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처칠 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처칠 박물관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정부의 주요 의사 결정 장소였던 내각 전시 집무실과 윈스턴 처칠을 기리는 박물관이다. 1930년대 후반, 런던 공습에 대비해 건설된 지하 시설로, 전쟁 기간 동안 처칠과 전시 내각이 회의를 진행하고 주요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지도실, 내각 회의실, 처칠의 사무실 겸 침실 등이 있으며, 1984년 일반에 공개된 후 2005년 처칠 박물관이 개관하여 처칠의 생애와 업적을 전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인물 박물관 - 셜록 홈즈 박물관
    셜록 홈즈 박물관은 셜록 홈즈의 가상 주소에 위치하며, 1991년 개관하여 셜록 홈즈를 실제 인물로 여기게 할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었으나 지지를 받았다.
  • 영국의 군사·전쟁 박물관 -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
    임페리얼 전쟁 박물관은 제1차 세계 대전 기록 보존을 위해 1917년 런던에 설립되어 연간 약 100만 명의 방문객이 찾는 박물관으로, 여러 분관을 운영하며 전쟁 관련 자료들을 소장하고 전쟁의 역사와 경험을 조명하고 전시 규모와 시설을 개선해왔다.
처칠 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내각전시집무실 지도 상황실
위치런던, SW1 킹 찰스 스트리트
웹사이트처칠 전쟁 상황실
일반 정보
이름처칠 전쟁 상황실
설립일1984년
소속대영제국 전쟁 박물관 (IWM)
관람객 수2019년 620,933명
관장필 리드
역사
원래 명칭내각전시지휘실
전시
주요 전시물윈스턴 처칠, 제2차 세계 대전 중 영국 내각 관련 자료

2. 건설 배경 및 과정

1930년대 후반, 영국 정부독일의 공습으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를 우려하여 정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지하 시설의 필요성을 인식했다. 1938년 5월, 독일군이 체코슬로바키아 국경에 집결함에 따라, 이러한 시설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졌다. 당시 영국 정부는 이러한 시설을 운영해본 경험이 없었기에, 어떻게, 어디에, 무엇을 포함해야 하는지에 대한 선례가 없었다.[3]

1939년 5월, 내각을 이 회의실 안에 수용하기로 결정했다.[2] 1939년 8월, 전쟁이 임박하고 교외의 보호된 정부 시설이 아직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쟁 회의실은 8월 27일에 가동되었다. 이는 9월 1일 폴란드 침공 및 9월 3일 영국이 독일에 선전 포고를 하기 불과 며칠 전이었다.[3]

2. 1. 초기 계획

1936년, 영국 공군을 담당하는 항공부는 런던 공습으로 매주 최대 2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2] 1937년, 워렌 피셔와 제임스 레이 경이 이끄는 위원회는 정부 주요 부처를 런던 외곽으로 분산시키는 계획을 검토했다.[2] 1938년 3월, 해스팅스 이스메이 경은 공공 사업부에 화이트홀 지역 내 임시 비상 정부 센터 건설 부지 조사를 지시했다.[3]

2. 2. 부지 선정 및 건설

1936년, 영국 공군을 담당하는 항공부는 전쟁 발발 시 런던에 대한 공중 폭격으로 매주 최대 2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2] 이에 영국 정부는 워렌 피셔와 제임스 레이 경의 지휘 아래 1937년과 1938년에 주요 정부 사무실을 런던 중심부에서 교외로 분산시키는 방안을 검토했다.[2]

1938년 3월, 해스팅스 이스메이 경은 공공 사업부에 화이트홀 지역을 조사하여 임시 비상 정부 센터를 건설할 적합한 부지를 찾도록 지시했다.[3] 1938년 5월, 공공 사업부는 의사당 광장 근처 뉴 퍼블릭 오피스(NPO)의 지하를 최적의 부지로 선정했다.[4]

내각 전쟁 회의실이 있는 뉴 퍼블릭 오피스의 그레이트 조지 스트리트 방향.


1938년 6월, 이스메이 경과 레슬리 홀리스 경의 감독 아래 NPO 지하 개조 작업이 시작되었다.[5] 이 작업에는 통신 및 방송 장비 설치, 방음, 환기, 보강 작업이 포함되었다.[5] 전쟁 회의실은 템스 강 수위보다 낮았기 때문에 침수를 방지하기 위해 방수문과 펌프가 설치되었다.[3]

2. 3. 중앙 전쟁 회의실 개념 도입

1938년 여름, 전쟁부, 해군성 및 항공부는 군 참모총장 간의 토론 및 의사 결정을 쉽게 하기 위한 중앙 전쟁 회의실의 개념을 개발했다.[5]

최종 결정 권한은 민간 정부인 내각 또는 더 작은 전시 내각에 있었기 때문에 고위 군 간부와의 긴밀한 접근이 필요했다.

