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이보디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자치주로, '보이보디십'을 의미하며, 세르비아어, 헝가리어 등 6개의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세르비아인, 헝가리인, 독일인이 거주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에 편입되었다. 이후 유고슬라비아 연방에 속했다가 붕괴 후 세르비아 영토로 남았다. 25개 이상의 민족이 거주하는 다민족 지역으로 세르비아인이 가장 많으며, 농업과 식품 산업이 발달했다. 보이보디나 의회와 정부가 있으며, 보이보디나 과학예술 아카데미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헝가리어권 - 루마니아
    루마니아는 면적이 238,391km²인 동남유럽의 공화국으로, 카르파티아 산맥을 중심으로 산지, 구릉, 평야가 분포하며 다뉴브 강이 서쪽과 남쪽 경계를 이루고, 1859년 왈라키아와 몰도바의 통합으로 루마니아 공국이 성립되었으며, 2004년 NATO, 2007년 유럽 연합에 가입했다.
  • 헝가리어권 - 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는 중앙유럽의 내륙국으로, 슬라브족의 땅이라는 의미의 국명을 가지며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후 1993년 독립, 산악 지형과 다뉴브 강, 국립공원을 보유한 고소득 선진 경제 국가이자 EU와 NATO 회원국이며, 아이스하키와 축구가 인기 스포츠이다.
  • 세르비아 - 베오그라드
    베오그라드는 다뉴브강과 사바강 합류 지점에 위치한 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로마 시대 싱기두눔으로 번성한 역사적 도시이며, 여러 제국을 거쳐 세르비아의 중심지로 발전해왔다.
  • 세르비아 -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는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슬라브어의 표준화된 방언으로,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발칸 반도를 중심으로 1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고 세르비아 등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풍부한 문학적 유산을 가진 언어이다.
  • 보이보디나 - 초카
    초카는 세르비아 북부 보이보디나 자치주에 위치한 도시이자 지방 자치체의 중심지로, 다양한 민족의 역사를 거쳐 현재는 헝가리인이 다수를 차지하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보이보디나 - 수보티차
    수보티차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신석기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가 번성했으며, 헝가리, 오스만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세르비아의 중요한 산업, 교통, 문화 중심지이다.
보이보디나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보이보디나 깃발
깃발
보이보디나 전통 깃발
전통 깃발
보이보디나 문장
문장
보이보디나 전통 문장
전통 문장
공식 명칭자치주 보이보디나





별칭없음
표어없음
위치세르비아 최북단 자치주
행정 중심지노비사드
설립세르비아 보이보디나 형성 (1848년)
세르비아 왕국과 통합 (1918년)
자치주 설립 (1944년)
현재 자치주 (1990년)
정부 형태의회 공화국 내의 자치주
정부 수반마야 고이코비치 (세르비아 진보당)
의회 의장발린트 유하스 (보이보디나 헝가리인 연합)
의회보이보디나 의회
면적21,614 제곱킬로미터 (8,304 제곱마일)
인구총인구: 1,740,230명 (2022년)
인구밀도: 자동 계산
언어세르비아어
헝가리어
슬로바키아어
루마니아어
크로아티아어
판노니아 루신어
국내 총생산 (GDP)총액: 2조 3230억 7천만 세르비아 디나르 (2023년) / 216억 1600만 달러
1인당: 133만 4천 세르비아 디나르 / 8,100 달러 (2023년)
시간대중앙유럽 시간 (CET)
UTC+1
중앙유럽 서머타임 (CEST)
UTC+2
ISO 코드RS-VO
인간 개발 지수 (HDI, 2019년)0.806 (매우 높음, 세르비아 2위)
공식 웹사이트www.vojvodina.gov.rs
기타 정보
로마자 표기영어: 보이보디나 (Voyvodina)
세르비아어: 보이보디나 (Vojvodina)
기타 언어 표기헝가리어: 버이더샤그 어우토놈 털토마니 (Vajdaság Autonóm Tartomány)
슬로바키아어: 어우토놈나 포크라이나 보이보디나 (Autonómna Pokrajina Vojvodina)
루마니아어: 프로빈치아 어우토노머 보이보디나 (Provincia Autonomă Voivodina)
루신어: 어우토놈나 포크라이나 보이보디나 (Автономна Покраїна Войводина)
크로아티아어: 어우토놈나 포크라이나 보이보디나 (Autonomna Pokrajina Vojvodina)
전화 지역 번호없음
우편 번호없음

2. 명칭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어로 보이보디십을 의미하며, 보이보드(voivode)가 다스리는 일종의 공국이다. 보이보드(vojvoda)는 고대 슬라브어 voevoda에서 유래한 칭호이며, 전사를 뜻하는 vojnik이나 지도자를 의미하는 voditi와 어원을 같이 한다. 직접적으로는 1848년 이 지역이 세르비아인의 보이보디나(Serbian Vojvodina)로 불린 데서 유래한다.

공식 명칭은 '''보이보디나 자치주'''이다.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6개 공용어로 된 명칭은 다음과 같다.

