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찰스 둘리틀 월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둘리틀 월컷은 1850년 뉴욕에서 태어난 미국의 고생물학자이자 스미소니언 협회 사무총장이었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에 관심을 갖고 화석을 수집했으며, 1870년대에 삼엽충의 부속지 구조를 연구하여 고생물학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879년 미국 지질 조사국에 합류하여 1894년 국장이 되었으며,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캄브리아기 지층을 연구했다. 또한 버제스 셰일 화석을 발견하여 캄브리아기 생물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스미소니언 협회 사무총장으로 재직하며 라이트 형제의 항공기 발명 공로를 인정하지 않아 논란이 되기도 했다. 월컷은 찰스 둘리틀 월컷 메달을 통해 그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고생물학자 - 폴 세레노
    폴 세레노는 공룡 및 파충류 화석 연구에 기여한 미국의 고생물학자이며, 다양한 화석을 발견하고 명명했으며, 비영리 과학 교육 단체를 공동 설립하고 대중 매체를 통해 연구 결과를 알렸다.
  • 미국의 고생물학자 -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미국의 저명한 고생물학자이자 파충류학자로, 미국의 화석 척추동물에 대한 연구와 1,000종 이상의 신종 보고, 그리고 "뼈 전쟁"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업적은 다양한 분류군 연구와 그를 기리는 학회지 *Copeia*에 남아있다.
  • 1850년 출생 -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
    카를 페르디난트 브라운은 브라운관과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를 개발하고 무선 전신 기술 발전에 기여했으며, 1909년 무선 전신 개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1850년 출생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보물섬》, 《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등으로 유명한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시인, 수필가, 여행 작가로, 병약한 몸으로 세계를 여행하며 얻은 경험과 남태평양 사모아에서의 삶이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
찰스 둘리틀 월컷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Charles Doolittle Walcott
출생일1850년 3월 31일
출생지뉴욕 주 뉴욕 밀스
사망일1927년 2월 9일
사망지워싱턴 D.C.
안장지록 크리크 묘지
경력
스미스소니언 협회 사무총장4대
임기 시작1907년
임기 종료1927년
이전 사무총장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
다음 사무총장찰스 그릴리 애벗
미국 지질조사국 국장3대
임기 시작1894년
임기 종료1907년
이전 국장존 웨슬리 파월
다음 국장조지 오티스 스미스
미국 항공자문위원회 위원장4대
대통령캘빈 쿨리지
임기 시작1920년
임기 종료1927년
이전 위원장존 R. 프리먼
다음 위원장조지프 스위트먼 에임스
개인 정보
배우자루라 앤 러스트 (1872년 결혼, 1876년 사망)
헬레나 브리스 스티븐스 (1888년 결혼, 1911년 사망)
메리 복스 월컷
자녀4명
과학적 경력
분야고생물학
소속 기관스미스소니언 협회
미국 지질조사국
약칭Walcott
수상빅스비 메달 (1895년)
월러스턴 메달 (1918년)
메리 클라크 톰슨 메달 (1921년)
서명

2. 초기 생애 및 교육

찰스 둘리틀 월컷은 정규 교육을 마치지 못했지만, 어린 시절부터 자연과 화석에 대한 깊은 관심을 바탕으로 독학하며 고생물학 분야의 경력을 쌓기 시작했다. 그는 상업적인 화석 수집가로 활동했으며, 이후 루이 아가시와 같은 저명한 학자들의 격려와 미국 지질 조사국에서의 경험을 통해 세계적인 지질학자이자 고생물학자로 성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2. 1. 출생과 가족

1873년의 찰스 둘리틀 월컷


찰스 둘리틀 월컷은 1850년 3월 31일 뉴욕 밀스,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벤자민 S. 월컷은 1822년 로드아일랜드에서 이주해 온 인물이다. 아버지 역시 찰스 둘리틀 월컷이었으나, 월컷이 겨우 두 살 때 세상을 떠났다. 그는 4명의 자녀 중 막내였다.[3]

월컷은 어린 시절부터 자연에 깊은 관심을 보여 광물과 새알을 수집했으며, 점차 화석에도 흥미를 갖게 되었다. 유티카 지역의 여러 학교에 다녔지만, 18세에 학교를 그만두면서 그의 정규 교육은 마무리되었다.[4] 이후 상업적인 화석 수집가로 활동하며 화석에 대한 관심을 더욱 키워나갔다.[4]

