱면지방도 제360호선
(금월로)파주시 파주읍연풍육교파주시 파주읍주라위삼거리술이홀로파주시 파주읍통일공원앞문산역로
충현로파주시 파주읍문산교파주시 문산읍문산읍행정복지센터파주시 문산읍문산사거리지방도 제364호선
(우계로)
(문산역로)파주시 문산읍방촌로파주시 문산읍여우고개사거리국도 제37호선
(율곡로)파주시 문산읍운천역파주시 문산읍마정리입구 교차로마정로파주시 문산읍마정 교차로임진각로파주시 문산읍자유 나들목국도 제77호선
(자유로)파주시 문산읍통일대교파주시 군내면통일촌사거리통일촌길파주시 군내면군내삼거리희망로파주시 군내면점원리파주시 군내면금릉리파주시 진서면어룡리대성동길파주시 진서면판문점파주시 진서면

5. 구간 과속 단속

구간방향거리 (km)최고 제한 속도 (km/h)
나주시 영산동 부덕 교차로 ~ 금천면 석전 교차로양방향6.5km90km/h
세종특별자치시 대평동 학나래교 ~ 아름동 주추지하차도양방향7.3km70km/h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운당 교차로 ~ 대곡삼거리목포 방향2.5km80km/h


6.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도로명
고속도로 시점
시점
고속도로 종점
종점
총연장
(km영어)
차로수지정일
목포대교전라남도 목포시 달동(신항 교차로)전라남도 목포시 죽교동(북항 교차로)3.82km42012년 6월 21일
고하대로전라남도 목포시 연산동(삽진산단입구 교차로)전라남도 목포시 삼향동(목포 나들목)5.2km81998년 9월 16일
빛가람장성로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복암리(다시 교차로)전라남도 나주시 금천면 석전리(금천 교차로)19.5km42004년 9월 13일
2007년 8월 6일
호남로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용복동(쑥고개 교차로)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왕궁면 온수리(쌍정 교차로)22.8km42004년 7월 5일
서부간선도로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안양천교)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화동(성산대교 남단)10.8km41989년 2월 13일


