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에서 태어나 430년 사망한 기독교 신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삼위일체, 죄와 은총, 원죄, 예정, 교회론 등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다루었으며, 특히 인간의 자유 의지와 하나님의 은총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서양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저서로는 자전적 고백록인 《고백록》, 철학적 저술 《자유의지론》, 국가와 사회에 대한 고찰을 담은 《신국론》 등이 있으며, 그의 사상은 서양 기독교와 철학, 정치 사상에 깊이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우구스티누스 - 김명혁
김명혁은 순교자 김관주 목사의 아들이자 한국의 대표적인 복음주의 신학자 겸 목회자로, 월남 후 서울대 사학과 졸업, 미국 유학을 통해 다양한 신학 학위를 취득하고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교수, 강변교회 담임목사, 한국복음주의협의회 회장 등을 역임하며 한국 교회 연합 운동에 기여했으며 어거스틴 연구 권위자로도 알려졌으나 2024년 별세했다. - 아우구스티누스 - 욕정
욕정은 강렬한 성적 욕망을 의미하며, 기독교에서는 죄와 연관되어 해석되기도 하고, 이슬람교에서는 욕망과 분노의 조화를 강조하는 등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 알제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멜키아데
멜키아데는 309년 또는 310년에 교황으로 선출되어 도나투스파를 이단으로 단죄하고 라테라노 궁전을 기증받았으며, 314년에 사망했다. - 알제리의 로마 가톨릭 성인 - 교황 젤라시오 1세
교황 젤라시오 1세는 교황 수위권을 강조하고 '두 권력' 사상을 제시하며 교황권 강화와 교회 재산 관리 체계 확립에 힘쓴 5세기 로마 교황이다.
아우구스티누스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354년 11월 13일 |
출생지 | 로마 제국 누미디아 키르텐시스 타가스테 |
사망일 | 430년 8월 28일 (향년 75세) |
사망지 | 서로마 제국 누미디아 키르텐시스 히포 레기우스 |
안장 위치 | 이탈리아 파비아 |
축일 | 8월 28일 (로마 가톨릭교회, 서방 기독교) 6월 15일 (동방 기독교) 11월 4일 (아시리아 동방교회) |
숭배하는 곳 | 성인을 공경하는 모든 기독교 교파 |
주요 성지 | 산 피에트로 인 시엘 도로, 이탈리아 파비아 |
상징 | 주교 지팡이, 주교관, 어린아이, 책, 작은 교회, 불타는 또는 꿰뚫린 심장 |
수호 | 양조업자 인쇄업자 신학자 철학자 결막염 코네티컷주 브리지포트 카가얀데오로 이사벨라 주 산 아구스틴 카비테 주 멘데스 카비테 주 탄자 불라칸 주 발리우아그 삼발레스 주 이바 |
철학자 정보 | |
사제 서품 정보 | |
영향 | |
이름 | |
2. 생애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북아프리카 로마 속주의 타가스테(현재 알제리의 수크 아흐라스)에서 기독교도 어머니 모니카와 이교도 아버지 파트리키우스 사이에서 태어났다.[20] 370년부터 타가스테의 부유한 시민 로마니아누스의 지원으로 서방 제2의 도시 카르타고에서 웅변술을 공부했다.[176] 371년 아버지 파트리키우스가 사망한 후, 이름 미상의 여성과 동거를 시작하여 372년 아들 아데오다투스를 낳았다.[189] 이 동거는 15년간 지속되었다.
373년부터 382년까지 마니교를 신봉했으나, 키케로의 『호르텐시우스』를 읽고 로마 철학에 관심을 가지면서 마니교와 거리를 두게 되었다.[188] 이후 네오플라토니즘(신플라톤주의)을 접하며 마니교에 더욱 환멸을 느꼈다.
383년 로마로 건너가 384년 밀라노에서 웅변술 교사로 일하던 중,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와 어머니 모니카의 영향으로 386년 개종했다.[190] 387년 아들 아데오다투스와 함께 암브로시우스에게 세례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었다.[190]
387년 어머니 모니카가 오스티아에서 사망한 후,[190] 아프리카로 돌아와 아들과 동료들과 함께 수도원 생활을 시작했다. 이때 정한 규칙은 '''아우구스티누스의 계율'''로 불리며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규칙의 기반이 되었다.
