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로이드 호르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생식샘과 부신겉질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되는 지용성 호르몬이다. 혈액 내에서 운반체 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막을 통과한 후 세포핵 또는 세포질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 변화를 일으킨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게놈 경로와 비게놈 경로를 통해 표적 세포에 영향을 미치며, 성 호르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미네랄코르티코이드 등으로 분류된다. 다양한 합성 스테로이드와 스테롤이 개발되었으며, 의약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테로이드 호르몬 - 알도스테론
알도스테론은 부신피질에서 합성되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로, 신장에서 나트륨과 물의 재흡수를 촉진하고 칼륨 배설을 증가시켜 혈압과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며,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 등에 의해 분비가 조절되고 수치 이상은 임상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 스테로이드 호르몬 - 당질 코르티코이드
당질 코르티코이드는 코르티솔, 코르티코스테론, 코르티손 등을 포함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알레르기, 천식, 자가면역 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되지만 장기간 사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 호르몬에 관한 - 코르티솔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혈당, 면역, 대사 조절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며, 과다 분비 시 질환을 유발하고 장기간 노출 시 해마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분비량은 HPA 축에 의해 조절되고 일주기 리듬에 따라 변화한다. - 호르몬에 관한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담즙산의 전구체인 지질로, 체내에서 합성되어 리포단백질을 통해 운반되며, 혈중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나쁜 콜레스테롤"과 "좋은 콜레스테롤"의 균형이 중요하다. - 대사 경로에 관한 - 코르티솔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으로, 혈당, 면역, 대사 조절과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며, 과다 분비 시 질환을 유발하고 장기간 노출 시 해마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분비량은 HPA 축에 의해 조절되고 일주기 리듬에 따라 변화한다. - 대사 경로에 관한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은 세포막 구성 성분이자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담즙산의 전구체인 지질로, 체내에서 합성되어 리포단백질을 통해 운반되며, 혈중 수치는 심혈관 질환과 관련되어 "나쁜 콜레스테롤"과 "좋은 콜레스테롤"의 균형이 중요하다.
스테로이드 호르몬 | |
---|---|
스테로이드 호르몬 | |
![]() | |
분류 | |
동의어 | 부신 스테로이드 생식샘 스테로이드 |
용도 | 다양함 |
생물학적 표적 |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
화학 분류 | 스테로이드성 비스테로이드성 |
추가 정보 | |
메쉬 아이디 | MeshID |
네이처 | 스테로이드 호르몬 - 최신 연구 및 뉴스 |
브리태니커 | 스테로이드 호르몬 - 정의, 분류, 기능 |
참고 문헌 | |
문헌 1 | Funder JW, Krozowski Z, Myles K, Sato A, Sheppard KE, Young M (1997). "Mineralocorticoid receptors, salt, and hypertension". Recent Prog Horm Res. 52: 247–260. PMID 9238855. |
2. 합성
천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일반적으로 생식샘(고환, 난소)과 부신겉질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된다.[35] 이러한 호르몬은 지질로, 지용성이기 때문에 세포막을 쉽게 통과한다.[36] 이후 세포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세포핵 또는 세포질에 존재)와 결합하여 세포에 변화를 일으킨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대개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SHBG)이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CBG) 같은 특정 운반체 단백질과 결합하여 혈액 내에서 운반된다. 간, 말초 조직, 표적 조직에서 추가적인 전환 및 이화작용이 일어난다.