7. 미디어

참조

[1] 일반텍스트
[2] 법령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3] 일반텍스트
[4] 일반텍스트
[5] 일반텍스트
[6] 일반텍스트
[7] 일반텍스트
[8] 일반텍스트
[9] 일반텍스트
[10] 일반텍스트
[11] 일반텍스트
[12] 일반텍스트
[13] 일반텍스트
[14] 일반텍스트
[15] 일반텍스트
[16] 일반텍스트
[17] 일반텍스트
[18] 일반텍스트
[19] 서적 규장각에서 찾은 조선의 명품들 책과함께 2007
[20] 간행물 서해문집 내일을 여는 역사
[21] 서적 한국사 테마전 돋을새김 2009
[22] 법령 조선총독부 고시 제956호 1938-12-01
[23] 서적 나의 국토 나의 산하 3 한길사
[24] 서적 한시기행 이가서 2005
[25] 서적 한국사 테마전 돋을새김 2009
[26] 일반텍스트
[27] 서적 한국사 테마전 돋을새김 2009
[28] 뉴스 국도1호선 기점 '고하도' http://media.daum.ne[...] 한국일보
[29] 뉴스 목포시, 국도 1호선 기점 고하도로 변경 http://news1.kr/arti[...] 뉴스1 2013-05-08
[30] 공고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3호 http://gwanbo.mois.g[...] 2013-02-28
[31] 법령 대통령령 제57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08-31
[32] 공고 건설부고시 제374호 http://theme.archive[...] 1973-09-07
[33] 공고 건설부고시 제375호 http://theme.archive[...] 1973-09-08
[34] 공고 건설부공고 제92호 http://theme.archive[...] 1975-08-20
[35] 공고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6호, 제7호 http://theme.archive[...] 1982-01-25
[3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5-06-08
[3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5호 http://theme.archive[...] 1987-05-26
[3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5호 http://theme.archive[...] 1987-07-29
[3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9호 http://theme.archive[...] 1988-03-25
[40] 간행물 이리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3-22호, 제1993-23호 http://theme.archive[...] 1993-05-06
[41]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4-248호 http://theme.archive[...] 1994-12-29
[42] 간행물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43] 간행물 목포시고시 제1996-36호 http://theme.archive[...] 1996-11-20
[4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264호 http://theme.archive[...] 1997-09-01
[45]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344호 http://theme.archive[...] 1997-11-05
[4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407호 http://theme.archive[...] 1997-12-16
[4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430호 http://theme.archive[...] 1998-01-08
[48]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337호 http://theme.archive[...] 1998-06-20
[49]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506호 http://theme.archive[...] 1998-09-24
[50] 간행물 목포시 공고
[5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255호 http://theme.archive[...] 1998-09-28
[52]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8-480호 http://theme.archive[...] 1998-12-02
[53]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20호 http://theme.archive[...] 1999-01-19
[5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50호 http://theme.archive[...] 1999-03-29
[5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53호 http://theme.archive[...] 1999-04-03
[5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107호 http://theme.archive[...] 1999-07-08
[5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97호 http://gwanbo.mois.g[...] 2001-01-08
[5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0-299호 http://gwanbo.mois.g[...] 2001-01-08
[5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96호 http://gwanbo.mois.g[...] 2001-06-27
[60] 간행물 목포시공고 제2001-795호 http://gwanbo.mois.g[...] 2001-11-15
[61]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34호 https://www.gg.go.kr[...] 2004-03-08
[6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115호 2004-07-05
[6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13호 2004-09-13
[6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64호 2004-12-09
[65] 뉴스 반포-봉암간 4차선 개통 https://news.naver.c[...] 대전일보 2004-12-22
[66]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4-275호 2004-12-23
[6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217호 http://www.jeonbuk.g[...] 2005-12-13
[6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6-117호 http://www.jeonnam.g[...] 2006-09-05
[6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2호 http://gwanbo.mois.g[...] 2007-01-09
[70] 간행물 2007년 1월 12일 정정 http://gwanbo.mois.g[...] 2007-01-12
[7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7-108호 http://gwanbo.mois.g[...] 2007-08-06
[7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55호 http://gwanbo.mois.g[...] 2008-08-18
[7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60호 http://www.jeonnam.g[...] 2008-12-24
[7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8-162호 http://icmo.molit.go[...] 2008-12-24
[7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8-161호 http://icmo.molit.go[...] 2008-12-26
[7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8-139호 http://gwanbo.mois.g[...] 2008-12-11
[7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73호 http://gwanbo.mois.g[...] 2010-12-08
[7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0-190호 http://www.chungnam.[...] 2010-12-13
[79]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3호 http://www.chungnam.[...] 2011-01-03
[80]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1-69호 http://www.chungnam.[...] 2011-05-20
[8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호 http://gwanbo.mois.g[...] 2012-01-18
[8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68호 http://gwanbo.mois.g[...] 2012-06-21
[8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69호 http://gwanbo.mois.g[...] 2012-06-21
[84]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20호 https://ex.sejong.go[...] 2012-08-01
[8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06호 http://gwanbo.mois.g[...] 2012-09-19
[8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12-111호 http://gwanbo.mois.g[...] 2012-09-26
[87]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140호 https://ex.sejong.go[...] 2012-09-10
[88] 간행물 대전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2-211호 http://gwanbo.mois.g[...] 2012-12-24
[8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4호 http://gwanbo.mois.g[...] 2013-02-28
[90] 간행물 세종특별자치시공고 제2013-765호 http://www.sejong.go[...] 2013-10-10
[91]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3-129호 http://icmo.molit.go[...] 2013-12-31
[92]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4-176호 http://gwanbo.mois.g[...] 2014-12-26
[93]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21호 http://gwanbo.mois.g[...] 2015-03-03
[94]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44호 http://gwanbo.mois.g[...] 2015-09-24
[95]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5-197호 http://gwanbo.mois.g[...] 2015-12-17
[96]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6호 http://gwanbo.mois.g[...] 2016-01-29
[97]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104호 http://gwanbo.mois.g[...] 2016-06-14
[98]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8호 http://gwanbo.mois.g[...] 2016-07-05
[99] 간행물 익산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16-229호 http://gwanbo.mois.g[...] 2016-07-05
[100] text
[101]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