391년 히포 레기우스 교회의 사제가 되고, 396년 주교로 선출되어 서품을 받았다.[193] 430년 사망할 때까지 히포에서 활동했다.
410년 고트족의 로마 함락 이후 이교도들의 기독교 비난에 맞서 『신의 나라』를 저술하여 세계사(구원사)를 변호했다.
430년 8월 28일, 반달족이 히포를 포위한 가운데 로마 제국의 몰락과 함께 고대 철학자로서 생을 마감했다.[19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는 354년 오늘날의 알제리에 해당하는 로마 제국 북아프리카의 소도시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20] 아버지 파트리키우스는 이교도였지만, 어머니 모니카는 그리스도인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고향과 인근 도시 마다우로스 혹은 마다우라(Madaura)에서 초등교육을 받은 후,[187] 370년 카르타고로 유학을 가서 키케로의 《호르텐시우스 (''Hortensius'')》를 읽고 철학에 심취하게 된다.[188]어머니 모니카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도인이 되기를 원했지만, 그는 마니교의 이성적이고 체계적인 교리에 매력을 느껴 마니교도로서 10여 년을 머물렀다. 371년 열일곱 살에 한 젊은 여성과 동거생활을 시작하여, 14년 동안 같이 살면서 '아데오다투스'(Adeodatus|신으로부터 주어진la)라는 아들을 낳았다.[189]
2. 2. 회심
밀라노의 주교 암브로시우스는 수사학과 철학에 능통한 달변가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강론에 감동하여 그를 따르기로 결심했다. 심한 내적 갈등 끝에 386년 여름 부활주일에 아들 아데오다투스, 훗날 다가스테의 주교가 되는 알리피우스와 함께 암브로시우스에게 세례를 받았다.[190]바울로의 로마서를 읽게 된 사건이 회심의 계기라는 설도 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밀라노의 한 정원에서 "집어들고 읽으라! 집어들고 읽으라!"(''Tolle lege, Tolle lege'')라는 어린아이의 노랫소리를 듣고, 로마서 13장 13~14절[191]을 읽으며 그리스도인이 되기로 결심했다는 것이다.[192]
2. 3. 교회 활동
391년 북아프리카의 도시 히포 레기우스에서 발레리우스 주교에 의해 사제로 서품받은 후,[193]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니교를 비판하고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하는 등 활발한 설교 활동을 펼쳤다. 그는 하느님의 은총을 강조하며 신학적 인식론, 교회론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193]395년 발레리우스 주교가 노쇠하자 공동 주교로 선출되었고, 이듬해 그가 사망한 후 히포 교구의 주교가 되어 평생 히포 교회와 북아프리카 교회를 위해 헌신했다.[193] 427년 반달족이 북아프리카를 침공했을 때, 전쟁을 피해 히포로 몰려든 피난민들을 위해 봉사하다가 430년 8월 28일 열병으로 사망했다.[193] 그는 죽는 순간까지 피난민들을 돌보며 "우리의 이웃이 하느님께 관심을 가질 때, 그들을 자비롭게 대하는 행동은 우리를 불행에서 벗어나게 해 주고, 행복에 이르게 한다."는 신념을 실천했다.[193]
암브로시우스는 387년 4월 24일-25일 부활절 전야에 밀라노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아들 아데오다투스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1년 후인 388년에 아우구스티누스는 변증론인 『가톨릭 교회의 신성에 관하여』(On the Holiness of the Catholic Church)를 완성했다. 그 해에 아데오다투스와 아우구스티누스는 아프리카로 귀국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어머니인 모니카는 그들이 아프리카로 향하는 배를 타려고 준비하던 중 이탈리아 오스티아에서 사망했다. 그들은 아프리카에 도착하자 아우구스티누스 가족의 재산으로 귀족적인 여유로운 삶을 시작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아데오다투스도 사망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 후 자신의 재산을 팔아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었다. 그는 가족 집만 남겨두고 그곳을 자신과 친구들을 위한 수도원으로 만들었다.
기독교로 개종한 후, 아우구스티누스는 설교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 위해 수사학 교수직을 그만두었다. 391년 아우구스티누스는 알제리의 히포 레기우스(현재 안나바)에서 사제로 서품 받았다. 그는 유명한 설교가가 되었고(350편 이상의 설교가 진품으로 여겨짐), 그가 이전에 고수했던 마니교와 싸운 것으로 유명했다.
