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콜레스테롤혈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는 질환으로, 장기간 지속될 경우 동맥경화증을 유발하여 심근 경색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특정 유형의 경우 안검황색종, 각막의 변색, 황색종과 같은 신체적 징후가 나타날 수 있다.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식단, 체중, 스트레스 등이 영향을 미친다.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이루어지며,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한다. 치료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 수준에 따라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며, 스타틴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콜레스테롤 및 스테로이드 대사 장애 - X연관 어린선
    X연관 어린선은 X 염색체 STS 유전자 결함으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남성에게 주로 발병하며 피부 각질화, 갈색 또는 회색 비늘, 각막 혼탁, 잠복고환, 정신 지체 등의 증상을 보이며, 증상 완화를 위한 국소 치료와 유전자 치료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콜레스테롤 및 스테로이드 대사 장애 - 방향화효소 과다 증후군
    방향화효소 과다 증후군은 CYP19A1 유전자 변이로 방향화효소가 과활성화되어 에스트로겐은 증가하고 안드로겐은 감소하며, 여성은 동성 조숙증, 거대 유방 등을, 남성은 이성 조숙증, 여성형 유방 등을 겪으며 생식력 문제로 이어질 수 있고, 유전자 검사로 진단 후 약물 및 외과적 치료로 증상을 관리하는 희귀 질환이다.
고콜레스테롤혈증
일반 정보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혈장 (왼쪽)과 정상 혈장 (오른쪽)
다른 이름고콜레스테롤혈증, 높은 콜레스테롤
진료 분야심장학
증상 및 합병증
증상무증상, 황색종
합병증죽상경화증, 혈전증, 색전증, 심근 경색, 뇌졸중, 관상 동맥 혈전증, 지방 색전증, 심혈관 질환, 관상 동맥 심장 질환
원인 및 위험 요인
원인불량한 식단, 정크 푸드, 패스트 푸드, 당뇨병, 알코올 의존증, 단클론 감마병증, 투석 치료, 신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쿠싱 증후군, 신경성 식욕부진
위험 요인가족력, 식단, 운동 부족, 비만, 흡연
진단 및 감별 진단
진단혈액 검사
감별 진단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예방 및 치료
예방해당 사항 없음
치료생활 습관 개선, 스타틴
기타
유병률성인의 39%

2. 징후 및 증상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장기간 지속되면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145] 이는 혈관에 죽종성 플라크가 쌓여 발생하며, 심할 경우 심장마비뇌졸중으로 이어질 수 있다.[126]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조직 허혈이 발생하여 특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뇌의 일시적인 허혈은 일시적인 시력 상실, 어지럼증, 평형 감각 장애, 말하기 어려움, 신체 한쪽의 쇠약 또는 무감각 및 따끔거림을 유발할 수 있다.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흉통이, 눈의 허혈은 한쪽 눈의 일시적인 시력 상실로 나타날 수 있다. 다리에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걸을 때 종아리 통증이, 장에서는 식사 후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127][128]

눈꺼풀 황색종은 눈꺼풀 위에 콜레스테롤 침착물로 이루어진 황색 반점이다. 이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게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


일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특정 신체적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IIa형 고지단백혈증)은 눈꺼풀 황색종(눈꺼풀 주변 피부 아래의 황색 반점),[129] 고환 (각막 주변부의 흰색 또는 회색 변색),[130] 황색종 (특히 손가락 힘줄에 황색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물질 침착)과 관련될 수 있다.[131][132] III형 고지혈증은 손바닥, 무릎, 팔꿈치의 황색종과 관련될 수 있다.[131]

2. 1. 죽상동맥경화증

고콜레스테롤혈증 자체는 무증상이지만, 장기간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면 죽상경화증(동맥 경화)이 발생할 수 있다.[145] 수십 년 동안 상승된 혈청 콜레스테롤은 동맥에 죽종성 플라크를 형성하며, 이는 관련 동맥을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할 수 있다.[126] 또는, 작은 플라크가 파열되어 혈전이 생기고 혈류를 막을 수도 있다.[10]

이로 인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은 다음과 같다:

  • 심장마비: 관상동맥이 갑자기 막히면 발생한다.
  • 뇌졸중: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이 막히면 발생한다.


협착이나 폐색이 점진적으로 진행되면, 조직과 장기로의 혈액 공급이 서서히 감소하여 장기 기능이 손상될 때까지 특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조직 허혈(혈액 공급 제한)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 : 일시적인 허혈(일과성 허혈 발작)은 일시적인 시력 상실, 어지럼증, 평형 감각 장애, 말하기 어려움, 쇠약 또는 무감각 또는 따끔거림(주로 신체 한쪽)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심장: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흉통이 발생할 수 있다.
  • : 허혈은 한쪽 눈의 일시적인 시력 상실(흑암시)로 나타날 수 있다.
  • 다리: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걸을 때 종아리 통증(파행)이 나타날 수 있다.
  • : 식사 후 복통(복부 협심증)으로 나타날 수 있다.[127][128]


일부 유형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특정 신체적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IIa형 고지단백혈증)은 눈꺼풀 황색종(눈꺼풀 주변 피부 아래의 황색 반점),[129] 노인환(각막 주변부의 흰색 또는 회색 변색),[130] 그리고 손가락, 특히 힘줄황색종(황색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물질의 침착)이 나타날 수 있다.[131][132] III형 고지혈증은 손바닥, 무릎 및 팔꿈치의 황색종과 관련될 수 있다.[131]

