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촙리프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촙리프터는 1982년 출시된 헬리콥터 액션 게임으로, 플레이어가 헬리콥터 조종사가 되어 인질을 구출하고 적을 섬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개발자 마이크 해거티는 1986년 횡스크롤 액션 게임 그린 베레에 영감을 받아 촙리프터를 개발했으며, 애플 II, 코모도어 64, MS-DOS 플랫폼으로 출시되었다. 촙리프터는 단순한 조작과 헬리콥터 조종의 현실감, 박진감 넘치는 게임성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아케이드 버전과 다양한 후속작, 리메이크 버전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레코의 게임 - 모모코 120%
    모모코 120%는 십자키, 샷, 점프 버튼으로 모모코를 조작하여 유치원부터 결혼식까지의 배경으로 이루어진 6개 스테이지에서 불길을 피해 비행선에 탑승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1980년대 아케이드 플랫폼 게임이다.
  • 자레코의 게임 - 필드 컴뱃
    필드 컴뱃은 1985년 자레코에서 발매한 패밀리 컴퓨터용 슈팅 게임으로, 전함 제네시스를 조종하여 적을 흡수하며 전장을 누비는 게임이며, 이후 모바일 버전인 《삼국 필드 컴뱃》에서는 삼국지의 영웅들을 포획하여 천하통일을 목표로 하는 독특한 설정을 가지고 있다.
  • 브로더번드의 게임 - 로드 러너
    로드 러너는 더글러스 E. 스미스가 개발하고 브로더번드에서 1983년 출시한 게임으로, 막대인간 캐릭터가 벽돌 플랫폼 레벨에서 금을 수집하고 탈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다양한 플랫폼으로 이식되어 많은 후속작과 파생 작품을 낳았다.
  • 브로더번드의 게임 - 페르시아의 왕자 2: 그림자와 불꽃
    《페르시아의 왕자 2: 그림자와 불꽃》은 1993년에 출시된 액션 플랫폼 게임으로, 주인공이 사악한 자파의 음모를 막기 위해 향상된 그래픽과 새로운 게임플레이 요소들을 활용하여 함정을 피하고 퍼즐을 풀며 임무를 완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아타리 8비트 제품군 게임 - 배틀존 (1980년 비디오 게임)
    배틀존은 1980년 아타리에서 출시한 1인칭 시점의 벡터 그래픽 아케이드 슈팅 게임으로, 두 개의 조이스틱으로 탱크를 조종하여 적 탱크와 UFO를 파괴하는 게임이며, 독특한 아케이드 캐비닛 디자인과 가상 현실 게임의 선구자라는 평가를 받았다.
  • 아타리 8비트 제품군 게임 - 울티마 III: 엑소더스
    《울티마 III: 엑소더스》는 리처드 개리엇이 제작하고 소사리아를 배경으로 악당 엑소더스를 물리치는 퀘스트를 다루는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4인 파티 시스템, 3D 던전, 턴 기반 전투 시스템 등의 특징을 갖춘 울티마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이다.
촙리프터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타리 5200 박스 커버
장르스크롤 슈팅 게임
모드싱글 플레이어
개발 정보
개발자댄 고를린
배급사브로더번드
디자이너댄 고를린
출시 정보
원작NA: 1982년 5월 21일
아케이드 리메이크JP: 1985년 9월 25일
플랫폼
플랫폼 목록Apple II
아케이드
아타리 8비트
Atari 5200
Atari 7800
콜레코비전
코모도어 64
패미컴
FM-7
세가 마스터 시스템
MSX
SG-1000
톰슨 MO5
톰슨 TO7/70
VIC-20

2. 게임플레이

《촙리프터》는 플레이어가 전투 헬리콥터 "호크 Z"의 조종사가 되어[7][8] 적진에 침투해 인질을 구출하고 적들을 섬멸하는 액션 슈팅 게임이다. 게임의 주된 목표는 사악한 벙클링 제국[7][8](또는 뱅게링 제국)에 억류된 인질들을 구출하여 아군 기지로 안전하게 수송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플레이어는 적대적인 탱크와 전투기 등의 공격을 막아내야 한다.[7][8] 최대한 적에게 공격당하지 않으면서 인질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구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플레이어는 헬리콥터를 조종하여 이동하고, 적을 공격하기 위한 미사일 발사와 인질을 태우기 위한 착륙 및 사다리 조작을 수행한다. 헬리콥터는 왼쪽, 오른쪽, 정면의 세 방향으로 기수를 돌릴 수 있으며, 이동 방향과 별개로 사격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정면 모드는 지상의 탱크를 공격하는 데 유용하다.[7][8] 헬리콥터 조작에는 관성이 적용되어 가속과 감속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독특한 조작 감각을 제공한다.

인질 구출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따른다. 먼저 인질이 갇힌 건물을 사격하여 파괴하면 인질들이 밖으로 나온다. 이후 헬리콥터를 지상에 착륙시켜 인질들이 탑승하도록 유도한다. 헬리콥터는 한 번에 제한된 수의 인질만 태울 수 있으므로(보통 16명), 모든 인질을 구출하려면 여러 번 왕복해야 한다.[7][8] 인질을 태운 후에는 시작 지점인 아군 기지로 돌아와 인질들을 내려놓는다.