2. 4. 가동 시작

1936년, 영국 공군을 담당하는 영국 정부 부처인 항공부는 전쟁 발생 시 런던에 대한 적의 공중 폭격으로 매주 최대 20만 명의 사상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1938년 3월, 해스팅스 이스메이 경은 공공 사업부에 화이트홀 지역을 조사하여 폭격 작전 중에 사용할 임시 비상 정부 센터를 건설할 적합한 부지를 파악하도록 지시했다.[3] 1939년 5월, 내각을 전쟁 회의실에 수용하기로 결정했다.[2] 1939년 8월 27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 내각 전시 집무실이 가동되었다.[3]

3. 제2차 세계 대전 중 활용

브렌던 브래켄의 내각 전쟁 회의실 사무실 겸 침실


클레멘타인 처칠의 방


내각 전시 집무실은 윈스턴 처칠 총리와 전시 내각의 주요 의사 결정 장소로 활용되었다. 네빌 체임벌린 총리 시절에는 1939년 10월에 단 한 번 회의가 열렸으나, 처칠 총리 취임 후 1940년 5월 "이곳은 내가 전쟁을 지휘할 방이다"라는 선언과 함께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7] 1940년 10월, 블리츠에 대비해 최대 1.5m 두께의 콘크리트 층(슬래브)을 설치하여 방호력을 강화했고, 1941년 봄까지 증축을 통해 시설 규모를 세 배로 확장했다.[6]

3. 1. 주요 시설

지도실은 영국 해군, 영국 육군 및 영국 공군의 장교들이 24시간 교대로 근무하며 국왕, 총리 및 군 참모총장에게 매일 정보 요약을 제공했다.[6]

내각 회의실은 총리와 핵심 고문, 3군 참모총장이 만나는 곳이었다. 비밀 유지가 중요했기에 회의 동안 두 명의 보초가 문 밖에 배치되었고, 회의는 때로는 이른 새벽까지 이어졌다.[7] 윈스턴 처칠 총리는 1940년 5월 내각 회의실을 방문하여 "이곳은 내가 전쟁을 지휘할 방이다"라고 선언했다.[7] 1940년 5월부터 1945년 3월까지 총 115회의 내각 회의가 이곳에서 열렸다.[8]

처칠의 사무실 겸 침실에는 BBC 방송 장비가 설치되어 처칠이 대국민 연설을 할 수 있었다.[12] 처칠은 이곳에서 4번의 전시 방송을 했다. 사무실은 침실로도 사용되었지만, 처칠은 지하에서 거의 잠을 자지 않았다.[12]

대서양 횡단 전화실은 1943년부터 SIGSALY 암호화 전화를 통해 처칠과 루스벨트 미국 대통령 간의 안전한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10] 첫 통화는 1943년 7월 15일에 이루어졌다.[10]

3. 2. 방호 강화

내각 전시 집무실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한 1939년에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주로 처칠 내각에서 사용되었다. 시설은 1~3미터 두께의 콘크리트슬래브로 방호된 엄폐호 형식으로, 1939년부터 1945년까지 100회 이상의 각료 회의가 개최되었다.

3. 3. 기타 시설

시설에는 직원을 위한 기숙사, 군 장교 및 고위 장관을 위한 개인 침실, 전화 교환 운영자를 위한 회의실이 있었다.[9] '독'이라고 불리는 지하 보관소는 직원들의 숙소로 활용되었으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불만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스메이의 개인 비서인 베티 그린은 "역겹다"고 묘사했다.

60 오른쪽과 60A 회의실은 각각 전화 교환대와 타이핑 풀로 사용되었다. 당시 복사 장비가 조악했기 때문에 회의록 사본을 손으로 타이핑하는 타이핑 풀에는 한 번에 최대 11명의 타이피스트가 배치되었다.

4. 종전 후 보존 및 관리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식되면서 내각 전시 집무실은 폐쇄되었다. 내각 회의실, 작전 상황실, 대서양 횡단 전화실, 처칠의 침실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존되었다.[13]

4. 1. 유지 및 관리

공공사업부가 유지 관리를 담당했다.[13] 1948년 3월, 전쟁 상황실의 일반 공개에 대한 질문이 의회에서 제기되었고, 담당 장관인 찰스 키 의원은 '기밀 업무가 수행되는 사무실의 일부인 시설을 일반 대중이 방문하도록 하는 것은 실현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했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그룹에 한해 예약 방문은 가능했다.[15] 1970년대까지(1975년 환경부로 상황실 관리 책임이 이전됨)[15] 매년 수만 건의 방문 요청이 접수되었지만, 그 중 5,000건 정도만 허용되었다.

