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니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스니차는 크리스마스 이브나 이른 크리스마스 아침에 굽는 전통 빵으로, 동전이나 작은 인형 등 다양한 물건을 넣어 행운을 점치고, 풍요를 기원하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지역의 관습이다. 반죽에 물을 길어오는 과정, 빵 윗면에 기호 새기기, 숨겨진 물건 넣기 등 다양한 준비 과정을 거치며, 크리스마스 만찬에서 가족들이 빵을 나누어 먹는 의식을 통해 한 해의 행운과 번영을 기원한다. 지역에 따라 빵을 쪼개는 방식이나 먹는 시기가 다르며, 점술이나 풍요를 기원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요리 - 폴렌타
폴렌타는 옥수수 가루를 끓여 만든 이탈리아 요리로, 고대 로마 시대 곡물 죽에서 유래하여 옥수수가 주재료가 되었으며, 이탈리아 북부에서 주식으로 여겨지다 이탈리아 전역과 브라질로 퍼져 다양한 조리법으로 사랑받고 있다. - 세르비아 요리 - 프로슈토
프로슈토는 이탈리아식 돼지고기 햄으로, 생햄과 익힌 햄으로 나뉘며, 소금에 절여 건조하는 전통적인 제조 과정을 거쳐 생산되고, 파르마산 프로슈토와 산 다니엘레 프로슈토를 포함한 일부 제품은 원산지명칭보호 인증을 받았으며, 전채 요리나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밀빵 - 베이글
베이글은 밀가루 반죽을 끓는 물에 데친 후 구워 쫄깃한 식감을 내는 둥근 모양의 빵으로, 뉴욕과 몬트리올 등 유대인 지역에서 아침 식사로 인기가 높다. - 밀빵 - 추레키
추레키는 튀르키예어 '최레크'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아르메니아, 튀르키예 등에서 부활절에 먹는 빵으로, 밀가루, 설탕, 버터, 우유, 향신료 등을 넣어 만들며 각 지역별로 고유한 특징을 가진다.
체스니차 - [음식]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빵 |
국가 | 세르비아 |
국가별 요리 | 세르비아 요리 |
주요 재료 | 밀가루, 물 |
명칭 | |
세르비아어 | чесница, česnica |
로마자 표기 | česnica |
추가 정보 | |
용도 | 세르비아 의례용 둥근 빵 |
2. 준비
체스니차는 주로 밀가루로 만들며, 크리스마스 이브나 이른 크리스마스 아침에 굽는다.[1] 빵을 준비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규칙이 따르는데, 반죽에 사용할 물을 길어오는 것부터 시작하여,[2] 빵 반죽 후의 행동,[1] 반죽에 넣는 것,[3],[1],[4] 굽기 전에 새기는 문양[1],[5] 등이 있다.
2. 1. 재료 및 반죽
체스니차는 주로 밀가루로 만들며, 세대주나 안주인이 크리스마스 이브 또는 이른 크리스마스 아침에 굽는다.[1] 반죽에 사용할 물은 일부 지역에서 크리스마스 당일 해 뜨기 전에 샘이나 우물에서 길어오며, 곡물 한 줌을 넣는다.[2] 이 물은 강한 물이라고 부르며 유익한 힘이 있다고 믿는다.[3] 빵을 준비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규칙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밀가루는 가득 찬 자루에서만 가져오고, 반죽에 사용할 물은 세 개의 샘에서 길어오며, 체스니차를 준비하는 사람은 그 전에 목욕을 해야 한다. 세르비아 동부와 남부에서는 체스니차 반죽을 한 후, 세대주나 안주인이 반죽이 묻은 손으로 과일나무, 벌집, 가축을 만져서 더 생산적이 되도록 한다.[1]반죽을 할 때 동전을 넣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가족은 매년 같은 동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귀중한 조각일 수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닭, 황소, 소, 돼지, 꿀벌 등을 나타내는 사철나무로 조각한 작은 인형을 반죽에 넣기도 한다.[3] 다른 지역에서는 곡물, 강낭콩, 호두, 양털 뭉치, 잔가지, 다양한 나무 건물에서 나온 나무 조각 등이 포함된다.[1] 셈베리야에서는 가족들이 바드냑을 베어낼 때 처음 생긴 나무 조각을 넣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벌 때문에"라고 불리는 이유로 행해진다.[4] 굽기 전에 빵의 윗면에는 그리스도 문장, 별, 원, 열쇠나 빗의 모양 등 다양한 기호가 새겨질 수 있다.[5]
보이보디나에서 체스니차는 빵의 일종이 아니라, 필로로 만든 페이스트리로, 거칠게 다진 견과류와 건포도로 채워져 바클라바와 비슷하지만 더 건조하며, 보통 꿀만 넣어서 만든다. 동전은 층 사이에 넣는다.
