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경식 (축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경식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 해설위원이다. 숭실고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건국대학교를 거쳐 새한자동차, 유공 코끼리, 국민은행, 포항제철 아톰즈, 일본의 마쓰다 SC, 호주의 세인트 조지 등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1978년부터 1982년까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활약하며, 1982년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1988년 선수 은퇴 후 숭실고등학교 축구부 감독을 시작으로 대한민국 U-16 축구 국가대표팀 코치 및 감독을 역임했다. 이후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 징벌위원 등을 거쳐 현재는 KBSN 스포츠 축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 참가 선수 - 라파엘 베니테스
    라파엘 베니테스는 스페인 출신의 축구 감독으로, 선수 시절 미드필더로 활동 후 여러 클럽을 지휘하며 라리가, 프리미어리그, UEFA 챔피언스리그, UEFA 유로파리그 등 주요 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 197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 참가 선수 - 김희천 (축구인)
    김희천은 1970년대 한국 축구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하여 1974년 월드컵 예선과 197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선수 은퇴 후에는 지도자, 행정가로서 한국 축구 발전에 헌신한 인물이다.
  • 1982년 축구 - 정해원 (축구인)
    정해원은 K리그 득점왕과 MVP를 수상하고 국가대표팀 주축으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선수 시절 뛰어난 활약과 은퇴 후 감독대행, 수석코치, 스카우터 등을 역임하며 지도자로서도 활동했다.
  • 1982년 축구 - 장외룡
    장외룡은 198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한 왼쪽 풀백 출신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로, K리그 우승과 아시아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으며, 은퇴 후 K리그 감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스가마타 데쓰오
    스가마타 데쓰오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수비수로 활약하며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23경기에 출전했고, 히타치 제작소 축구부에서 선수 생활을 하며 1980년과 1982년 일본 사커 리그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는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출전했다.
  • 1982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박성화
    박성화는 K리그 우승과 MVP 수상, 국가대표로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프로팀과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AFC 챔피언스리그 2연패 등의 성과를 냈으나 논란도 있었던 인물이다.
최경식 (축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선수 정보
이름최경식
로마자 표기Choi Gyeong-sik
출생일1957년 2월 1일
출생지대한민국
180cm
포지션은퇴 (과거 센터백, 스위퍼)
클럽 경력
청소년 클럽 연도1973-1976
청소년 클럽숭실고등학교
청소년 클럽 연도1976-1979
청소년 클럽건국대학교
클럽 연도1979-1982
클럽새한/대우 축구단
클럽 연도1983
클럽유공 코끼리
출장수 (골)5 (0)
클럽 연도1984
클럽국민은행 축구단
출장수 (골)26 (0)
클럽 연도1985
클럽포항제철 아톰즈
출장수 (골)12 (1)
클럽 연도1986-1988
클럽마쓰다SC
클럽 연도1988
클럽세인트 조지
출장수 (골)11 (0)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22년 3월 22일
국가대표팀 경력
국가대표팀 연도1978-1982
국가대표팀대한민국
국가대표팀 출장수 (골)14 (0)
국가대표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2022년 3월 22일
지도자 경력
감독 연도1988-1990
감독 클럽숭실고등학교
감독 연도1992-1996
감독 클럽대한민국 U-17 (코치)
감독 연도1996-1998
감독 클럽대한민국 U-17 (감독)
메달 기록
코리아컵 국제축구대회1982 대한민국 (단체전)

2. 선수 경력

최경식은 숭실고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건국대학교를 거쳐 성인 무대에 데뷔했다. 실업팀 새한자동차 축구단(이후 대우 축구단)에서 활약하며 1981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우승과 최우수선수(MVP)를 차지했다.[4][5] K리그 출범 이후에는 유공 코끼리, 국민은행 축구단, 포항제철 아톰즈 등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일본 J리그의 전신인 일본 사커 리그마쓰다 SC[7] 호주 내셔널 사커 리그의 세인트 조지에서[8]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또한, 국가대표로서 여러 국제 대회에 참가하여 활약했다.

자세한 클럽 경력과 국가대표 경력은 아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2. 1. 클럽 경력

최경식은 숭실고등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하여 건국대학교를 거쳐 성인 무대에 데뷔했다. 실업팀 새한자동차 축구단(이후 대우 축구단)에서 활약하며 1981년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우승과 MVP를 차지했다.[4][5] K리그 출범 이후에는 유공 코끼리, 국민은행 축구단, 포항제철 아톰즈 등에서 활동했으며, 이후 일본 J리그의 전신인 일본 사커 리그마쓰다 SC[7] 호주 내셔널 사커 리그의 세인트 조지에서[8]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2. 1. 1. 유소년 경력 (1973-1979)

최경식은 1973년 숭실고등학교 1학년 때 다소 늦은 나이로 축구를 시작했으며, 숭실고 축구부 창단 멤버 중 한 명이다.[1] 처음에는 오른쪽 윙 포워드로 뛰었으나, 감독의 조언으로 중앙 수비수로 포지션을 변경했다. 숭실고등학교에서 좋은 활약을 보여 고교 상비군에 선발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건국대학교에 진학했다.