2. 2. 기타 증상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죽상동맥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145]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조직 허혈이 발생하여 특정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뇌의 일시적인 허혈은 일시적인 시력 상실, 현기증, 균형 장애, 말하기 어려움, 신체 한쪽의 쇠약 또는 무감각 및 따끔거림을 유발할 수 있다.[127][128] 심장으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흉통이, 눈의 허혈은 한쪽 눈의 일시적인 시력 상실로 나타날 수 있다.[127][128] 다리에 혈액 공급이 부족하면 걸을 때 종아리 통증이, 장에서는 식사 후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127][128]

일부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특정 신체적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IIa형 고지단백혈증)은 눈꺼풀 황색종(눈꺼풀 주변 피부 아래의 황색 반점),[129] 고환 (각막 주변부의 흰색 또는 회색 변색),[130] 황색종 (특히 손가락 힘줄에 황색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물질 침착)과 관련될 수 있다.[131][132] III형 고지혈증은 손바닥, 무릎, 팔꿈치의 황색종과 관련될 수 있다.[131]

2. 3. 신체 소견

일부 유형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특징적인 신체 변화를 동반한다. 예를 들어,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IIa형 고지단백혈증)은 안검황색증(눈꺼풀 주변 피부 아래의 노란색 반점),[129] 고환 (주변 각막의 흰색 또는 회색 변색),[130] 황색종 (특히 손가락 힘줄에 나타나는 황색 콜레스테롤 침착물)과 관련될 수 있다.[131][132] III형 고지혈증은 손바닥, 무릎 및 팔꿈치의 황색종과 관련될 수 있다.[131]

3. 원인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1]

콜레스테롤 수치 해석[139]
콜레스테롤 유형밀리몰/리터mg/dL해석
총 콜레스테롤<5.2<200바람직한
5.2–6.2200–239경계선
>6.2>240높음
LDL 콜레스테롤<2.6<100가장 바람직한
2.6–3.3100–129좋은
3.4–4.1130–159경계선 높음
4.1–4.9160–189높고 바람직하지
>4.9>190매우 높음
HDL 콜레스테롤<1.0<40탐탁지 않은; 위험 증가
1.0–1.541–59좋아, 하지만 최적은 아니다
>1.55>60좋은; 위험 감소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혈관 질환, 특히 관상동맥 심장병의 위험이 높아진다.[141] LDL 또는 비-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모두 미래의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을 예측하는데, 어느 것이 더 나은 예측 변수인지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56]

일본지질영양학회가 발표한 "장수를 위한 콜레스테롤 가이드라인"은 총 콜레스테롤 값이 높은 것이 장수의 지표라고 해석하는 등, 지질 이상증을 적극적으로 용인하는 듯한 내용이었다.[108]

그러나 일본의사회, 일본의학회, 일본동맥경화학회는 공동 기자회견을 통해 해당 가이드라인이 과학적 근거가 없고 환자를 오도할 수 있다며 강하게 우려했다.[109][110] 이들은 가이드라인이 채택한 논문 대부분이 심사를 거치지 않아 과학성이 담보되지 않았고, 간 질환으로 인한 저콜레스테롤혈증과 사망률 증가 가능성 등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관찰 연구와 임상 개입 시험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아 추론이 잘못되었다고 비판했다.

임상연구적정평가교육기구(J-CLEAR)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라는 것은 많은 역학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콜레스테롤 관리 목표치는 개별 환자마다 다르고,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을수록 장수한다"는 주장은 소모성 질환이나 허약 체질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5가지 제언을 했다.[113]

1989년에 시작되어 2014년에 발표된 스이다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의 예측 인자로 CKD에 이어 LDL-C 고치가 큰 인자로 평가되었다.[114][115][116][117][118]

3. 1. 환경적 요인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일반적으로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145] 환경적 요인에는 체중, 식단, 스트레스 등이 있다.[145][133] 외로움도 위험 요소이다.[134]

식이는 혈중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주지만, 이 효과의 크기는 개인에 따라 다르다.[146][135] 특히, 설탕이나 포화 지방이 많이 함유된 식단은 총 콜레스테롤과 LDL 수치를 높인다.[20] 트랜스 지방HDL 수치를 감소시키고 LDL 수치를 증가시킨다.[21]

3. 2. 기타 질환

제2형 당뇨병, 비만, 알코올 남용, 단클론성 감마병증, 투석 요법, 신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쿠싱 증후군, 신경성 식욕 부진증 등 여러 다른 질환도 콜레스테롤 수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145]

3. 3. 약물

여러 약물 및 약물 종류가 지질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여기에는 티아지드 이뇨제, 시클로스포린, 당질 코르티코이드, 베타 차단제, 레티노산, 항정신병제[145], 특정 항경련제, HIV 및 인터페론 치료제가 포함된다.[136]

3. 4. 유전적 요인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전적 요인은 대개 여러 유전자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나타나지만,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처럼 단일 유전자 결함 때문에 발생하기도 한다.[145]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APOB 유전자(상염색체 우성), 상염색체 열성 ''LDLRAP1'' 유전자, ''PCSK9'' 유전자의 상염색체 우성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HCHOLA3'') 변이, LDL 수용체 유전자의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137]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약 250명 중 1명에게서 나타난다.[138]

4. 진단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액 검사를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하여 진단한다. 콜레스테롤 측정 단위는 국가마다 다른데, 미국과 일부 국가에서는 혈액 1데시리터(mg/dL)당 밀리그램을 사용하고, 영국, 대부분의 유럽 국가 및 캐나다에서는 혈액 1리터당 밀리몰(mmol/L)을 사용한다.[31]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통해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진단하며, 각 수치에 대한 해석은 다음과 같다.