2. 2. 숨겨진 물건
체스니차 반죽에는 동전을 넣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가족은 매년 같은 동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것은 귀중한 조각일 수도 있다.[3] 일부 지역에서는 닭, 황소, 소, 돼지, 꿀벌 등을 나타내는 사철나무 조각이나 작은 인형을 넣기도 한다.[3]다른 지역에서는 곡물, 강낭콩, 호두, 양털 뭉치, 잔가지, 다양한 나무 건물에서 나온 나무 조각 등을 넣기도 한다.[1] 셈베리야에서는 바드냑을 벨 때 처음 생긴 나무 조각을 넣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벌 때문에"라고 불리는 이유로 행해진다.[4] 굽기 전에는 빵 윗면에 그리스도 문장, 별, 원, 열쇠나 빗 모양 등 다양한 기호를 새기기도 한다.[5]
보이보디나에서 체스니차는 빵이 아니라 필로로 만든 페이스트리이다. 거칠게 다진 견과류와 건포도를 채워 넣어 바클라바와 비슷하지만 더 건조하며, 보통 꿀만 넣어서 만든다. 동전은 층 사이에 넣는다.
2. 3. 굽기
체스니차는 보통 밀가루로 만들며, 세대주나 안주인이 크리스마스 이브 또는 이른 크리스마스 아침에 굽는다.[1] 일부 지역에서는 크리스마스 당일 해 뜨기 전에 샘이나 우물에서 반죽에 사용할 물을 길어오며, 곡물 한 줌을 넣는다.[2] 이 물은 강한 물이라고 부르며 유익한 힘이 있다고 믿는다.[3] 빵을 준비하는 과정에는 다양한 규칙이 따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밀가루는 가득 찬 자루에서만 가져오고, 반죽에 사용할 물은 세 개의 샘에서 길어오며, 체스니차를 준비하는 사람은 그 전에 목욕을 해야 한다. 세르비아 동부와 남부에서는 체스니차 반죽을 한 후, 세대주나 안주인이 반죽이 묻은 손으로 과일나무, 벌집, 가축을 만져서 더 생산적이 되도록 한다.[1]반죽을 할 때 동전을 넣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가족은 매년 같은 동전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는 귀중한 조각일 수도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닭, 황소, 소, 돼지, 꿀벌 등을 나타내는 사철나무로 조각한 작은 인형을 반죽에 넣기도 한다.[3] 다른 지역에서는 곡물, 강낭콩, 호두, 양털 뭉치, 잔가지, 다양한 나무 건물에서 나온 나무 조각 등이 포함된다.[1] 셈베리야에서는 가족들이 바드냑을 베어낼 때 처음 생긴 나무 조각을 넣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벌 때문에"라고 불리는 이유로 행해진다.[4] 굽기 전에 빵의 윗면에는 그리스도 문장, 별, 원, 열쇠나 빗의 모양 등 다양한 기호가 새겨질 수 있다.[1],[5]
보이보디나에서 체스니차는 빵의 일종이 아니라, 필로로 만든 페이스트리로, 거칠게 다진 견과류와 건포도로 채워져 바클라바와 비슷하지만 더 건조하며, 보통 꿀만 넣어서 만든다. 동전은 층 사이에 넣는다.