1872년 1월 9일, 월컷은 뉴욕의 농장주 딸인 루라 앤 러스트와 결혼했다. 그녀의 농장 부지는 월컷이 중요한 삼엽충 화석을 발견한 장소 중 하나(월컷-러스트 채석장)이기도 하다. 안타깝게도 루라는 1876년 1월 23일에 사망했다. 월컷은 화석에 대한 열정 덕분에 하버드 대학교의 저명한 학자 루이 아가시와 교류하게 되었고, 아가시는 그가 고생물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도록 격려했다. 그해 말, 월컷은 뉴욕주의 고생물학자였던 제임스 홀의 조수로 일하기 시작했다. 이 자리는 2년 후에 잃었지만, 그는 곧 새로 설립된 미국 지질 조사국에 지질 조수로 채용되어 본격적인 지질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4]

2. 2. 어린 시절의 관심사



찰스 둘리틀 월컷은 1850년 3월 31일 뉴욕 밀스,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의 할아버지 벤자민 S. 월컷은 1822년 로드아일랜드에서 이주해 왔으며, 아버지 역시 찰스 둘리틀 월컷이었으나 찰스가 겨우 두 살 때 사망했다. 월컷은 4명의 자녀 중 막내였다.[3]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에 깊은 관심을 보이며 광물과 새알 등을 수집했고, 점차 화석에도 흥미를 갖게 되었다. 유티카 지역의 여러 학교에 다녔지만, 18세에 고등학교 과정을 마치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했는데, 이것이 그의 정규 교육의 전부였다.[4] 이후 상업적인 화석 수집가로 활동하면서 화석에 대한 관심은 더욱 확고해졌다.[4] 월컷의 화석에 대한 열정은 하버드 대학교의 저명한 학자 루이 아가시와의 만남으로 이어졌고, 아가시는 그에게 고생물학 분야에서 경력을 쌓도록 격려했다.

2. 3. 교육 과정



찰스 둘리틀 월컷은 1850년 3월 31일 뉴욕 밀스,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역시 찰스 둘리틀 월컷이었으나, 월컷이 겨우 두 살 때 사망했다.[3] 그는 어린 시절부터 자연에 관심을 보여 광물과 새알, 곤충 채집 등을 했으며, 결국 화석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4]

월컷은 유티카 지역의 다양한 학교에 다녔지만, 18세에 고등학교를 마치지 못한 채 학교를 그만두었고, 이것이 그의 정규 교육의 전부였다.[4] 이후 약 2년간 철물점에서 일했으며, 상업적인 화석 수집가가 되면서 화석에 대한 관심이 더욱 깊어졌다.[4]

21세 때, 인디애나폴리스의 탄전에서 일하는 지질학자와 만난 것이 그가 평생 지질학에 헌신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는 오르도비스기석회암 조사와 화석 채집 및 연구를 시작했다. 월컷의 화석에 대한 관심은 그가 하버드 대학교루이 아가시와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아가시는 그가 고생물학 분야에서 일하도록 격려했다. 1876년경, 그는 뉴욕주의 고생물학자 제임스 홀의 조수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2년 후에 이 직업을 잃었지만, 곧 새로 설립된 미국 지질 조사국에 지질 조수로 채용되었다.[4]

3. 지질학 및 고생물학 연구

월컷은 젊은 시절 지질학에 입문하여 독학으로 연구를 시작했으며, 뉴욕주 북부의 월콧-러스트 채석장과 같은 새로운 화석 산지를 발견하며 전문 고생물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879년 미국 지질 조사국(USGS)에 합류한 후에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캄브리아기 지층 연구에 집중하여 층서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러한 공로를 바탕으로 1894년에는 USGS 국장 자리에 올랐다. 그의 연구 업적은 학계에서 높이 평가받아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고 초대 메리 클라크 톰슨 메달을 수상하는 등[10] 여러 영예를 안았다. 또한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 설립에 기여하고[4] 보존 운동을 지원하는 등[4] 연구 외적인 활동에도 참여했다.

3. 1. 초기 경력

월컷은 1850년 뉴욕주 북부 오나이다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아버지를 여의었다. 대학에서 박물학에 관심을 가져 화석 외에 곤충 채집 등도 하였으나, 19세에 대학을 중퇴하고 철물점에서 2년간 일했다.