언어명칭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Autonomna Pokrajina Vojvodina|아우토놈나 포크라이나 보이보디나hr
판노니아 루신어Автономна Покраїна Войводина|아우토놈나 포크라이나 보이보디나rsk
슬로바키아어Autonómna pokrajina Vojvodina|아우토놈나 포크라이나 보이보디나sk
루마니아어Provincia Autonomă Voivodina|프로빈치아 아우토노마 보이보디나ro
헝가리어Vajdaság Autonóm Tartomány|버여샤그 아우토놈 터르토마니hu


3. 역사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에 편입되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1910년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인구 조사에서는 이 지역 주민의 33.8%가 세르비아인, 28.1%가 헝가리인, 21.4%가 독일인이었다.[91]

1918년 10월 29일, 스렘은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0월 31일에는 티미쇼아라에서 바나트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헝가리 정부가 독립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단명했다.[17] 11월 25일, 노비사드에서 열린 바나트, 바치카, 바라냐의 세르비아인, 부뉴예프치인 및 기타 슬라브인 대인민회의는 보이보디나와 세르비아 왕국의 통합을 선포했다. 이 회의에는 757명의 대표가 참석했는데, 그중 578명은 세르비아인, 84명은 부뉴예프치인, 62명은 슬로바키아인, 21명은 루테니아인, 6명은 독일인, 3명은 쇼크치인, 2명은 크로아티아인, 1명은 헝가리인이었다.[17] 전날인 11월 24일, 스름 의회는 스름과 세르비아의 통합을 선포했다. 1918년 12월 1일, 보이보디나는 공식적으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8]

1929년부터 1941년까지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도나우 바노비나의 일부였다.[1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과 헝가리, 크로아티아 독립국이 점령하여 분할 통치하였다. 1944년 추축국 점령이 종식된 후, 1945년 세르비아자치주로 재편되었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따라 코소보와 함께 광범위한 자치권을 얻었으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집권 시기인 1990년 세르비아의 헌법 개정으로 대부분의 자치권이 베오그라드로 이관되었다. 2000년 밀로셰비치 실각 이후, 2002년 포괄법에 의해 자치권이 일부 향상되었으며, 2008년에는 새로운 헌장이 채택되었다.

3. 1. 고대 ~ 중세

신석기 시대에는 스타체보 문화와 빈차 문화가 이 지역에서 번성했다. 기원전 4200년경 인도유럽어족 민족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8] 청동기 시대철기 시대에는 부체돌 문화, 바틴 문화, 보수트 문화 등 인도유럽계 고고학 문화가 발달했다.

기원전 1세기 로마 정복 이전에는 일리리아인, 트라키아인, 켈트족 등이 거주했다. 이 지역에 있었던 국가는 켈트족 스코르디스키 왕국(기원전 3세기~기원후 1세기)과 부레비스타의 다키아 왕국(기원전 1세기)이었다.

로마 제국 시대에 시르미움(현재의 스렘스카 미트로비차)은 로마 제국의 4개 수도 중 하나였으며, 6명의 로마 황제가 이 지역에서 태어났다. 이 도시는 하판노니아, 판노니아 세쿤다, 판노니아 관구, 일리리쿰 총독 관구를 포함한 여러 로마 행정 구역의 수도이기도 했다.

로마 지배는 5세기까지 지속되었고, 그 후 고트족, 훈족, 게피드족, 아바르족 등 다양한 민족의 지배를 받았다. 6세기~7세기에 슬라브족이 정착했으며,[8] 아보드리테족, 세베르족, 브라니체프치족, 티모차니족 등의 부족이 거주했다.

9세기에는 불가리아 제국, 대모라비아, 류데비트의 판노니아 공국 등이 이 지역을 지배했다. 살란, 글라드, 아흐툼 등 지역 슬라브족 통치자들이 등장했다. 첼라레보에서는 유대교를 믿었던 사람들의 흔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3. 2. 헝가리 왕국 시대 (10세기~16세기)

헝가리 왕국은 10세기에서 12세기 사이에 보이보디나 대부분 지역을 지배하기 시작했고, 16세기까지 헝가리의 통치가 이어졌다. 11세기부터 마자르인(헝가리인)들이 이 지역에 정착하면서, 원래 거주하던 슬라브계 주민들을 대체하기 시작했다.

바치 요새(Bač Fortress)


14세기부터는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피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온 세르비아인 난민들이 늘어나면서 슬라브계 주민의 수가 다시 증가했다. 오스만 제국의 정복과 초기 통치 기간 동안, 대부분의 헝가리인들은 이 지역을 떠났다.[9] 따라서 오스만 시대 보이보디나의 인구는 주로 세르비아인들이 பெரும்பான்மை를 차지했고, 다양한 민족 출신의 무슬림들도 상당수 거주했다.[9]

9세기 아바르 카간국이 붕괴된 이후, 이 지역에는 슬라브족에 의한 국가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보이보디나를 지배한 대표적인 슬라브족 국가로는 불가리아 제국, 모라비아 왕국, 류데비트 포사브스키의 판노니아 크로아티아 등이 있었다. 불가리아 제국의 지방 영주로서 이 지역을 통치한 사람은 살란과 글라드이며, 살란은 티텔에, 글라드는 갈라드 요새(Galad) 또는 클라도보(Kladovo)에 거주했다고 전해진다. 글라드의 후손인 아흐툼은 11세기의 영주로, 헝가리의 보이보디나 진출에 저항했다.