3. 크리스마스 만찬
크리스마스 만찬은 1년 중 가장 축제 분위기가 넘치는 식사로, 정오나 그 이전에 시작된다. 가족 구성원들은 가장의 신호에 따라 자리에서 일어나 십자 성호를 긋고 촛불을 켠 후, 향을 피우고 기도를 드린다. 그리고 서로에게 "하느님의 평화, 그리스도께서 탄생하셨네."라고 말하며 입을 맞춘다.[3]
가장과 가족 중 다른 남성은 체스니차를 함께 잡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세 번 돌린 후, 빵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쪼개어 각자에게 나눠준다.[1][6] 이때 부재중인 친척, 낯선 사람, ''폴라즈니크''를 위해 최대 세 조각을 따로 떼어 놓을 수도 있다. 빵 조각에서 동전을 찾은 사람은 다가오는 해에 특히 운이 좋을 것이라고 여겨진다.[3]
코토르 만과 부코비차 등 일부 지역에서는 체스니차를 쪼개지 않고 테이블 등에 놓고 촛불을 꽂아두며, 크리스마스 만찬 시작 시 가장이 촛불을 켠다.[5][7] 코토르 만에서는 성 사바 축제 등 지역별로 체스니차를 먹는 날짜가 다를 수도 있다.[5] 일부 지역에서는 체스니차의 절반만 크리스마스 만찬에서 먹고, 나머지 절반은 일주일 후에 성 바실리오 대제 축일에 먹기도 한다.[3]
3. 1. 빵 나누기
크리스마스 만찬은 일 년 중 가장 축제 분위기가 넘치는 식사이다. 정오 즈음, 또는 심지어 그보다 더 일찍 시작된다. 가족 구성원들은 가장이 신호를 보내면 자리에서 일어선다. 가장은 십자 성호를 긋고 촛불을 켠 다음, 모인 친척들에게 향을 피우고 기도를 드린 후, 모두 서로에게 입을 맞추며 "하느님의 평화, 그리스도께서 탄생하셨네."라고 말한다.[3] 가장과 가족의 다른 남자는 체스니차를 서로 잡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세 번 돌린다. 그런 다음 체스니차를 친척들 사이에서 조심스럽게 쪼개어 빵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각자에게 빵 조각을 나눠준다.[1][6]빵의 최대 세 조각을 따로 떼어 놓을 수 있는데, 하나는 부재중인 친척을 위해(그런 사람이 있는 경우), 다른 하나는 만찬에 함께 할 수 있는 낯선 사람을 위해, 그리고 크리스마스 날 첫 방문객인 ''폴라즈니크''를 위해(그가 참석하지 않은 경우) 떼어 놓는다. 체스니차의 나머지 부분은 만찬 중에 소비된다. 빵 조각에서 동전을 찾은 가족 구성원은 다가오는 해에 특히 운이 좋을 것이라고 한다.[3] 가장은 이 행운의 친척에게서 동전을 사려고 할 수 있다. 빵 속에 숨겨진 다른 각 물건들은 체스니차를 나눠 가진 사람이 그 조각에서 그것을 발견하면 특히 성공할 가계 경제 부문을 나타낸다.[1]
코토르 만과 부코비차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크리스마스 만찬에서 체스니차를 쪼개어 먹지 않는다. 대신 테이블이나 근처에 놓고 촛불을 꽂아둔다. 가장은 크리스마스 만찬이 시작될 때 이 촛불을 켠다.[5][7] 부코비차에서는 몇 개의 올리브 또는 월계수 가지를 촛불 주위에 꽂아둔다.[7] 코토르 만에서는 체스니차를 먹는 날짜가 지역마다 다르며, 성 사바 축제인 크리스마스에서 20일 후일 수도 있다.[5] 일부 지역에서는 체스니차의 절반만 크리스마스 만찬에서 먹고, 나머지 절반은 일주일 후에 성 바실리오 대제 축제에 먹는다.[3]
3. 2. 지역별 관습
