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경상북도 청송군에 위치하며, 중생대 백악기의 퇴적암 및 화산암 지층, 불국사 화강암류, 선캄브리아기 지층 등 다양한 지질 유산을 포함한다. 주왕산, 청송 신성계곡 공룡발자국 화석,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와 같은 특이한 지질 유산이 있으며, 2014년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된 후 2017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주요 지질 명소로는 주왕산 국립공원, 주산지, 신성계곡, 백석탄 포트홀, 청송 얼음골, 병암 화강암 단애 등이 있다.

2. 청송군의 지질 개관

경상북도 청송군은 대부분 지역이 경상 분지에 속해 있어 중생대 백악기퇴적암-화산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 그리고 이들을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류가 주로 분포한다.[1] 일부 지역에는 영남 육괴의 선캄브리아기 지층도 나타난다.[1]

청송 지역은 주왕산,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와 같이 독특하고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 유산이 다수 발달해 있다. 이러한 지질학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청송은 2014년 4월 11일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2], 2017년 5월에는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국제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3]

2. 1. 경상 누층군

경상북도 청송군의 대부분 지역은 경상 분지에 속하며, 이곳에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퇴적암화산암으로 이루어진 경상 누층군이 넓게 분포한다.[1] 경상 누층군은 크게 하양층군과 유천층군으로 나뉜다.

2. 1. 1. 하양층군

일직층경상 분지 의성소분지의 퇴적암 지층으로[5], 청송군 내에서는 백석탄 일대에 분포한다. 이 지층은 주로 충적선상지 환경에서 쌓였으며, 역암, 역질사암, 사암 및 이암으로 구성된다. 일직층에서는 백악기 저어콘이 발견되지 않고 주로 쥐라기트라이아스기의 저어콘이 발견되는데, 이는 주변의 트라이아스기-쥐라기 관입암체(청송 화강암, 영덕 화강암 등)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5]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 336번지에 위치한 백석탄(N 36°21'25.43", E 128°58'35.28")은 길안천 계곡을 따라 발달한 지질 명소이다.[6] 백석탄이라는 이름은 하얀 돌이 반짝거리는 개울이라는 뜻으로, 석영이나 장석과 같은 밝은색 광물이 많아 암석이 전반적으로 흰색을 띤다. 이곳에서는 생물이 남긴 흔적 화석(생흔화석), 층리, 사층리, 이암 조각 등 다양한 퇴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지층 하부에는 2cm에서 20cm 크기의 역암층이 나타나고 위로 갈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상향 세립화 구조를 보인다. 중간 부분에는 중간 크기에서 굵은 크기의 모래(중립질~조립질 모래)가 우세하며, 사층리와 생물에 의해 퇴적 구조가 교란된 흔적 등이 나타난다. 또한 하천 바닥에는 오랜 시간 물에 의해 암반이 깎여 만들어진 포트홀(돌개구멍)이 발달해 있다.[6][7] 백석탄에 분포하는 일직층 사암에서 채취한 쇄설성 저어콘의 U-Pb 연대 측정 결과, 가장 젊은 연대는 1억 6400만 년 전(쥐라기), 가장 오래된 연대는 20억 900만 년 전(고원생대)으로 넓은 범위를 보였다. 하지만 선캄브리아기 연대를 보이는 저어콘은 소수이며, 대부분은 트라이아스기쥐라기 연대를 나타낸다. 이러한 저어콘 연대 분포와 암석의 특징을 고려할 때, 일직층의 퇴적물은 트라이아스기 및 전기 쥐라기 시대의 관입암체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5]

백석탄 전경


백석탄의 포트홀


백석탄의 포트홀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산 100-1, N 36°19'48", E 129°59'03")는 청송군 방호정 부근 경상 누층군 사곡층에 발달한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로,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일부이다. 이 화석 산지는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산사태가 발생한 자리에서 발견되었다.[1][8] 이곳의 사곡층은 전반적으로 북동 60°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주향), 남동쪽으로 33° 기울어져 있다(경사). 지층은 사암이암,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룡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는 층은 입자가 고운 사암(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과 이암이 번갈아 쌓인 퇴적암 지층이다. 지층 표면에는 물결 자국인 연흔 구조와 건조한 기후 환경에서 퇴적물이 마르면서 갈라진 건열 구조가 부분적으로 관찰된다. 이곳에서 확인된 공룡 발자국 보행렬은 수각류 11개, 용각류 3개, 조각류 5개이다.[1][8]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안내판 (방호정로 도로변)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를 위에서 바라본 모습 (좌표: 36°19'49.9"N, 128°59'03.6"E)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를 가운데서 바라본 모습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를 아래서 바라본 모습