3. 3. 오스만 제국 시대 (16세기~18세기)

모하치 전투에서 헝가리 왕국이 오스만 제국에 패배한 후, 이 지역은 무정부 상태와 내전의 시대를 맞이하였다. 1526년 세르비아 용병대 지도자인 요반 네나드는 바치카, 북부 바나트, 그리고 스렘의 일부 지역을 지배하였다. 그는 수보티차를 수도로 하는 덧없는 독립 국가를 건설했다.

요반 네나드는 그의 권력이 최정점에 달했을 때 수보티차에서 자신을 세르비아 황제로 선포했다. 극도로 혼란스러운 군사 및 정치적 상황을 이용하여, 이 지역의 헝가리 귀족들은 그에게 맞서 힘을 합쳐 1527년 여름 세르비아군을 물리쳤다. 요반 네나드 황제는 암살당했고 그의 국가는 붕괴되었다. 황제의 국가가 멸망한 후, 요반 네나드 군대의 최고 사령관인 라도슬라브 첼니크는 오스만의 봉신으로서 통치하며 스렘 지역에 자신의 임시 국가를 세웠다.

수십 년 후, 이 지역 전체는 오스만 제국에 편입되었고, 17세기 말과 18세기 전반까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편입되었다. 1699년 신성 동맹오스만 제국 사이의 카를로비츠 조약은 중앙 유럽에서 오스만 군대의 철수와 그 대륙의 그 지역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우위를 의미했다. 조약에 따라 보이보디나의 서부는 합스부르크 가문에 넘어갔다. 동부(동부 스렘과 타미슈바르 주)는 1716년 오스트리아의 정복까지 오스만의 손에 남아 있었다. 이 새로운 국경 변화는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에 의해 비준되었다.[69][70][71][72][73]

3. 4. 합스부르크 군주국 시대 (18세기~1918년)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이 중앙유럽에서 철수하면서, 보이보디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17세기 말, 오스만 제국에서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헝가리 왕국 영토로 세르비아인들이 대규모로 이주해왔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과의 국경 지대(군사국경지대) 방어를 대가로 합스부르크 군주국 내에서 민족적 지위와 권리를 인정받았다.[90]

합스부르크 통치 초기, 보이보디나 지역 대부분은 군사국경지대의 일부였으나, 점차 민정 지역이 확대되었다. 1716년에는 독일인 정착이 장려되었고, 1782년부터는 프로테스탄트 헝가리인과 독일인들이 대규모로 이주해왔다.

230px


1848년 혁명 시기인 1848년-1849년, 보이보디나에서는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 사이에 민족 분쟁이 발생했다. 스렘스키 카를로프치에서 열린 5월 의회(1848년 5월 13일-15일)에서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속하는 자치 영역으로서 세르비아인의 보이보디나 설치를 선포하고 헌법을 채택했다. 세르비아인의 보이보디나는 스렘, 바치카, 바나트로 구성된다고 명시되었다.[78]

1849년, 오스트리아와 세르비아인들은 헝가리 혁명 세력을 물리쳤다. 같은 해 11월, 오스트리아 황제의 결정에 따라 헝가리 왕국 밖에 세르비아인의 보이보디나와 테메슈바르 바나트(Voivodship of Serbia and Tamiš Banat)가 설치되었다. 이 자치 영역은 바나트, 바치카, 스렘 지역으로 구성되었으며, 테메슈바르(티미쇼아라)에 수도를 두었다. 그러나 1860년, 이 공국은 폐지되고 대부분의 지역은 다시 헝가리 왕국에 편입되었다.

1867년 아우스글라이히로 헝가리 왕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자치 지역이 되면서, 보이보디나는 다시 헝가리의 통치를 받게 되었다. 1910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보이보디나 주민은 세르비아인이 33.8%, 헝가리인(마자르인)이 28.1%, 독일인이 21.4%였다.[91]

3. 5. 세르비아 왕국 및 유고슬라비아 시대 (20세기 이후)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붕괴되었다. 1918년 10월 29일, 스렘은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국가의 일부가 되었다. 1918년 10월 31일에는 티미쇼아라에서 바나트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헝가리 정부가 그 독립을 인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수명이 짧았다.[17]

1918년 11월 25일, 노비사드에서 열린 바나트, 바치카, 바라냐의 세르비아인, 부뉴예프치인 및 기타 슬라브인 대인민회의는 보이보디나(바나트, 바치카, 바라냐)와 세르비아 왕국의 통합을 선포했다. 이 회의에는 757명의 대표가 참석했는데, 그중 578명은 세르비아인, 84명은 부뉴예프치인, 62명은 슬로바키아인, 21명은 루테니아인, 6명은 독일인, 3명은 쇼크치인, 2명은 크로아티아인, 1명은 헝가리인이었다.[17] 그 전날인 11월 24일, 스름 의회는 스름과 세르비아의 통합을 선포했다. 1918년 12월 1일, 보이보디나(세르비아 왕국의 일부로서)는 공식적으로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18]

1929년부터 1941년까지 이 지역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주인 도나우 바노비나의 일부였다.[19] 그 수도는 노비사드였다. 보이보디나와 바라냐의 핵심 영토 외에도 도나우강 남쪽의 슈마디야와 브라니체보 지역의 상당 부분을 포함했지만, 벨그라드는 포함되지 않았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나치 독일과 그 동맹국인 헝가리 왕국과 크로아티아 독립국은 보이보디나를 점령하여 분할했다. 바치카와 바라냐는 헝가리에 합병되었고, 시르미아크로아티아 독립국에 포함되었다. 더 작은 도나우 바노비나(바나트, 슈마디야, 브라니체보 포함)는 세르비아 군사령관 지역의 일부로 지정되었다. 이 작은 주의 행정 중심지는 스메데레보였다. 그러나 바나트독일인 소수 민족이 통치하는 별도의 자치 지역이었다.

