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주시 시내버스는 1965년 삼성교통의 운행 시작을 기점으로, 여러 사업체의 참여와 노선 개편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18년 기준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부산교통, 부일교통 4개 업체가 운행하며, 3자리수 노선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18년 1월 기준 256대의 차량이 운행 중이며, 전 차량이 도시형 입석 버스 또는 초저상/중저상 버스이다. 2008년부터 무료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15년 8월부터 현행 운임 요금 체계를 적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창녕시외버스터미널
    창녕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하며 수도권과 영남권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터미널이다.
  • 경상남도의 버스 교통 - 밀양시외버스터미널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하여 시외버스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영남권 주요 도시와 밀양시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시외버스, 그리고 밀양시 전역과 주변 지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망을 제공한다.
  • 진주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진주시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진주시의 시내버스
진주시 시내버스 정보
진주시내버스 구 131번
진주시내버스 구 131번 (운행구간: 경상대~진주여고~희망교~진주역)
지역진주시
운영 정보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진주시청 교통행정과
서비스 지역경상남도 진주시 일원
기타 지역고성군, 사천시, 산청군, 의령군
노선 수85
인가 대수256 (정규 237)
지불 정보
지불 수단현금, 선불 및 후불 교통 카드
선불 카드한페이, 마이비, 캐시비, 하나로, 티머니, 레일플러스
후불 카드국민, 농협, BC, 롯데, 삼성, 신한, 외환, 하나SK, 현대
웹사이트
사이트진주버스정보관리시스템

2. 역사

진주시의 시내버스는 1965년 삼성교통이 운행을 시작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연도주요 내용
1965년삼성교통이 마산 시내버스 출신 중고 마이크로버스 10대로 운행 시작[1]
1970년삼성교통 22대가 시내버스로 면허 전환, 본격 운행 개시[2]
1981년삼성교통에서 삼화교통(舊 신일교통 전신) 분리 설립[3]
1988년안내양제 폐지, 시민자율버스로 전환[4]
1993년舊 진양군 일부 지역에 시외 노선 전환 시내버스 운행 시작[5]
1994년부산교통 시내버스 사업 착수[6]
1995년진주시와 진양군 통합, 통합 진주시 출범, 시외 노선의 시내버스 전환 본격화[7]
1995년냉방·좌석버스 도입 (동일 차량)[8]
1996년대한여객, 영화여객 운행 참여[9], 좌석버스제 폐지[10]
2001년舊 동남교통(거창고속 계열사) 시내버스 부문, 대한여객영화여객에 분리 흡수[11]
2003년전국 최초 전 차량 냉방 기본 장착,[12] 선불·후불 교통카드제 시행, 도내 최초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도입
2004년천연가스버스 도입
2006년도내 최초 초저상버스 도입 (삼성교통), 舊 신일교통 면허 취소, 진주시민버스 출범
2007년진주시민버스 운행 참여, 자동 변속기 적용 일반 버스 도입 (진주시민버스), 승차권 제도 폐지, 도내 최초 중저상버스 도입 (삼성교통)
2008년무료 환승제 시행, 동부 지역 순환 버스 운행 개시
2010년도내 최초 한국형 표준 저상 버스 도입 (진주시민버스)
2012년대한여객, 영화여객 시내 사업부 부일교통 통합, 교통카드 전국 호환 실시, 3자리 수 노선 번호 개편
2014년전 차량 LED 행선지판 설치 완료
2017년시내버스 부분 개편, 동부 순환버스 폐지 및 일반노선 전환, 시내버스 전면 개편
2018년시내버스 부분 재개편, 지간선체계 도입 및 환승센터 설치


2. 1. 초기 역사 (1965년 ~ 1995년)


  • 1965년 4월: 삼성교통이 마산 시내버스 출신 중고 마이크로버스 10대로 운행을 시작하였다.
  • 1970년 9월 14일: 삼성교통 22대가 시내버스로 면허 전환되어, 본격적인 시내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 1981년 6월 1일: 삼성교통에서 삼화교통(舊 신일교통 전신)이 분리 설립되었다.
  • 1988년 1월 1일: 안내양 제도가 폐지되고 시민자율버스로 전환되었다.
  • 1993년 5월 27일: 舊 진양군 일부 지역에 시외 노선을 전환한 시내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 1994년: 부산교통이 전환 시내버스 운행에 참여하면서 진주 시내버스 사업에 착수하였다.
  • 1995년 1월: 도농 통합으로 진주시와 진양군이 통합되어 통합 진주시가 출범하면서, 시외 노선의 시내버스 전환이 본격화되었다.
  • 1995년 3월: 냉방 버스와 좌석 버스가 도입되었다. (동일 차량)[1]