21세 때 일 때문에 인디애나폴리스에 갔다가 탄광에서 일하는 지질학자를 만난 것을 계기로 평생 지질학에 헌신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그는 지역의 오르도비스기 석회암 조사와 화석 채집, 연구를 시작했다. 이 무렵, 루이 아가시가 하버드 대학교의 비교동물학 박물관 창설을 위해 초빙되었을 때 월콧은 그의 밑에서 연구하려 했으나, 아가시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독학으로 연구를 계속했다.

찰스가 딸과 아들과 함께 버제스 셰일(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필드 근처)을 발굴하는 모습으로, 현재 그의 이름을 딴 채석장이다.


1907년경 유타주 프로보에서 찰스 둘리틀 월콧과 그의 가족. 월콧은 종종 수집 여행에 가족을 동반했다.


월콧은 뉴욕주 북부의 월콧-러스트 채석장과 버몬트주의 조지아 플레인 삼엽충 지층 같은 새로운 지역을 발견하고, 예일 대학교에 표본을 판매하면서 전문 고생물학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1876년, 월콧은 뉴욕주지질학자인 제임스 홀의 조수가 되었고, 미국 과학 진흥 협회(AAAS)의 회원이 되었다.

1879년, 월콧은 미국 지질 조사국에 합류하여 1893년에는 수석 고생물학자가 되었고, 1894년에는 국장으로 승진했다. 그의 연구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캄브리아기 지층에 집중되었으며, 수많은 현장 조사와 화석 발견은 층서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1888년 헬레나 브리즈 스티븐스와 결혼하여 1889년부터 1896년 사이에 찰스 둘리틀 월콧, 시드니 스티븐스 월콧, 헬레나 브리즈 월콧, 벤자민 스튜어트 월콧 등 4명의 자녀를 두었다.

월콧은 1896년 미국 국립 과학원, 1897년 미국 철학 학회, 189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5][6][7] 1901년에는 미국 지질학회[8]와 워싱턴 철학 학회의 회장을 역임했다.[9] 1902년, 앤드류 카네기를 만나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의 창립자 중 한 명이 되었고, 이후 다양한 행정 및 연구 직책을 맡았다. 1921년에는 미국 국립 과학원으로부터 초대 메리 클라크 톰슨 메달을 수상했으며,[10] 1923년에는 미국 과학 진흥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그는 이전에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 시절 미국 지질 조사국을 이끌기도 했다.[4] 또한 보존 운동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원했다.[4]

3. 2. 제임스 홀과의 협력

1876년, 월콧은 뉴욕지질학자 제임스 홀(James Hall)의 조수가 되었고, 미국 과학 진흥 협회(AAAS)의 회원이 되었다. 1879년, 월콧은 미국 지질 조사소에 입소하였다.

3. 3. 미국 지질 조사국 활동



1879년, 월콧은 미국 지질 조사국(USGS)에 합류하여 경력을 시작했다. 1893년에는 수석 고생물학자가 되었고, 이듬해인 1894년에는 국장으로 승진하여 조직을 이끌었다.

월콧은 미국 지질 조사국에서 활동하는 동안 주로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캄브리아기 지층 연구에 집중했다. 그는 수많은 현장 조사를 통해 방대한 양의 화석을 발견했으며, 이는 암석의 연대를 밝히고 층서학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는 종종 이러한 수집 여행에 가족을 동반하기도 했다.

시어도어 루스벨트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미국 지질 조사국 국장으로서 조직을 이끌었으며[4], 당시 활발했던 보존 운동에도 관심을 가지고 관련 노력을 지원했다.[4]

미국 지질 조사국에서 활동하는 동안 학계에서도 활발한 역할을 수행했다. 1896년 미국 국립 과학원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897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1899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5][6][7] 1901년에는 미국 지질학회[8]와 워싱턴 철학 학회의 회장을 동시에 역임했다.[9] 또한 1902년에는 앤드류 카네기를 만나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 설립에 참여하여 창립 멤버이자 이사가 되었으며, 이후 연구소에서 다양한 행정 및 연구 직책을 맡았다.

3. 4. 버제스 셰일 발견



''오토이아''(Ottoia), 버제스 셰일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부드러운 몸체를 가진 벌레 화석.