크리스마스 만찬은 일 년 중 가장 축제 분위기가 넘치는 식사이다. 정오 즈음, 또는 심지어 그보다 더 일찍 시작된다. 가족 구성원들은 가장이 신호를 보내면 자리에서 일어선다. 가장은 십자 성호를 긋고 촛불을 켠 다음, 모인 친척들에게 향을 피우고 기도를 드린 후, 모두 서로에게 입을 맞추며 "하느님의 평화, 그리스도께서 탄생하셨네."라고 말한다.[3] 가장과 가족의 다른 남자는 체스니차를 서로 잡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세 번 돌린다. 그런 다음 체스니차를 친척들 사이에서 조심스럽게 쪼개어 빵 부스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각자에게 빵 조각을 나눠준다.[1][6]빵의 최대 세 조각을 따로 떼어 놓을 수 있는데, 하나는 부재중인 친척을 위해(그런 사람이 있는 경우), 다른 하나는 만찬에 함께 할 수 있는 낯선 사람을 위해, 그리고 크리스마스 날 첫 방문객인 ''폴라즈니크''를 위해(그가 참석하지 않은 경우) 떼어 놓는다. 체스니차의 나머지 부분은 만찬 중에 소비된다. 빵 조각에서 동전을 찾은 가족 구성원은 다가오는 해에 특히 운이 좋을 것이라고 한다.[3] 가장은 이 행운의 친척에게서 동전을 사려고 할 수 있다. 빵 속에 숨겨진 다른 각 물건들은 체스니차를 나눠 가진 사람이 그 조각에서 그것을 발견하면 특히 성공할 가계 경제 부문을 나타낸다.[1]
코토르 만과 부코비차와 같은 일부 지역에서는 크리스마스 만찬에서 체스니차를 쪼개어 먹지 않는다. 대신 테이블이나 근처에 놓고 촛불을 꽂아둔다. 가장은 크리스마스 만찬이 시작될 때 이 촛불을 켠다.[5][7] 부코비차에서는 몇 개의 올리브 또는 월계수 가지를 촛불 주위에 꽂아둔다.[7] 코토르 만에서는 체스니차를 먹는 날짜가 지역마다 다르며, 성 사바 축제인 크리스마스에서 20일 후일 수도 있다.[5] 일부 지역에서는 체스니차의 절반만 크리스마스 만찬에서 먹고, 나머지 절반은 일주일 후에 성 바실리오 대제 축제에 먹는다.[3]
4. 민간 신앙
체스니차는 전통적인 민간 신앙에서 점술이나 풍요를 기원하는 의식에 사용되었다. 보스니아, 세르비아 서부 야다르, 헤르체고비나 등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체스니차를 통해 풍년을 기원했다. 이러한 관습은 12세기 발트해 루겐 섬의 서슬라브족 사이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1][4][8][9]
4. 1. 점술
전통적인 민간 신앙에서 체스니차는 일부 지역에서 점술에 사용될 수 있다.[1] 보스니아에서는 반죽 모양을 잡고 굽기 전에 표면에 여러 개의 홈을 파고 다양한 곡물 씨앗을 홈에 넣는다. 체스니차를 구울 때 홈이 더 많이 부풀어 오를수록, 그 씨앗이 들어 있는 작물이 다음 해에 더 풍작을 이룰 것이다.[1] 야다르, 서부 세르비아에서는 가족이 재배하는 곡물 및 가축 종류의 합계와 동일한 수의 바드냑 숯불을 불에서 꺼내 체스니차 위에 놓는다. 각 종류는 그 빵 위의 자체 숯불과 연결된다. 다른 숯불보다 더 오래 빛을 유지하는 종류가 다음 해에 가장 생산적일 것이다.[4] 곡물 풍요를 보장하기 위해, 어떤 사람들은 곡물로 채워진 그릇을 체스니차 위에 놓는다.[1]19세기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두 남자가 체스니차를 서로 번갈아 가며 돌렸는데, 한 남자는 "제가 [체스니차 뒤에서] 튀어 나왔습니까?"라고 묻고, 다른 남자는 "네, 조금요."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첫 번째 남자는 "지금은 조금, 내년에는 조금도 안 보일 것입니다."라고 말하곤 했다. 이 대화 목적은 다가오는 해에 곡물 풍요를 기원하는 것이었다.[8] 비슷한 관행이 발트해의 루겐 섬에 살았던 12세기 서슬라브족 사이에서 기록되었다. 