2. 2. 발전 및 변화 (1996년 ~ 2010년)

1996년 1월, 대한여객영화여객이 진주시 시내버스 운행에 참여했다.[1] 같은 해 좌석버스제가 폐지되면서 해당 차량은 입석으로 격하되거나 해당 노선이 폐지 또는 형간 전환되었다.[2]

2001년 12월, 거창고속 계열사였던 舊 동남교통의 진주 시내버스 부문(차량 8대 및 노선 전체)이 대한여객영화여객 진주 시내 사업부에 분리 흡수되었다.[3]

2003년 5월 15일, 전국 최초로 모든 차량에 냉방 장치가 기본으로 장착(개조 방식이 아님)되었다.[4] 같은 해 11월 1일에는 선불 및 후불 교통카드제가 시행되었고,[5] 12월 23일에는 경상남도 내에서 최초로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이 도입되었다.[6]

2004년 5월 25일, 천연가스버스가 도입되었다.[7] 2006년 1월 27일에는 삼성교통이 경상남도 내 최초로 계약분 초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8] 같은 해 10월 13일, 舊 신일교통의 면허가 취소되었다.[9] 12월에는 삼성교통에서 시내버스 10대를 임시 증차하였고, 이후 진주시민버스가 출범하였다.[10]

2007년 2월 26일, 진주시민버스가 운행에 참여하였다.[11] 3월 19일에는 진주시민버스가 자동 변속기가 적용된 일반 버스를 도입하였고,[12] 3월 31일에는 승차권 제도가 폐지되었다. 11월 22일에는 삼성교통이 경상남도 내 최초로 중저상버스를 도입하였다.

2008년 9월 8일, 무료 환승제가 시행되었다. 11월 25일에는 동부 지역 순환 버스 001~005번 운행이 시작되었다.

2010년 12월, 진주시민버스가 경상남도 내 최초로 한국형 표준 저상 버스인 한국화이바 프리머스를 도입하였다.

2. 3. 현대화 및 개편 (2011년 ~ 현재)


  • 2012년 5월: 대한여객, 영화여객 진주 시내 사업부가 부일교통으로 통합되었다.[1]
  • 2012년 5월 11일: 교통 카드 전국 호환이 실시되었다.[2]
  • 2012년 8월 1일: 전체 노선 번호를 3자리 수로 일괄 개편하였다.[3]
  • 2014년 9월: 전 차량에 전, 후면 LED 행선지판 설치를 완료하였다.[4]
  • 2017년 3월 25일: 시내버스 부분 개편이 있었고, 동부 지역 순환버스 001~005번이 폐지되고 일반노선(281~286번)으로 전환되었다.[5]
  • 2017년 6월 1일: 시내버스 전면 개편이 이루어졌다.[6]
  • 2018년 3월 2일: 시내버스 부분 재개편이 있었다.[7]
  • 2018년 12월: 지간선체계 도입 및 환승센터 설치, 대중교통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다.[8]

3. 노선 및 체계

진주시 시내버스는 체계적인 노선 번호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여 진주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를 높이고 있다.

3. 1. 노선 번호 부여 체계

일반 간선 노선의 노선 번호는 '기점 권역 번호 + 종점 권역 번호 + 일련(순서) 번호'의 3자리 수로 구성된다. 권역 번호는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

진주시내버스 노선 권역
권역 번호권역
1남부공영차고지, 정촌면, 진주역, 내동면 일부
2진양호차고지/진양호공원 및 인근
3판문동차고지/대아고교 및 인근
4서부권역(내동면 일부, 수곡면, 대평면, 명석면)
5명신고/농산물도매시장 및 인근
6금산면
7북부권역(집현면, 미천면, 대곡면)
8동부 권역(문산읍 동부,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지수면, 사봉면)
9남부권역(문산읍 남부, 금곡면)
0혁신도시(충무공동주민센터)



이 중에서 1, 2, 3, 4, 5 권역만 기점 권역이다.

