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총체적 선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체적 선교는 1970년대 라틴 아메리카 신학 펠로우쉽의 개신교 회원들에 의해 구체화된 개념으로, 전도와 사회 참여를 통합하여 신의 사랑을 표현하는 기독교 선교를 의미한다. 로잔 언약과 미가 네트워크를 통해 지지를 얻었으며, 사회 정의와 빈곤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음주의 신학 -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
    윌리엄 레인 크레이그는 칼람 우주론 논증과 예수 부활의 역사성을 옹호하며 시간 철학, 신의 본성, 속죄론 등을 연구하는 미국의 철학자, 신학자, 기독교 변증가이다.
  • 복음주의 신학 - 페터 바이어하우스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튀빙겐 대학교 교수인 페터 바이어하우스는 보수적인 신학적 입장에서 에큐메니즘 운동을 비판하고 복음주의 운동을 옹호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정책 옹호 논란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기독교 선교 - 국제 SIL
    국제 SIL은 윌리엄 캐머런 타운센드에 의해 1934년 설립된 비정부기구로, 초기 선교 활동과 함께 시작하여 현재는 전 세계 언어 연구, 멸종 위기 언어 보존, 언어 데이터베이스 에스놀로그 출판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나, 선교 활동 연관성으로 비판도 받고 있다.
  • 기독교 선교 - 복음 전도
    복음 전도는 기독교에서 비기독교인에게 좋은 소식인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활동으로, 설교, 성경 배포, 다양한 매체 활용 등 여러 방식으로 진행되며 전도의 자유에 대한 논란과 비판이 존재하고 한국 사회에서는 한국 교회의 성장과 관련되어 긍정적, 비판적 측면을 동시에 지닌다.
총체적 선교
총체적 선교
다른 이름총체적 사역
총체적 변혁
통합적 선교
전체론적 선교
총체적 복음전도
유형기독교 운동
관련 인물C. 르네 파딜라
사무엘 에스코바르
올림픽시오 니오스
오르발 린제이
존 스토트
피터 바이어하우스
빌리 그레이엄
관련 기관국제 로잔 위원회
국제복음주의학생회
세계복음주의연맹
틴데일 하우스
컴패션 인터내셔널
강조점사회적 참여
문화적 참여
정치적 참여
변혁적 복음전도
반대피터 바이어하우스
빌리 그레이엄
이념적 뿌리신복음주의
해방신학
파생 운동변혁적 기독교
기독교 공동체 개발
비즈니스 as 미션
연도1970년대
국가라틴 아메리카

2. 용어

총체적 선교는 스페인어로 "미시온 인테그랄(misión integral)"이라고 하는데, 1970년대 라틴아메리카 신학 펠로우쉽(FTL)의 개신교 회원들에 의해 처음 구체화되었다. 스페인어에서 "인테그랄"은 전체성을 뜻하며, 신학자들은 이를 모든 가능한 방법을 통해 신의 사랑과 이웃 사랑을 표현하는 기독교 선교를 설명하는 데 사용한다.[2] 대표적인 지지자들로는 에콰도르의 C. 르네 파디야,[3] 페루의 사무엘 에스코바르,[4] 푸에르토리코의 올랜도 E. 코스타스,[5] 인도의 비나이 사무엘,[6] 영국존 스토트 등이 있다.[7] 이들은 선교를 전도와 사회 참여로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통전적" 혹은 "총체적" 선교를 강조했다.