2. 1. 2. 유천층군

청송군의 여러 지역에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암 지층인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이 분포한다.[1] 유천층군은 주로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암석들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청송군 주왕산면에 있는 주산지는 유천층군에 속하는 치밀용결응회암이라는 특정한 종류의 화산암 위에 만들어진 저수지이다.[10] 이 치밀용결응회암은 암석을 이루는 광물 입자들이 매우 촘촘하게 달라붙어 있어 물이 잘 통과하기 어려운 특징을 가지고 있다.[10] 이러한 지질학적 특성이 주산지의 물을 가두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2. 불국사 화강암류

중생대 백악기에 경상 누층군의 퇴적암-화산암 지층을 뚫고 들어온 불국사 화강암류가 청송군 내에 분포한다.[1] 대표적인 예로 청송군 부남면의 병암 화강암 단애 등이 있다.[12]

2. 2. 1. 병암 화강암

청송군 부남면 구천리 산 12 (N 36°18'49.50", E 129°06'48.41")에 위치한 병암 화강암 단애는 마치 병풍을 두른 것처럼 바위가 늘어선 모습을 하고 있다. 이곳은 부남암주 중에서도 입자가 고운 세립질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곡류하는 용두천 옆에서 단열대를 따라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수직 절벽인 단애가 형성되었다.[12]

2. 3. 선캄브리아기 지층

경상북도 청송군은 대부분 지역이 경상 분지에 속해 있어 중생대 백악기퇴적암-화산암 지층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 그리고 이들을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류가 분포하지만, 일부 지역에는 영남 육괴의 선캄브리아기 지층이 분포한다.[1]

2. 3. 1. 송강리 습곡구조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는 청송군 파천면 송강리 지역에 드러난 소규모 습곡 구조이다.[4] 송강리 지역은 시대가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변성암류(호상편마암, 화강암질편마암, 석회규산염암류)와 이를 관입한 시대 미상의 화강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다.[4]

습곡이 있는 곳의 암석은 석회규산염암류이며, 용전천 하천변을 따라 약 170m 정도 노출되어 있다.[4] 이곳에서는 다양한 지질 구조를 관찰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습곡, 암맥(Dyke), 단층 구조가 있다.[4] 관찰되는 습곡의 종류로는 등사습곡, 날개부가 없이 축부만 고립되어 나타나는 층간습곡, Z자형 비대칭습곡 등이 있다.[4] 암맥은 서로 다른 시기에 관입한 것으로 보이는 3종류의 산성암맥이 확인된다.[4] 단층의 경우, 습곡 구조를 자르고 지나간 단층 작용의 흔적과 이때 만들어진 단층경면이 관찰된다.[4] 이러한 복잡한 지질 구조들은 적어도 다섯 번 이상의 변형 단계를 거치며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

습곡구조가 드러난 노두로 이어지는 용전천의 연장 징검다리. 노란색 사각형 안이 습곡 구조가 드러난 석회규산염암 노두이다.


석회규산염암을 관입한 암맥


석회규산염암을 관입한 암맥


석회규산염암을 관입한 암맥


석회규산염암을 관입한 암맥


석회규산염암을 관입한 암맥


석회규산염암을 관입한 암맥


습곡 구조


엽리


엽리


송강리 습곡구조 세부


송강리 습곡구조 세부


송강리 습곡구조 세부


습곡


습곡


습곡


습곡

3.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경상북도 청송군은 대부분 지역이 경상 분지에 속해 있어 중생대 백악기퇴적암-화산암 지층 경상 누층군 하양층군과 유천층군 그리고 이들을 관입한 불국사 화강암류가 분포하며 일부 지역에는 영남 육괴의 선캄브리아기 지층이 분포한다.[1] 또한 주왕산, 청송 신성계곡 공룡발자국 화석, 청송 송강리 습곡구조와 같은 특이한 지질 유산들이 다수 발달한다. 청송은 2014년 4월 11일 대한민국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으며[2] 2017년 5월 국제적으로 지질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받았다.[3]