3. 2. 주요 노선

진주시 시내버스는 각 권역별 기점을 중심으로 운행되며, 3자리 노선 번호 체계(기점 권역 번호 + 종점 권역 번호 + 일련 번호)를 사용한다.[2] 주요 기점별 노선 정보는 다음과 같다.

'''<경상대-진주역,정촌>'''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00남부공영차고지 ↔ 진주역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경상대학교25~35진주역 도착 후 151번으로 변경 운행
110남부공영차고지 ↔ 예하(정촌)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모심, 정촌면사무소30~40예하 도착 후 140번으로 변경 운행
111남부공영차고지 ↔ 예하(정촌)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모심, 정촌면사무소25~35예하 도착 후 160번으로 변경 운행



'''<경상대~시청~진양호>'''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20남부공영차고지 ↔ 진양호공원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경상대학교, 한일병원, 공단광장, 진주시청, 기계공고,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중앙시장, 롯데시네마, 이마트, 진주교육대학교, 10호광장, 평거주공6~9
121진양호차고지 ↔ 봉전(정촌)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모심, 정촌면사무소5회
122진양호차고지 ↔ 소곡(정촌)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진주역5회
123죽봉(정촌) ↔ 진양호차고지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모심, 정촌면사무소7회죽봉기준 21:10 출발차량(진양호방향)은 정촌산단 단지내 경유
124진양호공원 ↔ 문산(신촌)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진주역4회
125진양호공원 ↔ 율곡(경상대학교)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경상대학교, 가좌그린빌, 율곡입구4회마지막회차 진양호차고지 출발
126남부공영차고지 ↔ 신풍(대평)대동, 율곡입구, 경상대학교, 한일병원, 공단광장, 진주시청, 기계공고,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중앙시장, 롯데시네마, 이마트, 진주교육대학교, 10호광장, 평거주공, 판문동차고지, 가화3회



'''<경상대~중앙시장~보건대>'''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30남부공영차고지 ↔ 덕산아파트대동, 율곡입구, 가좌그린빌,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농협중앙회,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보건대, 촉석초교, 대아중고교6~9대아고교 7:29~7:53출발차량은 은빛한보->연암공대->가좌길->후문->사대부고->대학본부(사회과학대)->남문(수의대)->차고지 순으로 운행(6분 간격)
131진양호차고지 → 봉전(정촌)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은빛한보, 연암공대, 경상대학교, 진주역5회
132진양호차고지 → 소곡(정촌)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은빛한보, 연암공대, 경상대학교, 정촌면사무소5회
133진양호차고지 ↔ 심대(정촌)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은빛한보, 연암공대, 경상대학교, 정촌면사무소7회
134남부공영차고지 ↔ 봉원중학교대동, 율곡입구,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주약초교, 망경동, 육거리, 농협중앙회, 중앙시장, 갤러리아, 강동한의원, 진주여고사거리30~40일부시간대 기동 지원운행



'''<경상대~이현동~명석>'''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40예하(정촌) ↔ 외율(명석)정촌면사무소,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30~40일부시간대 내율 지원운행
141남부공영차고지 ↔ 추동/남성(명석)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5회
142남부공영차고지 ↔ 신기(명석)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14회
143남부공영차고지 ↔ 신풍(명석)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3회
144남부공영차고지 ↔ 비실(명석)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4회
145남부공영차고지 ↔ 대평면사무소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11회
146남부공영차고지 ↔ 내팔미(명석)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은빛한보, 제일병원,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서부시장, 북파, 이현웰가, 명석면사무소2회