4. 2. 보존 노력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항복하면서 전쟁이 끝났다. 다음 날, 작전 상황실의 불이 꺼지고 직원들은 사무실을 비웠다. 내각 회의실, 작전 상황실, 대서양 횡단 전화실, 처칠의 침실은 역사적 가치를 위해 보존되었다.

유지 관리는 공공사업부의 책임이 되었다.[13] 1948년 3월, 전쟁 상황실의 일반 공개에 대한 질문이 의회에서 제기되었고, 담당 장관인 찰스 키 의원은 기밀 유지를 이유로 공개는 어렵다고 밝혔다.[13] 그럼에도 불구하고 3월 17일 언론인들을 위한 투어가 조직되어 이즈메이 경의 환영과 관리인의 안내를 받았다.[14]

상황실은 일반 대중에게 공개되지 않았지만, 소규모 그룹은 예약 방문이 가능했다.[15] 1970년대(1975년 환경부로 관리 책임 이전)[15]에는 매년 수만 건의 방문 요청이 있었지만, 그 중 5,000건만 방문이 허용되었다. 한편,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환경은 가구, 지도 및 기타 문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국립 육군 박물관과 제국 전쟁 박물관 등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나왔으나, 결국 현장 자료 보존을 위해 7000GBP가 확보되었다.[17]

5. 일반 공개 및 박물관 운영

1974년, 제국전쟁박물관은 영국 정부로부터 부지 관리에 대한 검토를 요청받았다. 타당성 조사가 이루어졌으나, 박물관은 전쟁실에 투입할 충분한 자원이 없다고 판단하여 실행되지 못했다.[16] 1981년, 윈스턴 처칠의 열렬한 지지자로 알려진 마거릿 대처 총리1983년 영국 총선 이전에 전쟁실을 개방하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에 제국전쟁박물관은 다시 검토 요청을 받았다.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1982년 1월 박물관 이사회는 정부의 자원 제공을 조건으로 부지 인수를 결정했다. 초기 비용은 환경부에서 부담하고, 이후 전쟁실은 자체적으로 운영될 예정이었다.[17]

2012년 재설계 이전의 일반인 출입구. 오른쪽은 재무부 건물, 왼쪽은 외무·영연방부, 클라이브 계단이 보인다.


2012년 6월, 박물관 입구는 Clash Architects에 의해 재설계되었고, 컨설팅 엔지니어는 Price & Myers였다.[20] 박물관의 '비컨'(beacon, 신호등) 역할을 의도한[21] 새로운 외부 디자인은 다면적인 브론즈 출입구를 포함했으며, 내부에는 재무부 건물과 클라이브 계단의 청소 및 복원된 포틀랜드 석재 벽이 드러났다. 이 디자인은 '적절하게 군사적이며 불독과 같은' 모습으로, '건축과 조각의 융합'으로 평가받았다.[22][23]

5. 1. 제국 전쟁 박물관의 역할

1984년 4월 4일, 마거릿 대처 총리에 의해 내각 전시 집무실이 공식적으로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처칠 가족 구성원과 전 내각 전쟁실 직원들이 참석했다. 처음에는 환경부를 대신하여 제국전쟁박물관에서 전쟁실을 관리했으며, 1989년에 제국전쟁박물관으로 책임이 이전되었다.[17][18][33]

5. 2. 처칠 박물관 개관

1980년대에 들어 내각 전쟁 집무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32], 정부는 시민들에게 더 널리 공개하는 방법을 검토하여 1984년에 대영 제국 전쟁 박물관과 정부 청사 관리국 간의 협력으로 상시 공개되었다. 1989년에는 관리 운영이 대영 제국 전쟁 박물관으로 이관되었다.[33]

2003년, 내각 전시 집무실 폐쇄 후 설비가 제거되어 창고로 사용되던 처칠과 부인 클레멘타인을 포함한 동료들이 사용하던 9개의 방, 오늘날 '처칠 스위트'로 알려진 부분이 추가로 공개되었다. 2005년 2월, 처칠의 생애와 업적을 다루는 처칠 박물관이 개관했다.[34][35] 처칠의 공과 사 양면의 생활에 관한 실물과 복제품, 문서가 연대순으로 진열되어 있으며, 'The Lifeline'이라고 명명된, 세계적으로도 최대 규모로 여겨지는 인터랙티브 전시 방식을 통해 처칠의 90년 생애에 걸친 사건과 그의 행동을 따라갈 수 있다.[36]

2010년 5월, 박물관의 이름은 처칠 전쟁실로 축약되었다.[28]