395년 그는 히포의 보좌 주교가 되었고, 얼마 후 정식 주교가 되었으며,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라는 이름이 붙었고, 그는 자신의 재산을 타가스테 교회에 기증했다. 그는 430년 사망할 때까지 그 자리에 남았다. 히포의 주교로 섬기면서 그의 목표는 교구의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것이었고, 그는 교회가 매주 읽을 구절을 선택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히포 사람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도록 설득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는 수도원을 떠났지만, 주교 관저에서 수도 생활을 계속했다.
3. 신학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신학, 특히 서방 교회 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신학은 사도 성 바오로에 버금가는 것으로 평가될 정도이다. 그는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이라는 입장을 취하여, 신앙과 지식의 관계를 정립했다. 이는 중세 스콜라 학풍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펠라기우스의 선행구원론에 반대하여 하느님의 은총을 강조하는 은총론을 주장했다. 391년 사제로 서품된 후 마니교를 비판하고, 인간의 도덕적 완성을 주장하는 펠라기우스주의에 반대하며, 인간의 공로보다 하느님의 은총을 강조하였다. 그의 은총론은 종교 개혁 시기 개신교 선구자들인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에게도 큰 영향을 주었으며,[193] 근대에 들어와 얀센주의자들도 지지하였다.
그는 신학적 인식론, 교회론, 영성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로마 가톨릭교회와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축일은 8월 28일이며, 상징물은 주교관과 목장, 책, 펜이다. 인쇄공과 신학자의 수호 성인이기도 하다.
3. 1. 삼위일체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의 핵심 교리인 삼위일체에 대해 성부, 성자, 성령이 본질적으로 하나이며, 세 위격은 서로 구별되지만 동등한 신성을 지닌다고 설명했다.3. 2. 죄와 은총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본성이 원죄로 인해 타락했으며, 스스로의 힘으로는 구원받을 수 없다고 보았다. 그는 하느님의 은총만이 인간을 죄에서 구원하고 의롭게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펠라기우스주의와의 논쟁을 통해 은총론을 더욱 발전시켰다.[193]미야타니 노부후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은총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번호 | 내용 |
---|---|
1 | 살아 있는 모든 자는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은혜 없이는 죄의 심판을 면할 수 없다. |
2 | 하느님의 은혜는 인간적인 공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
3 | 은혜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
4 | 은혜는 하느님의 일방적인 자비에 의해 주어진다. |
5 | 은혜가 주어지지 않는 것은 하느님의 심판에 의한 것이다. |
6 | 선이든 악이든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는 보상이 있다. |
7 | 주님에 대한 신앙은 인간의 자유 의지에 의한 것이다. |
3. 3. 원죄
아우구스티누스는 펠라기우스와의 논쟁을 통해 원죄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였다.[182][183][184] 그는 아담의 죄가 모든 인류에게 유전된다는 원죄 교리를 주장했으며, 원죄로 인해 인간의 의지가 약화되고 정욕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고 보았다. 동방 정교회 (정교회 · 동방 교회)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에 대한 견해를 부정한다.3. 4. 예정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께서 구원받을 자와 멸망받을 자를 미리 정하셨다는 예정론을 가르쳤다.[177] 그는 예정이 인간의 공로나 선행이 아닌, 하나님의 은총에 의한 것이라고 강조했다.[177]미야타니 노부후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 의지론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번호 | 내용 |
---|---|
1 | 살아 있는 모든 자는 누구든지 그리스도의 은혜 없이는 죄의 심판을 면할 수 없다. |
2 | 하나님의 은혜는 인간적인 공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
3 | 은혜는 모든 사람에게 주어지는 것은 아니다. |
4 | 은혜는 하나님의 일방적인 자비에 의해 주어진다. |
5 | 은혜가 주어지지 않는 것은 하나님의 심판에 의한 것이다. |
6 | 선이든 악이든 자신의 행위에 대해서는 보상이 있다. |
7 | 주님에 대한 신앙은 인간의 자유 의지에 의한 것이다. |
미야타니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 의지론에 바울의 영향을 인정하면서도, 아우구스티누스는 죄를 “무지” 또는 “무력”으로 파악하고, 인간에게는 자유 의지가 있어도 선악을 판단하는 지식이나 능력이 없기 때문에, 구원의 근거는 “인간의” 자유 의지가 아니라, “하나님의” 자유로운 선택과 예정이라고 보았다.[177]
3. 5. 교회론