월콧은 1907년 스미소니언 협회 회장이 되었으며, 미국 지질조사소 소장직도 겸임하고 있었다. 1910년, 약 5억 년 전 중기 캄브리아기의 화석이 풍부한 버제스 셰일을 발견한 지 1년 후, 월콧은 아들 스튜어트와 시드니를 데리고 다시 그 지역을 탐사했다. 그들은 화석이 처음 발견된 지점 위의 능선에 있는 모든 지층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마침내 화석을 포함하는 핵심 지층대(현재 월콧 채석장)를 찾아냈다.

1910년부터 1924년까지 월콧은 여러 차례 이곳을 방문하여, 65,000점 이상의 화석 표본을 수집했다. 버제스 셰일의 발견은 고생물학 역사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다른 곳에서는 거의 보존되지 않는 생물의 연한 조직까지 매우 상세하게 보존된 상태로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곳은 연한 몸체 부분의 흔적을 간직한 가장 오래된 화석 지층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월콧의 아내 헬레나는 1911년 코네티컷에서 발생한 열차 사고로 안타깝게 세상을 떠났다. 1914년, 월콧은 아마추어 예술가이자 열정적인 박물학자였던 메리 모리스 복스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 메리는 월콧의 탐험에 동행하며 자연 연구를 함께 즐겼고, 캐나다 로키 산맥을 여행하는 동안에는 아름다운 야생화 수채화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월콧은 '화석 능선'(Fossil Ridge)으로 알려진 버제스 셰일 채석장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지만, 그의 탐사 활동은 이곳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캐나다 로키 산맥의 다른 여러 지역들도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연구를 수행했다. 그의 수많은 과학 출판물 중 일부에는 높은 고개나 산비탈에서 직접 촬영한 장엄한 산의 파노라마 사진들이 포함되어 있기도 하다.

4. 스미소니언 협회 및 기타 활동

월콧은 다양한 학술 및 행정 분야에서 활발히 활동했다. 그는 1896년 미국 국립 과학원, 1897년 미국 철학 학회, 1899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5][6][7] 1901년에는 미국 지질학회[8]와 워싱턴 철학 학회 회장을,[9] 1923년에는 미국 과학 진흥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4] 1902년 앤드류 카네기를 만나 워싱턴 카네기 연구소 창립에 기여했으며, 이후 다양한 직책을 맡았다. 과학적 공로를 인정받아 1921년 미국 국립 과학원으로부터 초대 메리 클라크 톰슨 메달을 수상했고,[10] 1909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1] 또한, 그는 보존 운동에도 관심을 가지고 지원했다.[4]

1907년, 월콧은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의 뒤를 이어 스미소니언 협회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어 사망 시까지 재직했다.[4] 이 직책에 집중하기 위해 미국 지질조사국 국장직에서는 물러났다. 스미소니언 협회 사무총장으로서 그는 중요한 화석 발굴을 포함한 다양한 활동을 이끌었으나, 라이트 형제의 업적을 둘러싼 논쟁에 연루되기도 했다.

항공 분야에서도 월콧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14년, 그는 항공 과학과 정부의 관계 증진을 위한 회의를 주도하여 NACA(National Advisory Committee for Aeronautics) 설립을 위한 의회 법안 통과에 기여했으며, 이후 NACA 집행 위원회 의장을 맡았다.[12] NACA는 이후 미국 항공 우주국의 전신이 되는 중요한 기관이다.

4. 1. 스미소니언 협회 사무총장

1907년, 새뮤얼 피어폰트 랭글리가 사망하자 월컷은 스미소니언 협회의 사무총장으로 임명되어 사망할 때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 그의 후임자는 찰스 그리리 애보트였다. 스미소니언 협회에서의 책임 때문에 그는 미국 지질조사국 국장직에서는 물러났다.[4] 1909년에는 다윈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케임브리지 대학교로부터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1]

월컷은 버제스 셰일에서 캄브리아기 화석을 발견한 다음 해인 1910년, 두 아들과 함께 해당 지역으로 가서 화석이 있던 셰일층보다 위쪽 능선의 지층을 조사하여 화석을 포함하는 지층대를 발견했다. 1919년부터 1924년까지 여러 차례 그곳을 방문하여 자신의 이름을 딴 '월콧 채석장'에서 65,000점 이상의 화석을 수집했다.

