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1936년 소련 내 자치 공화국으로 설립되었으며, 체첸인과 잉구쉬인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었다. 1810년 인구시 공화국과 1859년 체첸 공화국이 러시아 제국에 합병된 후, 러시아 혁명과 세계 대전을 거치며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특히 1944년 스탈린의 강제 이주 정책으로 인해 공화국이 폐지되고 주민들이 중앙 아시아로 이주하는 아픔을 겪었으며, 1957년 재건되었다. 1990년 독립을 선언하고 1991년 체첸-잉구쉬 공화국으로 개명하였으나, 체첸 분리 독립 운동과 잉구쉬 공화국 분할을 거쳐 1992년 체첸 공화국과 잉구쉬 공화국으로 최종 분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구시 공화국의 역사 - 캅카스 전쟁
캅카스 전쟁은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전쟁과 분쟁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지정학적 중요성으로 인해 다양한 세력 간의 무력 충돌, 민족, 종교, 문화 간의 갈등, 강대국의 개입, 영토 분쟁 등 복잡한 원인과 결과를 보인다. - 인구시 공화국의 역사 - 북캅카스 반란
북캅카스 반란은 체첸 전쟁에서 비롯되어 이슬람 세력의 지하드 운동으로 확대되었으며, 러시아의 평정 정책에도 불구하고 북캅카스 지역에서 지속적인 갈등을 야기한 무장 충돌이다. - 인구시 공화국 - 인구시인
인구시인은 북캅카스 지역의 나흐족 계열 민족으로, 스스로는 '갈가이'라 부르며 러시아 제국에 저항하고 강제 이주를 겪었으나 인구시 공화국을 수립했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으며 고유한 언어와 문화를 지니고 있다. - 인구시 공화국 - 인구셰티야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은 러시아 연방의 구성주로 카프카스 산맥에 위치하며 북오세티야 공화국, 체첸 공화국, 조지아와 국경을 접하고, 인구시인이 대다수이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러시아 연방에 경제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마르슈트카가 주요 교통수단인 온대성 기후 지역이다. - 체첸 공화국 - 제2차 체첸 전쟁
제2차 체첸 전쟁은 1999년부터 2009년까지 러시아와 체첸 분리주의 세력 간의 무력 충돌로, 하사뷰르트 협정 이후 체첸의 불안정과 테러를 계기로 러시아의 공격이 시작되어 수십만 명의 사상자와 파괴, 인권 침해를 남겼으며 러시아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체첸의 불안정은 지속되었다. - 체첸 공화국 - 체첸인
체첸인은 스스로를 노흐치이로 부르며 북캅카스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몽골과 러시아의 침략 등 격동의 역사를 겪었으며, 나흐어족에 속하는 체첸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공식 명칭 |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러시아어 명칭 | Чечено-Ингуш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Советск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
체첸어 명칭 | Нохч-Гӏалгӏайн Автономни Совецки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 Республика |
인구시어 명칭 | Нохч-Гӏалгӏай Автономни Советски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 Республика |
존속 기간 | 1922년 – 1944년, 1957년 – 1993년 |
지위 | 자치주 (1922–1936),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36–1944, 1957–1993) |
소속 국가 |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연방 |
수도 | 그로즈니 |
모토 | Ерриг Пачхьалкхийн Пролетареш, Цхьаьнакхета!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기 및 문장 | |
![]() | |
![]() | |
역사 | |
주요 사건 | 1922년 11월 30일: 체첸 자치주 형성 1924년 7월 7일: 인구시 자치주 형성 1934년 1월 15일: 인구시 자치주와 체첸 자치주 통합 1936년 12월 5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 1944년 3월 7일: 체첸인과 인구시인 강제 이주 1957년 1월 9일: 자치 공화국 복원 1990년 11월 27일: 주권 선언 1992년 5월 16일: 체첸-인구시 공화국으로 개칭 1992년 6월: 체첸-인구시 공화국이 체첸 공화국과 인구시로 분할 |
이전 | 산악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이후 | 스타브로폴 지방, 북오세티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체첸 이치케리아 공화국, 인구시 |
인구 통계 | |
1939년 | 697,009명 |
1959년 | 710,424명 |
1970년 | 1,064,471명 |
1979년 | 1,155,805명 |
1989년 | 1,270,429명 |
행정 구역 | |
면적 | 19,300 제곱킬로미터 |
현재 | |
소속 국가 | 러시아 |
구성 공화국 | 체첸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 |
2. 역사
19세기 러시아 제국에 체첸과 인구시가 병합된 이후, 이 지역은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1921년 1월 20일 체첸과 인구시는 산악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가입했다. 이후 1922년 11월 30일 체첸 자치주, 1924년 7월 7일 인구시 자치주로 분리되었다가 1934년 1월 15일 체첸-인구시 자치주로 통합되었다. 1936년에는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요시프 스탈린의 명령에 의해 체첸인과 잉구쉬인 전원이 중앙아시아와 시베리아로 강제 이주되었고, 공화국은 폐지되었다. 1957년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으로 공화국은 재건되었고, 생존자들은 귀환했지만, 일부 영토는 북오세티야령으로 남았다.