'''<경상대~초전동>'''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150남부공영차고지 ↔ 로컬푸드직매장대동마을, 경상대학교, 진주역, 진주혁신도시, 종합경기장, 한전사거리,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명신고교20~30
150-1남부공영차고지 ↔ 로컬푸드직매장경상국립대학교 가좌캠퍼스, 센트럴웰가아파트, 진주역, 경남정보고등학교, 한일병원, 풀에버후문, 풀에버정문,대곡중학교, LH9·LH10단지, 중흥센트럴시티, LH본사·코오롱하늘채 , 한국남동발전/센텀리버파크, 종합경기장,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한전사거리, 구35번종점, 하대탑마트, 진주동명중고등학교 - 초북사거리 → 명신고등학교경남예술고등학교정문 → 로컬푸드직매장 → 힐스테이트초전 → 초전푸르지오2단지 → 초북사거리 → 이후 역순7회
151진주역명신고교경상대학교, 대동마을, 남부공영차고지, 남강휴먼빌,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운동장, 진주여중, 대아중고교, 이현웰가,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말티고개25~35
160예하(정촌) ↔ 석교(금산)정촌면사무소, 경상대학교, MBC, 한일병원, 공단광장, 공단시장,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금산25~35
161남부공영차고지 ↔ 공교사(금산)대동마을, 경상대학교, MBC, 한일병원,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서부청사, 금산16회
170남부공영차고지 ↔ 교도소(대곡)대동마을, 경상대학교, MBC, 한일병원,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2회
171남부공영차고지 ↔ 추계(미천)대동마을,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제일병원, 천전시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봉원중학교, 기동, 안간2회



'''<진양호~경상대~혁신도시>'''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00진양호차고지 ↔ 속사리(공교사)평거주공, 희망교, 내동초교, 남부공영차고지, 대동, 율곡입구, 경상대학교, 진주역, 진주혁신도시21회



'''<경상대~진주여고~진양호>'''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10남부공영차고지 ↔ 진양호공원대동마을, 경상대학교, 연암공대, 경상대학병원, 문화예술회관, 제일예식장, 중앙시장, 갤러리아, 진주여고, 이마트, KBS방송국, 신안강변, 제일중학교, 10호광장, 평거주공35~45



'''<진양호~대평,수곡,초전동>'''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40진양호 ↔ 대평면사무소소싸움경기장, 판문동차고지, 상촌, 명석, 조비5회
241진양호 ↔ 신촌(수곡)소싸움경기장, 명석, 이현웰가, 오죽광장, 서부시장,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육거리, 망경한보, 남강휴먼빌, 삼계, 가호, 완사, 수곡면사무소2회
250진양호공원 ↔ 로컬푸드직매장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천수교, 육거리,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구35종점, 하대탑마트, 중앙고교,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17
251진양호차고지 ↔ 로컬푸드직매장평거주공, 10호광장, 보건대,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4~11
252상촌(판문동) ↔ 중촌(초장동)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보건대, 진주여고,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고속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7회
253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남강휴먼빌, 희망교, 제일중학교, 신안주공, KBS방송국, 이마트,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제일예식장, 제일병원, 진주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후문, 상대현대, 도동초교, 동명중고교, 서부청사25~35



'''<진양호~초전동~금산>'''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60진양호차고지 ↔ 국제대(금산)평거주공, 10호광장,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말티고개,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 문산12회
261진양호차고지 ↔ 속사리(금산)평거주공, 10호광장,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선학아파트,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서부청사, 금산21회



'''<진양호~초전동~대곡, 미천, 집현>'''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70판문동차고지 ↔ 교도소(대곡)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말티고개,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12회
271진양호차고지 ↔ 교도소(대곡)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30~45
272진양호차고지 ↔ 냉정(집현)평거주공, 10호광장, 이마트, 진주교육대학교,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진주시청, 공단광장, 홈플러스, 동명중고교, 초장동주민센터, 명신고교, 대곡면사무소12회



'''<진양호~시내~국제대, 반성>'''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80진양호차고지 ↔ 국제대(문산)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농협중앙회, 제일병원,진주 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진주혁신도시, 문산20~25
281진양호차고지 ↔ 남산(반성터미널)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진주혁신도시, 문산, 국제대, 진성, 반성수목원16회
282진양호차고지 ↔ 지수(반성터미널)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진주혁신도시, 문산, 국제대, 진성, 사봉, 북마성, 무등16회



'''<진양호~시내~금곡>'''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290진양호차고지 ↔ 문산노인요양병원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농협중앙회, 제일병원, 진주고속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진주혁신도시, 원촌, 문산20~25
292진양호 ↔ 가봉(금곡)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진주혁신도시, 원촌, 문산, 금곡면사무소9회
293진양호 ↔ 상인담(금곡)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중앙시장,진주 시외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종합경기장, 진주혁신도시, 원촌, 문산, 금곡면사무소4회
294진양호 ↔ 덕계(금곡)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원촌, 문산, 금곡면사무소4회
295진양호 ↔ 송정(문산)평거주공, 10호광장, 진주교육대학교, 이마트, 진주롯데시네마, 중앙시장,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일병원, 목천빌딩, 원촌, 갈곡8회