콜레스테롤 수치 해석[30]
콜레스테롤 유형mmol/Lmg/dL해석
총 콜레스테롤<5.2<200바람직함
5.2–6.2200–239경계
>6.2>240높음
LDL 콜레스테롤<2.6<100가장 바람직함
2.6–3.3100–129좋음
3.4–4.1130–159경계 높음
4.1–4.9160–189높고 바람직하지 않음
>4.9>190매우 높음
HDL 콜레스테롤<1.0<40바람직하지 않음; 위험 증가
1.0–1.541–59괜찮지만 최적은 아님
>1.55>60좋음; 위험 감소



일반적으로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을수록 심혈관 질환, 특히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37]

4. 1. 콜레스테롤 수치 해석 (대한민국 기준)

LDL 콜레스테롤은 직접 측정하거나 Friedewald 공식(LDL = 총 콜레스테롤 - HDL - (0.2 x 중성지방))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42] 단, Friedewald 공식은 공복 상태가 아니거나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경우(> 4.5 mmol/L 또는 > 400mg/dL) 정확하지 않을 수 있다.[2] 따라서 최근 지침에서는 가능한 경우 LDL을 직접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2]

non-HDL 콜레스테롤(non-HDL = 총 콜레스테롤 - HDL) 수치를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107]

4. 2. 분류

과거에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지질 전기영동과 프레드릭슨 분류에 따라 분류했다. 그러나 "지단백질 하위 유형 분석"과 같은 새로운 방법은 죽상동맥경화증 진행 및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을 이해하는 데 상당한 개선을 제공했다.[43]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에 관해서는, 일본 인간 도크 학회와 일본 동맥 경화 학회가 기준치를 정하고 있다. 일본 동맥 경화 학회는 2002년까지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참조했지만,[99] 2002년부터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LDL-C)도 참조하기 시작했고,[100] 이후에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주로 참조되고 있다. 2012년부터는 non-HDL 콜레스테롤(non-HDL-C) 개념이 채택되었다.[100]

일본에서의 혈중 콜레스테롤 정상치(mg/dL)
일본 인간 도크 학회[101][102]일본 동맥 경화 학회[103][104]
정상치경도 이상경과 관찰 요망치료 요망정상치경계역고치·저치
LDL-C60-119120-139140-17959 이하, 180 이상120 미만120-139140 이상
non-HDL-C90-149150-169170-20989 이하, 210 이상150 미만150-169170 이상
HDL-C40 이상35-3934 이하40 이상40 미만



LDL-C는 직접법 또는 Friedewald식(F식)으로 구할 수 있다.

: LDL-C = TC - HDL-C - TG/5 (단위는 모두 mg/dL)

F식은 혈청의 TG가 대부분 VLDL에 존재하고, 그 콜레스테롤과 TG의 비가 거의 1:5라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에,[105] 식후나 공복 시에도 TG가 400mg/dL 이상인 경우에는 VLDL-C가 과다하게 추정되어 LDL-C가 본래의 값보다 낮게 산출된다.[106] 이 경우에는 nonHDL-C[107]에 의해 평가한다.

: nonHDL-C = TC - HDL-C

5. 선별 검사

미국 예방 서비스 태스크 포스는 2008년에 35세 이상 남성과 45세 이상 여성에 대해 지질 이상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 검사, 그리고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 사람들의 이상 지질 치료를 강력히 권장한다.[44] 또한, 관상 동맥 심장 질환의 다른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20~35세 남성과 20~45세 여성에 대한 정기적인 선별 검사를 권장한다.[44] 2016년에는 증상이 없는 40세 미만의 일반 인구에 대한 검사의 이점은 불분명하다고 결론 내렸다.[45][46]

캐나다에서는 40세 이상 남성과 50세 이상 여성에 대한 선별 검사가 권장된다.[47] 정상 콜레스테롤 수치를 가진 사람의 경우, 5년에 한 번 선별 검사가 권장된다.[48] 스타틴을 복용하는 사람의 경우, 추가 검사는 치료 순응도를 결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이점이 없다.[49]

영국에서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진단된 후, 임상의, 가족 또는 둘 다가 1차 및 2차 친척에게 연락하여 검사 및 치료를 받도록 한다. 연구에 따르면 임상의만 연락하는 경우 더 많은 사람이 검사를 받으러 온다.[50][51]

6. 치료

고콜레스테롤혈증 치료는 위험 수준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생활 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고위험군의 경우, 생활 습관 개선과 스타틴을 함께 사용하면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145] 스타틴은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총 콜레스테롤을 약 50% 감소시킬 수 있으며,[156][157] 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심혈관 질환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158][159][160][161] 고강도 스타틴 요법을 사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163] 또한 심혈관 질환이 없는 사람에게 사용할 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162]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콜레스티라민 등은 스타틴을 견딜 수 없거나 임산부에게만 권장되는 약제이다.[77] 단백질 PCSK9에 대한 주사 항체(에볼로쿠맙, 보코시주맙, 알리로쿠맙)는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8]

2010년, 일본지질영양학회에서 "장수를 위한 콜레스테롤 가이드라인"(장수GL)을 발표했지만,[108] 일본의사회, 일본의학회, 일본동맥경화학회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환자를 오도할 수 있다며 강하게 우려했다.[109][110] 임상연구적정평가교육기구(J-CLEAR) 또한 일반 국민에게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임을 확인하고, 콜레스테롤 관리 목표치는 환자마다 다르며,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을수록 장수한다"는 주장은 소모성 질환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113]

1989년에 시작되어 2014년에 발표된 스이다 연구[114][115][116][117]에서는 관상동맥 질환 예측 인자로 CKD에 이어 LDL-C 수치가 큰 인자로 평가되었다.[118]

6. 1. 위험 수준 평가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의 수와 10년 내 심근 허혈 위험도에 따라 위험 범주를 구분한다.[143][52] 위험 요소에는 흡연, 고혈압(혈압 ≥140/90 mmHg 또는 항고혈압제 복용), 낮은 HDL 콜레스테롤(<40 mg/dL), 조기 심장병 가족력, 연령(남성 ≥45세, 여성 ≥55세)이 있다.[143][52]