2. 1. 주요 성 호르몬의 생성, 분비, 제거, 혈중 농도
성별 | 성 호르몬 | 생식기 | 혈액 생성 속도 | 생식샘 분비 속도 | 대사 제거 속도 | 기준 범위 (혈청 수준) | |
---|---|---|---|---|---|---|---|
SI|국제단위계영어 단위 | 비SI|국제단위계영어 단위 | ||||||
남성 | 안드로스테네다이온 | 2.8mg/일 | 1.6mg/일 | 2200L/일 | 2.8–7.3 nmol/L | 80–210 ng/dL | |
테스토스테론 | 6.5mg/일 | 6.2mg/일 | 950L/일 | 6.9–34.7 nmol/L | 200–1000 ng/dL | ||
에스트론 | 150μg/일 | 110μg/일 | 2050L/일 | 37–250 pmol/L | 10–70 pg/mL | ||
에스트라다이올 | 60μg/일 | 50μg/일 | 1600L/일 | <37–210 pmol/L | 10–57 pg/mL | ||
황산 에스트론 | 80μg/일 | 미미함 | 167L/일 | 600–2500 pmol/L | 200–900 pg/mL | ||
여성 | 안드로스테네다이온 | 3.2mg/일 | 2.8mg/일 | 2000L/일 | 3.1–12.2 nmol/L | 89–350 ng/dL | |
테스토스테론 | 190μg/일 | 60μg/일 | 500L/일 | 0.7–2.8 nmol/L | 20–81 ng/dL | ||
에스트론 | 여포기 | 110μg/일 | 80μg/일 | 2200L/일 | 110–400 pmol/L | 30–110 pg/mL | |
황체기 | 260μg/일 | 150μg/일 | 2200L/일 | 310–660 pmol/L | 80–180 pg/mL | ||
폐경 후 | 40μg/일 | 미미함 | 1610L/일 | 22–230 pmol/L | 6–60 pg/mL | ||
에스트라다이올 | 여포기 | 90μg/일 | 80μg/일 | 1200L/일 | <37–360 pmol/L | 10–98 pg/mL | |
황체기 | 250μg/일 | 240μg/일 | 1200L/일 | 699–1250 pmol/L | 190–341 pg/mL | ||
폐경 후 | 6μg/일 | 미미함 | 910L/일 | <37–140 pmol/L | 10–38 pg/mL | ||
황산 에스트론 | 여포기 | 100μg/일 | 미미함 | 146L/일 | 700–3600 pmol/L | 250–1300 pg/mL | |
황체기 | 180μg/일 | 미미함 | 146L/일 | 1100–7300 pmol/L | 400–2600 pg/mL | ||
프로게스테론 | 여포기 | 2mg/일 | 1.7mg/일 | 2100L/일 | 0.3–3 nmol/L | 0.1–0.9 ng/mL | |
황체기 | 25mg/일 | 24mg/일 | 2100L/일 | 19–45 nmol/L | 6–14 ng/mL |
2. 2. 합성 스테로이드 및 스테롤
다양한 합성 스테로이드와 스테롤이 고안되었다. 대부분은 스테로이드이지만 일부 비스테로이드성 분자는 모양이 유사하기 때문에 스테로이드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일부 합성 스테로이드는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천연 스테로이드보다 약하거나 강하다.[39]합성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예시 |
---|---|
당질 코르티코이드 | 알클로메타손, 프레드니손, 덱사메타손, 트리암시놀론, 코르티손 |
무기질 코르티코이드 | 플루드로코르티손 |
비타민 D | 다이하이드로타키스테롤 |
안드로젠 (동화작용 스테로이드라고 알려져 있다) | 옥산드롤론, 옥사볼론, 난드롤론 |
에스트로젠 | 다이에틸스틸베스트롤(DES), 에티닐에스트라다이올(EE) |
프로게스틴 | 노르에티스테론, 아세트산 메드록시프로제스테론, 카프로산 하이드록시프로제스테론 |
일부 스테로이드 길항제는 다음과 같다.
종류 | 예시 |
---|---|
안드로젠 | 아세트산 시프로테론 |
프로게스틴 | 미페프리스톤, 게스트리논 |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 코르티코스테로이드 결합 글로불린, 알부민과 같은 특정 운반 단백질과 결합하여 혈액을 통해 운반된다.[40] 대부분의 연구에 따르면 호르몬은 혈청 단백질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에만 세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를 유리 호르몬 가설이라고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혈액 용해 단백질에서 벗어나 세포외 수용체에 결합하거나, 수동적으로 세포막을 통과하여 핵 수용체에 결합해야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표적 세포에 영향을 미친다. 크게 게놈 경로와 비게놈 경로로 나눌 수 있는데, 게놈 경로는 느리게 작용하며 세포 내 특정 단백질의 전사 수준을 변화시킨다. 반면 비게놈 경로는 훨씬 빠르게 작용한다.[19]
3. 수송
어떤 연구에서는 이러한 스테로이드-운반체 복합체가 막 수용체인 메갈린에 결합하여 세포 내 섭취를 통해 세포로 흡수된다고 한다. 한 가지 가능한 경로는 이 복합체가 리소좀으로 이동하여 운반체 단백질이 분해되고,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표적 세포의 세포질로 방출되는 것이다. 이후 호르몬은 게놈 작용 경로를 따른다.[41]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세포의 지질 이중층을 통과하려면 에너지 장벽을 극복해야 한다. 여기서 깁스 자유 에너지가 중요한 개념이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양쪽 끝에 친수성 작용기와 소수성 탄소 골격을 가지고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막으로 들어갈 때 작용기가 막의 소수성 내부로 들어가면서 자유 에너지 장벽이 발생하지만, 소수성 코어는 지질 이중층으로 들어가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유리하다. 이러한 에너지 장벽은 막에서 나오는 호르몬에게는 반대로 작용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생리학적 조건에서 쉽게 막을 드나들 수 있으며, 실험적으로 20 μm/s의 속도로 막을 통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2]