게임 진행 중에는 다양한 위험 요소가 존재한다. 지상에서는 탱크가 공격해오며, 특히 헬리콥터가 지상에 있을 때 취약하다. 공중에서는 적 전투기공대공 미사일이나 폭탄으로 공격한다.[7][8] 플레이어는 이러한 적의 공격을 피하는 동시에, 자신의 공격으로 인질을 맞추거나 착륙 시 인질을 깔아뭉개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정 수 이상의 인질을 성공적으로 구출하면 스테이지가 완료된다. 게임 진행 상황은 화면의 도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남은 적의 수와 구출해야 할 인질 수가 표시된다.

2. 1. 기본 목표

《촙리프터》에서 플레이어는 전투 헬리콥터 조종사의 역할을 맡아, 사악한 벙클링 제국이 통제하는 영토 내 막사에 억류된 인질을 구출하는 임무를 수행한다.[7][8] 배경 설정에 따르면, 이 인질들은 "평화와 어린이 양육에 관한 유엔 회의 대표"들이며, 이들을 구출하기 위한 헬리콥터 부품은 "우편물 분류기"로 위장하여 밀수입되었다. 플레이어의 주된 목표는 최대한 적에게 공격당하지 않으면서 가능한 빠르게, 속전속결로 인질들을 구출하여 근처의 미국 우체국 건물로 안전하게 수송하는 것이다.[7][8] 이 과정에서 적대적인 탱크나 전투기 등의 공격을 막아내야 한다.

인질을 구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질이 갇힌 건물 중 하나를 쏴서 열어주고, 착륙하여 인질들이 헬리콥터에 탑승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후 인질들을 태우고 플레이어의 시작 지점(아군 기지)으로 돌려보내는 과정을 반복한다. 각 스테이지에는 총 64명의 인질이 4개의 건물에 16명씩 나뉘어 있다. 하지만 헬리콥터는 한 번에 최대 16명까지만 태울 수 있으므로, 모든 인질을 구출하려면 여러 번 왕복해야 한다. 헬리콥터가 가득 차면 아직 탑승하지 못한 인질들은 더 이상 탑승하려 하지 않고, 헬리콥터가 다시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손을 흔든다.

각 구출 시도(출격)는 일반적으로 적들이 플레이어의 행동을 인지하고 반격을 가하기 때문에 이전보다 더 위험해진다. 따라서 신속하고 효율적인 구출 작전이 중요하다.

2. 2. 조작 방식

플레이어는 전투 헬리콥터 "호크 Z"의 조종사 역할을 맡아, 적진(벙클링 제국[7][8] 또는 뱅게링 제국)에 억류된 인질들을 구출하고 아군 기지로 안전하게 수송하는 임무를 수행한다.[7][8] 게임의 주된 목표는 적의 공격을 최대한 피하면서 가능한 한 빠르게 인질을 구출하는 것이다.

헬리콥터는 왼쪽, 오른쪽, 또는 정면(플레이어를 향함)의 세 방향으로 기수를 돌릴 수 있다. 중요한 점은 헬리콥터가 이동하는 방향과 기수가 향하는 방향이 달라도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비행하면서 정면의 적을 향해 사격할 수 있다. 이 세 방향 중 어느 쪽으로든 적을 향해 사격할 수 있으며, 특히 정면을 향하는 모드는 지상의 탱크를 공격할 때 주로 사용된다. 헬리콥터 조작에는 관성이 적용되어 가속과 감속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섬세한 조작이 필요하다.

공격 시에는 구출해야 할 인질에게 플레이어의 공격이 명중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적을 공격하기 위한 미사일 발사 기능과 인질 구출을 위한 기능(착륙 및 탑승 유도)이 별도로 존재한다.

인질을 구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인질이 갇혀 있는 건물 중 하나를 공격하여 파괴하면 인질들이 밖으로 나온다.

2. 헬리콥터를 지상에 착륙시켜 인질들이 헬리콥터에 탑승하도록 유도한다.

3. 인질들을 태우고 플레이어의 시작 지점(아군 기지)으로 돌아와 인질들을 내려준다.

각 스테이지에는 총 64명의 인질이 있으며, 건물 4곳에 16명씩 나뉘어 있다. 헬리콥터는 한 번에 최대 16명의 인질만 태울 수 있으므로(이 숫자는 게임 이식 기종에 따라 다를 수 있음), 모든 인질을 구출하려면 여러 번 왕복해야 한다. 헬리콥터가 만원이 되면 더 이상 인질이 탑승하려 하지 않고, 플레이어가 돌아오기를 기다리며 손을 흔든다.