3. 1. 주요 지질 명소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은 한반도의 지질학적 역사를 보여주는 다양한 명소들을 포함하고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안덕면 고와리의 백석탄이 있으며, 하얀 암석과 포트홀이 특징이다.[6][7] 또한 안덕면 신성리의 신성계곡에서는 공룡 발자국 화석[1][8]과 한반도 지형 등을 만날 수 있다. 부남면 구천리에는 병풍처럼 깎아지른 병암 화강암 단애가 장관을 이룬다.[12] 이 외에도 주왕산 국립공원의 기암과 주상절리, 주산지, 청송 얼음골 등 학술적, 경관적 가치가 높은 지질 명소들이 곳곳에 분포한다.

3. 1. 1. 주왕산 국립공원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에 위치한 주왕산 기암단애는 주방천 계곡에 자리한 봉우리로, 지질학적으로는 유문암질 용결응회암으로 구성된 주왕산 응회암에 속한다. 이 독특한 지형은 암체가 식으면서 수축할 때 생긴 수직 방향의 절리를 따라 물과 바람에 의한 침식이 일어나 형성되었다. 대전사 방향에서 바라보면 마치 사람의 손가락을 모아 하늘을 향해 뻗은 듯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크게 7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다.[1]

같은 주왕산면 상의리에 있는 주왕산 급수대 주상절리 역시 주왕산 응회암의 용결응회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방천 계곡의 산책로를 따라 대전사에서 약 3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이 응회암 절벽은 주왕산 내 여러 응회암 절벽 중에서도 주상절리가 가장 뚜렷하게 발달한 곳이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수직 주상절리와 수직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9]

3. 1. 2. 주산지

주산지청송군 주왕산면 주산지리 73에 위치한 저수지이다. 이 저수지는 중생대 백악기에 분출한 경상 누층군 유천층군 치밀용결응회암 위에 만들어졌으며, 이 암석은 암석 내에 광물이 치밀하게 붙어 있어 물이 통과하기 어렵다.[10]

주산지 부근 치밀용결응회암의 노두


주산지 전경

3. 1. 3. 신성계곡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일대에 위치한 신성계곡은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일부로, 길안천이 감입 곡류하며 만들어낸 아름다운 지형과 다양한 지질학적 특징을 관찰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와 신성계곡 한반도 지형이 대표적인 명소이며, 방호정과 함께 지질 및 생태 탐방로로 활용된다.

'''청송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안덕면 신성리 산 100-1(N 36°19'48", E 129°59'03")에 위치하며, 방호정 인근 경상 누층군 사곡층에 발달해 있다.[1][8] 이 화석 산지는 2003년 태풍 매미로 인해 발생한 산사태 현장에서 발견되었다.[1] 이곳의 사곡층은 전반적으로 북동 60°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고(주향), 남동쪽으로 33° 경사져 있다. 주로 사암이암, 셰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룡 발자국 화석은 세립사암 내지 실트스톤과 이암이 번갈아 쌓인 퇴적암 지층에서 발견된다. 지층 표면에서는 물결 자국인 연흔 구조와 건조한 기후 환경을 알려주는 건열 구조도 부분적으로 관찰된다. 현재까지 확인된 공룡 발자국 보행렬은 수각류 11개, 용각류 3개, 조각류 5개이다.[1][8]

신성리 공룡발자국 화석산지와 방호정 북쪽으로는 '''신성계곡 한반도 지형'''이 펼쳐진다. 방호정로 도로변에서 산 중턱으로 이어지는 탐방로를 따라 약 160m 올라가면, 감입 곡류하는 길안천 물길이 마치 한반도 모양처럼 보이는 독특한 경관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전망대에서는 한반도 지형뿐만 아니라 남동쪽으로 기울어진 점곡층사곡층퇴적암 절벽도 함께 관찰할 수 있다.