1990년 11월, 독립 선언을 했다. 1991년 5월에는 '''체첸-잉구쉬 공화국'''으로 개명했다. 1991년 10월 1일, 체첸 분리 독립파는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일방적으로 선언했고, 잉구쉬인 거주지는 잉구쉬 공화국으로 분할을 선언했다. 1992년 6월 4일에 잉구쉬 공화국 설치를 인정하는 대통령령이 성립되었고, 1993년 1월 9일에 발효되면서, 체첸-잉구쉬 공화국은 정식으로 체첸 공화국과 잉구쉬 공화국으로 분할되었다[41]
2. 1. 러시아 제국 시기 (19세기)
1810년에 인구시 공화국은 러시아 제국에 합병되었고, 1859년에는 체첸 공화국도 카프카스 전쟁 (1817-1864)의 결과로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8] 잉구시인들은 자신들의 마을을 보호하고, 카바르디아와 악사이 공작의 확장에 반대하는 데 정치적 지원을 얻기 위해 러시아와의 동맹이 필요했다.[6] 또한, 이러한 합의는 19세기 자본주의 관계의 맥락에서 잉구셰티아의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6] 1810년 8월 23일의 협정은 잉구시인들에게 테레크강 오른쪽의 토지를 사용할 권리를 부여했다.[7]원래 체첸인과 잉구쉬인은 같은 민족이었지만, 러시아 제국의 민족 분할 정책으로 인해 1859년 두 민족으로 나뉘었다.[8] 1860년에는 체첸주와 잉구쉬주가 설치되었다.
2. 2. 소비에트 연방 시기 (20세기 초-중반)
러시아 혁명 이후 1921년 1월 20일, 체첸과 잉구셰티야는 산악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류했다. 산악 ASSR은 결성 직후 분할되기 시작했으며, 1922년 11월 30일 체첸 자치주가 분리되었다. 1924년 7월 7일, 산악 ASSR의 잔여 지역은 북오세티야 자치주와 잉구시 자치주로 분할되었다. 1934년 1월 15일, 체첸과 잉구시 자치주는 체첸-잉구시 자치주로 통합되었으며, 1936년 12월 5일 체첸-잉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으로 승격되었다.[9]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2년에서 1943년 사이, 공화국은 부분적으로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고, 4만 명의 체첸인이 붉은 군대에서 싸웠다. 1944년 3월 7일, 이오시프 스탈린의 명령에 따라 공화국은 해체되었고, 체첸인과 잉구시인들은 추축국과의 분리주의 협력 혐의로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다.[9] 이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영토는 스타브로폴 지방(그로즈니 주가 형성됨), 다게스탄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북오세티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분할되었으며, 그루지야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는 1957년까지 아할케비 구로 알려졌다.[10]
2. 3. 스탈린 사후 (20세기 후반)
1957년 니키타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운동으로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재건되었고, 강제 이주되었던 사람들은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게 되었다.[11] 그러나 북오세티야로 편입되었던 일부 영토는 반환되지 않았다. 이 지역은 훗날 소련 붕괴 후 잉구쉬 공화국이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오세티야-인구쉬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2. 4. 소비에트 연방 해체와 체첸-인구시의 분리 (1990년대)
1990년 11월, 체첸-잉구셰티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주권 선언을 채택했고,[12] 1991년 5월에는 '''체첸-잉구셰티야 SSR'''로 개명되었다.[13] 그러나 이 명칭은 소련 헌법과 일치하지 않았다.[14]1991년 6월, 조하르 두다예프는 체첸 민족 전체 회의(OKChN)를 선언하고 체첸 공화국(노흐치-초)을 선포하며[17][18] 기존 공화국 최고 소비에트 지도자들을 "찬탈자"로 규정했다.[16]
1991년 8월 모스크바 쿠데타 시도는 체첸-잉구셰티야의 정치적 격변을 촉발했다. 두다예프가 이끄는 OKChN은 대중 운동을 주도하며 최고 소비에트 사임과 새 선거를 요구했다. 9월 초, OKChN은 최고 소비에트를 "폐위"하고 모든 권력을 OKChN 집행 위원회에 이양한다고 선언했다.[15]
1991년 9월 6일, 두다예프는 공화국 권력 구조 해체를 발표했다.[16] OKChN 무장 지지자들은 주요 시설을 점거하고 최고 소비에트 회의를 습격했다.[15][16] 이 과정에서 40명 이상의 의원이 구타당하고 그로즈니 시의회 의장은 살해당했다.[16] 도쿠 자브가예프는 시위대의 압력으로 사임했다.[19]
9월 중순, 루슬란 하스불라토프가 중재를 위해 그로즈니에 도착했다.[15] 그의 지휘 아래 최고 소비에트는 해산을 결정하고, 임시 최고 소비에트가 구성되었다.[15]