점령군은 민간인, 특히 세르비아인, 유대인, 로마인에 대해 수많은 범죄를 저질렀다. 보이보디나의 유대인 인구는 거의 전멸하거나 강제 추방되었다. 총 5만 명의 보이보디나 시민(대부분 세르비아인, 유대인, 로마인)이 추축국 점령 당국에 의해 살해되었고, 28만 명 이상이 수감, 체포, 폭행 또는 고문을 당했다. 보이보디나의 다양한 지역에서 나치 독일군, 우스타샤, 헝가리 추축군이 이러한 범죄를 저질렀다.[20] 많은 역사가와 저술가들은 라파엘 렘킨을 포함하여 우스타샤 정권의 대량 학살을 세르비아인에 대한 집단 학살로 묘사한다.[21][22][23][24]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헝가리 왕국의 군대인 키랄리 혼베드세그가 수행한 군사 작전인 노비사드 습격은 이전 유고슬라비아 영토의 헝가리 점령 및 합병 후 남부 바치카 지역에서 3,000~4,000명의 민간인 사망으로 이어졌다. 헝가리 당국의 지배하에 바치카에서는 19,573명이 살해되었는데, 그 대부분의 희생자는 세르비아인, 유대인, 로마인이었다.

1944년 추축국 점령이 종식되었을 때, 이 지역은 새로운 공산 당국이 운영하는 군사 행정(1944-45) 아래 일시적으로 배치되었다. 군사 행정 중 및 이후 수천 명의 시민이 살해되었다. 희생자는 대부분 독일인 민족이었지만 헝가리인과 세르비아인도 살해되었다. 전시 추축국 점령 당국과 전후 공산 당국 모두 보이보디나 지역에 강제 수용소를 운영했다. 전시 수용소의 수감자는 대부분 유대인, 세르비아인, 공산주의자였지만, 전후 수용소는 독일인 민족(역사적으로 다뉴브 스와비아인으로 알려짐)을 위한 것이었다.

보이보디나의 독일인 민족 대부분(약 20만 명)은 1944년 패퇴한 독일군과 함께 이 지역을 탈출했다.[25] 이 지역에 남은 사람들(약 15만 명) 대부분은 감옥으로 봉쇄된 마을 중 일부로 보내졌다. 약 48,447명의 독일인이 질병, 기아, 영양실조, 학대, 추위로 수용소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산된다.[26] 1944년 10월 이후 보이보디나에서 파르티잔에 의해 살해된 독일인은 약 8,049명이다.[27][28]

또한 전후 공산 당국이 1944년~45년 세르비아 공산주의 숙청 기간 동안 헝가리인 약 1만 5천~2만 명[29][30]과 세르비아인 약 2만 3천~2만 4천 명[31]을 살해한 것으로 추산된다. 드라고류브 지브코비치에 따르면, 1941년부터 1948년까지 보이보디나에서 약 4만 7천 명의 세르비아 민족이 살해되었다. 그중 절반은 추축군 점령군에 의해, 나머지 절반은 전후 공산 당국에 의해 살해되었다.[31]

이 지역은 1944년에 정치적으로 복원되었고(시르미아, 바나트, 바치카, 바라냐 포함) 1945년 세르비아자치주가 되었다. 이전 이름(도나우 바노비나) 대신 이 지역은 보이보디나라는 역사적인 이름을 되찾았고, 수도는 노비사드로 남았다. 보이보디나의 최종 국경이 정의되었을 때, 바라냐는 크로아티아에 할당되었고, 마치바 지역의 북부는 보이보디나에 할당되었다.

수십 년 동안 보이보디나 지방은 세르비아 내에서 제한적인 자치권만을 누렸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따라 코소보와 보이보디나 모두 세르비아유고슬라비아 의회에서 사실상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자치권을 얻었다. 두 지방 의회의 동의 없이는 지방의 지위를 변경할 수 없었다.

같은 시기에 채택된 1974년 세르비아 헌법은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로 구성되며, 이는 유고슬라비아 여러 민족과 국민들의 국민해방전쟁(제2차 세계 대전)과 사회주의 혁명에서의 공동 투쟁에서 비롯되었다"고 명시했다.[32]

1990년대 크로아티아 전쟁 중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세르비아 내 크로아티아인 박해가 조직되었고, 보이보디나 일부 지역에서 크로아티아인 추방에 참여했다. 1992년 6월, 7월, 8월에 베오그라드의 ''인도주의 법 기금''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보이보디나의 1만 명 이상의 크로아티아인이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의 재산과 자신의 재산을 맞바꾸었고, 총 2만 명의 크로아티아인이 세르비아를 떠났다.[33] 다른 추산에 따르면, 밀로셰비치 정권의 정치적 압력으로 세르비아를 떠난 크로아티아인의 수는 2만 명에서 4만 명 사이일 것이다.[34] 보이보디나 크로아티아인 민주 동맹의 페타르 쿤티치에 따르면,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5만 명의 크로아티아인이 세르비아를 떠나도록 압력을 받았다.[35][36]

세르비아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통치하에 1988년 여름과 가을에 보이보디나 당 지도부에 대한 일련의 시위가 발생하여 지도부가 사임하게 되었다. 결국 보이보디나와 코소보세르비아 지방의 자치권을 사실상 박탈한 세르비아의 헌법 개정안을 수용해야 했다. 세르비아 공화국 신헌법이 채택된 1990년 9월,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는 국가성의 요소들을 상실했다.