신성계곡 한반도 지형 안내판


신성계곡 한반도 지형 전경. 멀리 보이는 절벽은 사곡층에 해당한다.

3. 1. 4. 백석탄 포트홀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 336 (N 36°21'25.43", E 128°58'35.28")에 위치한 백석탄은 길안천 계곡을 따라 발달한 지질 명소이다.[6] 이 지역에는 점곡층이 북서 37°의 주향과 북동 35°의 경사로 분포한다.[6] 백석탄이라는 이름은 '하얀 돌이 반짝거리는 개울'이라는 뜻으로, 암석에 석영장석 같은 밝은색 광물이 많아 하얗게 보이기 때문에 붙여졌다.[6]

백석탄에서는 흔적화석(생흔화석), 층리, 사층리, 이암편 등 다양한 퇴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6] 특히 하천 바닥의 암반이 오랜 시간 물의 흐름에 의한 풍화침식 작용을 받아 깊고 둥근 구멍들이 파인 포트홀(돌개구멍)이 잘 발달해 있다. 이는 물과 함께 운반되는 자갈 등이 암반의 오목한 곳이나 균열 부분에서 회전하며 암반을 마모시켜 형성된 지형이다.[6][7]

백석탄 일대에 분포하는 일직층경상 분지 의성소분지의 퇴적암 지층으로, 주로 역암, 역질사암, 사암, 이암으로 구성되며 충적선상지 환경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5] 백석탄의 일직층 사암에서 채취한 저어콘의 U-Pb 연대 측정 결과, 대부분 트라이아스기쥐라기 연대를 보여 주변의 트라이아스기-쥐라기 화성암체에서 퇴적물이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5]

3. 1. 5. 청송 얼음골

청송 얼음골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 경기장


청송 얼음골은 청송군 주왕산면 남동부에 위치한 계곡이다. (도로명주소: 청송군 주왕산면 팔각산로 228, 지번: 청송군 주왕산면 내룡리 1) 이곳은 여름철에도 얼음이 어는 특이한 지형으로 알려져 있다. 청송 얼음골에는 산꼭대기에 있던 암석이 풍화되어 부서지고 떨어진 애추(Talus|테일러스eng)가 산비탈에 쌓여 있다.[11] 겨울철에는 이곳에서 아이스클라이밍 월드컵이 개최되기도 한다.

3. 1. 6. 병암 화강암 단애

청송군 부남면 구천리에 위치한 병암 화강암 단애는 마치 병풍을 두른 듯 바위가 늘어서 있는 지형이다.[12] 이곳은 부남암주를 이루는 화강암 중에서도 입자가 고운 세립질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곡류하는 용두천 주변의 단열대를 따라 풍화침식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면서 수직의 단애가 형성되었다.[12]

참조

[1] 웹인용 MGEO 지질정보시스템 1: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국가지질공원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3] 웹인용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세계지질공원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4] 저널 청송군 송강리 석회규산염암류의 지질구조 (Geological Structures of the Limesilicates in the Songgang-ri, Cheongsong-gun, Korea) https://scienceon.ki[...] 2018년
[5] 저널 청송 세계지질공원 내 백악기 일직층, 점곡층, 사곡층의 쇄설성 저어콘 U-Pb 연령: 퇴적시기와 기원지 (Detrital zircon U-Pb ages of the Cretaceous Iljik, Jeomgok, and Sagok formations in the Cheongsong Global Geopark, Korea: Depositional age and Provenance) https://scienceon.ki[...] 2021년
[6]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년 11월
[7] 웹인용 지질명소 - 19. 백석탄 포트홀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8] 웹인용 청송의 아름다운 암벽과 강변을 낀 방호정과 그 주변 볼거리 https://blog.naver.c[...] 경북나드리, 경북관광 공식 블로그 2022년 11월 29일
[9] 웹인용 6. 급수대 주상절리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10] 웹인용 8. 주산지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11] 웹인용 9. 청송 얼음골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12] 웹인용 11. 병암 화강암 단애 https://csgeop.cs.go[...] 청송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식 사이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