그러나 스미소니언 협회 사무총장으로서 월콧의 활동에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그는 항공기 발명가로서 라이트 형제의 공적을 인정하지 않으려 했다. 이는 스미소니언 협회의 전임 회장이었던 새뮤얼 랭글리가 항공기 개발의 선구자였으나, 1903년 '에어로드롬 호' 비행 실험에 실패했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랭글리는 미국 해군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기 때문에 이 실패는 여론의 심한 비난을 받았고 스미소니언 협회에 큰 불명예를 안겼다.

월콧은 라이트 형제와 특허 분쟁 중이던 글렌 커티스에게 자금을 지원했다. 이후 커티스는 랭글리가 실패했던 에어로드롬 호를 1914년에 비행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월콧은 스미소니언 협회 연례 보고서에 "랭글리가 유인 비행이 가능한 비행기 제작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음이 증명되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당시 실험에 사용된 에어로드롬 호는 커티스에 의해 원형을 거의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대대적인 개조가 이루어진 상태였다. 에어로드롬 호는 '인류 최초의 비행기'라는 이름으로 워싱턴 국립 박물관에 전시되었지만, 전시된 기체는 1903년 당시의 모습이었다고 전해진다.

오빌 라이트는 이에 대해 격렬하게 항의했지만, 월콧과 스미소니언 협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스미소니언 협회가 라이트 형제의 공적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월콧이 사망한 후, 후임자인 찰스 그리리 애보트 시대에 이르러서였다. 현재 라이트 형제의 라이트 플라이어 호는 스미소니언 협회가 관리하는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4. 2. 국립 항공 자문 위원회(NACA) 설립 기여

1915년 국립 항공 자문 위원회(NACA) 첫 회의 모습


1914년, 월콧은 항공 과학과 미국 정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워싱턴 D.C.에서 회의를 소집했다. 이 회의를 계기로 "실용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비행 문제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감독하고 지시하는" 역할을 할 항공 자문 위원회(이후 NACA로 명칭 변경)를 조직하는 의회 법안이 통과되었다.[12]

위원회는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었다. 육군과 해군에서 각각 2명, 스미소니언 협회, 기상청, 국립 표준국에서 각각 1명이 참여했다. 또한 "민간 또는 군사 항공 과학의 필요에 정통하거나, 항공 공학 또는 관련 과학에 능숙한 자" 중에서 5명의 위원이 추가로 선정되었다. 위원장은 조지 P. 스크리븐 준장(육군 통신 참모부장)이 맡았고, 월콧은 집행 위원회 의장으로 선출되어 NACA 설립과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윌리엄 F. 듀런드 역시 위원회의 민간 위원 중 한 명이었다.[12]

4. 3. 라이트 형제와의 논쟁 (비판적 관점)

월콧은 항공기 발명가로서 라이트 형제의 업적을 인정하지 않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스미소니언 협회 전 회장이었던 새뮤얼 랭글리가 항공기 개발 선구자였음에도 불구하고 1903년 '에어로드롬 호' 비행 실험에 실패했던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시 랭글리는 미국 해군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기에, 이 실패는 여론의 거센 비난을 받았고 스미소니언 협회에게는 큰 굴욕이었다.

라이트 형제 특허 분쟁이 진행되던 중, 월콧은 라이트 형제를 깎아내리기 위해 그들과 특허 문제로 다투던 글렌 커티스를 지원했다. 커티스는 월콧의 도움을 받아 1914년, 랭글리가 1903년에 실패했던 에어로드롬 호를 은밀히 대대적으로 개조하여 비행이 가능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13][14] 비행 시연 후, 월콧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스미소니언 협회 연례 보고서에 '랭글리가 유인 비행이 가능한 비행기 제작에 세계 최초로 성공했음이 증명되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실험에 사용된 에어로드롬 호는 커티스에 의해 원형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개조된 상태였다. 심지어 월콧은 시연 후 랭글리 기계를 1903년 당시 상태로 복원하도록 지시하여 워싱턴 국립 박물관에 '인류 최초의 비행기'로 전시함으로써 속임수를 감추려 했다.[13][14]

오빌 라이트는 이러한 행태에 대해 격렬하게 비난했지만, 월콧과 스미소니언 협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스미소니언 협회가 라이트 형제가 "사람을 태운 동력 비행기로 최초로 성공적인 비행을 한" 공로를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월콧이 사망한 후인 1928년, 후임 회장 찰스 애보트 시대에 이르러서였다.[15][16] 현재 라이트 형제의 라이트 플라이어 호는 스미소니언 협회가 관리하는 국립 항공 우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5. 결혼과 가족



