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초저밀도 지질단백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은 내인성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에스터를 운반하며, 지질의 내부 수송과 소수성 세포 간 메신저의 장거리 수송에 관여한다. 간에서 방출된 후 혈액 순환 과정에서 지질단백질 라이페이스의 작용으로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잃고 중간밀도 지질단백질(IDL)로 변환된다. IDL은 간세포 수용체에 의해 인식되어 섭취되거나 저밀도 지질단백질(LDL)로 전환되며, LDL은 세포 내로 흡수되어 사용된다. VLDL의 크기는 가변적이며, 복합형 고지혈증과 관련이 있다.

2. 기능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은 내인성 트라이글리세라이드, 인지질,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에스터를 운반한다.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은 지질에 대한 신체의 내부 수송 메커니즘으로 기능한다. 또한 형태형성 물질인 인디언 헤지호그 (단백질)과 같은 소수성 세포 간 메신저의 장거리 수송에도 사용된다.[17]

3. 혈액순환 중 변화

간에서 방출되는 초기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에는 아포지질단백질 B100, 아포지질단백질 C-I(apoC-I), 아포지질단백질 E(apoE),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릴 에스터, 트라이글리세라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혈액을 순환하면서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은 아포지질단백질 C-II(apoC-II)와 고밀도 지질단백질(HDL)로부터 공여된 추가적인 아포지질단백질 E(apoE)를 얻는다. 이 시점에서 초기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은 성숙한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이 된다.[18][6][12]

일단 순환하면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은 신체의 모세혈관층(지방, 심장, 골격근)에서 지질단백질 라이페이스(LPL)과 접촉하게 된다. 지질단백질 라이페이스는 저장 또는 에너지 생산을 위해 초저밀도 지질단백질로부터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제거한다.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은 이제 아포지질단백질 C-II가 고밀도 지질단백질로 다시 이동하고(그러나 아포지질단백질 E는 유지됨) 고밀도 지질단백질은 콜레스테릴 에스터 전달 단백질(CETP)을 통해 인지질 및 트라이글리세라이드와 교환하여 콜레스테릴 에스터를 초저밀도 지질단백질로 전달한다. 지질단백질 라이페이스(LPL)와 콜레스테릴 에스터 전달 단백질(CETP)의 작용으로 인해 초저밀도 지질단백질로부터 점점 더 많은 트라이글리세라이드가 제거됨에 따라 분자의 구성이 변화하여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은 중간밀도 지질단백질(IDL)이 된다.[18][6][12]

중간밀도 지질단백질(IDL)의 50%는 아포지질단백질 B100(apoB100)과 아포지질단백질 E(apoE)가 함유하고 세포 내 섭취되기 때문에 간세포수용체에 의해 인식된다. 나머지 50%는 아포지질단백질 E를 잃는다.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함량보다 높아지면 중간밀도 지질단백질은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이 되며 아포지질단백질 B100이 1차 아포지질단백질이 된다. 저밀도 지질단백질(LDL)은 세포 내 섭취에서 LDL 수용체를 통해 세포 내로 흡수되어 내용물이 저장되거나 세포막 구조로 사용되거나 스테로이드 호르몬 또는 담즙산과 같은 다른 생성물로 전환된다.[19][7][13]

4. 물리적 특성

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의 크기는 다양하며, 직경은 약 35~70nm이다.[4] 일부 연구자들은 VLDL 입자를 크기(스베드베르크 부유 단위로 측정)에 따라 VLDL1과 VLDL2로 분류하는데, VLDL1 입자가 더 크고 트리글리세리드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다. 다른 연구자들은 VLDL1을 더 큰 VLDL1과 더 작은 VLDL2로 세분하고, VLDL2를 VLDL3으로 재분류하여 삼분 시스템을 만들기도 한다.[4]

5. 관련 질환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은 Combined hyperlipidemia|복합형 고지혈증영어과 관련이 있다. 복합형 고지혈증은 저밀도 지질단백질(LDL)과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가 상승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한 형태이다. 이러한 지질 이상은 Lipid profile|지질 프로파일영어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5. 1. 복합형 고지혈증

Combined hyperlipidemia|복합형 고지혈증영어저밀도 지질단백질(LDL)과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한 형태이다. 지질 프로파일 검사를 통해 이러한 지질 이상을 확인할 수 있다.

6. 진단 및 검사

초저밀도 지질단백질(VLDL) 수치는 일반적으로 지질 프로파일 검사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된다. 지질 프로파일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등 지질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복합형 고지혈증은 LDL과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농도가 모두 상승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한 형태이다.

참조

[1] 논문 Synthesis and function of hepatic very-low-density lipoprotein.
[2] 논문 A phospholipidomic analysis of all defined human plasma lipoproteins.
[3] 논문 Proteome of human plasma very-low-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exhibits a link with coagulation and lipid metabolism.
[4] 논문 Lipoprotein Heterogeneity and Apolipoprotein B Metabolism
[5] 논문 Human plasma very-low density lipoprotein carries.
[6] 논문 Very-low-density lipoprotein assembly and secretion.
[7] 논문 From cholesterol transport to signal transduction: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very-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and apolipoprotein E receptor-2.
[8] 논문 Synthesis and function of hepatic very-low-density lipoprotein. https://semanticscho[...]
[9] 논문 A phospholipidomic analysis of all defined human plasma lipoproteins.
[10] 논문 Proteome of human plasma very-low-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exhibits a link with coagulation and lipid metabolism.
[11] 논문 Human plasma very-low density lipoprotein carries.
[12] 논문 Very-low-density lipoprotein assembly and secretion.
[13] 논문 From cholesterol transport to signal transduction: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very-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and apolipoprotein E receptor-2.
[14] 논문 Synthesis and function of hepatic very-low-density lipoprotein. https://semanticscho[...]
[15] 논문 A phospholipidomic analysis of all defined human plasma lipoproteins.
[16] 논문 Proteome of human plasma very-low-density lipoprotein and low-density lipoprotein exhibits a link with coagulation and lipid metabolism.
[17] 논문 Human plasma very-low density lipoprotein carries.
[18] 논문 Very-low-density lipoprotein assembly and secretion.
[19] 논문 From cholesterol transport to signal transduction: 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very-low density lipoprotein receptor, and apolipoprotein E receptor-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