아우구스티누스는 도나투스파와의 논쟁을 통해 교회론을 발전시켰다. 그는 교회를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로 구분하고, 교회의 통일성과 거룩성을 강조했다. 특히, "세상 나라"에 있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공동체인 교회는 기본적으로 "세상 나라"의 것이며, 교회 안에는 본래의 그리스도교와는 이질적인 세속적인 요소가 섞여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그는 "세상 나라"에서 신앙을 대표하는 것은 교회이며, 그 점에서 교회가 우위에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71]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 밖에서는 구원이 없다는 키프리아누스의 주장을 지지했다. 그는 이교 국가에는 진정한 정의가 없으며, 그리스도교에 기반한 정치 사회만이 정의를 실현할 수 있는 국가라고 보았다. 비그리스도교적인 정치 사회는 "국가"라는 명칭을 부여받을 자격이 없다고 생각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국가를 비천한 존재로 여기고, 타락한 인간의 지배 욕구에 기반한 것으로 보았으며, 국가의 존재 이유는 오직 신의 섭리에 대한 봉사, 즉 가톨릭 교회에 대한 종속을 통해서만 얻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71]
3. 6. 자연 지식과 성경 해석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의 문자적 해석이 과학적 사실이나 이성과 모순될 경우, 비유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창세기 1장의 6일 창조를 문자적 의미가 아닌 영적인 의미로 해석했다.3. 7. 종말론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에는 전천년설을 믿었으나, 후에 이를 육적인 것으로 여기며 무천년설로 입장을 바꾸었다. 무천년설은 그리스도가 승리한 교회를 통해 영적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견해이다. 종교 개혁 기간 동안 장 칼뱅과 같은 신학자들도 무천년설을 받아들였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의 영원한 운명은 죽음과 함께 결정되며, 교회와의 친교 안에서 죽은 자들만이 연옥의 중간 상태의 불에서 정화된다고 가르쳤다.[79]3. 8. 마리아론
아우구스티누스는 독자적인 마리아론을 체계화하지는 않았지만, 마리아에 대한 그의 언급은 다른 초기 저술가들보다 그 수와 깊이에 있어 뛰어났다. 에페소 공의회 이전부터 그는 영원한 동정녀이자 테오토코스임을 옹호하며, 성적 순결과 무죄함 때문에 그녀가 "은총으로 충만한"(예로니모와 같은 초기 라틴 저술가들을 따름)[80] 이라고 믿었다. 마찬가지로 그는 동정녀 마리아가 "동정녀로 잉태하고, 동정녀로 출산하고, 영원히 동정녀로 남았다"고 확언했다.[81]4. 철학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경 본문을 문자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과학과 이성에 어긋날 경우, 비유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보았다. 그는 성경의 각 구절에 문자적 의미가 있지만, 이것이 항상 단순한 역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때로는 확장된 비유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82]
아우구스티누스는 예정설을 주장했지만, 이는 인간의 자유 의지에 의한 구원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신이 인간을 본성적으로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로 창조했으므로, 인간의 구원은 자유 의지에 기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남원번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과 인간 사이의 도덕적 인격 관계"를 밝혔다고 평가했다.[179] 반택고마로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라는 말을 "신과의 관계에서 인간 그 자체의 존재 방식에 관한 말"로 사용했다.
4. 1. 인식론
아우구스티누스는 인식론에 큰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그의 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 기독교로 개종한 직후 저술한 초기 대화편인 ''Contra academicos''(386)와 ''De Magistro''(389)는 회의론적 주장에 대한 그의 생각을 보여주며, 신적 계시 교리의 발전을 반영한다. 신적 계시 교리는 신이 인간의 지각과 이해에 적극적이고 규칙적인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다. 즉, 신이 인간의 마음을 비추어 지적인 실재를 인식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데카르트의 명료하고 뚜렷한 지각 개념처럼 신이 인간의 마음을 신뢰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는 것과는 다르다.)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계시는 모든 이성적인 마음에 열려 있으며 다른 형태의 감각 지각과는 구별된다. 그것은 마음이 지적인 실체와 연결되는 데 필요한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제시되었다.[109]아우구스티누스는 여러 저술에서 타인의 마음 문제를 제기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삼위일체론''(VIII.6.9)일 것이다. 그는 타인의 마음에 대한 유추 논증이라는 표준적인 해결책을 제시했다. 플라톤 등 초기 철학자들과 달리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 지식에서 증언의 중요성을 인정했다. 그는 다른 사람들의 증언이, 그들의 증언 보고서를 믿을 만한 독립적인 이유가 없더라도, 우리에게 지식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4. 2. 자유 의지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자유 의지에 대해 논했으며, 그의 자유 의지 해석을 둘러싸고 상반되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1) 아우구스티누스는 은총 선행론에 기초하여 자유 의지를 부정적이거나 제한적으로 논했다는 견해.