호르몬이 세포외액이나 세포내액보다 막에 있는 것이 에너지적으로 유리하지만, 일단 막으로 들어가면 막을 빠져나간다. 모든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전구체인 콜레스테롤은 막 내부에 있으면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이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다. 콜레스테롤은 지방족 꼬리가 지질 이중층 내부와 매우 유리하게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막 내부에 있을 때 스테로이드 호르몬보다 훨씬 더 큰 음의 깁스 자유 에너지를 가진다.[42]
4. 작용 메커니즘 및 효과
천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생식선이나 부신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되며, 지질 성분이라 세포막을 쉽게 통과해 세포핵에 도달한다. 간에서 해독 작용을 하는 효소인 시토크롬 P450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에 관여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지질에 녹으므로 혈액에서 표적 세포의 세포막이나 세포질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그 유도체는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 수용체와 결합하는데, 이는 펩타이드 호르몬이 세포막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세포질 내에서 스테로이드는 효소에 의해 변환되거나 그대로 특정 수용체와 결합한다. 스테로이드와 수용체의 결합은 대부분 이량체를 형성하며, 이는 DNA에 결합하는 기능을 가진 유닛으로 세포핵으로 들어간다. 호르몬 시스템의 일부는 열충격 단백질과 관련된 수용체(분자 샤페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핵 내에서 스테로이드-수용체 복합체는 특정 DNA 배열과 결합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유도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혈액 내에서 특정 수송 단백질과 결합하며, 주로 글로불린과 결합한다.[20] 추가적인 구조 변환이나 이화 작용은 간, 주변 조직, 또는 표적 조직에서 일어난다. 또한, 조직에 널리 분포하여 혈액이나 조직액에 있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친수성인 것에 비해 지속성이 긴 반응에 관여하는 경향이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성호르몬,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미네랄코르티코이드 등으로 분류되지만, 대부분 다의적인 작용을 가진다. 예를 들어, 글루코코르티코이드도 미네랄코르티코이드와 같은 염류 대사 작용을 미약하게나마 가지고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모두 생체의 에너지 이용을 돕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혈당치 상승, 수분 유지, 기분 고양 등의 작용을 한다. 따라서 부신피질 기능 부전이나 뇌하수체 기능 부전으로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부족하면 전신 권태감 등이 나타난다.
내분비 교란 물질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와 결합하여 전사를 억제하거나 부적절한 시기에 촉진하여 생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4. 1. 게놈 경로
스테로이드 호르몬 작용 기전으로 처음 밝혀진 것은 유전체 효과였다.[43] 이 경로에서 유리 호르몬은 지용성이므로 세포막을 통과한다.[36][7] 세포질에서 스테로이드는 환원, 하이드록실화 또는 방향족화와 같은 효소 매개 변화를 겪을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스테로이드는 큰 금속 단백질인 핵 수용체라고도 알려진 특이적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한다. 스테로이드 결합 시 많은 종류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가 이량체화된다. 이량체화는 두 개의 수용체 소단위체가 함께 결합하여 세포핵에 들어갈 수 있는 하나의 기능성 DNA 결합 단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일단 핵에 들어가면 스테로이드-수용체 리간드 복합체는 특정 DNA 서열에 결합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유도한다.[33][44][45][43][4][15][16]
4. 2. 비게놈 경로
비게놈 경로는 게놈 경로가 아닌 모든 메커니즘을 포함하기 때문에 다양한 비게놈 경로가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는 모두 원형질막에서 발견되는 일부 유형의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에 의해 매개된다.[46] 이온 통로, 수송체,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 및 막 유동성은 모두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42] 이들 중 G 단백질 연결 수용체가 가장 일반적이다. 이러한 단백질과 경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 문서를 참조한다.
5. 생합성
천연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일반적으로 생식선[19]이나 부신에서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된다. 이러한 호르몬 분자는 지질 구조를 가지며, 세포막을 쉽게 통과하여 세포핵에 도달한다. 시토크롬 P450은 간에서 해독 작용을 하는 효소로 알려져 있으며, 스테로이드 호르몬 생합성에 관여한다.