'''<판문동~시내~혁신도시(혁신도시순환노선)>'''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300판문동차고지 ↔ 혁신도시(충무공동주민센터)소싸움경기장, 평거주공,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공단광장, 종합경기장35~40종합경기장에서 진주혁신도시 내부 편도운행(반시계방향)
300-1판문동차고지 ↔ 판문동차고지소싸움경기장,퀸즈웰가아파트, 대아고등학교, 진주보건대학교,경진고등학교, 진주여자고등학교,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전사거리, 종합경기장,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7회종합경기장에서 진주혁신도시 내부 편도운행(반시계방향)
301판문동차고지 ↔ 혁신도시(충무공동주민센터)소싸움경기장, 평거주공, 대아고교, 촉석초교, 보건대, 진주여고,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공단광장, 종합경기장35~40종합경기장에서 진주혁신도시 내부 편도운행(시계방향)
301-1판문동차고지 ↔ 판문동차고지소싸움경기장,퀸즈웰가아파트, 대아고등학교, 진주보건대학교,경진고등학교, 진주여자고등학교,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진주시청, 공단광장, 한전사거리, 종합경기장,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7회종합경기장에서 진주혁신도시 내부 편도운행(시계방향)



'''<판문동~시내~완사>'''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340판문동차고지 ↔ 대우(수곡)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수곡면사무소4회
341판문차고지 ↔ 자매(수곡)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수곡면사무소5회
342판문동차고지 ↔ 백곡(수곡)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 수곡면사무소8회
343판문동차고지 ↔ 대평면사무소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완사4회
344판문동차고지 ↔ 유동(내동)대아고교, 촉석초교, 진주여중, 이마트, 롯데시네마,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고속터미널, 제일병원, 육거리, 남강휴먼빌, 내동, 삼계6회



'''<이현동~시내~초전동>'''

{| class="wikitable"

|-

! 노선
번호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350'''

| 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

| 남강휴먼빌, 희망교, 10호광장, 대아고교, 서부시장,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기계공고, 진주시청, 공단광장, 구35종점, 하대대림

| 8~15

|

|-

|'''351'''

| 남부공영차고지 ↔ 농산물도매시장

| 남강휴먼빌, 희망교, 들말대경, 숯골, 진주여중, 서부시장, 갤러리아, 중앙시장, 시외주차장, 도동구도로, 도동초교, 하대탑마트, 하대대림

| 35~50

|

|-

|'''352'''

| 남부공영차고지 ↔

4. 운행 업체

진주시 시내버스는 4개의 운수업체가 협력하여 운영하고 있다. 삼성교통, 진주시민버스, 부산교통, 부일교통이 운행에 참여하고 있다.

부산교통부일교통은 계열사 관계이며, 삼성교통진주시민버스는 공동 운수 협정을 맺고 협력하고 있다.

4. 1. 운수업체 목록

삼성교통 (97대(정규 90대)), 진주시민버스 (79대(정규 77대)), 부산교통 (41대(정규 35대)), 부일교통 (39대(정규 35대))이 운행에 참여하고 있다.

부산교통부일교통은 계열사로서 차고지 공동 사용, 공동 배차, 예비차 공동 사용 등을 하며 대표 이사도 동일 인물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3개 업체라고 봐도 무방하다. 양사 주주 구성도 대부분 비슷하며 운수 종사자도 특정 회사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기도 한다.

삼성교통진주시민버스는 독립된 별개 회사이나 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하는 공동 운수 협정을 맺고 있다. 두 업체는 진주시민버스의 전신인 舊 신일교통이 삼성교통으로부터 분리(당시 삼화교통, 이후 신일교통으로 사명 변경)된 1981년부터 30년 이상 공동 운수 협정을 통해 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지속하고 있으며, 종사자 간에도 친분이 두텁다. 또한 삼성ㆍ시민 공동운수협의회를 발족, 시내버스 관련 행정이나 타 업체와 관련한 사안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진주 시내버스는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2 대 2 업체 간의 특이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

4. 2. 업체 간 협력 및 경쟁

부산교통부일교통은 계열사 관계로, 차고지를 공동으로 사용하고 공동 배차를 하며, 예비차도 공동으로 사용하는 등 긴밀하게 협력하고 있다. 대표 이사도 같은 사람이며, 양 사의 주주 구성도 대부분 비슷하고 운수 종사자도 특정 회사에 고정되지 않고 이동한다.