착륙 시에는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인질 바로 위나 건물 출구를 막는 위치에 착륙하면 인질이 사망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버전(Apple II, Atari 7800 등)에서는 헬리콥터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불안정하게 착륙하면, 탑승하려던 인질이 헬리콥터에 깔려 사망하기도 한다. 지상에 착륙해 있는 동안에는 적 탱크(전차)의 공격에 취약해지며, 공중으로 다시 이륙해야만 탱크를 반격할 수 있다. 공중에서는 적 전투기공대공 미사일로 공격하거나, 지상에 폭탄을 투하하기도 하므로 항상 경계해야 한다.

2. 3. 게임 진행

플레이어는 전투 헬리콥터 "호크 Z"의 조종사 역할을 맡아[7][8], 사악한 뱅게링 제국이 통제하는 영토 내 막사나 수용소에 억류된 인질을 구출하는 임무를 수행한다.[7] 게임의 주된 목표는 적의 공격을 피하면서 최대한 신속하게 인질을 구출하여 아군 기지로 안전하게 수송하는 것이며, 이 과정에서 적대적인 탱크와 다른 적 전투원들의 방해를 막아야 한다.[7][8] 배경 설정에 따르면, 구출 대상 인질은 "평화와 어린이 양육에 관한 유엔 회의 대표"들이며, 헬리콥터 부품은 "우편물 분류기"로 위장되어 밀수입되었다.[7][8]

헬리콥터는 왼쪽, 오른쪽, 또는 정면(플레이어를 향함)의 세 방향으로 기수를 돌릴 수 있으며, 기수가 향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비행하면서도 사격이 가능하다. 특히 정면 모드는 지상의 탱크를 공격하는 데 유용하다. 헬리콥터는 관성이 적용되어 가속과 감속이 서서히 이루어지므로 독특한 조작감을 가진다.

인질을 구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질이 갇힌 건물 중 하나를 사격하여 파괴해야 한다. 그러면 인질들이 건물 밖으로 나온다. 이후 헬리콥터를 지상에 착륙시켜 인질들이 탑승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때 인질 바로 위에 착륙하거나 건물 출구를 막으면 인질이 깔려 사망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Apple II 및 Atari 7800 버전에서는 헬리콥터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착륙하면 탑승하려던 인질이 깔려 사망하기도 한다.

헬리콥터는 한 번에 최대 16명의 인질만 태울 수 있다. 각 스테이지에는 보통 4개의 건물에 총 64명의 인질이 나뉘어 있으므로(건물당 16명), 여러 번 아군 기지와 인질 구출 지점을 왕복해야 한다. 헬리콥터가 만원이 되면 더 이상 인질이 탑승하지 않고 손을 흔들며 헬리콥터가 돌아오기를 기다린다. 인질을 태운 헬리콥터는 플레이어의 시작 지점인, 배경 설정상 미국 우체국 건물로 위장된 아군 기지[7][8]로 돌아와 인질을 내려놓는다. 일반적으로 인질 구출을 위해 왕복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적의 공격은 더욱 거세진다.

구출 작전 중에는 적들의 방해가 이어진다. 지상에서는 탱크가 공격해오며, 특히 헬리콥터가 지상에 착륙해 있는 동안 취약하다. 공중에서는 적 전투기가 나타나 공대공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폭탄을 투하하여 공격한다. 플레이어는 이러한 적의 공격으로부터 인질을 보호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사격으로 인질을 맞추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실수로 인질을 공격하거나 헬리콥터에 깔리면 인질이 사망한다. 고의로 모든 인질을 제거하는 플레이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 다음 스테이지 진행이 불가능하거나 연료 보급 없이 불리한 조건에서 재시작해야 할 수 있다.

일정 수 이상의 인질을 성공적으로 구출하면 스테이지가 클리어된다. 클리어에 필요한 인질 수나 한 번에 태울 수 있는 인질 수는 게임 이식 기종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게임 진행 중 도표 보기를 통해 섬멸해야 하는 적의 수와 구출해야 하는 인질 수를 확인할 수도 있다.

2. 4. 스테이지 종류

《촙리프터》에는 총 4개의 스테이지가 있다.

  • 성지사막의 스테이지: 게임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플레이하게 되는 스테이지이다. 성지와 사막을 주요 배경으로 삼는다.
  • 도시의 스테이지: 두 번째 스테이지로, 도시를 배경으로 만들어졌다.
  • 밀림의 스테이지: 세 번째 스테이지이며, 밀림과 숲을 배경으로 한다.
  • 군함에서의 스테이지: 네 번째 스테이지이자 공식적인 마지막 스테이지이다. 바다 위의 군함을 배경으로 한다.