2) 구원에 있어서 개인의 자유 의지를 긍정적으로 인정했다는 견해.
개인의 자유 의지를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후자의 입장에는 에라스무스와 남원번이 있다. 남원번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과 인간 사이의 도덕적 인격 관계"를 밝혔다고 말하고 있다.[179] 반택고마로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는 고대 이래의 "자유"라는 말을 "신과의 관계에서 인간 그 자체의 존재 방식에 관한 말"로 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예정설에 의해 세계를 신에 의한 영원불변의 질서 안에 있다고 했지만, 그것은 인간의 자유 의지에 의한 구원을 조금도 부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이 인간을 본성적으로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로 창조했으므로, 인간의 구원은 자유 의지에 기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 신정론에서 신이 인간과 천사를 자유 의지를 가진 이성적 존재로 창조했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자유 의지는 죄를 짓기 위한 것이 아니었으며, 선과 악 모두에 동등하게 기울어져 있지 않았다는 의미이다. 죄로 더럽혀진 의지는 더 이상 "자유로운"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물질적인 것들에 매여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잃어버릴 수도 있고 떠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불행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죄는 자유 의지를 손상시키고, 은총은 그것을 회복시킨다. 한때 자유로웠던 의지만이 죄의 타락에 굴복할 수 있다.
412년 이후,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신학을 바꿔 인류에게는 그리스도를 믿는 자유 의지가 없지만 죄를 짓는 자유 의지는 있다고 가르쳤다. "나는 사실상 인간 '의지'의 자유 선택을 위해 노력했지만, 하나님의 은총이 승리했다"(''고백록'' 2.1).
초기 기독교인들은 처음 네 세기 동안 널리 퍼져 있던 스토아학파, 영지주의자, 마니교도들의 결정론적 견해(예: 운명)에 반대했다.[115] 기독교인들은 인간과 상호 작용하는 관계적 신의 개념을 옹호했는데, 이는 모든 사건을 일방적으로 예정한 스토아학파나 영지주의자들의 신과는 달랐다(하지만 스토아학파는 여전히 자유 의지를 가르친다고 주장했다). 교부철학 학자 켄 윌슨은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412년) 이전에 이 주제에 대해 저술한 기존 저술이 있는 모든 초기 기독교 저술가들이 결정론적인 신이 아닌 인간의 자유 선택을 지지했다고 주장한다.[116] 윌슨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는 펠라기우스파와 싸우면서 이전의 마니교와 스토아학파의 결정론적 교육으로 회귀한 412년까지 전통적인 자유 선택을 가르쳤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 의지에 대한 견해를 받아들인 기독교인은 소수에 불과했으며, 종교 개혁 때 루터와 칼뱅 모두 아우구스티누스의 결정론적 가르침을 전적으로 받아들였다.
가톨릭 교회는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이 자유 의지와 일치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종종 누구든 원한다면 구원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하나님이 누가 구원받을 것이고 누가 구원받지 못할 것인지 아신다 해도, 후자는 그들의 삶에서 구원받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러한 지식은 인간이 자유롭게 자신의 운명을 선택할 것이라는 하나님의 완벽한 지식을 나타낸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의지를 매우 무력한 것으로 여기고, 신의 은총 없이는 선을 행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배경에는 젊은 시절 성적으로 방탕한 생활을 보냈던 아우구스티누스 자신의 회개와, 원죄를 부정하고 인간 의지의 힘을 강조한 펠라기우스와의 논쟁(펠라기우스 논쟁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논쟁은 서방 교회에서의 원죄 이해의 명확화에 기여하고 있다)이 있었다.