치료 권장 사항은 심장 질환에 대한 4가지 위험 수준을 기반으로 하며,[143][52] 각 위험 수준에 따라 LDL 콜레스테롤 수치 역치가 달라진다.[143][52] 위험 범주가 높을수록 콜레스테롤 역치는 낮아진다.[143][52]

LDL 콜레스테롤 수치 역치[143][52]
위험 범주위험 카테고리 기준생활 방식 수정 고려약물 고려
위험 요소 수†10년 위험
심근 허혈
밀리몰/리터mg/dL밀리몰/리터mg/dL
높음이전 심장 질환또는>20%>2.6[144][53]>100>2.6>100
적당히 높음2개 이상그리고10–20%>3.4>130>3.4>130
보통2개 이상그리고<10%>3.4>130>4.1>160
낮음0 또는 1>4.1>160>4.9>190
†위험 요소에는 흡연, 고혈압(BP ≥140/90 mmHg 또는 항고혈압제), 낮은 HDL 콜레스테롤(<40 mg/dL), 조기 심장병의 가족력 및 연령(남성 ≥45세, 여성 ≥55세).



고위험군에 대해 생활 방식 수정과 스타틴의 조합은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45][9]

6. 2. LDL 콜레스테롤 수치 기준

치료 권장 사항은 심장 질환에 대한 4가지 위험 수준을 기반으로 한다.[143] 각 위험 수준에 대해 치료 및 기타 조치에 대한 목표 및 임계값을 나타내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만들어진다.[143] 위험 범주가 높을수록 콜레스테롤 역치는 낮다.[143]

LDL 콜레스테롤 수치 역치[143]
위험 범주위험 카테고리 기준생활 방식 수정 고려약물 고려
위험 요소 수†10년 위험 심근 허혈밀리몰/리터mg/dL밀리몰/리터mg/dL
높은이전 심장 질환또는>20%>2.6[144]>100>2.6>100
적당히 높음2개 이상그리고10–20%>3.4>130>3.4>130
보통의2개 이상그리고<10%>3.4>130>4.1>160
낮은0 또는 1>4.1>160>4.9>190
†위험 요소에는 흡연, 고혈압(BP ≥140/90 mm Hg 또는 항고혈압제), 낮은 HDL 콜레스테롤(<40 mg/dL), 조기 심장병의 가족력 및 연령(남성 ≥45세, 여성 ≥55세)이 있다.



고위험군에 대해 생활 방식 수정과 스타틴의 조합은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45]

6. 3. 생활 습관 개선

고콜레스테롤혈증 수치가 높은 사람에게 권장되는 생활 습관 개선에는 금연, 절주, 규칙적인 운동, 건강한 체중 유지가 있다.[146] 과체중 또는 비만인 경우, 체중 감량을 통해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출 수 있다. 평균 1kg의 체중 감량은 LDL 콜레스테롤을 0.8mg/dl 감소시킬 수 있다.[149]

6. 4. 식단 조절

채소, 과일,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지방이 적은 식단을 섭취하면 총 콜레스테롤 수치를 약간 낮출 수 있다.[147][148][149]

식이 콜레스테롤 섭취는 혈청 콜레스테롤을 약간 증가시키는데,[150][151] 그 정도는 Keys[152] 및 Hegsted[153] 방정식을 사용하여 예측할 수 있다. 과거 미국에서는 콜레스테롤 섭취 제한을 권고했지만, 캐나다, 영국, 호주에서는 그렇지 않았다.[150] 2015년, 미국 식생활 지침 자문 위원회는 콜레스테롤 섭취 제한 권고를 삭제했다.[154] 식이 요법이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다.[18][19]

설탕이나 포화 지방이 많은 식단은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20] 트랜스 지방은 고밀도 지단백질 수치를 낮추고 LDL 수치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1] 2016년 연구에서는 식이 콜레스테롤이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과 관련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가 발견되었다.[22] 2018년에는 콜레스테롤 섭취와 LDL 콜레스테롤 사이에 완만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2020년 코크란 리뷰에 따르면, 포화 지방을 불포화 지방으로 대체하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감소하여 심혈관 질환 위험이 약간 감소한다.[61] 반면, 다른 리뷰에서는 포화 지방이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62][63] 트랜스 지방은 콜레스테롤 관련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으로 인식되므로, 식단에서 트랜스 지방을 피하는 것이 좋다.[63]

미국 지질 협회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게 총 지방 섭취량을 에너지 섭취량의 25~35%로 제한하고, 포화 지방 섭취량은 에너지 섭취량의 7% 미만, 콜레스테롤 섭취량은 하루 200mg 미만으로 제한할 것을 권장한다.[2] 저칼로리 식단에서는 총 지방 섭취량의 변화가 혈중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64]

수용성 섬유질 섭취를 늘리면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출 수 있으며, 수용성 섬유질 1g을 더 섭취할 때마다 LDL이 평균 2.2mg/dL 감소한다.[65] 통곡물 섭취, 특히 귀리가 LDL 콜레스테롤 감소에 효과적이다.[66] 피토스테롤 및 피토스타놀을 하루 2g, 수용성 섬유질을 하루 10g~20g 섭취하면 식이 콜레스테롤 흡수를 줄일 수 있다.[2] 과당이 많이 함유된 식단은 혈중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일 수 있다.[67]