총체적 선교의 지지자들은 이 개념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 성경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예수의 사역에서 잘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총체적 선교"라는 용어는 지난 40년 동안 선교와 사회적 책임을 이분법적으로 접근하던 것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다.[2]

3. 역사

총체적 선교 개념은 여러 국제 복음주의 대회를 거치며 구체화되고 발전되었다. 주요 회의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도회의명주요 내용
1966일리노이주 휘턴 "교회의 세계 선교 회의"71개국 복음주의자들이 모여 교회가 인종차별, 빈곤, 전쟁 등의 사회 문제 해결에 실패했음을 고백.[8]
1966베를린 세계 전도 대회빌리 그레이엄이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선교 개념을 강조. 그러나 이후 지역 대회에서 기독교의 사회 참여 논의 지속.[9][10]
1974로잔 세계 복음화 국제회의20세기 가장 중요한 복음주의 모임으로 평가.[11] 로잔 언약을 통해 "인간 사회 전반에서 정의와 화해에 대한 신의 관심 공유, 모든 종류의 억압으로부터 해방" 강조.[12]
1979, 1992, 2000라틴아메리카 복음화 회의(CLADE)페루에서 열린 제2차 회의(1979)를 시작으로, FTL 주도로 키토에서 3차(1992), 4차(2000) 회의 개최.
1980국제 간소한 생활 양식 협의회"간소한 생활에 대한 복음주의적 헌신" 발표, 선교에서 정의에 대한 헌신 재확인.[13]
1982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관계에 관한 국제 협의회사회적 책임이 전도의 결과이자 다리이며 파트너라는 결론.[14] 전도 우선순위 유지, 두 개념 분리 불가 강조.[15]
1983일리노이주 휘턴 "인간의 필요에 대한 교회의 대응 협의회""변혁: 인간의 필요에 대한 교회의 대응" 발표. 불의 비난, 현상 유지 침묵 교회/단체 경고.[11][16]


3. 1. 배경

총체적 선교의 정의와 수용 과정은 40여 년 동안 여러 국제 복음주의 대회를 거치며 구체화되고 발전되었다. 1966년 일리노이주 휘턴에서 열린 "교회의 세계 선교 회의"에서는 71개국 복음주의자들이 모여 교회가 인종차별, 빈곤, 전쟁 등의 사회 문제를 다루는 데 실패했음을 고백했다.[8]

같은 해 베를린 세계 전도 대회는 빌리 그레이엄이 강조한 전통적인 복음주의적 선교 개념을 계속 강조했지만, 이후 지역 대회에서는 기독교 사회 참여에 대한 논의가 계속 등장했다.[9][10]

1974년 로잔에서 열린 세계 복음화 국제회의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복음주의 모임으로 평가되며,[11] 로잔 언약은 "신은 모든 인간의 창조주이자 심판자이기에, 우리는 인간 사회 전반에서 정의와 화해에 대한 신의 관심을 공유해야 하며, 모든 종류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2]

로잔 대회 이후 총체적 선교 개념에 대한 지지는 특히 제3세계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커졌다.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국제 복음주의 회의에서 발표된 선언문들은 선교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보여주었다.

영국에서는 1980년 국제 간소한 생활 양식 협의회에서 "간소한 생활에 대한 복음주의적 헌신"이라는 문서가 발표되어 선교에서의 정의에 대한 헌신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13]

1982년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관계에 관한 국제 협의회"는 사회적 책임이 전도의 결과이자 다리이며 파트너라는 결론을 내렸다.[14]

1983년 일리노이주 휘턴에서 열린 "인간의 필요에 대한 교회의 대응 협의회"는 "변혁: 인간의 필요에 대한 교회의 대응"을 발표했다.[11] 이 문서는 불의에 대한 명백한 비난과 현상 유지에 침묵하는 교회와 기독교 단체들에 대해 경고했다.[16]

3. 2. 로잔 언약 (1974)

1974년 로잔에서 열린 세계 복음화 국제회의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복음주의 모임으로 평가되며,[11] 로잔 언약은 "신은 모든 인간의 창조주이자 심판자이기에, 우리는 인간 사회 전반에서 정의와 화해에 대한 신의 관심을 공유해야 하며, 모든 종류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2] 로잔 대회 이후 총체적 선교 개념에 대한 지지는 특히 제3세계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커졌다.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국제 복음주의 회의에서 발표된 선언문들은 선교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보여주었다.