4. 3. 정의로운 전쟁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인들이 개인적인 철학적 입장으로서 평화주의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110] 그러나 폭력으로만 막을 수 있는 심각한 잘못 앞에서의 평화는 죄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합법적인 권위에 의해 허가된 경우 자신이나 타인을 방어하는 것은 필요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어거스틴은 정의로운 전쟁에 필요한 조건들을 분류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저서 《신국》에서 이 문구를 만들었다.[111] 본질적으로 평화 추구에는 장기적인 평화 유지를 위한 투쟁의 선택권이 포함되어야 한다.[112] 그러한 전쟁은 선제적이어서는 안 되고,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방어적인 것이어야 한다.[113] 수 세기 후 토마스 아퀴나스는 어거스틴의 주장을 근거로 전쟁이 정의로울 수 있는 조건을 정의하려고 시도했다.[114]4. 4. 자연법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법이 정당한지를 따져보고, 인간이 마음대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생기는 법과 권리의 범위를 정하려고 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지혜와 양심을 가진 모든 사람은 이성을 사용하여 자연법(lex naturalis)을 알 수 있다고 보았다. 세속의 법은 사람들에게 옳은 일을 하도록 강요하거나 잘못된 일을 피하도록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정의로워야 한다. 따라서 "불의한 법은 법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사람들은 불의한 법, 즉 그들의 양심과 이성이 자연법과 권리를 침해한다고 말하는 법을 따를 의무가 없다.[117]4. 5. 노예 제도
아우구스티누스는 힙포에서 많은 성직자들이 노예를 해방하도록 이끌었는데, 이는 "경건하고 신성한" 행위로 여겨졌다.[118] 그는 황제에게 노예 상인, 특히 어린이 매매에 대한 새로운 법 제정을 촉구하는 편지를 썼다. 당시 기독교 황제들은 부모가 아이를 돌볼 수 없을 때 영아살해를 예방하기 위해 25년 동안 어린이 매매를 허용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소작농들이 생존을 위해 자녀를 고용하거나 판매하는 현실을 지적했다.[119]그는 저서 《신국론》에서 노예 제도가 죄의 산물이자 하나님의 계획에 어긋난다고 보았다. 그는 하나님이 "그의 형상대로 지음받은 이 이성적인 피조물이 비이성적인 피조물만을 지배하도록 의도"했으며, "사람이 사람을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짐승을 지배하도록" 의도했다고 썼다. 따라서 원시 시대의 의로운 사람들은 왕이 아니라 목자였다고 썼다. 그는 "노예의 상태는 죄의 결과"라고 선언했다.[120] 아우구스티누스는 노예 제도가 죄에 대한 벌이며, 노예가 된 개인이 죄를 짓지 않았더라도 그러하다고 썼다. 그는 "노예 제도는 형벌이며, 자연 질서의 보존을 명하고 그 혼란을 금하는 법에 의해 정해진 것"이라고 썼다.[121] 그는 노예 제도가 노예 소유주에게 더 큰 해를 끼친다고 믿었다. "천한 지위는 종에게 그만큼 이익이 되는 반면, 교만한 지위는 주인에게 그만큼 해가 된다."[122] 아우구스티누스는 죄에 대한 해결책으로 노예들이 "교활한 두려움이 아닌 충실한 사랑으로 섬김으로써" 자유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으며, 세상의 끝이 오면 노예 제도가 영원히 사라질 것이라고 했다. "모든 불의가 사라지고 모든 권세와 모든 인간의 권력이 무로 돌아가고 하나님이 만물 안에 계실 때까지."[121]
4. 6. 유대인
아우구스티누스는 하나님이 유대인을 특별한 백성으로 선택했다고 보았으며, 로마 제국에 의해 유대인들이 흩어진 것을 예언의 성취로 간주했다.[123] 그는 시편 59편 11절을 인용하며 유대인들을 죽이는 것을 반대했고, "시간의 끝"에 유대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할 것이라고 믿었다.[124][125] 그는 하나님이 유대인들의 흩어짐을 허락하신 것은 기독교인들에게 경고가 되기 위함이라고 주장하며, 유대인들이 기독교 국가에 거주하는 것을 허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24][125]4. 7. 성과 양성