6. 한국과의 연관성 (추가)

처칠 박물관은 영국의 총리였던 윈스턴 처칠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박물관이지만, 한국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사료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윈스턴 처칠은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등 한국 근현대사와 관련된 주요 국제 정세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LVA – Association of Leading Visitor Attractions https://www.alva.org[...] 2020-10-23
[2] 문서 For example, the war room facility codenamed [[Paddock (war rooms)|Paddock]] in [[Dollis Hill]], north west London, was completed in June 1940.
[3] 서적 Churchill War Rooms Guidebook IWM Publishing
[4] 웹사이트 The Treasury Building: 1 Horse Guards Road http://www.hm-treasu[...] 2010-08-25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abinet War Rooms: Constructing the war Rooms http://cwr.iwm.org.u[...] 2013-04-17
[6] 서적 Churchill Museum and Cabinet War Rooms (guidebook)
[7] 서적 Churchill Museum and Cabinet War Rooms (guidebook)
[8] 서적 Churchill Museum and Cabinet War Rooms (guidebook)
[9] 서적 Churchill Museum and Cabinet War Rooms (guidebook)
[10] 웹사이트 Sigsaly Story http://www.nsa.gov/a[...] National Security Agency 2012-01-03
[11] 서적 Churchill Museum and Cabinet War Rooms (guidebook)
[12] 서적 Churchill Museum and Cabinet War Rooms (guidebook)
[13] 문서 Hansard, 8 March 1948; 'War Cabinet Rooms HC Deb 8 March 1948 vol 448 c115W' https://api.parliame[...] 2010-01-20
[14] 뉴스 War Cabinet Rooms: Scene of Historic Counsels The Times 1948-03-18
[15] 문서 Hansard 6 December 1978; 'War Room, Storey’s Gate HC Deb 6 December 1978 vol 959 cc681-2W' https://api.parliame[...] 2009-03-18
[16] 문서 During the 1970s the Imperial War Museum also became formally responsible for the former [[Royal Air Force]] aerodrome at [[Imperial War Museum Duxford|Duxford]] in Cambridgeshire (1976) and the decommissioned [[Royal Navy]] warship {{HMS|Belfast|C35|6}} in 1978.
[17] 간행물 A short history of the Cabinet War Rooms 1945-1984 http://archive.iwm.o[...] Imperial War Museum 2012-04-25
[18] 문서 Cabinet War Rooms: HC Deb 23 March 1989 vol 149 c780W https://api.parliame[...] 2009-03-18
[19] 뉴스 Restored underground apartments opened to public https://www.theguard[...] 2009-07-28
[20] 뉴스 Churchill War Rooms entrance http://www.ajbuildin[...] 2014-08-04
[21] 웹사이트 New Churchill War Rooms entrance will reference military hardware, Jacob Epstein and Henry Moore http://www.culture24[...] 2012-06-19
[22] 웹사이트 Constructive criticism: the week in architecture https://www.theguard[...] 2012-06-19
[23] 웹사이트 Clash opens new Churchill War Rooms entrance http://www.architect[...] 2012-06-19
[24] 문서 Waterfield, Giles 'The Churchill Museum: Ministry of sound' Museum Practice No.30 (Summer 2005) pp.18-21
[25] 웹사이트 Making the Churchill Museum http://www.cassonman[...] Casson Mann 2012-04-25
[26] 웹사이트 Council of Europe Museum Prize (since 1977) http://assembly.coe.[...] 2010-01-22
[27] 웹사이트 Visits made in 2011 to visitor attractions in membership with ALVA http://www.alva.org.[...] Association of Leading Visitor Attractions 2012-04-25
[28] 웹사이트 Churchill War Rooms – May Half-term 2010: Press Release http://cwr.iwm.org.u[...] 2010-09-22
[29] 뉴스 News in Brief The Times 1948-03-09
[30] 문서 War Cabinet Rooms HC Deb 08 March 1948 vol 448 c115W https://api.parliame[...]
[31] 문서 War Room, Storey’s Gate HC Deb 06 December 1978 vol 959 cc681-2W https://api.parliame[...]
[32] 뉴스 The Times Diary: More visitors for the shrine under Whitehall The Times 1982-06-01
[33] 문서 Cabinet War Rooms: HC Deb 23 March 1989 vol 149 c780W https://api.parliame[...]
[34] 뉴스 チャーチル博物館が開館 ロンドン、宰相の生涯描く http://www.47news.jp[...] 共同通信ニュース 2005-02-15
[35] 서적 観光コースでないロンドン イギリス2000年の歴史を歩く 高文研
[36] 웹사이트 Making the Churchill Museum http://www.cassonman[...] Casson Mann 2008-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