2. 5. 상황 도표 및 요소

《촙리프터》는 적을 섬멸하며 인질을 구출하는 헬리콥터 게임으로, 게임 화면에는 플레이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되며 여러 요소가 게임 진행에 영향을 미친다. 플레이어는 이러한 정보와 요소를 활용하여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 FUEL (연료/내구성/체력): 플레이어가 조종하는 헬리콥터의 내구성, 즉 에너지 및 체력 상태를 나타낸다. 적에게 공격당하면 깎이며, 모두 소진되면 헬리콥터는 추락하여 파괴되고 잔기(플레이어 수)가 하나 줄어든다. 스테이지를 완료하면 최대치로 회복된다. 따라서 적의 공격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 유도탄 (미사일): 플레이어 헬리콥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사일의 남은 수량을 보여준다. 적을 처치할 때 소모되며, 모두 사용했을 경우 처음 출발했던 아군 숙소에서 다시 보충할 수 있다. 게임 도중 나타나는 아이템 획득을 통해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 적의 숫자: 현재 스테이지에 남아있는 적의 수를 나타낸다. 적을 처치할 때마다 숫자가 줄어들고 플레이어의 점수가 오른다.
  • 인질 숫자: 현재 스테이지에서 구출해야 할 인질의 남은 수를 나타낸다. 인질을 성공적으로 구출하여 아군 숙소로 귀환시킬 때마다 숫자가 줄어들고 점수가 오른다. 모든 적을 섬멸하고 인질을 구출하면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간다.
  • 아군 숙소: 게임 시작 시 헬리콥터가 위치한 출발 지점이다. 유도탄을 보충하는 장소이며, 구출한 인질들을 안전하게 귀환시키는 최종 목적지이기도 하다.
  • 아이템: 스테이지 진행 중 가끔 나타나는 아이템으로, 획득 시 게임 플레이에 유리한 효과를 준다. 예를 들어 유도탄 성능 향상이나 잔기 증가 등이 가능하다.
  • 사다리: 헬리콥터에 장착된 장비로, 인질 구출에 사용된다. 구조를 기다리는 인질 근처에서 사다리를 내리면 인질이 탑승한다.
  • 잔기 (헬리콥터 진기): 플레이어에게 남은 헬리콥터의 수, 즉 목숨을 의미한다. 헬리콥터의 내구성이 다 떨어져 추락하면 하나씩 소모된다. 잔기가 모두 소진되면 게임이 종료된다. 점수를 많이 얻거나 특정 아이템을 획득하면 잔기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 HI-SCORE (하이 스코어): 해당 게임에서 기록된 최고 점수를 보여준다.
  • SCORE (스코어): 현재 플레이어가 획득한 점수를 나타낸다. 적 섬멸, 인질 구출, 아이템 획득 시 점수가 오르며, 일정 점수에 도달하면 잔기가 하나 늘어나기도 한다.


헬리콥터는 왼쪽, 오른쪽, 또는 정면(플레이어 방향)의 세 방향으로 기수를 돌릴 수 있으며, 이 세 방향 어디로든 사격할 수 있다. 비행 방향과 사격 방향이 반드시 일치할 필요는 없다. 정면 모드는 주로 지상의 탱크를 공격하는 데 유용하다.[7][8]

인질을 구출하려면 먼저 인질이 갇힌 건물 중 하나를 사격하여 파괴하고, 풀려난 인질 근처에 착륙하여 헬리콥터에 탑승시킨 후(최대 16명), 아군 숙소로 귀환해야 한다.[7][8] 헬리콥터가 가득 차면 더 이상 인질이 탑승하지 않고 다음 귀환을 기다린다. 인질 위에 직접 착륙하거나, 일부 기종에서는 착륙 시 기체가 기울어지면 인질이 깔려 사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아군 사격으로 인질을 맞추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지상에서는 적 탱크의 공격에 취약하며, 공중에서만 탱크를 공격할 수 있다. 공중에서는 적 전투기공대공 미사일이나 폭탄으로 공격해 온다.[7][8]

3. 개발 배경

댄 고를린은 랜드 연구소(Rand Corporation)에서 근무한 후 할아버지에게 빌린 애플 II 컴퓨터를 사용하여 ''촙리프터'' 개발을 시작했다.[9] 처음에는 3D 게임으로 구상했으나 기술적인 한계로 인해 2D 게임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게임의 핵심 요소인 인질 구출 개념은 고를린이 ''디펜더''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지상의 사람들을 보호해야 하는 방식에서 영감을 얻었다.[10][11]

3. 1. 개발 과정

랜드 연구소(Rand Corporation)에서 근무한 후, 댄 고를린은 할아버지에게 빌린 애플 II 컴퓨터를 사용하여 ''촙리프터'' 개발을 시작했다.[9] 처음에는 3D 게임으로 구상했으나, 당시 기술적인 한계 때문에 전통적인 2D 게임 방식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게임 개발에는 총 6개월이 걸렸다. 고를린은 애플 II에서 헬리콥터 애니메이션을 시험하는 것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이후 풍경, 탱크, 비행기를 차례로 추가했고 마지막으로 인질 요소를 넣었다. 그는 게임의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영화 카메라 기법이 적절해 보였다"고 생각했으며, 게임이 끝날 때 "게임 오버(Game Over)" 대신 "The End"라는 메시지를 사용한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밝혔다. 브로더번트(Brøderbund)에 처음 게임을 시연했을 때 "너무 현실적이고, 헬리콥터 시뮬레이션에 가깝다"는 피드백을 받아, 회사의 도움으로 헬리콥터 조종을 더 쉽게 만들었다.[10]