1991년 10월 초, 임시 최고 위원회는 OKChN 지지파와 반대파로 분열되었다. OKChN 지지파는 공화국 분할을 선언했다.[15] 10월 5일, 임시 최고 소비에트 다수파는 아흐마도프의 사임을 결정했지만, OKChN은 무력으로 대응하며 임시 최고 소비에트 해산을 발표했다.[15]
10월 8일, RSFSR 최고 소비에트는 임시 최고 소비에트를 유일한 합법적 권력 기구로 선언했다.[22]
1991년 10월 27일, OKChN 주도로 대통령 및 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두다예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5][23] 그러나 이 선거는 RSFSR 인민 대표자 회의에서 불법으로 선언되었다.[24]
11월 7일, 보리스 옐친 대통령은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26] 실질적인 조치는 실패했다.[27] 11월 11일, RSFSR 최고 소비에트는 비상사태 선포를 거부했다.[28]
1991년 11월 말, 잉구셰 지역에서 RSFSR 내 잉구셰 공화국 창설에 대한 국민 투표가 실시되어 압도적인 찬성을 얻었다.[27]
체첸 혁명 이후 체첸-잉구셰티야는 사실상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과 잉구셰티야로 분할되었다.[15]
1992년 5월, 사실상 해체된 체첸-잉구셰티야 SSR은 '''체첸-잉구셰티야 공화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9]
1992년 6월, 러시아 연방 최고 소비에트는 잉구셰 공화국 설립 법률을 채택했다.[30] 1992년 12월, 러시아 인민 대표자 회의는 잉구셰 공화국 설립을 승인하고 헌법을 수정하여 체첸-잉구셰티야 공화국을 잉구셰 공화국과 체첸 공화국으로 공식 분할했다.[33] 이 수정안은 1993년 1월 9일 발효되었다.[34]
3. 인구 통계
러시아 연방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70년부터 1992년까지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출생, 사망, 출생률, 사망률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출생 (명) | 사망 (명) | 출생률 (1,000명당) | 사망률 (1,000명당) |
---|---|---|---|---|
1970 | 22,651 | 6,075 | 21.2 | 5.7 |
1975 | 22,783 | 6,469 | 20.4 | 5.8 |
1980 | 24,291 | 7,711 | 20.7 | 6.6 |
1985 | 30,745 | 10,170 | 25.0 | 8.3 |
1990 | 31,993 | 11,039 | 28.2 | 9.7 |
1991 | 31,498 | 11,081 | 26.3 | 9.2 |
1992 | 28,875 | 10,666 | 23.1 | 8.5 |
1989년 인구 조사 기준, 주요 민족은 체첸인(956,879명), 러시아인(269,000명), 잉구쉬인(237,438명)이었다.
3. 1. 민족 구성 변화 (1926-2002)
1926년 인구 조사[1] | 1939년 인구 조사 | 1959년 인구 조사 | 1970년 인구 조사 | 1979년 인구 조사 | 1989년 인구 조사 | 2002년 인구 조사[1] | |
---|---|---|---|---|---|---|---|
체첸인 | 295,762 (61.4%) | 368,446 (52.9%) | 243,974 (34.3%) | 508,898 (47.8%) | 611,405 (52.9%) | 734,501 (57.8%) | 1,127,050 (71.7%) |
잉구쉬인 | 70,084 (14.5%) | 83,798 (12.0%) | 48,273 (6.8%) | 113,675 (10.7%) | 134,744 (11.7%) | 163,762 (12.9%) | 363,971 (23.2%) |
러시아인 | 78,196 (16.2%) | 201,010 (28.8%) | 348,343 (49.0%) | 366,959 (34.5%) | 336,044 (29.1%) | 293,771 (23.1%) | 46,204 (2.9%) |
기타 | 38,038 (7.9%) | 43,761 (6.3%) | 69,834 (9.8%) | 74,939 (7.0%) | 73,612 (6.4%) | 78,395 (6.2%) | 33,755 (2.1%) |
4.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의 평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Territories of the Russian Federation 2013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간행물
[3]
백과사전
1937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echen Conflic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4-22
[5]
뉴스
Исторические документы свидетельствуют о добровольном вхождении Ингушетии в состав России
https://www.kavkaz-u[...]
kavkaz-uzel.eu
2015-03-17
[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ngush by Georgian historians. Ingush. Citizenship of the Russian Empire
https://hiddenshell.[...]