6. 5. 약물 치료

스타틴은 건강한 생활 방식 개선과 함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이다.[155] 스타틴은 대다수의 사람에게서 총 콜레스테롤을 약 50% 감소시킬 수 있으며,[156][157] 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158][159][160][161] 심혈관 질환이 없는 사람에게 스타틴은 모든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치명적 및 비치명적 관상 심장 질환, 뇌졸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62] 고강도 스타틴 요법을 사용하면 더 큰 이점이 관찰된다.[163] 스타틴은 심혈관 질환이 없는 사람에게 사용할 때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즉, 1차 예방).[162] 스타틴은 고콜레스테롤혈증이 있는 어린이의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지만, 2010년 현재까지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는 없으며,[164] 식이 요법이 어린 시절 치료의 주류이다.[156]

피브레이트, 니코틴산, 콜레스티라민 등은 스타틴을 견딜 수 없거나 임산부의 경우에만 권장되는 약제이다.[77] 단백질 PCSK9에 대한 주사 항체(에볼로쿠맙, 보코시주맙, 알리로쿠맙)는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사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78]

2010년, 일본지질영양학회에서 "장수를 위한 콜레스테롤 가이드라인"(장수GL)이 공표되었다.[108] 장수GL은 "일반 집단의 TC 값이 높은 것을, 총 사망률이 낮은 것(장수)의 지표라고 해석하고 있다."나 "소위 고지혈증으로 진단된 집단이 임상 지표가 양호하고 퇴원 시 사망률도 낮다. 반면, 포화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많은 집단이 뇌졸중(허혈성) 사망률이 낮다." 등, 지질 이상증을 적극적으로 용인하는 듯한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일본의사회, 일본의학회, 일본동맥경화학회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과학적인 근거가 없고, 환자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며, 매우 위험하다. 동맥경화에 의한 뇌경색·심근경색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증명되고 인정받고 있다."라고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109][110] 이들은 장수GL의 문제점으로 다음 세 가지를 지적했다.

# 장수GL이 채택한 논문은 대부분 심사를 거치지 않아 과학성이 담보되지 않았고, 이를 이용한 메타분석도 의미가 없다.

#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와 총 사망의 관계를 코호트 연구에 기초하여 논하고 있지만, 간 질환으로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가 저하되어 사망률이 상승할 가능성[111] 등이 고려되지 않았다.

# 관찰 연구(코호트 연구)와 임상 개입 시험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추론이 잘못되었다.

임상연구적정평가교육기구(J-CLEAR)는 "실지 임상가는 물론 일반 국민에게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다."라며, 다음 다섯 가지 제언을 했다.[113]

#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라는 것은 많은 역학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 콜레스테롤 관리 목표치 등은 개별 환자마다 다르다.

#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을수록 장수한다"라는 주장은 소모성 질환이나 허약 체질을 고려하지 않았다.

# 지질 이상증의 기준에 대해서는 성별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 기준 등이 다른 위험 인자의 존재나 합병증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한다.

일본인의 심근경색 발병 위험은 구미인에 비해 극히 낮아 구미의 기준이 그대로 적용 가능한지는 불분명했지만, 1989년에 시작되어 2014년에 논문으로 발표된 스이다 연구[114][115][116][117]에서, 관상동맥 질환의 예측 인자로서 CKD에 이어 LDL-C 고치가 큰 인자로 평가되었다.[118]

7. 관련 논쟁

2010년, 일본지질영양학회는 "장수를 위한 콜레스테롤 가이드라인"(이하 "장수GL")을 발표했다.[108] 장수GL은 일반 집단의 총 콜레스테롤(TC) 수치가 높은 것이 총 사망률이 낮은 것(장수)의 지표라고 해석하고, 고지혈증으로 진단된 집단의 임상 지표가 양호하며 퇴원 시 사망률도 낮다고 주장했다. 또한 포화 지방산이나 콜레스테롤 섭취량이 많은 집단이 뇌졸중(허혈성) 사망률이 낮다는 등, 지질 이상증을 적극적으로 용인하는 듯한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일본의사회, 일본의학회, 일본 동맥 경화 학회는 합동 기자회견을 열어 "과학적인 근거가 없고, 환자를 잘못된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며, 매우 위험하다. 동맥경화에 의한 뇌경색·심근경색에 콜레스테롤 수치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증명되고 인정받고 있다."라고 강하게 비판했다.[109][110] 이들은 장수GL의 문제점으로 다음 세 가지를 지적했다.

# 장수GL이 채택한 논문은 대부분 심사를 거치지 않아 과학성이 담보되지 않았고, 이를 이용한 메타분석도 의미가 없다.

#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와 총 사망과의 관계를 코호트 연구에 기초하여 논하고 있지만, 간 질환으로 혈청 콜레스테롤 수치가 저하되어 사망률이 상승할 가능성[111]이 고려되지 않았다.

# 관찰 연구(코호트 연구)와 임상 개입 시험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추론이 잘못되었다.

임상연구적정평가교육기구(J-CLEAR)는 "실제 임상가는 물론 일반 국민에게 혼란을 초래하는 것이다."라며 다음과 같은 5가지 제언을 했다.[113]

# 고콜레스테롤혈증이 동맥경화성 질환의 위험 인자라는 것은 많은 역학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 콜레스테롤 관리 목표치 등은 개별 환자마다 다르다.

#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을수록 장수한다"라고 주장하는 그룹의 견해는, 소모성 질환이나 허약 체질을 고려하지 않았다.