보이보디나는 여전히 세르비아자치주로 불렸지만, 유고슬라비아 집단 대통령에 대한 투표권을 포함한 대부분의 자치권은 수도 베오그라드의 통제로 이관되었다. 보이보디나는 여전히 자체 의회와 정부, 그리고 다른 일부 자치 기능을 유지했다.

2000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몰락은 보이보디나에 새로운 정치적 분위기를 조성했다. 정당 간의 논의에 이어 2002년 포괄법에 의해 주의 자치 수준이 다소 향상되었다. 보이보디나 주 의회는 2008년 10월 15일 새로운 헌장을 채택했는데, 부분적으로 수정된 후 세르비아 의회의 승인을 받았다.

2013년 1월 28일, 노비사드의 제3세르비아 정치 조직이 보이보디나의 자치권을 폐지하자는 제안에 대한 답변으로,[38][39] 자치 옹호 단체인 보이보디나당은 노비사드에 "보이보디나 공화국" 포스터를 게시하는 캠페인을 벌였다.[40]

4. 지리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 북부에 위치하며, 중앙유럽 판노니아 평원의 남동쪽에 자리잡고 있다. 플리오세 시대에 판노니아 해가 말라 형성된 평원으로, 비옥한 양토성 뢰스 토양이 풍부하고 흑토층으로 덮여 있다.

팔리치 호수


이 지역은 다뉴브 강과 티사 강에 의해 세 지역으로 나뉜다.[41]

사바 강 남쪽 스렘 구에 있는 마치바 지역의 일부도 보이보디나에 속한다. 오늘날 스렘의 서쪽은 크로아티아, 바치카의 북쪽은 헝가리, 바나트의 동쪽은 루마니아(헝가리에 작은 부분이 있음)에 위치하며, 다뉴브 강과 드라바 강 사이에 있는 바라냐는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에 속한다.

보이보디나의 총 면적은 21500km2이다.[42] 다뉴브-크리스-무레슈-티사 유럽 지역의 일부이기도 하다. 브르샤츠 산맥의 구두리차 봉우리(Gudurički vrh)는 보이보디나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로 해발 641m이다.[41]

보이보디나의 기후는 온대 대륙성 기후로,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덥고 습하다. 극심한 기온 차이와 월별 강수량 분포의 불규칙성이 특징이다.[43]

5. 행정 구역

보이보디나는 7개의 로 나뉘며, 이 구들은 다시 37개의 자치구와 8개의 도시로 세분화된다. 7개의 구는 국가 권력의 지역 중심지이지만, 자체적인 권한은 없으며 순수하게 행정 구역으로 존재한다.

보이보디나의 행정 구역
구청 소재지 (시 지위)자치구면적 (km2)인구 (2011)
중앙바나트즈렌야닌노비베체이, 노바크르냐, 세찬, 지티슈테3256km2187,667
북바치카수보티차바치카토폴라, 말리이조시1784km2186,906
북바나트키킨다아다, 초카, 칸지자, 노비크네제바츠, 센타2329km2147,770
남바치카노비사드바치, 바치카팔랑카, 바치키페트로바츠, 베체이, 베오친, 브르바스, 스르보브란, 스렘스키칼로브치, 테메린, 티텔, 자발4016km2615,371
남바나트판체보알리부나르, 벨라츠르크바, 코바치차, 코빈, 오포보, 플란디슈테, 브르샤츠 시4245km2293,730
스렘스렘스카미트로비차인지야, 이리그, 페친치, 루마, 시드, 스타라파조바3486km2312,278
서바치카솜보르아파틴, 쿨라, 오자치2420km2188,087
합계21500km21,931,809


6. 주민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 내에서도 민족 구성이 매우 다양한 지역으로, 25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거주하고 있다.[45]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46]

민족인구비율(%)
세르비아인1,190,78568.43
헝가리인182,32110.48
슬로바키아인39,8072.29
크로아티아인32,6841.88
로마인40,9382.35
루마니아인19,5951.13
몬테네그로인12,4240.71
분예프치인10,9490.63
루신인11,2070.64
유고슬라비아인12,4380.71
마케도니아인7,0210.40
우크라이나인3,1330.18
남슬라브계 무슬림2,4190.14
독일인1,9850.11
알바니아인1,9350.11
슬로베니아인1,2910.07
불가리아인1,1230.06
고라니인1,2830.07
러시아인4,2080.24
보스니아인7180.04
블라흐인1850.01
기타8,0240.46
지역적 소속9,9850.57
미신고70,3394.04
불명73,4334.22
총계1,740,230100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보이보디나 주민들의 모국어는 다음과 같다.