인질을 구출한다는 핵심 아이디어는 고를린이 플레이어가 지상의 사람들을 보호해야 하는 게임인 ''디펜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 게임 출시 1년 전에 이란 인질 사건이 종료되었지만, 고를린은 "게임이 나올 때까지 최근 사건과의 연관성은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고 언급하며 의도적인 관련성은 없었음을 밝혔다.[11]

1990년대에 고를린은 게임을 3D로 리메이크하려 했으나, 이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9]

3. 2. 영감

이 게임의 핵심 요소인 인질 구출이라는 개념은 개발자 댄 고를린이 디펜더 게임을 플레이한 경험에서 영감을 받았다. 그는 디펜더에서 플레이어가 지상에 있는 사람들을 보호해야 하는 방식에 착안하여 인질 구출 요소를 게임에 도입했다.[10] 비록 게임 출시 1년 전에 이란 인질 사건이 종료되었지만, 고를린은 "최근 사건과의 연관성은 우리가 출판할 때까지는 실제로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일이었다"고 말하며, 사건과의 연관성이 의도된 것이 아님을 밝혔다.[11]

4. 평가 및 반응

촙리프터는 1982년 출시 직후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초기 Apple II 버전은 발매 한 달 만에 9,000장이 판매되어 컴퓨터 게이밍 월드 판매 순위권에 진입했으며,[12] 이후에도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인기 게임으로 자리 잡았다.[13] 세가에서 출시한 아케이드 버전 역시 일본 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며 게임 차트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14][16]

비평적으로도 촙리프터는 혁신적인 게임 플레이와 당시로서는 뛰어난 애니메이션으로 호평을 받았다. 다수의 게임 매체들은 부드러운 헬리콥터 조작감과 생동감 넘치는 인질 구출 애니메이션을 높이 평가했으며,[17][22] 일부 매체는 게임의 시청각적 성과를 인정하여 상을 수여하기도 했다.[23][24] 여러 플랫폼으로 이식된 버전들 역시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게임의 명성을 이어갔다.

4. 1. 초기 반응

1982년 5월 출시 후 6월까지 9,000장이 판매되어 컴퓨터 게이밍 월드의 최다 판매 순위권에 올랐다.[40][12] ''II Computing''은 1985년 말 기준으로 판매량 및 시장 점유율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잡지의 상위 Apple II 게임 목록에서 ''촙리프터''를 7위로 선정했다.[13]

일본에서는 ''Game Machine''지가 1985년 11월 1일자에서 세가가 출시한 아케이드 버전 ''촙리프터''를 격주 차트에서 가장 성공적인 테이블 아케이드 게임으로 선정했다.[14] 타이토의 더 레전드 오브 카게에 11월 15일 1위 자리를 내주었으나,[15] 1985년 12월 1일에 다시 차트 1위를 차지했다.[16]

4. 2. 비평

1982년 소프트라인은 이 게임을 "최초의 인터랙티브 컴퓨터 지원 애니메이션 영화일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하며, 아케이드 게임, 시뮬레이션, 영화적 시각미를 결합하여 "소프트웨어 명예의 전당에 자리 잡을 운명"이라고 극찬했다. 잡지는 뛰어난 애니메이션과 헬리콥터의 섬세한 조작감을 칭찬하면서도, 인질들이 보여주는 "희망과 흥분, 당신에 대한 믿음" 때문에 게임 플레이가 감정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고 언급했다. "생기 넘치는 사람들이 죽는 것을 보는 것은 고통스럽다"고 덧붙였다.[17] 1983년, 이 잡지의 독자들은 ''촙리프터''를 가장 인기 있는 아타리 8비트 프로그램 30선 중 4위로 선정했다.[18] 바이트는 ''촙리프터''를 "정말 재밌다"고 간결하게 평가했다.[19]

컴퓨터 게이밍 월드,[20] 크리에이티브 컴퓨팅 비디오 & 아케이드 게임,[21] 그리고 ''더 코모도어 64 홈 컴패니언''[22] 등 여러 매체에서 게임의 그래픽과 애니메이션을 높이 평가했다. 특히 ''더 코모도어 64 홈 컴패니언''은 "사막을 가로질러 달리는 작은 포로들이 거의 살아있는 듯하다"고 묘사하며 생동감 넘치는 애니메이션을 강조했다.[22]

이 게임의 애플 II 버전은 제4회 아키 어워드에서 "최우수 컴퓨터 시청각 효과" 부문 공로상을 수상했으며,[23] 빌보드는 이 게임을 올해의 컴퓨터 게임으로 선정했다.[24] ''애디슨-웨슬리 아타리 소프트웨어 도서 1984''는 이 게임에 전체 A+ 등급을 부여하며 "걸작"이라고 칭했다. 이 책은 "개념, 그래픽, 애니메이션이 이 게임을 즐겁게 만든다"고 결론지었다.[25] ''인포월드'의 아타리 컴퓨터 필수 가이드''는 이 게임을 "혁신적"이고 "승리자"라고 평가했다.[26]