# 지질 이상증의 기준에 대해서는 성별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

#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 기준 등이 다른 위험 인자의 존재나 합병증의 상황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8. 연구 동향

유전자 치료가 잠재적인 치료법으로 연구되고 있다.[90][91]

참조

[1] 논문 Dyslipidaemia 2003-08-00
[2] 논문 Cholesterol and Plants 2005-12-00
[3] 논문 Understanding lipoproteins as transporters of cholesterol and other lipids 2004-12-00
[4] 논문 Atherogenic lipoprotein particles in atherosclerosis 2004-06-00
[5] 논문 Antiatherogenic small, dense HDL--guardian angel of the arterial wall? 2006-03-00
[6] 웹사이트 Healthy diet – Fact sheet N°394 https://www.who.int/[...] 2015-09-00
[7] 논문 Management of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s in adult patients: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Lipid Association Expert Panel o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2011-06-00
[8] 웹사이트 Hypercholesterolemia https://ghr.nlm.nih.[...] 2016-05-16
[9] 논문 Hypercholesterolaemia and its management 2008-08-00
[10] 논문 Concept of vulnerable/unstable plaque 2010-07-00
[11] 논문 Prim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guidance from Framingham: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HA Task Force on Risk Reduc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1998-05-00
[12] 서적 Eyelid, conjunctival, and orbital tumors: atlas and textboo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 논문 Correlating corneal arcus with atherosclerosis i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2008-03-00
[14]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Elsevier
[15]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16] 논문 Stress, stress reduction and hypercholesterolemia in African Americans: a review 1999-00-00
[17] 논문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2010-10-00
[18] 논문 Evidence of lifestyle modification in the management of hypercholesterolemia 2013-02-00
[19] 논문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responses to dietary fat and cholesterol: a meta-analysis 1997-06-00
[20] 논문 The Evidence for Saturated Fat and for Sugar Related to Coronary Heart Disease 2016-00-00
[21] 논문 Health effects of trans fatty acids 1997-10-00
[22] 논문 Does Dietary Cholesterol Matter? 2016-11-00
[23] 논문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etary cholesterol intake on LDL and HDL cholesterol 2019-01-00
[24] 서적 Endotext MDText.com, Inc. 2000-01-01
[25] 웹사이트 Hypercholesterolemia http://ghr.nlm.nih.g[...]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3-12-05
[26] 논문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heterozygous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7-09-00
[27] 논문 A Population-Genetic Test of Founder Effects and Implications for Ashkenazi Jewish Diseases American Society of Human Genetics via PubMed 2004-08-00
[28] 논문 Recent Origin and Spread of a Common Lithuanian Mutation, G197del LDLR, Causing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Positive Selection Is Not Always Necessary to Account for Disease Incidence among Ashkenazi Jews 2001-05-00
[29] 웹사이트 Jewish Genetics, Part 3: Jewish Genetic Diseases (Mediterranean Fever, Tay–Sachs, pemphigus vulgaris, Mutations) http://www.khazaria.[...] 2018-10-18
[30] 웹사이트 Evaluating statin drugs to treat High Cholesterol and Heart Disease: Comparing Effectiveness, Safety, and Price http://www.consumerr[...] Consumer Reports 2013-03-00
[31] 웹사이트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www.mayoclin[...] 2023-01-11
[32] 웹사이트 Diagnosing High Cholesterol http://www.nhs.uk/Co[...] 2013-03-09
[33] 웹사이트 ATP III Guidelines At-A-Glance Quick Desk Reference http://www.nhlbi.nih[...] 2013-03-09
[34] 웹사이트 Hormonal and Metabolic Disorders https://www.msdmanua[...] 2023-07-03
[35] 웹사이트 What Your Cholesterol Levels Mean https://www.heart.or[...] 2017-11-16
[36] 논문 Appropriate Total cholesterol cut-offs for detection of abnormal LDL cholesterol and non-HDL cholesterol among low cardiovascular risk population 2019-01-26
[37] 논문 Total cholesterol as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in women compared with 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5-01
[38] 논문 ESC/EA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and the 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 (EAS) 2011-07-01
[39] 논문 Advanced Lipoprotein Testing and Subfractionation Are Clinically Useful 2009-05-05
[40] 웹사이트 New Information on Accuracy of LDL-C Estimation https://www.acc.org/[...] 2020-03-20
[41] 웹사이트 Friedewald equation for calculating VLDL and LDL - All About Cardiovascular System and Disorders https://johnsonfranc[...] 2017-11-04
[42] 논문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1972-06-01
[43] 서적 GeneReviews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1993
[44] 웹사이트 Screening for Lipid Disorders: Recommendations and Rationale https://web.archive.[...] 2010-11-04
[45] 논문 Screening for Dyslipidemia in Young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6-10-01
[46] 논문 Screening for Lipid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2016-08-01
[47] 논문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emia and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summary of the 2003 update 2003-10-01
[48] 논문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final report 2002-12-01
[49] 논문 Statins for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 right dose
[50] 논문 Alternative cascade-testing protocols for identifying and managing patients with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systematic reviews, qualitative study and cost-effectiveness analysis https://www.journals[...] 2023-10-24
[51] 논문 What is the best way to identify people with inherited high cholesterol? https://evidence.nih[...] 2024-04-30
[52] 논문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s https://cdr.lib.unc.[...] 2004-07-01
[53] 간행물 Evaluating statin drugs to treat High Cholesterol and Heart Disease: Comparing Effectiveness, Safety, and Price http://www.consumerr[...] Consumer Reports 2013-03-01
[54] 논문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promote healthy diet in primary car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3-12-01
[55] 논문 Increased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2013-06-01