모국어인구비율(%)
세르비아어1,437,69282.61
헝가리어169,5189.74
슬로바키아어37,0532.12
로마니어27,4301.42
루마니아어22,8911.31
크로아티아어9,2980.53
루신어8,6050.49
분예프치 방언3,2970.18
알바니아어3,6660.21
마케도니아어2,3460.13
몬테네그로어9030.05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른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

종교인구비율(%)
동방 정교회 신자1,228,23670.58
가톨릭 신자
(라틴 교회 및 동방 가톨릭 교회)
243,58713.99
개신교 신자47,5682.73
무슬림15,0490.86
동양 종교
(불교, 힌두교 등)
3940.02
유대교 신자2540.01
기타6470.03
무신론자25,9061.34
미신고106,7405.53
불명18,2050.94



보이보디나의 민족 분포도(집락 데이터)


보이보디나의 언어 분포도(시정촌 데이터)


보이보디나의 종교 분포도(시정촌 데이터)

7. 언어

보이보디나에서는 세르비아어, 헝가리어, 슬로바키아어, 크로아티아어, 루마니아어, 판노니아 루신어 등 6개 언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다.[45]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주민들이 사용하는 모국어는 다음과 같다.[46]

언어인구비율 (%)
세르비아어1,437,69282.61
헝가리어169,5189.74
슬로바키아어37,0532.12
로마니어27,4301.42
루마니아어22,8911.31
크로아티아어9,2980.53
루신어8,6050.49
분예프치 방언3,2970.18
알바니아어3,6660.21
마케도니아어2,3460.13
몬테네그로어9030.05


8. 정치

보이보디나 의회는 120명의 비례대표 의원으로 구성된 지방 입법부이다.[44] 보이보디나 정부는 행정부로서, 총재와 각료들로 구성된다.[44]

현 의원들은 2020년 지방 선거에서 선출되었다.[44] 보이보디나 의회의 현 집권 연정은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사회당 및 보이보디나 헝가리인 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 보이보디나 정부 총재는 이고르 미로비치(세르비아 진보당)이며, 지방 의회 의장은 발린트 유하스(보이보디나 헝가리인 연합)이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시절, 보이보디나는 1974년 헌법 개정을 통해 다른 공화국과 거의 동등한 지위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집권 시기 자치권이 대폭 축소되었다가, 2000년 밀로셰비치 실각 이후 자치권 확대 논의가 재개되었다. 2002년 제도 개정을 통해 자치권이 확대되었고, 2009년에는 새로운 보이보디나 자치 헌법이 세르비아 의회에서 가결되어 2010년부터 시행되었다.

자치정부 대통령은 2016년부터 세르비아 진보당 소속 이고르 미로비치가 맡고 있다. 자치주 의회 의장은 2008년부터 보이보디나 헝가리인 연맹 소속 의원이 역임해 왔으나, 2012년에 취임한 이슈트반 파스토르는 2023년 10월 29일 현직에서 사망하였다.[103]

9. 경제

세르비아의 곡창지대로 알려진 보이보디나는 농업이 발달했으며, 농산물 중 70%가 옥수수이다. 보이보디나의 경제는 발달된 식품 산업과 비옥한 농업 토양을 기반으로 한다. 농업은 지역 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 영토의 84%를 차지하는 풍부한 경작지 덕분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 농업 관련 사업은 전체 산업 생산의 40%, 보이보디나 총 수출의 30%를 차지한다.[2]

보이보디나는 세르비아의 빵바구니로 알려져 있다


금속 산업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부품 제조를 위한 중소 규모의 금속 가공 회사와 자체 브랜드 제품을 생산하는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EM) 업체로 구성되어 있다. 보이보디나 금속 클러스터는 6,300명의 직원을 보유한 116개의 기업을 모았다. 화학, 전기, 석유, 건설 산업과 같은 다른 산업 분야도 발전했다. 지난 10년 동안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이 빠르게 성장하여 보이보디나 경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2]

첨단 기술 부문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개발(특히 ERP 솔루션, 자바 애플리케이션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주요 수익원이다. IT 부문 기업들은 주로 국제 고객의 요구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아웃소싱을 하거나 국내 및 국제 시장을 위한 자체 소프트웨어 제품 개발을 한다.[2]

보이보디나는 지역 간 및 국경 간 경제 협력과 EU 다뉴브 지역 전략 내에서 정의된 우선 순위의 이행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2]

보이보디나의 주요 기업은 다음과 같다.

  • 세르비아 석유 산업(Naftna Industrija Srbije)
  • Srbijagas
  • HIP Petrohemija
  • 아파틴 양조장(Apatin Brewery)
  • 노보사드스키 사얌(Novosadski sajam)


보이보디나는 보이보디나 투자 유치 기관(Vojvodina Investment Promotion)(VIP)을 통해 투자 잠재력을 홍보한다.[2]

10. 문화

보이보디나에는 보이보디나 과학예술 아카데미가 있으며, 다민족·다문화 지역의 학문 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104] 세르비아어 일간지 Dnevnik, 헝가리어 일간지 Magyar Szó 등 다양한 언어로 된 신문이 발행된다.[104] 소수 민족 언어로 발행되는 주간 및 월간 간행물로는 크로아티아어 Hrvatska riječ, 슬로바키아어 Hlas Ľudu, 루마니아어 Libertatea, 루신어 Руске слово, 부녜바츠어 Bunjevačke novine 등이 있다.[104]