[7]
논문
Some Issues Of Socio-Economic Consequences Of Ingushetia's Accession To Russia
https://doi.org/10.1[...]
European Publisher
2022
[8]
웹사이트
Chechnya
https://www.britanni[...]
[9]
간행물
[10]
문서
The Geography of Georgia: Problems and Perspectives
[11]
간행물
[12]
웹사이트
Декларация 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м суверенитете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s://chechenlaw.r[...]
[13]
웹사이트
Закон РСФСР от 24 мая 1991 года «Об изменениях и дополнениях Конституции (Основного Закона) РСФСР»
http://constitution.[...]
[14]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СССР в редакции от 26 декабря 1990 г.
http://constitution.[...]
[15]
웹사이트
Чече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Ичкерия. Общий обзор
http://www.igpi.ru/m[...]
[16]
웹사이트
Десять дней, которые отменили мир
https://versia.ru/v-[...]
[17]
웹사이트
РЕШЕНИЕ ОБЩЕНАЦИОНАЛЬНОГО КОНГРЕССА (СЪЕЗДА) ЧЕЧЕНСКОГО НАРОДА (г. Грозный, 8 июня 1991 г.)
https://chechenlaw.r[...]
[18]
웹사이트
Чеченская Республика Нохчи-чо
http://www.knowbysig[...]
[19]
뉴스
Чечено-Ингушетия: кунаки Ельцина взяли власть
https://www.kommersa[...]
kommersant.ru
[20]
서적
Комиссия Говорухина
Издательство "Лавента"
1995
[21]
뉴스
Чечено-Ингушетия провозгласил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от России и Союза
https://www.kommersa[...]
kommersant.ru
[22]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РСФСР от 8 октября 1991 года № 1723-I «О политической ситуации в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е»
https://www.lawmix.r[...]
[23]
뉴스
Выборы в Чеченской республике
https://www.kommersa[...]
kommersant.ru
[24]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ъезд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РСФСР от 2 ноября 1991 года № 1847-I «О признании незаконными выборов, проведенных 27 октября 1991 года в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е»
http://docs.cntd.ru/[...]
[25]
뉴스
ДЕСЯТЬ ЛЕТ НАЗАД БЫЛ РАЗОГНАН ВЕРХОВНЫЙ СОВЕТ ЧЕЧЕНО-ИНГУШЕТИИ. ДЖОХАР ДУДАЕВ ВОСПОЛЬЗОВАЛСЯ БЕЗДЕЙСТВИЕМ РОССИЙСКОЙ ВЛАСТИ
https://www.pravda.r[...]
[26]
웹사이트
Указ Президента РСФСР от 7 ноября 1991 года № 178 «О введении чрезвычайного положения в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е»
http://kremlin.ru/ac[...]
[27]
웹사이트
РОССИЯ-ЧЕЧНЯ: цепь ошибок и преступлений
https://web.archive.[...]
[28]
웹사이트
"Об Указе Президента РСФСР от 7 ноября 1991 г. «О введении чрезвычайного положения в Чечено-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е»"
http://docs.cntd.ru/[...]
[29]
웹사이트
Зако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21 апреля 1992 года № 2708-I «Об изменениях и дополнениях Конституции (Основного Закона) Российской Советской Федеративной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http://constitution.[...]
[30]
웹사이트
Закон РФ от 04 июня 1992 года № 2927-1 "Об образовании 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docs.cntd.ru/[...]
[31]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РФ от 04 июня 1992 г. "О порядке введения в действие Зако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б образовании 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docs.cntd.ru/[...]
[32]
웹사이트
Постановление Съезда народных депутатов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0 декабря 1992 г. № 4070-I «О Закон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б образовании Ингуш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в составе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szrf.ru/s[...]
[33]
웹사이트
Зако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от 10 декабря 1992 г. N 4071-I «О внесении изменений в статью 71 Конституции (Основного Зако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 России»
http://constitution.[...]
[34]
웹사이트
Законы РСФСР/РФ 1990—1993 и поправки к ним до весны 1995
http://www.politika.[...]
[35]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39 года. Чечено-Ингушская АССР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Weekly
2022-10-28
[36]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59 года. Чечено-Ингушская АССР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Weekly
2022-10-28
[37]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70 года. Чечено-Ингушская АССР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Weekly
2022-10-28
[38]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79 года. Чечено-Ингушская АССР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Weekly
2022-10-28
[39]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ода. Чечено-Ингушская АССР
http://www.demoscope[...]
Демоскоп Weekly
2022-10-28
[40]
웹사이트
Checheno-Ingush
https://www.worldsta[...]
Worldstatemen.org
2022-10-28
[41]
웹사이트
Ingushetia (Ingushetiya)
https://www.worldsta[...]
Worldstatemen.org
2022-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