[56] 논문 Cholesterol: where science and public health policy intersect 2010-06-01
[57] 논문 Dietary cholesterol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8-01
[58] 논문 Serum cholesterol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et: IV. Particular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diet 1965-07-01
[59] 논문 Quantitative effects of dietary fat on serum cholesterol in man 1965-11-01
[60] 웹사이트 Scientific Report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http://health.gov/di[...] 2015
[61] 논문 Reduction in saturated fat intake for cardiovascular disease 2020-08-01
[62] 논문 Association of dietary, circulating, and supplement fatty acids with coronary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4-03-01
[63] 논문 Intake of saturated and tran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all 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5-08-01
[64] 논문 Comparison of effects of long-term low-fat vs high-fat diets on blood lipid levels in overweight or obes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3-12-01
[65] 논문 Cholesterol-lowering effects of dietary fiber: a meta-analysis 1999-01-01
[66] 논문 Whole-grain and blood lipid changes in apparently healthy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2015-09-01
[67] 논문 Dietary fructose and glucose differentially affect lipid and glucose homeostasis 2009-06-01
[68] 논문 2018 AHA/ACC/AACVPR/AAPA/ABC/ACPM/ADA/AGS/APhA/ASPC/NLA/PCNA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9-06-01
[69] 논문 Effect of statins and non-statin LDL-lowering medications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secondary preven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2018-04-01
[70] 논문 Efficacy of statins for primary prevention in people at low cardiovascular risk: a meta-analysis 2011-11-01
[71] 논문 Efficacy and safety of statin treatm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network meta-analysis of 170,255 patients from 76 randomized trials 2011-02-01
[72] 논문 The effects of lowering LDL cholesterol with statin therapy in people at low risk of 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27 randomised trials 2012-08-01
[73] 논문 Statins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s: Evidenc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6-11-01
[74] 논문 Statin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2013-01-01
[75] 논문 Ongoing challenges for pharmacotherapy for dyslipidemia 2015-02-01
[76] 논문 Are treatment targets for hypercholesterolemia evidence bas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0-09-01
[77] 간행물 Lipid modification NICE 2008-01-01
[78] 논문 Effects of Proprotein Convertase Subtilisin/Kexin Type 9 Antibodies in Adul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7-01
[79] 논문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s https://cdr.lib.unc.[...] 2004-08-01
[80] 논문 2018 AHA/ACC/AACVPR/AAPA/ABC/ACPM/ADA/AGS/APhA/ASPC/NLA/PCNA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Executive Summary: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9-06-01
[81] 웹사이트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sessment and reduction, including lipid modification https://www.nice.org[...] 2014-07-18
[82] 웹사이트 Ten Things Physicians and Patients Should Question http://www.choosingw[...] AMDA – The Society for Post-Acute and Long-Term Care Medicine 2014-02-01
[83] 논문 Lipid control in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04-04-01
[84] 논문 Pharmacologic lipid-lowering therapy in type 2 diabetes mellitus: background paper for the American College of Physicians 2004-04-01
[85] 논문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use among adults: United States, 2002 https://pubmed.ncbi.[...] 2004-05-01
[86] 논문 Chinese herbal medicines for hypercholesterolemia 2011-07-01
[87] 논문 Continuous dose-response relationship of the LDL-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phytosterol intake 2009-02-01
[88] 논문 Controversial role of plant sterol esters in the management of hypercholesterolaemia 2009-02-01
[89] 웹사이트 Tota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Adul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0 https://www.cdc.gov/[...] CDC 2012-04-01
[90] 논문 Gene therapy for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91] 논문 LDLR-Gene therapy for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problems, progress, and perspectives 2010-12-01
[92] 웹사이트 Quick Facts: High Cholesterol https://www.merckman[...]
[93] 웹사이트 Dyslipidemia 2021-01-01
[94] 웹사이트 Hypercholesterolemia - Symptoms, diagnosis and treatment https://bestpractice[...]
[95] 웹사이트 Cholesterol https://medlineplus.[...]
[96] 논문 Hypercholesterolemia 2021-01-01
[97] 논문 Management of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s in adult patients: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Lipid Association Expert Panel o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2011-06-01
[98] 논문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yslipidaemia among adults in Afric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 2015-03-17
[99] 논문 動脈硬化性疾患診療ガイドライン2002年版 https://doi.org/10.1[...] 日本循環器管理研究協議会
[100] 논문 動脈硬化性疾患予防ガイドライン2017年版と脂質関連の話題 http://plaza.umin.ac[...]
[101] 웹사이트 判定区分 2021年度版 - 日本人間ドック学会 https://www.ningen-d[...]
[102] 웹사이트 検査表の見方 - 日本人間ドック学会 https://www.ningen-d[...]
[103] 웹사이트 健康診断で異常を言われたら?【日本動脈硬化学会】 https://www.j-athero[...]
[104] 웹사이트 脂質異常症 https://www.e-health[...] 厚生労働省
[105] 웹사이트 シー・アール・シー|LDLコレステロール値が直接法と計算法で乖離するのはなぜですか? http://www.crc-group[...]
[106] 웹사이트 Friedewald式(F式) http://uwb01.bml.co.[...] 2022-02-01
[107] 웹사이트 見逃したくない検査値「non-HDLコレステロール」 糖尿病の治療は脂質管理も大切|ニュース|糖尿病ネットワーク https://dm-net.co.jp[...] 2022-02-01
[108] 논문 長寿のためのコレステロール ガイドライン 2010年版 http://jsln.umin.jp/[...]
[109] 웹사이트 「長寿のためのコレステロール ガイドライン 2010年版」に対する声明 https://www.med.or.j[...] 2022-02-01
[110] 웹사이트 科学的根拠なし、『コレステロール高い方が長生き』ガイドラインに反対声明 https://www.m3.com/n[...] 2022-02-01
[111] 문서 "医の常識である"としている。
[112]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total cholesterol and all-cause or cause-specific mortality in a 17.3-year study of a Japanese cohort https://linkinghub.e[...] 2007-01
[113] 웹사이트 「コレステロールは高い方がよい」にJ-CLEARが見解 https://medical.nikk[...] 2022-02-01