보이보디나 라디오텔레비전은 지역 공영 방송사로, RTV1(세르비아어), RTV2(소수 민족 언어) 두 채널과 노비사드 라디오 1(세르비아어), 노비사드 라디오 2(헝가리어), 노비사드 라디오 3(다른 소수 민족 공동체) 세 라디오 주파수에서 지역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한다.[49]

참조

[1] 웹사이트 Региони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ublikacije.s[...] Statistical Office of Serbia 2019-10-16
[2] 웹사이트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http://www.vojvodina[...] 2018-03-26
[3]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sights https://hdr.undp.org[...] 2023-04-04
[4]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to Regional Development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 Taylor & Francis
[5] 서적 The Politics of Good Neighbourhood: State, civil society and the enhancement of cultural capital in East Central Europe Taylor & Francis
[6] 웹사이트 Beogradski centar za ljudska prava – Belgrade Centre for Human Rights http://www.bgcentar.[...] 2015-03-29
[7] 웹사이트 Покрајинска влада http://www.vojvodina[...]
[8] 웹사이트 Slovenski grobovi uz reku Galadsku http://www.blic.rs/V[...] Blic.rs 2007-04-02
[9] 서적 Ethnic Geography of the Hungarian Minorities in the Carpathian Basin https://books.google[...] Simon Publications, Incorporated 2001-04
[10] 서적 Migration and Modernities The State of Being Stateless, 1750-1850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8
[11] 학술지 The Vlachs – several research problems https://pressto.amu.[...] 2015
[12] 웹사이트 Na pravoj ili krivoj strani istorije http://www.yurope.co[...] 1997-05-10
[13] 서적 Regionalism and Modern Europe: Identity Construction and Movements from 1890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
[14] 서적 Voyages and Travel Accounts in Historiography and Literature. Volume 2 Connecting the Balkans an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Trivent Publishing 2020
[15] 서적 Austria and America: Cross-cultural Encounters 1865-1933 https://books.google[...] Lit 2014
[16] 서적 Diplomacy on the Edge: Containment of Ethnic Conflict and the Minorities Working Group of the Conferences on Yugoslavia https://books.google[...] Woodrow Wilson Center Press Series
[17] 서적 War, Peace and Nation-building (1853-1918)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History 2020
[18] 서적 Religion and Law in Serbia https://books.google[...] Wolters Kluwer 2024
[19] 서적 Ethnic Germans and the Invasion of Yugoslavia. 1941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20] 서적 Vojvodina, Enciklopedija Novog Sada, sveska 5 Novi Sad
[21] 서적 Crimes of State Past and Present: Government-Sponsored Atrocities and International Legal Responses Routledge
[22] 서적 Croatia Under Ante Pavelić: America, the Ustaše and Croatian Genocide https://books.google[...] I.B. Tauris
[23] 웹사이트 Uspon i pad NDH http://public.mzos.h[...] Facul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Zagreb
[24] 서적 Century of genocide: critical essays and eyewitness account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7
[25] 서적 Vojvodina – propadanje jednog regiona Novi Sad
[26] 웹사이트 Cine a fost Baba Novac, credinciosul general al lui Mihai Viteazul, ucis de unguri în chinuri groaznice şi devorat de corbi http://adevarul.ro/l[...] 2015-06-22
[27] 서적 Jedan svet na Dunavu Beograd
[28] 서적 Between Hitler and Tito
[29] 웹사이트 Commemoration Held On 70th Anniversary Of Vojvodina Hungarian Massacre In Szeged http://hungarytoday.[...] 2015-01-26
[30] 서적 Vojvodina – propadanje jednog regiona Novi Sad
[31] 웹사이트 [sim] Srbe podjednako ubijali okupator i i "oslobodioci" http://www.mail-arch[...] 2009-01-14
[32] 학술지 Views of Vojvodinian Leadership on Re-Opening the Issu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r Serbia and Sap Vojvodina in 1981 http://istrazivanja.[...] 2016
[33] 웹사이트 Croats in Serbia which is not in war with Croatia, With head stuck into sand http://www.aimpress.[...]
[34] 웹사이트 Hrvatska nacionalna manjina u Srbiji http://www.mvpei.hr/[...]
[35] 웹사이트 Sedamnaest godina od proterivanja Hrvata iz Hrtkovaca, Zoran Glavonjić http://www.danas.org[...]
[36] 웹사이트 Anniversary of SRS rally in Vojvodina town https://web.archive.[...] 2011-05-01
[37] 논문 "Phantomgrenzen" in Zeiten des Umbruchs – die Autonomieidee in der Vojvodina der 1990er Jahre http://edoc.hu-berli[...] Philosophische Fakultät I 2014-11-28
[38] 웹사이트 Трећа Србија https://web.archive.[...] 2021-04-01
[39] 웹사이트 Трећа Србија: ДС бринула о култури као о лањском снегу http://www.rtv.rs/sr[...]
[40] 웹사이트 NS:Novi plakati Vojvodina republika http://www.b92.net/i[...]
[41] 서적 Vojvođanski mozaik - crtice iz kulture nacionalnih zajednica Vojvodine Pokrajinski sekretarijat za obrazovanje, propise, upravu i nacionalne manjine - nacionalne zajednice