건국대학교 2학년이던 1977년에는 전국축구선수권대회(현재의 FA컵) 결승에 진출하여 당시 강팀이었던 포항제철과 맞붙었다. 당시 포항제철에는 이영무, 신현호, 김호, 홍성호, 박창선, 조병득 등 전·현직 국가대표 선수들이 핵심 멤버로 활약하고 있었다. 건국대학교는 최경식과 오석재를 중심으로 한 탄탄한 조직력을 앞세워 포항제철을 2-0으로 꺾고 전국축구선수권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건국대학교 축구부 창단 14년 만의 첫 우승이었다.[2]

건국대학교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3학년 때인 1978년, 처음으로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었다. 건국대학교 수비수로서 공수 양면에서 좋은 모습을 보인 최경식은 포항제철 축구단새한자동차 축구단으로부터 영입 제의를 받았고, 새한자동차 축구단을 선택했다.

2. 1. 2. 성인 경력 (1979-1988)

건국대학교에서 좋은 활약을 펼친 최경식은 포항제철 축구단새한자동차 축구단의 영입 제의를 받았고, 새한자동차 축구단[3](이후 대우 축구단으로 변경)에 입단하여 등번호 14번을 받고 성인 선수 경력을 시작했다.

1981년, 당시 대한민국 축구 1부 리그 역할을 하던 전국실업축구연맹전 춘계 리그에서 소속팀 대우 축구단이 4승 2무의 성적으로 우승하는 데 기여했으며,[4] 이 활약으로 리그 최우수선수(MVP)에 선정되었다.[5]

1983년 프로축구리그인 K리그가 출범하자, 최경식은 대우 축구단을 떠나 새로 창단된 유공 코끼리에 창단 멤버로 입단했다.[6] 등번호 4번을 달고 1983년 5월 8일 열린 K리그 개막전을 포함하여 리그 경기와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등에 출전했다.

1984년 시즌 개막 전에는 국민은행 축구단으로 이적하여 등번호 6번을 배정받았다. 리그 26경기를 소화하며 주전 선수로 활약했고, 팀의 주장을 맡기도 했다. 당시 국민은행 축구단에는 훗날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게 되는 김학범이 동료 선수로 있었다.

1985년 시즌을 앞두고 열린 드래프트에서 포항제철 아톰즈로 이적하여 등번호 3번을 받았다. 같은 해 5월 11일 열린 유공 코끼리와의 리그 경기에서 공식 경기 기준 K리그 데뷔골이자 유일한 득점을 기록했다. 이 시즌 K리그전국축구선수권대회에서 각각 준우승을 차지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는 현 J리그의 전신인 일본 사커 리그( 日本サッカーリーグ|니혼 삿카 리그일본어, JSL)의 마쓰다 SC에서 뛰었다.[7] 등번호 4번을 받았으며, 일본 축구의 프로화 이전에 한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일본 축구 1부 리그에 진출한 사례가 되었다. 입단 후 마쓰다 SC의 주전 수비수로 자리 잡았으며, 86-87 시즌과 87-88 시즌, 총 두 시즌 동안 활동했다. 당시 마쓰다 SC의 코치였던 네덜란드 출신 한스 오프트는 훗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첫 외국인 감독이 되어 1992년 AFC 아시안컵 우승을 이끌었다.

1988년, 일본 생활을 마치고 호주 내셔널 사커 리그의 세인트 조지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의 마지막 시즌을 보냈다. 총 11경기에 출전했으며,[8] 당시 경기장을 찾은 한국 교민들과 자주 소통하며 먼 타국에서 만난 동포들에게 반가움을 느꼈다고 전해진다.

호주에서의 활동을 마지막으로 선수 경력을 마감했다.

최경식의 성인 선수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소속팀
1979년 ~ 1982년대우 축구단
1983년유공 코끼리
1984년국민은행 축구단
1985년포항 제철 아톰즈
1986년 ~ 1987년마쓰다 SC
1988년세인트 조지


2. 2. 국가대표 경력 (1978-1982)

1978년 건국대학교 3학년 시절, 대학팀에서의 꾸준한 활약을 바탕으로 1978 자카르타 기념 국제축구대회[9][10]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충무팀에 발탁되었다. 이 대회에서 최경식은 팀의 우승에 기여했다.