다른 플랫폼으로 이식된 버전들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콘솔 XS'' 잡지는 세가 마스터 시스템 버전에 85% 점수를 주었고,[27] ''컴퓨터 앤 비디오 게임'' 잡지는 1989년 리뷰에서 마스터 시스템 버전에 87%, 콜레코비전 버전에 81%, 아타리 7800 버전에 84%의 점수를 부여했다.[28] 게임 평가 사이트 올게임에서는 아타리 5200 버전과 아케이드 버전에 각각 5점 만점에 3.5점, 아타리 7800 버전에 3점을 주었다.[33][34][35] ''컴퓨터 앤 비디오 게임''은 초기에 애플 II 버전에 30점 만점에 24점,[36] VIC-20 버전에 25점을 주었다.[37] ''일렉트로닉 펀 위드 컴퓨터스 & 게임스''는 아타리 8비트 버전에 4점 만점에 4점을 부여했다.[38] ''유어 코모도어''는 코모도어 64 버전에 5점 만점에 5점을 주었으나,[39] ''유어 64''는 같은 플랫폼 버전에 5점 만점에 3점을 주었다.[39]

패밀리 컴퓨터판

「게임 통신부」 평가
항목캐릭터음악조작성열중도가성비오리지널리티종합
점수3.282.552.132.252.052.0514.31



일본의 게임 잡지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의 독자 투표 코너 「게임 통신부」에서는 패밀리 컴퓨터 버전에 대해 30점 만점에 14.31점을 기록했다.

4. 3. 수상 내역

1982년 5월 출시 후, 같은 해 6월까지 9,000장이 판매되었으며, ''Computer Gaming World''의 최고 판매 게임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12] ''II Computing''은 1985년 말 판매량 및 시장 점유율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정한 Apple II 게임 순위에서 ''촙리프터''를 7위로 꼽았다.[13]

일본에서는 게임 전문지 ''Game Machine'' 1985년 11월 1일자에서 세가가 출시한 아케이드 버전 ''촙리프터''가 격주 테이블 아케이드 게임 순위에서 가장 성공적인 게임으로 선정되었다.[14] 타이토의 ''더 레전드 오브 카게''에게 11월 15일자 순위에서 1위 자리를 내주었으나,[15] 1985년 12월 1일자 순위에서 다시 1위를 차지했다.[16]

5. 이식 버전

촙리프터는 1982년 아타리 8비트 컴퓨터로 처음 출시된 이후, VIC-1001, 코모도어 64, 아타리 5200, 콜레코비전 등 다양한 북미 가정용 컴퓨터 및 게임기로 이식되었다. 일본에서는 FM-7, PC-9800 시리즈, PC-8800 시리즈, MSX 등의 컴퓨터 기종과 세가SG-1000, 세가 마스터 시스템으로도 출시되었다. 1985년에는 세가에 의해 아케이드 게임으로 이식되었고, 이후 패밀리 컴퓨터, 아타리 7800 등 여러 플랫폼을 거쳐 2016년에는 Windows로도 이식되는 등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기종으로 출시되었다.

5. 1. 주요 이식 버전

1983년 (유럽)VIC-1001톰 그리너Creative Software롬 카세트형식: VI-CL-C1983년 (일본)코모도어 64댄 고린브로더밴드롬 카세트1984년 (북미)아타리 5200아타리아타리롬 카세트형식: CX52531984년 (북미)콜레코비전콜레코콜레코롬 카세트1984년 (일본)FM-7소프트프로소프트프로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1984년 (일본)SMC-777-소니플로피 디스크1984년 10월 3일 (일본)PC-9801시스템 소프트시스템 소프트플로피 디스크1984년 11월 (일본)PC-8801시스템 소프트시스템 소프트플로피 디스크1985년 1월 (일본)PC-6001시스템 소프트시스템 소프트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이식은 타이니안이 담당.1985년 (일본)X1소프트프로소프트프로플로피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1985년 (유럽)톰슨 TO7TO TEK InternationalTO TEK International롬 카세트1985년 6월 (일본)PC-8801시스템 소프트시스템 소프트카세트 테이프1985년 7월 (일본)SG-1000
SC-3000컴파일세가마이 카드형식: C-481985년 9월 21일 (일본)
1985년 (유럽)MSX-소니롬 카세트형식: HBS-G019C1985년 10월 (일본)아케이드세가 제1AM 연구 개발부세가업무용 기판형식: 834-57951986년 6월 26일 (일본)패밀리 컴퓨터토세자레코384킬로비트 롬 카세트형식: JF-081986년 9월 (북미)
1987년 8월 (유럽)세가 마스터 시스템세가 제2AM 연구 개발부세가롬 카세트형식: 5051 (북미), MK-5051-50 (유럽)1987년 (북미)아타리 7800Ibid아타리롬 카세트형식: CX78212016년 10월 7일 (전세계)Windows콜레코AtGames다운로드 (Steam)Colecovision Flashback 내 수록. 콜레코비전 버전의 이식. 형식: 529860



'''SG-1000/SC-3000 버전'''

컴파일이 이식을 담당했으며, 세가 마이 카드 형식으로 발매되었다. 오프닝 배경 음악으로 바그너의 「발퀴레의 기행」이 사용된 것이 특징이다.