월콧은 1888년 헬레나 브리즈 스티븐스(Helena Breese Stevens)와 결혼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1889년부터 1896년 사이에 네 명의 자녀가 태어났다:


  • 찰스 둘리틀 월콧(Charles Doolittle Walcott)
  • 시드니 스티븐스 월콧(Sidney Stevens Walcott)
  • 헬레나 브리즈 월콧(Helena Breese Walcott)
  • 벤자민 스튜어트 월콧(Benjamin Stuart Walcott)


월콧은 화석 수집 여행이나 버제스 셰일 발굴과 같은 현장 연구에 가족들을 자주 동반했다. 예를 들어 1910년 버제스 셰일 화석 발견 1년 후에는 아들 스튜어트와 시드니를 데리고 다시 그 지역을 찾아 화석층을 함께 조사했다.

첫 부인 헬레나는 1911년 미국 코네티컷에서 발생한 열차 사고로 사망했다. 이후 월콧은 1914년, 아마추어 예술가이자 박물학에 조예가 깊었던 메리 모리스 복스(Mary Morris Vaux)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 메리는 월콧의 탐험에 동행하며 자연 연구를 함께 즐겼고, 캐나다 로키 산맥 등을 여행하며 야생화 수채화를 그리기도 했다.

6. 사망과 유산



1910년 버제스 셰일에서 화석을 발견한 지 1년 후, 월콧은 아들 스튜어트와 시드니를 데리고 다시 그 지역을 찾았다. 그들은 함께 화석이 풍부한 암석 지층을 찾아냈고, 1910년부터 1924년까지 월콧은 자신을 기려 명명된 월콧 채석장을 여러 차례 방문하며 65,000점 이상의 표본을 수집했다. 이 발견은 생물의 연한 부분까지 매우 잘 보존된 가장 오래된 화석층 중 하나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개인적으로는 1911년, 아내 헬레나가 코네티컷에서 일어난 기차 사고로 사망하는 슬픔을 겪었다. 1914년, 월콧은 아마추어 예술가이자 열정적인 박물학자였던 메리 모리스 복스와 세 번째로 결혼했다. 메리는 월콧의 탐험에 동행하며 캐나다 로키 산맥을 함께 여행했고, 그곳에서 야생화 수채화를 그리기도 했다.

월콧은 버제스 셰일 채석장뿐만 아니라 캐나다 로키 산맥의 다른 여러 지역을 광범위하게 탐험하고 연구했다. 그가 발표한 수많은 과학 논문 중 일부에는 높은 고개나 산비탈에서 직접 촬영한 멋진 산의 파노라마 사진이 포함되기도 했다.

월콧은 1927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망했다.

6. 1. 재평가

미국 워싱턴 D.C. 록 크릭 묘지에 있는 월콧의 묘지


1927년 월콧이 사망한 후, 그의 방대한 표본, 사진, 기록들은 스미소니언 협회에 보관되었다. 이 자료들은 1960년대 후반 새로운 세대의 고생물학자들이 주목하기 전까지는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후 연구를 통해 월콧의 기존 해석 중 상당 부분이 수정되었다.

월콧이 대중적으로 다시 알려진 계기는 스티븐 제이 굴드의 저서 《풀 하우스》(Wonderful Life, 1989)였다. 굴드는 이 책에서 월콧이 버제스 셰일 화석들의 독특함을 제대로 알아보지 못하고 기존의 분류 체계에 억지로 끼워 맞췄다고 비판했다. 굴드는 월콧이 화석을 단순한 표면 무늬로 보고 입체 구조를 간과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러나 굴드의 이러한 평가는 버제스 동물군의 특이성을 부각시키기 위한 수사적인 측면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실제로 월콧은 1870년대에 세계 최초로 삼엽충부속지 구조를 밝혀내는 등 화석의 입체 구조 연구에 선구적인 업적을 남겼다. 그는 화석 내부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연속 절편법과 같은 혁신적인 기법을 사용했다. 오늘날 많은 고생물학자들은 월콧의 연구 방법과 이론적 관점에 대해 굴드보다는 덜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월콧의 뉴욕주 오르도비스기 삼엽충 연구 또한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하다가, 1990년대 초 아마추어 고생물학자 토머스 화이트리(Thomas Whiteley)에 의해 재조명되었다. 화이트리는 뉴욕주 러시아 인근의 월콧-러스트 채석장을 다시 열어 월콧의 연구를 되살렸다. 이 채석장의 지층에서는 부드러운 몸체 부분까지 보존된 상태가 매우 좋은 로렌시아 삼엽충 화석이 발견된다.