1979년 3월 제7회 한일정기전에는 대학선발팀[11]의 일원으로 출전했다. 도쿄 원정 경기에서 대한민국 팀이 0:1로 뒤지고 있던 상황에서 최경식이 페널티킥(PK)으로 동점골을 성공시켜 경기는 1:1 무승부로 마무리되었다.[12] 그는 현역 시절 소속팀과 국가대표팀에서 PK 전담 키커를 맡았으며 성공률이 높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같은 해 제10회 멕시코 하계 유니버시아드에도 선발[13][14]되었다. 모로코와의 경기에서는 중거리 슛으로 득점을 기록하며 팀의 3:0 승리를 이끌었고, 대한민국 팀은 2승 1무의 성적으로 준결승 리그에 진출했다.[15] 이후 5-6위전에서 알제리를 만나 4:2로 승리하며 최종 5위로 대회를 마감했다. 알제리와의 경기에서 최경식은 후반 25분 페널티킥을 성공시켰다.[16]

또한 제12회 1979 킹스컵 국제축구대회에는 충무팀[17] 소속으로 참가했다. 특히 싱가포르와의 준결승전에서 그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선발 출전한 최경식은 전반 0:1로 뒤지던 후반 2분, 중앙 수비수임에도 공격에 가담하여 왼발 슈팅으로 동점골을 넣었다. 이어 후반 36분에는 최경식이 올린 크로스를 이태호가 결승골로 연결하며 2:1 역전승을 이끌었다. 최경식은 이 경기에서 동점골과 결승골 어시스트를 모두 기록했다.[18] 결승전에서는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에 0:1로 아쉽게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19]

1980년에는 198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박스컵)에 충무팀으로 소집되어[20] 출전했으며, 팀은 3위를 기록했다.

1981년에는 제12회 1981 자카르타 국제 축구대회와 제25회 말레이시아 메르데카 국제축구대회에 참가하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화랑팀[21]에 발탁되었다. 자카르타 대회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팀은 불가리아를 상대로 변병주의 선제골로 앞서갔으나 동점골을 허용하며 1:1로 정규 시간을 마쳤다. 연장전에 투입된 최경식은 연장 후반 17분 공격에 가담하여 추가골을 성공시켰다. 그러나 경기 종료 직전 페널티킥을 내주며 다시 동점이 되었고, 결국 2:2 무승부로 불가리아와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22]

1982년에는 네루컵 국제축구대회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소집되었다.[23] 3월 21일 서울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제10회 한일정기전에서는 강신우의 전반 4분 선제골의 기점이 되는 정확한 롱패스를 연결했고, 이태호의 어시스트를 받은 강신우가 득점에 성공했다. 이날 대한민국 대표팀은 3:0으로 승리했다. 4월 11일 광주 무등경기장에서 열린 서독 클럽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와의 친선경기 3차전에서는 페널티킥을 성공시켜 2:1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다. 다만 이 경기는 A매치가 아니므로 국가대표팀 공식 득점 기록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같은 해 1982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에도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했다.[24] 브라질 클럽팀 오페라리우와의 결승전은 연장전까지 득점 없이 비겨 공동 우승으로 마무리되었다. 이후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는 국가대표팀에도 소집[25]되어 조별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지만, 대한민국 팀은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아쉬움을 겪었다.

최경식은 당시 이원화 체제로 운영되던 충무팀과 화랑팀에서 5년간 활약하며 국가대표팀의 주전 중앙 수비수로 자리를 굳혔다. 충무팀에서는 주장을 맡아 리더십을 보이기도 했으며, 화랑팀에서는 박성화와 함께 안정적인 중앙 수비 라인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3. 지도자 경력 (1988-1998)

1988년 축구 선수 은퇴 후, 자신의 모교인 숭실고등학교에서 첫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숭실고등학교 재임 시절, 1989년 서울시교육감배고교축구대회와 1990년 KBS배 추계 전국 고교축구대회에서 팀을 우승으로 이끌었다.[26]

이후 청소년 대표팀 지도자로 활동 영역을 넓혔다. 1992년에는 U-17 대표팀 코치로 부임했으며, 1996년부터 1998년까지는 같은 팀의 감독을 맡았다.