3. 3. 1980년대의 발전

1974년 로잔에서 열린 세계 복음화 국제회의는 20세기 가장 중요한 복음주의 모임으로 평가되며,[11] 로잔 언약은 "신은 모든 인간의 창조주이자 심판자이기에, 우리는 인간 사회 전반에서 정의와 화해에 대한 신의 관심을 공유해야 하며, 모든 종류의 억압으로부터 해방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12]

로잔 대회 이후 총체적 선교 개념에 대한 지지는 특히 제3세계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커졌다. 이후 몇 년 동안 여러 국제 복음주의 회의에서 발표된 선언문들은 선교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보여주었다. 중요한 것은 라틴아메리카 복음화 회의(CLADE)로, 1979년 페루에서 열린 제2차 라틴아메리카 복음화 회의를 시작으로 1992년 키토(CLADE III), 2000년 키토(CLADE IV)가 FTL에 의해 조직되었다.

1980년 영국에서는 국제 간소한 생활 양식 협의회에서 "간소한 생활에 대한 복음주의적 헌신"이라는 문서가 발표되어 선교에서의 정의에 대한 헌신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13]

1982년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관계에 관한 국제 협의회"는 사회적 책임이 전도의 결과이자 다리이며 파트너라는 결론을 내렸다.[14] 이 문서는 전도의 우선순위를 유지하면서도 두 개념이 실제로는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했다.[15]

1983년 일리노이주 휘턴에서 열린 "인간의 필요에 대한 교회의 대응 협의회"는 아마도 총체적 선교에 대한 가장 강력한 복음주의적 확인인 "변혁: 인간의 필요에 대한 교회의 대응"을 발표했다.[11] 이 문서는 불의에 대한 명백한 비난과 현상 유지에 침묵하는 교회와 기독교 단체들에 대해 경고했다.[16]

3. 4. 1990년대 이후: 미가 네트워크

총체적 선교 개념은 주로 미가 네트워크(Micah Network)와 연관된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17]

1999년 총체적 선교에 전념하는 전 세계 복음주의 기독교 단체들의 네트워크인 미가 네트워크가 설립되었다. 이 네트워크의 이름은 미가서 6장 8절, "여호와께서 네게 구하시는 것은 오직 정의를 행하며 인자를 사랑하며 네 신과 함께 겸손히 행하는 것이 아니냐"라는 말씀에 기반을 두고 있다. 미가 네트워크 회원들은 전 세계적으로 약 600개의 복음주의 서비스 단체, 교회, 개인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18]

4. 한국 사회와 총체적 선교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섹션 제목, 요약 등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Global Diffusion of Evangelicalism: The Age of Billy Graham and John Stott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6-10-20
[2] 서적 The End of Theology: Shaping Theology for the Sake of Mission Fortress Press 2020-11-12
[3] 서적 Mission Between the Times: Essays on the Kingdom https://books.google[...] Langham Monographs 2016-10-20
[4] 서적 A Time of Mission: The Challenge for Global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Langham Global Library 2020-09-29
[5] 서적 The Church and its Mission: A Shattering Critique from the Third World https://archive.org/[...] Tyndale House Publishers
[6] 서적 Christian Theology in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2-28
[7] 서적 Christian Mission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9-02-28
[8] 간행물 The Wheaton Declaration 1966-Summer
[9] 간행물 Evangel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From Wheaton '66 to Wheaton '83
[10] 뉴스 Why the Berlin Congress https://archive.org/[...] 1966-11-11
[11] 서적 Justice, Mercy & Humility: Integral Mission and the Poor
[12] 서적 Making Christ Known: Historic Mission Documents from the Lausanne Movement, 1974–1989 Paternoster
[13] 서적 Lifestyle in the Eighties: An Evangelical Commitment to Simple Lifestyle Westminster
[14] 서적 Making Christ Known
[15] 서적 In Word and Deed Eerdmans
[16] 서적 The Church in Response to Human Need
[17] 웹인용 "Topics | Micah Network" http://www.micahnetw[...] 2016-05-25
[18] 웹인용 Members http://www.micahnetw[...] Micah Network 2017-0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