월콧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지명과 상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캐나다 로키산맥의 버제스 산 근처, 그가 처음 버제스 셰일을 발견한 곳 인근의 봉우리는 '''월콧 산'''(Mount Walcott)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왑타 산과 필드 산 사이에 위치하며 버제스 셰일 화석이 풍부하게 발견되는 '''월콧 채석장'''(Walcott Quarry) 역시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는 선캄브리아기와 캄브리아기 생명 및 역사 연구에 뛰어난 공헌을 한 학자에게 5년마다 '''찰스 둘리틀 월콧 메달'''(Charles Doolittle Walcott Medal)을 수여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그의 이름을 딴 자유의 배인 '''SS 찰스 D. 월콧'''(SS Charles D. Walcott)호가 건조되기도 했다.

6. 2. 기념



1927년 월콧이 미국 워싱턴 D.C.에서 사망한 후, 그가 수집한 방대한 양의 표본, 사진, 기록 등은 스미소니언 협회에 보관되었다. 하지만 그의 연구는 한동안 잊혔다가 196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야 새로운 세대의 고생물학자들이 그의 자료를 재발견하면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월콧의 기존 해석 중 상당수가 수정되기도 했다.

월콧이 오늘날 비교적 널리 알려지게 된 데에는 고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의 영향이 컸다. 굴드는 그의 저서 《풀 하우스(Wonderful Life)》(1989)에서 월콧을 비중 있게 다루었다. 이 책에서 굴드는 월콧이 버제스 셰일에서 발견된 화석들의 독특함과 중요성을 간과했으며, 이를 기존의 분류 체계(문)에 억지로 끼워 맞추려 했다는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했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버제스 동물군의 특이성을 강조하기 위한 수사적인 측면이 있다는 반론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굴드는 월콧이 화석을 단순히 평면적인 무늬로만 여겼다고 지적했지만, 실제 월콧은 1870년대에 세계 최초로 삼엽충의 다리와 같은 부속지 구조를 밝혀내는 등 화석의 입체 구조 연구에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오늘날 많은 고생물학자들은 월콧의 연구 방법과 이론적 관점에 대해 굴드보다는 덜 비판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월콧의 뉴욕주 오르도비스기 삼엽충 연구 역시 오랫동안 주목받지 못했으나, 1990년대 초 아마추어 고생물학자 Thomas Whiteley|토머스 화이트리eng의 노력으로 재조명되었다. 화이트리는 월콧의 연구를 되살리고 뉴욕주 러시아 근처의 월콧-러스트 채석장을 다시 열었다. 이 채석장에서는 부드러운 몸체 부분까지 매우 잘 보존된 로렌시아 대륙의 삼엽충 화석이 발견된다.

월콧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여러 장소와 상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 캐나다 로키 산맥의 버제스 산에서 그가 처음 버제스 셰일 화석을 발견한 곳 근처의 봉우리는 월콧 봉우리(Walcott Peakeng)로 명명되었다.
  • 왑타 산과 필드 산 사이에 위치하며 중요한 버제스 셰일 화석이 발견된 채석장 역시 그의 이름을 따 월콧 채석장(Walcott Quarryeng)이라 불린다.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는 선캄브리아기와 캄브리아기의 생명과 역사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학자에게 5년마다 찰스 둘리틀 월콧 메달(Charles Doolittle Walcott Medaleng)을 수여한다.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건조된 리버티선 중 한 척에 SS 찰스 D. 월콧(SS Charles D. Walcotteng)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7. 찰스 둘리틀 월콧 상

'''찰스 둘리틀 월콧 메달'''(Charles Doolittle Walcott Medal)은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서 선캄브리아기 및 캄브리아기 고생물학 분야의 뛰어난 업적에 대해 수여하던 상이다. 현재는 초기 지구 및 생명 과학 분야의 NAS 상으로 변경되었다.

