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창녕 이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녕 이씨는 고려 원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예의판서를 지낸 이정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본관은 경상남도 창녕 지역으로, 창녕현과 영산현이 합쳐져 이루어진 곳이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 걸쳐 여러 관직을 역임한 인물들을 배출했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조직하여 공을 세운 인물도 있다. 경상북도 포항시 일대에 집성촌이 있으며, 학삼서원과 같은 관련 문화재가 존재한다. 2015년에는 약 3,608명이 창녕 이씨 성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창녕 이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창녕 이씨
昌寧李氏
관향경상남도 창녕군
시조이정현(李正賢)
인구3,608명
년도2015

2. 유래

시조 이정현(李正賢)은 자는 경보(敬甫), 시호는 문간(文簡)으로 고려 원종 5년에 출생하여 충선왕 때 과거에 급제하고, 예의판서(禮儀判書)를 거쳐 창산(昌山)군에 봉해졌다.[1][2][3][4][5] 그래서 후손들은 창녕을 본관으로 하였다.[1][2][3][4][5]

3. 본관

창녕(昌寧)은 경상남도 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옛 창녕현(昌寧縣)과 영산현(靈山縣)이 합하여 이루어진 곳이다. 본래 삼한시대에 불사국(不斯國), 이후의 빛벌가야(非火伽倻) 지역이었다. 555년(신라 진흥왕 16) 신라에 의해 하주(下州)가 설치되었고, 565년(진흥황 26) 비자화군(比自火郡) 또는 비사벌군(比斯伐郡)으로 개칭되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화왕군으로 바뀌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창녕군으로 고치고, 1018년(고려 현종 9) 밀성군(密城郡: 密陽)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고려 명종 2)에 창녕군에 속하기도 하였다. 1274년(고려 원종 15)에 영산현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1414년(조선 태종 14)에 창녕현으로 되었고, 1631년(조선 인조 9) 창녕현이 영산현에 합쳐졌다가 얼마 후에 복귀되었다.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창녕군·영산군이 되었으며, 1896년에 경상남도 창녕군·영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산군의 일부를 병합하였다. 1960년 창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4. 인물

고려시대에는 이원간/李元幹중국어이 교수(敎授)의 관직에 올랐으며, 이구엽/李九燁중국어은 우상시(右常侍), 이한직/李漢直중국어은 호조판서(戶曺判書), 이귀춘/李貴春중국어은 현감(縣監) 등을 역임하였다.[6]

=== 조선 시대 ===

조선시대에는 절제사(節制使)를 지낸 이연무(李衍茂),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이방주(李邦柱),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내고 수직(壽職)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이운기(李運基)가 있었다.[6] 또한 장락원첨정(掌樂院僉正) 이숭원(李崇元),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 이시방(李時芳), 예빈사부정(禮賓寺副正) 이국추(李國樞)도 있었다.[6] 임진왜란 때 의병을 조직하여 여러 곳에서 활약, 많은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청주병마절도사(淸主兵馬節度使)를 지내고 가선대부, 병조참판(兵曺參判)에 추증되었던 이대임(李大任), 학문이 뛰어나 향리에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한 이홍진(李弘眞) 등은 당대 창녕 이씨 가문을 빛낸 인물들이었다.[6]

4. 1. 고려 시대

고려시대에는 이원간/李元幹중국어이 교수(敎授)의 관직에 올랐으며, 이구엽/李九燁중국어은 우상시(右常侍), 이한직/李漢直중국어은 호조판서(戶曺判書), 이귀춘/李貴春중국어은 현감(縣監) 등을 역임하였다.[6]

4. 2. 조선 시대

조선시대에는 절제사(節制使)를 지낸 이연무(李衍茂),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이방주(李邦柱), 통정대부(通政大夫)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내고 수직(壽職)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이운기(李運基)가 있었다.[6] 또한 장락원첨정(掌樂院僉正) 이숭원(李崇元), 훈련원주부(訓鍊院主簿) 이시방(李時芳), 예빈사부정(禮賓寺副正) 이국추(李國樞)도 있었다.[6] 임진왜란 때 의병을 조직하여 여러 곳에서 활약, 많은 공을 세워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청주병마절도사(淸主兵馬節度使)를 지내고 가선대부, 병조참판(兵曺參判)에 추증되었던 이대임(李大任), 학문이 뛰어나 향리에서 후진양성에 전념하여 많은 인재를 배출한 이홍진(李弘眞) 등은 당대 창녕 이씨 가문을 빛낸 인물들이었다.[6]

5. 세거지 및 관련 문화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공당리,[7] 장기면 창지리, 구룡포읍 성동리 등에 창녕 이씨 집성촌이 있다. 포항시 남구 장기면에는 김구 선생의 친필 현판이 있는 학삼서원이 있다.[8][9][10][11][12][13]

6. 인구수

창녕 이씨는 1985년에는 총 965가구 4,029명, 2000년에는 총 1,289가구 4,132명, 2015년에는 총 3,608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14]

참조

[1] 웹인용 창녕이씨(昌寧李氏)의 유래 :: 뿌리를 찾아서 :: http://www.rootsinfo[...] 2017-09-27
[2] 웹인용 이씨(李氏) 본관(本貫) 창녕(昌寧) – 한국족보출판사 http://www.findroot.[...] 2017-09-27
[3] 웹인용 성씨의 유래 - 성씨닷컴 http://www.sungssi.c[...] 2017-09-27
[4] 웹인용 창녕이씨 (昌寧李氏) - 써네임닷인포 http://www.surname.i[...] 2017-09-28
[5] 웹인용 Daum 카페 - 창녕 이씨 문중: 창녕 이씨 장기 입향 유래 http://cafe.daum.net[...] 2017-09-27
[6] 웹인용 이대임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web.archive.[...] 2017-09-29
[7] 웹인용 남구 동해면 공당리(孔堂里) :: 동해면 - 포항시 문화관광 https://web.archive.[...] 2017-09-27
[8] 뉴스 학삼서원 -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 2017-09-27
[9] 뉴스 "[기획특집] 포항정신의 뿌리 서원을 찾아서 - 대경일보" http://www.dkilbo.co[...] 2017-09-27
[10] 웹인용 민족혼의 대변자 구본진의 법률, 글씨, 역사 이야기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 2020-07-29
[11] 웹인용 "[구본진의 필적]〈1〉김구가 존경받는 이유" https://news.v.daum.[...] 2020-07-29
[12] 웹인용 충효와 선비의 고장 포항 장기면 - 매일신문 http://news.imaeil.c[...] 2020-07-29
[13] 웹인용 "[포항 히스토리텔링] 충효와 선비의 고장 장기" https://www.imaeil.c[...] 2024-07-26
[14] 뉴스 김해 김 446만명 최다.. '우리 가족 본관'은 몇 명? https://news.v.daum.[...] 다음 뉴스 2017-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