그 슬라브족은 스반토비트 숭배자였으며, 아르코나 곶에 그 신을 위한 큰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그의 저서 ''데인인의 사적'' 제14권에서, 수확 후 매년 그 사원 앞에서 열린 스반토비트 축제를 묘사했다. 한 의식에서 꿀로 덮인 둥근 빵(지름이 사람 키와 같은)을 스반토비트 조상 앞에서 수직으로 들고 있었다. 사원 사제가 빵 뒤로 가서 모인 사람들에게 그를 보는지 물었다. 그들이 그렇다고 대답하자, 사제는 내년에는 그를 보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의식 목표는 다음 해에 곡물 풍작을 보장하는 것이었다.[9]
4. 2. 풍요 기원
전통적인 민간 신앙에서 체스니차는 일부 지역에서 점술에 사용될 수 있다. 보스니아에서는 반죽 모양을 잡고 굽기 전에 표면에 여러 개의 홈을 파고 다양한 곡물 씨앗을 홈에 넣는다. 체스니차를 구울 때 홈이 더 많이 부풀어 오를수록, 그 씨앗이 들어 있는 작물이 다음 해에 더 풍작을 이룰 것이라고 믿었다.[1] 야다르(서부 세르비아)에서는 가족이 재배하는 곡물 및 가축 종류의 합계와 동일한 수의 바드냑 숯불을 불에서 꺼내 체스니차 위에 놓는다. 각 종류는 그 빵 위의 자체 숯불과 연결된다. 다른 숯불보다 더 오래 빛을 유지하는 종류가 다음 해에 가장 생산적일 것이라고 여겼다.[4] 곡물의 풍요를 보장하기 위해, 어떤 사람들은 곡물로 채워진 그릇을 체스니차 위에 놓기도 한다.[1]19세기 헤르체고비나에서는 두 남자가 체스니차를 서로 번갈아 가며 돌리는 풍습이 있었다. 한 남자는 "제가 [체스니차 뒤에서] 튀어나왔습니까?"라고 묻고, 다른 남자는 "네, 조금요."라고 대답했다. 그러면 첫 번째 남자는 "지금은 조금, 내년에는 조금도 안 보일 것입니다."라고 말하곤 했다. 이 대화 목적은 다가오는 해에 곡물 풍요를 기원하는 것이었다.[8] 비슷한 관행이 발트해 루겐 섬에 살았던 12세기 서슬라브족 사이에서도 기록되었다. 그 슬라브족은 스반토비트 숭배자였으며, 아르코나 곶에 그 신을 위한 큰 사원을 가지고 있었다. 삭소 그라마티쿠스는 그의 저서 ''데인인의 사적'' 제14권에서, 수확 후 매년 그 사원 앞에서 열린 스반토비트 축제를 묘사했다. 한 의식에서 꿀로 덮인 둥근 빵(지름이 사람 키와 같은)을 스반토비트 조상 앞에서 수직으로 들고 있었다. 사원 사제가 빵 뒤로 가서 모인 사람들에게 그를 보는지 물었다. 그들이 그렇다고 대답하자, 사제는 내년에는 그를 보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의식 목표는 다음 해에 곡물 풍작을 보장하는 것이었다.[9]
참조
[1]
간행물
Чесница
Zepter Book World
[2]
서적
Politika: Narodna knjiga
[3]
서적
Sazvežđa
[4]
서적
Srpska književna zadruga
[5]
논문
Božićni običaji u Boki Kotorskoj
http://www.rastko.rs[...]
Yugoslav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0-01-04
[6]
서적
Kako biti svoj gazda
Papirus
[7]
논문
Bukovica: narodni život i običaji
http://www.rastko.rs[...]
Yugoslav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10-01-04
[8]
서적
Lexicon serbico-germanico-latinum
https://archive.org/[...]
Vuk Stefanović Karadžić
2010-01-04
[9]
서적
IRO Grafos
2010-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