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민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민순은 수필집 《생명의 곡》(1954), 시집 《님》(1955), 《밤》(1963), 유고집 《영원에의 길》(1977) 등을 저술했다. 단테의 《신곡》(1959),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1960),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1965), 아빌라의 데레사의 《완덕의 길》(1967)과 《영혼의 성》(1970), 십자가의 성 요한의 《깔멜의 산길》(1971)과 《어둔 밤》(1973) 등을 번역했다. 또한, 《성경의 시편》(1968)과 《靈性神學入門》(1986)을 번역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신부 - 지정환
    지정환은 벨기에 출신의 천주교 신부로, 임실 치즈 생산과 농촌 발전에 기여했으며, 유신헌법 반대 운동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고 장애인 복지에 헌신하며 대한민국 특별 귀화를 통해 임실 지씨의 시조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 신부 - 함세웅
    함세웅은 한국 전쟁의 참상을 겪고 사제의 길을 걸으며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창립을 주도하여 민주화 운동에 헌신한 대한민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민주화 운동가이다.
  • 대한민국의 번역가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대한민국의 번역가 - 진중권
    대한민국의 미학자이자 작가, 평론가, 대학교수인 진중권은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에서 철학 박사 과정을 밟았으며,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며 미학, 예술, 정치, 사회에 대한 저술 및 번역 활동과 진보 정당 활동을 해왔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작가 - 이범
    이범은 386 운동권 출신의 교육 평론가이자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메가스터디 설립 후 공교육 정상화 운동에 참여하여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보좌관,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 관련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고 있다.
최민순
기본 정보
최민순 신부
최민순 신부
본관해주 최씨
출생1912년 3월 27일
사망1982년 10월 30일 (향년 70세)
직업가톨릭 사제, 신학자, 번역가, 시인
세례명스테파노
주요 활동성가 번역, 미사 전례 번역, 시 창작
생애
출생지황해도 해주시
학력성신고등학교 졸업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 졸업
사제 서품1942년
경력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제
가톨릭대학교 교수
주요 저서《사랑은》
《주님은 나의 목자》
《내 영혼의 노래》
신앙
소속 교구천주교 서울대교구
사상하느님은 사랑이시다.
기타
관련 인물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

2. 저작


  • 《생명의 곡》(1954년, 수필집)
  • 》(1955년, 시집)
  • 최민순 신부가 번역한 단테신곡(1959년)이 있다.
  • 최민순은 1960년에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 》(1963년, 시집)
  • 아우구스티누스고백록을 1965년에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 아빌라의 데레사의 저서 《완덕의 길》을 1967년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 최민순 신부가 번역한 《성경의 시편》은 1968년에 출간되었다.
  • 아빌라의 데레사의 저서《영혼의 성》을 1970년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 십자가의 성 요한의 저서인 《깔멜의 산길》(1971년)을 번역 출간하였다.
  • 십자가의 성 요한의 저서인《어둔 밤》(1973년)을 번역 출간하였다.
  • 《영원에의 길》(1977년, 유고집)
  • 1986년에는 《靈性神學入門》을 한정 200부 출간하였다.

2. 1. 문학 작품


《생명의 곡》(1954년)

《영원에의 길》(1977년)

2. 1. 1. 시집

2. 1. 2. 수필집

《생명의 곡(1954년)

2. 1. 3. 유고집

《영원에의 길》(1977년)

2. 2. 번역 작품

최민순 신부가 번역한 단테신곡(1959년)이 있다.

최민순은 1960년에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아우구스티누스고백록을 1965년에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아빌라의 데레사의 저서 《완덕의 길》을 1967년에, 《영혼의 성》을 1970년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저서인 《깔멜의 산길》(1971년)과 《어둔 밤》(1973년)을 번역 출간하였다.

최민순 신부가 번역한 《성경의 시편》은 1968년에 출간되었다. 1986년에는 《靈性神學入門》을 한정 200부 출간하였다.

2. 2. 1. 단테 관련

최민순 신부가 번역한 단테신곡(1959년)이 있다.

2. 2. 2. 세르반테스 관련

최민순은 1960년에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소설 돈키호테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2. 2. 3. 아우구스티누스 관련

아우구스티누스고백록을 1965년에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2. 2. 4. 아빌라의 데레사 관련

아빌라의 데레사의 저서 《완덕의 길》을 1967년에, 《영혼의 성》을 1970년에 한국어로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2. 2. 5. 십자가의 성 요한 관련

십자가의 성 요한의 저서인 《깔멜의 산길》(1971년)과 《어둔 밤》(1973년)을 번역 출간하였다.

2. 2. 6. 기타

최민순 신부가 번역한 《성경의 시편》은 1968년에 출간되었다. 1986년에는 《靈性神學入門》을 한정 200부 출간하였다.

참조

[1]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2]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3]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4]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5]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6]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7]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8]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9]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10] 저널 최민순 신부의 생애와 하느님 이해 null 신학과사상학회 2005-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