'''아케이드 버전'''

세가 시스템 2 기판으로 개발된 첫 번째 게임이다. PC 버전을 기반으로 하되, 연료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요소가 추가되었다. 사막, 바다, 동굴, 마천루의 총 4개 스테이지로 구성되었으며 그래픽이 크게 향상되었다. 포로를 한 명도 잃지 않고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세가의 다른 게임인 『닌자 프린세스』(1985년)의 주인공 쿠루미 공주가 등장하여 퍼펙트 보너스를 주는 요소도 포함되었다.

'''패밀리 컴퓨터 버전'''

세가가 발매한 아케이드 버전을 기반으로 이식되었다. 이식 작업은 토세가 담당했으며, 자레코에서 발매했다.

5. 2. 아케이드 버전

세가에서 1985년 10월에 발매한 아케이드 버전이다. 세가 제1AM 연구 개발부가 개발했으며, 세가 시스템 2 기판을 사용한 첫 번째 게임이었다. PC 버전을 기반으로 하여 연료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요소가 도입되었고, 그래픽이 크게 향상되었다. 스테이지는 사막, 바다, 동굴, 마천루의 총 4개로 구성되었다. 또한, 포로를 한 명도 죽이지 않고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같은 해에 세가에서 출시한 게임 『닌자 프린세스』의 주인공 쿠루미 공주가 등장하여 퍼펙트 보너스를 주는 요소도 포함되었다.

6. 후속작 및 관련 작품

촙리프터는 원작의 성공 이후 다양한 플랫폼으로 후속작과 관련 작품들이 꾸준히 개발되었다. 공식 후속작인 촙리프터 II와 촙리프터 III가 휴대용 및 가정용 게임기로 등장했으며, 1990년대 후반에는 3D 그래픽과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춘 PC 버전 개발이 시도되기도 했으나 실제 출시되지는 못했다.[29] 또한 세가의 에어 레스큐 시리즈나 ''블랙 던''[30]과 같이 게임 방식에 영향을 받은 정신적 후속작들도 나타났다. 2000년대 이후에도 유럽 지역에 출시된 ''촙리프터: 크라이시스 실드''[31][32]나 고화질로 리메이크된 ''촙리프터 HD'' 등이 개발되어 시리즈의 명맥을 이었다.

6. 1. 후속작

''촙리프터 II''는 1991년 게임보이용으로 출시되었으며, 부제는 "구조 생존"이었다. 일본에서는 빅터 음악 산업이 1991년 6월 21일에 ROM 카트리지 형태로 발매했다.

이후 1994년에는 게임보이게임 기어용으로 ''촙리프터 III''가 리메이크되었다. 게임 기어 버전은 북미에서 1993년 Melbourne House가, 게임보이 버전은 유럽에서 1994년 Ocean Software가 발매했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동명의 ''촙리프터 III''가 슈퍼 패미컴으로도 출시되었는데, 일본에서는 빅터 엔터테인먼트가 1994년 9월 9일에 발매했으며 북미와 유럽에서도 출시되었다. 세 버전 모두 공급 매체는 ROM 카트리지였다.

1997년 말, 원작 개발자 고린(Gorlin)과 그의 개발팀 아리옥 엔터테인먼트(Ariok Entertainment)는 3D 그래픽과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춘 IBM PC 호환용 ''촙리프터'' 신작을 개발하고 있었으나[29], 이 게임은 결국 출시되지 못했다.

세가는 ''촙리프터'' 브랜드를 사용하지 않은 두 개의 정신적 후속작을 출시하기도 했다.

프로그래머 윌 보티(Will Botti)는 자신이 개발한 1996년 게임 ''블랙 던''(Black Dawn)이 ''촙리프터''로부터 주요한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했다.[30]

2004년에는 시캣 인터랙티브(Xicat Interactive)가 유럽 지역 한정으로 ''촙리프터: 크라이시스 실드''(ChopLifter: Crisis Shield)를 출시했다.[31][32]

가장 최근의 후속작으로는 인엑자일 엔터테인먼트(inXile Entertainment)가 개발한 ''촙리프터 HD''가 있다. 이 게임은 2012년 1월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으로 출시되었고, 2013년 8월에는 오우야용으로도 출시되었다.

6. 2. 정신적 후속작

세가는 ''촙리프터'' 브랜드 없이 두 개의 정신적 후속작을 출시했다.

프로그래머 윌 보티(Will Botti)는 자신의 1996년 게임 ''블랙 던''(Black Dawn)에 ''촙리프터''가 주요 영감을 주었다고 언급했다.[30]

6. 3. 리메이크

''촙리프터 II''(Choplifter II)는 1991년 게임보이로 출시되었으며, 부제는 "구조 생존"이었다. 이 게임은 1994년 게임보이게임 기어용으로 ''촙리프터 III''(Choplifter III)라는 제목으로 리메이크되었다. 슈퍼 패미컴으로 출시된 동명의 ''촙리프터 III''는 별개의 게임이다.

