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채용신은 대한제국 시기의 화가로, 특히 초상화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그의 작품으로는 고종 어진, 최치원 초상, 최익현 초상, 전우 초상, 운낭자상 등이 있으며, 황현 초상 및 사진은 보물 제1494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이덕응 초상화, 신기영 초상화, 조병순 초상화는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로, 간재 전우 초상화와 정제용 초상은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강 채씨 - 채동욱
채동욱은 대한민국의 법조인으로, 검사로 임관하여 굵직한 수사를 지휘하고 검찰총장까지 역임했으나 혼외자 논란으로 사퇴한 후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다. - 평강 채씨 - 채만식
채만식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사회상을 풍자적으로 그린 소설가이며, 친일 행적에도 불구하고 《탁류》와 같은 걸작을 남겨 문학사 연구자들에게 꾸준히 연구된다. - 조선의 화가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조선의 화가 - 이황
이황은 16세기 조선의 유학자로, 주자학을 발전시키고 영남학파를 형성했으며, 《주자서절요》, 《성학십도》 등의 저서를 남기고 사단칠정 논쟁을 벌였으며, 만년에 도산서당을 짓고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힘쓰다 문묘에 종사되었다. - 1848년 출생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 1848년 출생 - 아서 밸푸어
영국의 정치가이자 철학자인 아서 밸푸어는 보수당 총리,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밸푸어 선언을 통해 이스라엘 건국에 기여했고 아일랜드 문제 등 다양한 현안에 관여했다.
채용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채동근 |
아명 | 용덕 |
자 | 대유 |
호 | 석지, 석강, 정산 |
출생일 | (음력) 1850년 2월 4일 |
출생지 | 한성부 북부 진장방 진장방계 삼청동 (현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동) |
사망일 | (음력) 1941년 6월 4일 |
사망지 | 전라북도 정읍군 신태인읍 육리 |
본관 | 평강 채씨 |
경력 | |
경력 | 첨절제사→중추원의관→칠곡군수→정산군수 |
병역 | 1886년 무과 급제 ?~1899년 첨절제사 |
주요 작품 |
2. 작품
그의 초상화 작품으로는 〈최치원 초상〉, 〈최익현 초상〉, 〈전우 초상〉, 〈운낭자상〉 등 다수가 있다.
- 이덕응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4호
- 신기영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 조병순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
-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 간재 전우 초상화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0호
- 정제용 초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32호
2. 1. 주요 작품
그의 초상화 작품으로는 〈최치원 초상〉, 〈최익현 초상〉, 〈전우 초상〉, 〈운낭자상〉 등 다수가 있다.
- 이덕응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4호
- 신기영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 조병순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
-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 간재 전우 초상화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0호
- 정제용 초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32호
2. 1. 1. 어진
그의 초상화 작품으로는 〈최치원 초상〉, 〈최익현 초상〉, 〈전우 초상〉, 〈운낭자상〉 등 다수가 있다.
- 이덕응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4호
- 신기영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5호
- 조병순 초상화 -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226호
-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 -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
- 간재 전우 초상화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0호
- 정제용 초상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32호
2. 1. 2. 역사 인물 초상
그의 초상화 작품으로는 최치원 초상, 최익현 초상, 전우 초상 등이 있다.
황현 초상 및 사진은 보물 제1494호로 지정되어있다.
2. 1. 3. 여성 초상
2. 2. 시도유형문화재 지정 작품
2. 2. 1.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이덕응 초상화〉(제224호), 〈신기영 초상화〉(제225호), 〈조병순 초상화〉(제226호)는 전라북도의 유형문화재이다.
2. 2. 2.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화순 춘산영당 최익현 초상〉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13호로 지정되었다.2. 2. 3.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간재 전우 초상화〉 (제540호), 〈정제용 초상〉 (제540호)참조
[1]
뉴스
紙上 李朝肖像画展 (4) 雲娘子 二十七歲像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63-09-06
[2]
서적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300
https://www.mmca.go.[...]
국립현대미술관
2019
[3]
웹인용
전우 초상화
https://www.mmca.go.[...]
2020-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