삼성교통진주시민버스는 각각 독립된 회사이지만, 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하는 공동 운수 협정을 맺고 있다. 두 회사는 진주시민버스의 전신인 舊. 신일교통이 삼성교통으로부터 분리(분리 당시 삼화교통, 이후 신일교통으로 사명 변경)되어 나온 1981년부터 30년 이상 공동 운수 협정을 통해 차고지 공동 사용과 공동 배차를 지속하고 있으며, 종사자 간에도 친분이 매우 두텁다. 또한 삼성ㆍ시민 공동운수협의회를 발족, 시내 버스 관련 행정이나 타 업체와 관련한 사안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진주 시내 버스는 전국에서도 보기 드문 2 vs 2의 업체 간의 특이한 경쟁 구도가 형성되어 있다.

5. 차량

2018년 1월을 기준으로 진주시 시내버스는 총 256대가 운행되고 있으며, 친환경 버스 도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좌석형 버스는 2003년 2월 이후 운행하지 않으며, 현재는 도시형 입석 버스 또는 초저상/중저상 버스가 운행 중이다.

5. 1. 차종 및 설비

2018년 1월 기준으로 총 256대(정규 237대)의 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모든 차량은 도시형 입석 버스 또는 초저상/중저상 버스이며, 좌석형 버스는 2003년 2월을 마지막으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전체 버스 중 252대는 10.6~11m 급 대형 버스이고, 4대는 8~9m 급 중형 버스이다.[3]

현재 운행되는 차량 중 현대자동차에서 생산한 차량의 비중이 높다(256대 중 212대). 2004년 5월부터 천연가스버스가 운행되기 시작했으며,[3] 이후 새로 도입되는 차량은 천연가스버스로 출고되었다. 그러나 2014년 11월 이후로는 디젤 버스만 출고되고 있다. 2018년 3월 현재, 디젤 중형 버스 4대, 대형 버스 99대를 제외한 모든 차량이 천연가스버스이며, 천연가스버스의 비율은 59.76%(256대 중 153대)이다.

2003년 5월에 냉방 버스 보급률 100%가 달성되었는데, 이는 냉방 능력이 떨어지는 개조 차량 없이 출고 시부터 냉방 설비가 적용된 차량으로만 이루어진 성과로, 당시 전국 최초였다. 2015년 12월 기준으로 대형 버스 258대에는 5팬 에어컨이, 중형 버스 4대에는 3~4팬 에어컨이 장착되어 있다. 현재 시내버스 대형 차량 전체에 5팬 에어컨이 장착된 곳은 전국에서 진주시사천시 두 곳뿐이다.

최근 출고된 차량의 경우, 초저상 버스뿐만 아니라 일반 버스에서도 자동 변속기를 채택하는 경향이 삼성교통진주시민버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부산교통의 계열사인 부일교통에서도 자동 변속기 차량을 시범 운행하였고, 2015년 8월 이후 정식으로 자동 변속기 차량을 출고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현재 생산되는 자동 변속기 차량은 수동 차량과 연비 차이가 거의 없고, 고장이 적으며, 운전하기 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진주시민버스에서는 수동 차량을 자동 변속기 차량으로 조기 교체하는 현상이 두드러진다. 2018년 3월 현재, 자동 변속기 적용 차량의 비율은 90.23%(256대 중 231대(초저상 18대+일반 213대))이다.