7. 1. 역대 수상자

연도수상자
1934년데이비드 화이트 (David White영어)
1939년A. H. 웨스터가드 (A. H. Westergaard영어)
1947년알렉산더 G. 볼로딘 (Alexander G. Vologdin영어)
1952년프란코 라제티 (Franco Rasetti영어)
1957년피에르 위페 (Pierre Hupe영어)
1962년아르민 A. 오피크 (Armin A. Opik영어)
1967년앨리슨 R. 팔머 (Allison R. Palmer영어)
1972년엘소 S. 바르후른 (Elso S. Barghoorn영어)
1977년프레스턴 클라우드 (Preston Cloud영어)
1982년마틴 F. 글래스너
1987년앤드루 H. 놀 및 사이먼 C. 모리스
1992년스테판 벵트손 (Stefan Bengtson영어)
1997년미하일 A. 페돈킨
2002년한스 J. 호프만
2007년존 P. 그로칭거 (John P. Grotzinger영어)
2013년J. 윌리엄 쇼프


8. 주요 저서


  • ''[https://books.google.com/books?id=NEe5GrcCec4C 캄브리아기 지질학 및 고생물학]'', 스미소니언 협회 및 The Lord Baltimore Press, 1924. (스미소니언 잡지 컬렉션, 67권)
  • ''[https://books.google.com/books?id=55Y2UIuSNT4C 일부 후 캄브리아기 및 캄브리아기 코딜레란 지층의 명명법]'', 스미소니언 협회 및 The Lord Baltimore Press, 1924. (스미소니언 잡지 컬렉션, 67권)
  • ''새로운 속과 종의 설명이 포함된 캄브리아기 완족류'', 미국 국립 박물관 회보, 28권, 1905.
  • ''중국의 캄브리아기 동물군'', 미국 국립 박물관 회보, 30권, 1905.
  • ''[https://archive.org/details/cambriangeology00walcgoog 캄브리아기 지질학 및 고생물학]'', 1910. ([https://archive.org/details/texts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열람 가능)
  • ''캄브리아기에 대한 상관 관계 논문'', 미국 지질 조사국 게시판, 81호, 1890.
  • ''하부 캄브리아기 또는 올레넬루스대의 동물군'', 미국 지질 조사국장 연례 보고서 10차 (1888–89년), 1부 발췌, 1890.
  • ''화석 해파리'', 미국 지질 조사국 모노그래프, 30호, 1898.
  • ''네바다주 유레카 지역의 지질학, 아틀라스 포함'', 미국 지질 조사국 모노그래프, 20호, 1892.
  • ''캄브리아기 시대의 북미 대륙'', 미국 지질 조사국장 연례 보고서 12차 (1890–91년), 1부 발췌, 1892.
  • ''북미의 캄브리아기 동물군'', 미국 지질 조사국 게시판 발췌, 1884.
  • ''유레카 지역의 고생물학'', 미국 지질 조사국 모노그래프, 8호, 1884.

참조

[1] 서적 Wonderful Life: The Burgess Shale and the Nature of History W. W. Norton & Company 1989
[2] 간행물 Walcott, Charles Doolittle https://books.google[...] 1912
[3] 논문 Sketch of Charles D. Walcott D. Appleton and Company 1898-02
[4] 논문 Discovery, Collection, and Description of the Middle Cambrian Burgess Shale Biota by Charles Doolittle Walcott 1996-12
[5] 웹사이트 Charles Doolittle Walcott https://www.nasonlin[...]
[6] 웹사이트 Charles D. Walcott https://search.amphi[...] 2024-02-22
[7] 웹사이트 Charles Doolittle Walcott https://www.amacad.o[...] 2024-02-22
[8] 서적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Life History of a Learned Society Th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82
[9] 웹사이트 Past Presidents https://pswscience.o[...] 2022-06-22
[10] 웹사이트 Mary Clark Thompson Medal http://www.nasonlin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2011-02-14
[11] 논문 Misadventures in the Burgess Shale 2009-08
[12] 서적 Adventures; In the Navy, In Education, Science, Engineering, and in War; A Life Story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nd McGraw-Hill
[13] 웹사이트 The 1914 Tests of the Langley "Aerodrome" https://siarchives.s[...] 2023-01-24
[14] 웹사이트 What Dreams We Have (Appendix C) https://www.nps.gov/[...] 2023-01-24
[15] 서적 The Wright brothers https://www.worldcat[...]
[16] 웹사이트 The Wright-Smithsonian Feud The Wright Flyer: From Invention to Icon https://airandspace.[...] 2020
[17] 논문 Wonderful strife: systematics, stem groups, and the phylogenetic signal of the Cambrian radi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