아우구스티누스는 성적 부도덕의 악은 성행위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수반하는 감정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하나님으로 인한 즐거움인 사랑과 하나님으로 인한 것이 아닌 욕정을 대조한다.[126] 아우구스티누스는 타락 이후 성적 욕망(concupiscentiala)이 성관계에 필요하게 되었고 (남성의 발기를 자극하는 데 필요함), 성적 욕망은 타락의 결과라고 주장했다.[127]타락 이전에는 성이 "어떤 음탕한 열정도 없이" 이루어지는 열정 없는 일이라고 믿었다.[129] 즉, "어떤 수치스러운 욕정도 없이, 생식기가 단순히 의지의 기울임에 복종하여"[130] 씨앗을 뿌릴 수 있었다고 믿었다. 그러나 타락 이후에는 음경이 단순한 의지로 통제될 수 없게 되었다고 보았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성관계를 할 때 자녀의 탄생을 막으려고 하는 사람들을 비난했다.[131]
아우구스티누스는 여성과 그들의 사회 및 교회 내 역할을 칭찬한다. 그는 요한복음 4:1-42의 사마리아 여인에 대해 논하면서, 그 여인을 교회의 모습으로 사용한다.[133]
4. 8. 교육
아우구스티누스는 교육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그의 저서 『교사에 대하여』(De Magistro)에는 교육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다. 그는 비판적 사고 능력과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137] 당시에는 저술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지식의 구두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했는데, 학습 수단으로서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이 그의 교육론을 다른 교육론과 구별하는 특징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변증법이 학습에 가장 좋은 수단이며, 교사와 학생 간의 학습 만남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그의 대화 저술은 학습자 간의 활기찬 상호 대화의 필요성을 보여준다.[137]그는 학생들의 교육적 배경에 맞는 교육 방식을 채택할 것을 권장했는데,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유형의 학생으로 구분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학생들이 학습한 이론을 실제 경험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교사가 학생들과 이야기할 때 사용하는 두 가지 기본적인 방식으로 "혼합된 스타일"과 "웅장한 스타일"을 제시했다. "혼합된 스타일"은 복잡하고 때로는 화려한 언어를 포함하여 학생들이 공부하는 과목의 아름다운 예술성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웅장한 스타일"은 혼합된 스타일만큼 우아하지는 않지만 흥미롭고 진심으로, 학생들의 마음에 같은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 저서
Confessionesla(고백록), De civitate Deila(신국론), De Trinitatela(삼위일체론), De libero arbitriola(자유의지론), De doctrina Christianala(기독교 교양), Retractationesla(재고록) 등은 아우구스티누스의 대표적인 저서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저술한 책의 수로 볼 때 가장 많은 라틴어 저술을 남긴 작가 중 한 명이며, 그의 저서 목록에는 100편이 넘는 제목이 있다.[179] 여기에는 아리우스파, 도나투스파, 마니교, 펠라기우스주의 이단에 맞선 변증론적 저술, 교리에 관한 글, 창세기, 시편, 바울의 로마서 주석과 같은 주해, 설교와 서한, 그리고 이전 저서에 대한 검토인 ''재고록''이 포함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초기 생애에 대한 개인적인 이야기인 ''고백록''과, 410년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로 인해 흔들린 동료 기독교인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쓴 ''신국론''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삼위일체에 대한 그의 견해를 발전시킨 ''삼위일체론'' 또한 그의 걸작으로 여겨진다. 그는 신이 인간에게 악을 행할 수 있는 자유 의지를 주는 이유를 다룬 ''자유의지론''을 저술했다.