스테로이드와 스테롤은 지질에 용해되므로 혈액으로부터 표적 세포의 세포막이나 세포질로 자유롭게 확산될 수 있다.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그 유도체는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 수용체와 결합하는데, 이는 펩타이드 호르몬이 세포막 표면의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세포질 내에서 스테로이드는 효소가 관여하는 변환을 받거나 그대로 있을 수 있으며, 특이적인 수용체와 결합하여 이량체를 형성한다. 이 이량체는 DNA에 결합하여 세포핵으로 들어가 유전자의 전사를 유도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혈액 중에서 특정 수송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으며, 성호르몬이나 코르티코이드는 글로불린과 결합한다.[20] 추가적인 구조 변환이나 이화 작용은 간이나 주변 조직, 또는 호르몬의 표적 조직에서 일어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조직에 널리 분포하고 혈액이나 조직액에 있는 시간이 길어, 수용성 호르몬에 비해 지속적인 반응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
알도스테론, 코르티솔, 코르티손,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등의 구체적인 생합성 경로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5. 1. 알도스테론 생합성 경로
- 콜레스테롤 → 20α,22β-다이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EC 1.14.15.6)
- 20α,22β-다이하이드록시콜레스테롤 → 프레그네놀론 (EC 1.14.15.6)
- 프레그네놀론 → 프로게스테론 (EC 1.1.1.145, EC 5.3.3.1)
- 프로게스테론 → 11-데옥시코르티코스테론 (EC 1.14.99.10)
- 11-데옥시코르티코스테론 → 코르티코스테론 (EC 1.14.15.4)
- 코르티코스테론 → 18-하이드록시코르티코스테론 (EC 1.14.15.5)
- 18-하이드록시코르티코스테론 → 알도스테론 (EC 1.14.15.5)
5. 2. 코르티솔, 코르티손 생합성 경로
프레그네놀론에서 코르티솔 및 코르티손으로의 생합성 경로는 다음과 같다.
# 프레그네놀론 → 17α-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 (EC 1.14.99.9)
# 17α-하이드록시프레그네놀론 → 17α-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 (EC 1.1.1.145, EC 5.3.3.1)
# 17α-하이드록시프로게스테론 → 21-데옥시코르티솔 (EC 1.14.15.4)
# 21-데옥시코르티솔 → 코르티솔 (EC 1.14.99.10)
# 코르티솔 ⇔ 코르티손 (EC 1.1.1.146)
5. 3. 에스트론, 에스트라디올 생합성 경로
17α-히드록시프레그네놀론에서 시작하여 에스트론 및 에스트라디올을 생성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17α-히드록시프레그네놀론 →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EC 4.1.2.30)
-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 안드로스탄디오올 (EC 1.1.1.51)
-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 → 안드로스텐디온 (EC 1.1.1.145, EC 5.3.3.1)
- 안드로스탄디오올 → 테스토스테론 (EC 1.1.1.145, EC 5.3.3.1)
- 테스토스테론 → 19-히드록시테스토스테론 (EC 1.14.14.1)
- 19-히드록시테스토스테론 → 19-옥소테스토스테론 (EC 1.14.14.1)
- 19-옥소테스토스테론 → 에스트라디올 (EC 1.14.14.1)
- 에스트라디올 ⇔ 에스트론 (EC 1.1.1.62)
- 테스토스테론 ⇔ 안드로스텐디온 (EC 1.1.1.64)
- 안드로스텐디온 → 19-히드록시안드로스텐디온 (EC 1.14.14.1)
- 19-히드록시안드로스텐디온 → 19-옥소안드로스텐디온 (EC 1.14.14.1)
- 19-옥소안드로스텐디온 → 에스트론 (EC 1.14.14.1)
6. 의약품
스테로이드 호르몬 및 합성 스테로이드는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6. 1. 부신피질호르몬(스테로이드)계 (글루코코르티코이드계)
글루코코르티코이드계 스테로이드 호르몬(부신피질호르몬) 및 그 합성 유사체는 림프구의 이동을 억제하고 염증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등, 광범위하게 생체 환경의 항상성 작용을 가지고 있다. 부위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약물과 달리, 유전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며, 다양한 질병 개선에 사용된다.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을 대표로 하는 알레르기 질환을 비롯하여, 결합조직병, 다발성 경화증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악성림프종에 대해서도 현저한 효과를 보인다. 한편, 감염증을 동반한 질병에서의 사용은 감염원인 세균 등의 생체 침입을 조장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중대한 질환에서는 매우 효과가 높은 반면, 심각한 것을 포함한 다양한 부작용도 인정되고 있어, 사용에는 신중을 요하는 약제 중 하나이다.항염증제로 사용되는 것에는, 항염증 활성을 높이고, 본래의 혈당 조절 등의 호르몬 활성을 낮추는 목적으로 변형기를 개량한 것도 있다(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등).