[42] 백과사전 Vojvodina http://www.britannic[...]
[43] 학술지 Forestry Aridity Index in Vojvodina, North Serbia 2019-08-20
[44] 웹사이트 Government of the Autonomous Province of Vojvodina https://web.archive.[...] 2015-02-17
[45] 서적 Europe on a shoestring Lonely Planet
[46]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2016-09-24
[47] 웹사이트 Ko se bude izjašnjavao kao Vojvođanin biće podveden pod kategoriju "regionalna pripadnost" https://www.021.rs/s[...] 2023-07-25
[48]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the Republic of Serbia 2017-01-16
[49]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rtv.rs/sr[...] Radio-Television of Vojvodina 2016-08-22
[50] 웹사이트 Vojvodina online – Tourism Organisation of Vojvodina http://vojvodinaonli[...] 2023-05-19
[51] 웹사이트 Citypopulattion.de/Serbia https://citypopulati[...]
[52] 웹사이트 worldstatesmen.org/Serbia#VVoivodina http://www.worldstat[...]
[53]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11
[54] 서적 Skordisci: istorija i kultura https://books.google[...] Institut za izučavanje istorije Vojvodine
[55] 서적 The Roman war of Antiochos the Great https://books.google[...] BRILL
[56] 서적 The Celtic Encyclopedia, Том 1 https://books.google[...] Universal-Publishers
[57] 웹사이트 http://histoiremesur[...]
[58] 이미지 http://usuarios.mult[...]
[59] 이미지 http://usuarios.mult[...]
[60] 이미지 http://talcuireapoca[...]
[61] 이미지 https://archive.is/2[...]
[62] 이미지 http://www.mdn.md/bi[...]
[63] 이미지 http://keptar.niif.h[...]
[64] 이미지 http://www.crohis.co[...]
[65] 이미지 http://www.zeitlerwe[...]
[66] 이미지 http://nd01.jxs.cz/9[...]
[67] 이미지 http://www.provitacz[...]
[68] 이미지 http://1.bp.blogspot[...]
[69] 서적 The Austrian military border: its political and cultural impact https://books.google[...] Glasul Bucovinei
[70] 서적 Slavonic encyclopaedia https://www.google.c[...] Philosophical Library
[71] 서적 Srpsko srednjevekovno selo https://books.google[...] Naučna kniga
[72] 서적 Srbi u Rumuniji https://books.google[...] Savez Srba u Rumuniji
[73] 서적 Arhivski pregled https://books.google[...] Društvo arhivskih radnika SR Srbije, Državna arhiva NR Srbije
[74] 서적 Farrow's military encyclopedia: a dictionary of military knowledge https://books.google[...] Military-Naval Publishing Company
[75] 서적 Encyclopaedia Britannica: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general literature, Том 12 https://books.google[...]
[76] 서적 The World's History: South-eastern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William Heinemann
[77] 서적 The Catholic encyclopedia: an international work of reference on the constitution, doctrine, discipline, and history of the Catholic church, Том 4 https://books.google[...] The Catholic Encyclopedia Inc.
[78] 이미지 http://www.terra.es/[...]
[79] 이미지 http://www.historyon[...]
[80] 이미지 http://www.bosnjaci.[...]
[81] 이미지 http://www.uncp.edu/[...]
[8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home-edu.[...] 2011-03-15
[83] 이미지 http://ark.wz.cz/ib/[...]
[84] 웹사이트 http://www.blic.rs/V[...]
[85] 웹사이트 http://www.scribd.co[...]
[86] 이미지 http://www.memo.fr/M[...]
[87] 서적 Ethnic Geography of the Hungarian Minorities in the Carpathian Basin http://books.google.[...] Simon Publications LLC
[88] 서적 Ethnic Geography of the Hungarian Minorities in the Carpathian Basin https://books.google[...] Simon Publications LLC
[89] 서적 Ethnic Geography of the Hungarian Minorities in the Carpathian Basin http://books.google.[...] Simon Publications LLC
[90] 서적 バルカン史 山川出版社
[91] 웹사이트 http://www.hungarian[...]
[92] 서적 Vojvodina Enciklopedija Novog Sada
[93] 서적 Vojvodina - propadanje jednog regiona Novi Sad
[94] 서적 Jedan svet na Dunavu Beograd
[95] 저자
[96] 서적 Between Hitler and Tito
[97] 서적 Vojvodina – propadanje jednog regiona Novi Sad
[98] 웹사이트 Srbe podjednako ubijali okupatori i „oslobodioci” http://www.mail-arch[...]
[99] 서적 Europe on a shoestring Lonely Planet
[10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ebrzs.stat.g[...] 2011-04-24
[101] 웹사이트 http://www.vojvodina[...]
[102]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ebrzs.stat.g[...] 2011-04-24
[103] 뉴스 Meghalt Pásztor István, a Vajdasági Magyar Szövetség elnöke https://www.economx.[...] Economx.hu 2023-10-30
[104] 웹사이트 hidden europe magazine - Articles - hidden europe 13 (March 2007) - two communities in Banat http://www.hiddeneur[...]
[105] 웹사이트 Dangerous Indifference: Violence against Minorities in Serbia: Assaults on Minorities in Vojvodina http://hrw.org/repor[...] Human Rights Wat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