감독 재임 기간 동안 국제 대회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 1996년 싱가폴에서 열린 라이온 시티컵 국제 주니어(U-16) 축구대회와 1997년 브라질에서 개최된 제1회 COPA 국제 청소년 축구대회에서 대표팀을 이끌고 우승을 차지했다.[27]


4. 행정가 및 기타 경력 (2005-현재)

2005년 12월, 당시 대한축구협회 이영무 기술위원장을 중심으로 김주성, 이상엽, 신현호와 함께 대한축구협회 기술위원으로 선임되었다.[28] 이후 대한축구협회에서 징벌위원, 유소년 분과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기간/소속직책/활동
2005년 ~ 2008년 대한축구협회기술위원
대한축구협회유소년 분과 위원
대한축구협회징벌위원
KBS스포츠 칼럼니스트
KBS스포츠 축구 논설위원
뇌성마비장애인축구연맹부회장 (현)
KBS축구 해설위원
KBSN축구 해설위원
제주 MBC축구 해설위원
티브로드축구 해설위원
SPOTV축구 해설위원
2025년 ~KBSN 스포츠 축구 해설위원


5. 수상 내역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서 다음 대회에서 우승을 이끌었다.


  • 싱가폴 라이온 시티컵 국제 주니어(U-16) 축구대회: 1996
  • 제1회 코파 브라질 국제 청소년축구대회: 1997

5. 1. 클럽

wikitext


5. 2. 국가대표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5. 3. 개인

5. 4. 감독

(내용 없음)

참조

[1] 뉴스 1973 숭실고등학교 축구부 관련기사 https://newslibrary.[...] 1973-06-09
[2] 뉴스 建大(건대),創團(창단)14年(연)만에 첫優勝(우승) 全國(전국) 축구 https://newslibrary.[...] 1977-12-12
[3] 뉴스 대우축국팀 명칭|「새한 자동차」로 http://isplus.live.j[...]
[4] 뉴스 1981 실업축구연맹전 춘계리그 관련기사 https://newslibrary.[...] 1981-03-28
[5] 뉴스 1981 실업축구연맹전 춘계리그 결과 관련기사 https://newslibrary.[...] 1981-03-28
[6] 뉴스 프로蹴球時代(축구시대) 본격화 https://newslibrary.[...] 1982-12-16
[7] 뉴스 崔景植(최경식) 日(일)축구팀 입단 https://newslibrary.[...] 1986-01-08
[8] 웹사이트 Aussie Footballers http://www.ozfootbal[...]
[9] 뉴스 1978 자카르타 기념 국제축구대회 소집명단 https://newslibrary.[...] 1978-05-15
[10] 뉴스 한국 또 우승 자카르타 축구 http://newslibrary.n[...] 1978-06-24
[11] 뉴스 夏季(하계) U大會(대회) 축구 選手(선수) 18명을 選拔(선발) https://newslibrary.[...] 1979-02-07
[12] 뉴스 한일축구 일본에 무릎꿇은 화랑 https://newslibrary.[...] 1979-03-05
[13] 뉴스 1979멕시코 유니버시아드 대회 한국대표팀 명단 https://newslibrary.[...]
[14] 뉴스 1979 멕시코 유니버시아드 대회 관련기사 https://newslibrary.[...]
[15] 뉴스 韓國(한국),蹴球(축구)-排球(배구) 準決(준결)리그 진출 https://newslibrary.[...] 1979-09-07
[16] 뉴스 韓國(한국)축구 5위 https://newslibrary.[...] 1979-09-13
[17] 뉴스 1979년 킹스컵 국제 축구대회 소집명단 https://newslibrary.[...] 1979-11-16
[18] 뉴스 1979년 킹스컵 준결승전 관련기사 https://newslibrary.[...] 1979-11-29
[19] 뉴스 1979년 킹스컵 결승전 관련기사 https://newslibrary.[...] 1979-12-04
[20] 뉴스 1980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소집명단 http://newslibrary.n[...] 1980-07-29
[21] 뉴스 1981년 자카르타 기념 국제 축구대회,메르데카컵 국가대표팀 소집 명단 https://newslibrary.[...] 1981-07-08
[22] 뉴스 1981 자카르타 기념 국제 축구대회 공동우승 기사 https://newslibrary.[...] 1981-08-22
[23] 뉴스 花郎(화랑) 鎭海(진해)전훈 끝내 14일壯途(장도)…印(인)축구 참가 https://newslibrary.[...] 1982-02-09
[24] 뉴스 大統領(대통령)컵 축구 花郎(화랑)·브라질 共同優勝(공동우승) https://newslibrary.[...] 1982-06-19
[25] 뉴스 선수단 명단 https://newslibrary.[...] 1982-08-13
[26] 뉴스 숭실,7년만에 패권 https://newslibrary.[...] 1990-08-14
[27] 뉴스 한국,코파브라질 패권 https://newslibrary.[...] 1997-10-21
[28] 뉴스 김주성 등 신임 기술위원 확정 http://joynews.i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