5. 2. 도색

전 차량은 흰색 바탕에 청록색과 경상남도 로고를 응용한 경상남도 2000년대형 입석 표준 도색을 적용하고 있다. 차량 전면과 후면의 도색 기본 형태는 동일하나, 측면 도색은 제조사 및 연식에 따라 일부 차이가 있다. 특히 진주시민버스는 2011년부터 대형 차량에 한해 경상남도 로고를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출고 및 운행하였다.[1] 삼성교통도 2015년 3월부터 신규 차량에 경상남도 로고를 적용하지 않고 있으며, 부산교통부일교통도 몇 개월 뒤에 동참하였다.[1]

6. 운임

진주시 시내버스는 시민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기 위해 합리적인 운임 체계와 다양한 지불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현금 외에도 선불 및 후불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2003년 11월부터 교통카드 서비스를 시작하여 2012년 5월부터는 전국 모든 교통카드로 이용이 가능해졌다.[5]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현금보다 할인된 요금으로 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지정된 장소에서 충전 및 구입이 가능하다. 2008년 9월 8일부터는 무료 환승 제도가 시행되어,[6] 교통카드 사용 시 버스에서 내린 후 30분 안에 다른 노선 버스로 한 번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단, 동일 노선 재탑승 시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하차 시 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해야 한다.

6. 1. 운임 요금

현행 운임 요금 체계는 2015년 8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다.[4] 운임 지불은 현금으로 납부하는 방식 외에도 선불 및 후불 교통 카드로 결제하는 방법이 있다.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
일반성인 (만 19세 이상)1300KRW1250KRW
청소년 (만 13세 ~ 18세)900KRW850KRW
어린이 (만 7세 ~ 12세)650KRW600KRW



신생아 및 영유아의 경우 무임이 원칙이나, 2인 이상의 영유아를 데리고 탈 시에는 2인당 어린이 1인 요금을 부과한다.

6. 2. 대체 지불 수단

교통 카드 서비스는 2003년 11월부터 실시되었으며,[5] 2012년 5월부터는 전국의 모든 교통 카드로 진주시의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5년 8월부터 시행된 현행 운임 체계에서는 교통 카드 사용 시 현금 대비 성인, 청소년, 어린이는 각 50원의 할인 혜택이 있다.

교통 카드 충전 및 구입은 지정된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할인 마트, 가로변 교통 카드 충전소 등 기존에 승차권을 판매하던 거의 모든 곳에서 가능하다.

6. 3. 무료 환승 제도

2008년 9월 8일부터 무료 환승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6] 교통 카드를 사용하면 버스에서 내린 후 30분 안에 다른 노선 버스로 한 번 갈아탈 때 요금이 면제된다. 이 제도는 교통 카드 이용률을 높이고, 한 번 요금으로 시내버스가 다니는 모든 지역에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로 인해 해마다 줄어들던 시내버스 이용객이 늘어나고, 교통 카드 사용률도 상당히 높아지는 효과를 가져왔다.[7] 그러나 배차 간격이 30분을 넘는 노선에도 하차 후 30분 이내 환승 시 무료 규정이 그대로 적용되는 것은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무료 환승 제도의 세부 규정은 다음과 같다.

  • 교통 카드 사용 시에만 가능하다.
  • 동일 노선에 다시 탑승할 때에는 무료 환승이 불가능하다.
  • 하차 시 반드시 하차 문 주변에 설치된 하차 단말기에 카드를 접촉 후 확인해야 한다.
  • 동부 지역 5개면 순환 버스에서 일반 간선 버스로 환승한 후 다시 일반 간선 버스로 환승하거나, 일반 간선 버스 간 1회 환승 후 동부 지역 5개면 순환 버스에 환승하는 경우에는 2회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최초 탑승 시 1개의 교통 카드로 2인 이상의 요금을 지불한 후 환승할 경우에는 1인에 한해 무료 혜택이 적용된다.
  • 운행 구간이 겹치는 고성군내버스[8], 사천시내버스[9], 산청군내버스[10], 하동군 농ㆍ어촌버스와는 무료 환승이 불가능하다.[11]

참조

[1] 문서
[2] 문서
[3] 뉴스 진주에도 천연가스버스 시대 개막 http://gnnews.co.kr/[...] 경남일보 2004-06-18
[4] 웹사이트 진주 시내버스 요금 인상 http://www.2da.co.kr[...] 2011-01-10
[5] 뉴스 진주 시내버스 전자화폐 내달 사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3-10-09
[6] 뉴스 진주시 시내버스 전 구간 무료환승 실시 http://news.empas.co[...] 연합뉴스 2008-09-05
[7] 뉴스 진주 시내버스 이용률 '껑충'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09-06-09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