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은 관룡산 정상 부근 낭떠러지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불상이다. 전체 높이는 2.98m이며, 머리에는 소라 모양의 머리칼과 육계가 솟아 있고, 얼굴은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다. 양 어깨를 감싼 옷은 몸에 밀착되었고, 옷주름은 평행선으로 표현되었다. 높은 대좌 위에 항마촉지인을 하고 앉아 있으며, 대좌는 상, 중, 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9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8세기 불상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형식화된 특징을 보인다. 불상 뒤가 절벽인 것으로 보아 건물은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 하대의 도참사상이 자리 선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불상 -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좌불상으로, 머리 부분의 갓 모양 때문에 갓바위로 불리며, 기도 효험에 대한 전설과 함께 많은 참배객이 찾는 보물 제431호 불상이다.
  • 9세기 불상 -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
    울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은 울산 울주군 간월사지에 있는 통일신라 말기 불상으로, 둥근 얼굴과 U자형 옷주름 등 9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여주며, 울산 지역에서 보물로 지정되었다.
  • 창녕군의 문화유산 - 창녕 목마산성
  • 창녕군의 문화유산 - 창녕 화왕산성
    창녕 화왕산성은 경상남도 창녕군에 있는 포곡식 산성으로, 화왕산 정상부의 지형을 이용하여 축조되었으며, 가야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 신라의 불상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 신라의 불상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굴불사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사방불 형식 석조 조각상으로, 각 면에는 아미타불, 약사여래, 석가모니불, 미륵보살이 조각되어 있으며, 창건 설화와 함께 통일신라 시대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이름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昌寧 觀龍寺 龍船臺 石造如來坐像)
영어 이름Stone Seated Buddha at Yongseondae Cliff of Gwallyongsa Temple, Changnyeong
지정 번호295
지정일1963년 1월 21일
소재지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 산328
소유자관룡사
시대남북국 시대 9세기

2. 상세

관룡산(739.7m) 정상 부근의 낭떠러지 위에 홀로 앉아 있는 통일신라 시대의 불상이다.[2] 불상의 전체 높이는 2.98m, 불신 높이 1.81m, 대좌 높이 1.17m이다.[2]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나발)이 붙어 있고,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솟아 있다.[2] 얼굴은 원만하고 단아하며 미소를 띤 표정에서 자비로운 불심이 느껴진다. 조금 뜬 길다란 눈, 짧고 넓적한 코, 입가에 미소를 띤 온화한 인상이다.[2] 귀는 어깨까지 내려오고, 짧은 목에 옆으로 그은 삼도(三道)는 가슴에도 새겨져 있다.[2]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은 몸에 밀착되었으며, 옷주름은 규칙적인 평행선으로 처리되어 도식적이다. 불상의 뒤까지 표현된 옷 주름은 규칙적이면서 평평하게 표현되었다.[2] 신체는 양감이 줄어들고 약간 위축되었지만 안정감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2] 머리에 비해 좁은 어깨는 조금 위축된 자세지만 안정감이 있다.[2] 다리를 틀은 하체는 묵직하여 안정감이 있다.[2] 무릎에 놓인 손은 두툼하지만 섬세하게 조각되었으며, 앉은 자세는 다소 둔중함이 느껴진다.

높은 대좌(臺座) 위에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하고 앉았는데 광배는 없어졌다.[2] 대좌는 세 부분으로 높고 아름답게 만들어져, 연꽃봉오리 모양의 상좌, 팔각형의 중좌, 두 겹의 연꽃잎을 깐 하좌로 구성되었다.[2]

이러한 특징은 8세기 불상에도 나타나지만, 위축된 자세와 사실성이 줄어든 조각 수법 등을 볼 때, 8세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9세기 이후에 형식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2] 바로 뒤가 절벽인 것으로 보아 불상 위에 건물은 없었던 듯하며, 자리를 정하는 데에는 땅의 기운을 무르려는 신라 하대의 도참(圖讖思想)이 작용한 듯하다.[2]

3. 대좌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상, 중, 하대로 구성되어 있다.[2] 반구형의 상대석은 연꽃을 새겼고, 8각 중대석은 각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두었다.[2] 하대석은 4각의 받침 위에 겹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넣었다.[2]

4. 제작 시기 및 특징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은 양감이 줄어든 신체 표현, 도식적인 옷주름선, 8각 연꽃무늬 대좌의 형식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 9세기경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추정된다.[2] 8세기 불상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9세기 이후 형식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준다.[2]

관룡산 정상 부근의 낭떠러지 위에 홀로 앉아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불상으로, 전체 높이는 2.98m, 불신 높이는 1.81m, 대좌 높이는 1.17m이다.[2] 높은 대좌 위에 항마촉지인을 하고 앉았는데 광배는 없어졌다.[2]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는 상·중·하대로 구성되어 있다. 반구형의 상대석은 연꽃을 새겼고, 8각 중대석은 각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두었으며, 하대석은 4각의 받침 위에 겹으로 연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이러한 특징은 8세기의 불상에도 나타나지만, 위축된 자세와 사실성이 줄어든 조각수법 등을 볼 때, 8세기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9세기 이후에 형식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2] 불상 바로 뒤가 절벽인 것으로 보아 불상 위에 건물은 없었던 듯하며, 자리를 정하는 데에는 땅의 기운을 무르려는 신라하대의 도참사상이 작용한 듯하다.[2]

5. 위치 선정과 도참사상

관룡산(739.7m) 정상 부근의 수십 길 낭떠러지 위에 홀로 앉아 있는 통일신라시대불상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은 바로 뒤가 절벽인 것으로 보아 불상 위에 건물은 없었던 듯하며, 자리를 정하는 데에는 땅의 기운을 억누르려는 신라 하대의 도참사상(圖讖思想)이 작용한 듯하다.

참조

[1]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http://gwanbo.mois.g[...] 관보(정호) 2010-08-25
[2]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