[114] 논문 Predicting Coronary Heart Disease Using Risk Factor Categories for a Japanese Urban Popul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Framingham Risk Score: The Suita Study https://doi.org/10.5[...] 2014
[114] 논문 "Erratum" Predicting Coronary Heart Disease Using Risk Factor Categories for a Japanese Urban Population, and Comparison with the Framingham Risk Score: The Suita Study https://doi.org/10.5[...]
[115] 웹사이트 Suita Study(吹田研究)_循環器トライアルデータベース https://www.ebm-libr[...] 2022-02-01
[116]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計画的にデザインされた都市型コホート研究(前編)|吹田研究 http://www.epi-c.jp/[...] 2022-02-01
[117] 웹사이트 [インタビュー]計画的にデザインされた都市型コホート研究(後編)|吹田研究 http://www.epi-c.jp/[...] 2022-02-01
[118] 웹사이트 冠動脈疾患を予測する新しいリスクスコアの開発|プレスリリース|広報活動 https://www.ncvc.go.[...] 2022-02-01
[119] 논문 Cholesterol and Plants 2005-12-01
[120] 논문 Understanding lipoproteins as transporters of cholesterol and other lipids December 2004
[121] 논문 Atherogenic lipoprotein particles in atherosclerosis June 2004
[122] 논문 Antiatherogenic small, dense HDL – guardian angel of the arterial wall? March 2006
[123] 웹사이트 Healthy diet – Fact sheet N°394 https://www.who.int/[...] 2016-07-06
[124] 논문 Intake of saturated and trans unsaturated fatty acids and risk of all cause mortality, cardiovascular disease, and type 2 diabet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2015-08-11
[125] 웹사이트 Hypercholesterolemia https://ghr.nlm.nih.[...] 2016-05-16
[126] 논문 Concept of vulnerable/unstable plaque July 2010
[127] 논문 Dyslipidaemia August 2003
[128] 논문 Primary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guidance from Framingham: a stateme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from the AHA Task Force on Risk Reduction. American Heart Association
[129] 서적 Eyelid, conjunctival, and orbital tumors: atlas and textbook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30] 논문 Correlating corneal arcus with atherosclerosis i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2008-03-10
[131]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https://archive.org/[...] Saunders Elsevier
[132] 서적 Dermatology: 2-Volume Set Mosby
[133] 논문 Stress, stress reduction and hypercholesterolemia in African Americans: a review 1999
[134] 논문 Loneliness Matters: A Theorec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135] 논문 Plasma lipid and lipoprotein responses to dietary fat and cholesterol: a meta-analysis June 1997
[136] 서적 Endotext MDText.com, Inc. 2000-01-01
[137] 웹사이트 Hypercholesterolemia http://ghr.nlm.nih.g[...] U.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3-12-05
[138] 논문 Estimating the prevalence of heterozygous familial hypercholesterolaemi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139] 논문 Evaluating statin drugs to treat High Cholesterol and Heart Disease: Comparing Effectiveness, Safety, and Price http://www.consumerr[...] Consumer Reports 2013-03-27
[140] 웹사이트 High Cholesterol – Tests and Diagnosis http://www.mayoclini[...] 2013-03-09
[141] 저널 Total cholesterol as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in women compared with 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05-01
[142] 저널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1972-06-01
[143] 저널 Implications of recent clinical trials for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Treatment Panel III guidelines. 2004-07-13
[144] 저널 Evaluating statin drugs to treat High Cholesterol and Heart Disease: Comparing Effectiveness, Safety, and Price http://www.consumerr[...] Consumer Reports 2013-03-27
[145] 저널 Hypercholesterolaemia and its management
[146] 저널 Evidence of lifestyle modification in the management of hypercholesterolemia. 2013-02-01
[147] 저널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to promote healthy diet in primary car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2013-12-20
[148] 저널 Increased consumption of fruit and vegetable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s. 2013-06-04
[149] 저널 Management of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s in adult patients: recommendations from the National Lipid Association Expert Panel on Familial Hypercholesterolemia 2011-06-01
[150] 저널 Cholesterol: where science and public health policy intersect 2010-06-01
[151] 저널 Dietary cholesterol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8-01
[152] 저널 Serum cholesterol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et: IV. Particular saturated fatty acids in the diet https://pubmed.ncbi.[...] 1965-07-01
[153] 저널 Quantitative effects of dietary fat on serum cholesterol in man https://pubmed.ncbi.[...] 1965-11-01
[154] 웹인용 Scientific Report of the 2015 Dietary Guidelines Advisory Committee http://health.gov/di[...] 2015-05-16
[155] 저널 2018 AHA/ACC/AACVPR/AAPA/ABC/ACPM/ADA/AGS/APhA/ASPC/NLA/PCNA Guideline on the Management of Blood Cholesterol: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8-11-10
[156] 저널 ESC/EA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dyslipidaemias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ESC) and the European Atherosclerosis Society (EAS) 2011-07-01
[157] 저널 Effect of statins and non-statin LDL-lowering medications on cardiovascular outcomes in secondary prevention: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2018-04-07
[158] 저널 Efficacy of statins for primary prevention in people at low cardiovascular risk: a meta-analysis 2011-11-08
[159] 저널 Efficacy and safety of statin treatme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network meta-analysis of 170,255 patients from 76 randomized trials 2011-02-01
[160] 저널 The effects of lowering LDL cholesterol with statin therapy in people at low risk of vascular disease: meta-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27 randomised trials
[161] 저널 Statins for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Adults: Evidence Report and Systematic Review for the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6-11-15
[162] 저널 Statins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2013-01-31
[163] 저널 Ongoing challenges for pharmacotherapy for dyslipidemia
[164] 저널 Are treatment targets for hypercholesterolemia evidence bas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