스테로이드 내복약, 스테로이드 외용약, 흡입 스테로이드, 정맥주사, 좌약, 점안약 등의 형태가 존재한다.
의사의 처방약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일반의약품에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 있다.
6. 2. 근육 증강제
근육 증강제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는 단백동화 스테로이드라고도 불린다.참조
[1]
웹사이트
Steroid hormones - Latest research and news Nature
https://www.nature.c[...]
2021-12-06
[2]
웹사이트
steroid hormone Definition, Classification, & Functi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06
[3]
논문
Mineralocorticoid receptors, salt, and hypertension
[4]
논문
Molecular mechanisms of glucocorticoid action
http://www.currentsc[...]
[5]
논문
Steroids, reproductive endocrine function, and affect. A review
[6]
논문
Diagram of the pathways of human steroidogenesis
[7]
서적
The Reproductive System at a Glance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2010-11-28
[8]
서적
Yen & Jaffe's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9]
서적
Yen & Jaffe's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10]
논문
A review on synthetic and natural steroid dimers: 1997-2006
[11]
논문
"Bound" to work: The free hormone hypothesis revisited
[12]
논문
Role of endocytosis in cellular uptake of sex steroids
[13]
논문
Free diffusion of steroid hormones across biomembranes: A simplex search with implicit solvent model calculations
[14]
논문
Fifty years ago: The quest for steroid hormone receptors
[15]
논문
Steroid hormones use non-genomic mechanisms to control brain functions and behaviors: a review of evidence
[16]
논문
Steroid signal transduction activated at the cell membrane: from plants to animals
[17]
논문
G protein-coupled receptors: Extranuclear mediators for the non-genomic actions of steroids
[18]
서적
岩波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2013-02-26
[19]
웹사이트
gonad
https://en.wikipedia[...]
[20]
문서
コレステロールはリポタンパク質で形成された膜の中の脂肪といっしょになり輸送される
[21]
웹사이트
prednisone
https://en.wikipedia[...]
[22]
웹사이트
fludrocortisone
https://en.wikipedia[...]
[23]
웹사이트
dihydrotachysterol
https://en.wikipedia[...]
[24]
웹사이트
oxandrolone
https://en.wikipedia[...]
[25]
웹사이트
decadurabolin
https://en.wikipedia[...]
[26]
웹사이트
anabolic steroid
https://en.wikipedia[...]
[27]
웹사이트
diethylstilbestrol
https://en.wikipedia[...]
[28]
웹사이트
norethindrone
https://en.wikipedia[...]
[29]
웹사이트
medroxyprogesterone acetate
https://en.wikipedia[...]
[30]
웹인용
Steroid hormones - Latest research and news Nature
https://www.nature.c[...]
2021-12-06
[31]
웹인용
steroid hormone Definition, Classification, & Functi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1-12-06
[32]
저널인용
Mineralocorticoid receptors, salt, and hypertension
[33]
저널인용
Molecular mechanisms of glucocorticoid action
http://www.currentsc[...]
[34]
저널인용
Steroids, reproductive endocrine function, and affect. A review
[35]
저널인용
Diagram of the pathways of human steroidogenesis
[36]
서적
The Reproductive System at a Glance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2010-11-28
[37]
서적
Yen & Jaffe's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38]
서적
Yen & Jaffe's Reproductive Endocrinology: Physiology,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39]
저널
A review on synthetic and natural steroid dimers: 1997-2006
[40]
저널
"Bound" to work: The free hormone hypothesis revisited
[41]
저널
Role of endocytosis in cellular uptake of sex steroids
[42]
저널
Free diffusion of steroid hormones across biomembranes: A simplex search with implicit solvent model calculations
[43]
저널
Fifty years ago: The quest for steroid hormone receptors
[44]
저널
Steroid hormones use non-genomic mechanisms to control brain functions and behaviors: a review of evidence
[45]
저널
Steroid signal transduction activated at the cell membrane: from plants to animals
[46]
저널
G protein-coupled receptors: Extranuclear mediators for the non-genomic actions of steroi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