세가는 공식적인 ''촙리프터'' 브랜드 이름 없이 두 개의 정신적 후속작을 출시했다.

프로그래머 윌 보티(Will Botti)는 1996년에 출시된 자신의 게임 ''블랙 던''(Black Dawn)이 ''촙리프터''로부터 주요 영감을 받았다고 언급했다.[30]

1997년 말, 원작 개발자 댄 고린(Dan Gorlin)과 그의 개발팀 아리옥 엔터테인먼트(Ariok Entertainment)는 3D 그래픽과 멀티플레이어 기능을 갖춘 IBM PC 호환용 ''촙리프터'' 게임을 개발하고 있었으나, 실제 출시되지는 못했다.[29]

2004년에는 시캣 인터랙티브(Xicat Interactive)가 유럽 지역 한정으로 ''촙리프터: 크라이시스 실드''(ChopLifter: Crisis Shield)를 출시했다.[31][32]

이후 인엑자일 엔터테인먼트(inXile Entertainment)가 개발한 ''촙리프터 HD''(Choplifter HD)가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2012년 1월에 엑스박스 라이브 아케이드, 플레이스테이션 네트워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으로 출시되었고, 2013년 8월에는 오우야용으로도 발매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hoplifter (Registration Number PA0000170265) https://cocatalog.lo[...] 2021-06-01
[2] 웹사이트 Choplifter (Registration Number PA0000280077) https://cocatalog.lo[...] 2021-06-01
[3] 웹사이트 Video Game Flyers: Choplifter, Sega (EU) https://flyers.arcad[...] 2021-06-01
[4] 서적 アーケードTVゲームリスト国内•海外編(1971–2005) https://archive.org/[...] Amusement News Agency 2006-10-13
[5] 간행물 Year-End Index http://www.ataricomp[...] 1985-01
[6] 웹사이트 Choplifter! http://www.atarimani[...]
[7] 비디오 게임 Choplifter
[8] 서적 1001 video games you must play before you die Cassell Illustrated 2013
[9] 웹사이트 Choplifter: From 1982 to 2012 https://www.gamasutr[...] 2018-06-15
[10] 뉴스 The Choppers of Mercy http://www.cgwmuseum[...] 2014-07-17
[11] 웹사이트 Halcyon Days https://dadgum.com/h[...] 1997
[12] 간행물 Inside the Industry http://www.cgwmuseum[...] 2016-03-28
[13] 뉴스 Top Software / A List of Favorites https://archive.org/[...] 2015-01-28
[14] 간행물 Game Machine's Best Hit Games 25 - テーブル型TVゲーム機 (Table Videos) https://onitama.tv/g[...] ja: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1985-11-01
[15] 간행물 Best Hit Games 25 https://onitama.tv/g[...] ja: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1985-11-01
[16] 간행물 Best Hit Games 25 https://onitama.tv/g[...] ja:アミューズメント通信社 1985-12-01
[17] 뉴스 The Choppers of Mercy http://www.cgwmuseum[...] 2014-07-17
[18] 뉴스 The Most Popular Atari Program Ever http://www.cgwmuseum[...] 2014-07-28
[19] 뉴스 The Coinless Arcade - Rediscovered https://archive.org/[...] 2013-10-19
[20] 간행물 Choplifter! Rescue the Hostages 1982-07
[21] 간행물 Apple Computer Games http://www.atarimaga[...] 1983-03
[22] 웹사이트 Broderbund Software https://archive.org/[...] 2016-08-19
[23] 저널 Arcade Alley: The Best Computer Games Reese Communications 1983-03
[24] 뉴스 Billboard Conference http://www.cgwmuseum[...] 2014-07-28
[25] 서적 The Addison-Wesley Book of Atari Software https://archive.org/[...] Addison-Wesley
[26] 서적 InfoWorld's Essential Guide to Atari Computers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984
[27] 간행물 Software A-Z: Master System https://archive.org/[...] Paragon Publishing 1992-04-23
[28] 저널 Complete Games Guide https://retrocdn.net[...] 1989-10-16
[29] 간행물 In the Studio Imagine Media 1998-02
[30] 간행물 Behind the Screens Ziff Davis 1996-10
[31] 웹사이트 ChopLifter [PS2 - Cancelled?] - Unseen64 https://www.unseen64[...] 2008-04-15
[32] 웹사이트 ChopLifter: Crisis Shield Release Information for PlayStation 2 - GameFAQs https://gamefaqs.gam[...]
[33] 웹사이트 Choplifter! for Atari 5200 (1984)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34] 웹사이트 Choplifter! for Arcade (1985)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35] 웹사이트 Choplifter! for Atari 7800 (1987)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36] 웹사이트 Choplifter! for Apple II (1982)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37] 웹사이트 Choplifter! for VIC-20 (1982)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38] 웹사이트 Choplifter! for Atari 8-bit (1982)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39] 웹사이트 Choplifter! for Commodore 64 (1983) https://www.mobygame[...] Blue Flame Labs 2018-02-24
[40] 잡지 Inside the Industry http://www.cgwmuseum[...] 198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