집필 시기 | 저서 |
---|---|
380년 | De Pulchra et Aptola (아름다움과 조화에 대하여) |
386년 | Contra Academicosla (아카데미아 학파 반박) |
387년 | De immortalitate animaela (영혼불멸론) |
395년 | De libero arbitriola (자유의지론) |
398년 | Confessionesla (고백록) |
5세기 | Soliloquiorum libri duola (독백록) |
5세기 | De consensu evangeliorumla (복음의 조화에 관하여) |
412년 | De patientiala (인내론) |
414년 | De Genesi ad litteramla (창세기의 문자적 의미) |
416년 | De natura et gratiala (자연과 은총에 관하여) |
416년 | De Trinitatela (삼위일체론) |
420년 | Enchiridion ad Laurentiumla (라우렌티움에게 보내는 안내서) |
426년 | De doctrina Christianala (기독교 교양) |
426년 | De civitate Deila (신국론) |
428년 | Retractationesla (재고록) |
연도 미상 | De nuptiis et concupiscientiala (결혼론) |
연도 미상 | De Ordinela (계시론) |
연도 미상 | De magistrola (교사론) |
연도 미상 | In Iohannis evangelium tractatusla (요한 복음에 대한 논문) |
연도 미상 | De musicala (음악론) |
연도 미상 | De Vita Beatala (행복론) |
6. 영향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로티누스의 ''엔네아데스''를 통해 스토아 철학,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109] 그의 초기 저술에는 신플라톤주의 개념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윤리학의 중심 주제인 인간의 의지에 대한 초기 저술은 쇼펜하우어, 키르케고르, 니체 등 후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베르길리우스와 키케로의 저술에도 영향을 받았다.[109] 암브로시오, 히에로니무스, 그레고리우스 1세와 함께 4대 라틴 교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54]
6. 1. 신학적 영향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신학과 서양 철학사 모두에 큰 영향을 미쳐 '아우구스티누스주의(Augustinism)'라는 용어가 생길 정도로 그 중요성이 인정되었다. 그의 신학은 사도 성 바오로에 버금갈 정도로 그리스도교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된다.[193] 그는 '이해를 추구하는 신앙'(fides quaerens intellectum)이라는 입장을 통해 신앙과 지식의 관계를 설명했고, 이는 중세 스콜라 학풍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아우구스티누스는 펠라기우스의 선행구원론에 반대하며 하느님의 은총을 강조한 구원론을 주장했다. 그의 은총론은 중세 초기부터 신학 논쟁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었으며, 종교 개혁 시기 개신교 지도자인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과 근대 얀센주의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미쳤다.[193]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아퀴나스는 원죄에 대해 아우구스티누스보다 낙관적인 인간관을 제시하며, 타락한 인간의 이성, 의지, 정욕이 타락 후에도 초자연적인 은총 없이 본래의 능력을 유지한다고 보았다. 반면,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은 원죄가 자유를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다(전적 타락).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은 계몽 시대의 세속적 전통, 마르크시즘, 프로이트주의, 생태 근본주의에도 영향을 미쳤다. 후기 마르크시즘 철학자 안토니오 네그리와 마이클 하르트는 『제국』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 특히 『신국론』에 크게 의존했다.
존 파이퍼와 같은 현대 신학자들과 한나 아렌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학자들도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영향을 받았다.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자신의 사상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중 하나로 아우구스티누스를 꼽았다.
『신의 나라』에 나타난 “이원론적 역사관”은 “신의 나라”와 “세상 나라”를 구분하고, 정신적인 그리스도교 공동체와 세속 국가를 구별하여 그리스도교의 세속 국가에 대한 우위성을 강조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 의지론은 다양한 해석을 낳았다. A. E. 맥그래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 의지론을 두 단계로 정리하는데, 첫째, 자연적인 인간의 자유는 긍정되지만, 둘째, 죄에 의해 왜곡되었기 때문에 회복에는 하나님의 은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반면, 에라스무스 등은 아우구스티누스가 개인의 자유 의지를 적극적으로 인정했다고 해석한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적 영향은 서양 사상 전체에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플라톤, 신플라톤주의,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사상을 통합하여 서양 사상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사상은 쇼펜하우어, 니체에게까지 영향을 주었다.
프랑크 왕국의 카롤루스 대제도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를 애독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 역시 그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장 칼뱅, 코르넬리우스 얀센 등도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신학자들이다.
6. 2. 철학적 영향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특히 플로티누스의 저술인 ''엔네아데스''를 통해 많은 영향을 받았다.[109] 그의 초기 저술에는 신플라톤주의 개념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윤리학의 중심 주제인 인간의 의지에 대한 초기 저술은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세렌 키르케고르, 프리드리히 니체 등 후대 철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09]버트런드 러셀은 아우구스티누스가 『고백록』에서 시간의 본질에 대해 깊이 고찰한 것을 높이 평가하며, 이마누엘 칸트의 시간 주관론과 비교하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이 시간 밖의 "영원한 현재"에 존재하며, 시간은 창조된 우주 안에서만 존재한다고 믿었다. 그의 시간 본질에 대한 고찰은 기억에 대한 고찰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프랜시스 예이츠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고백록』에서 고대 로마인들의 기억술 기법을 언급한 것을 지적하며, 공간적, 건축적 은유를 사용하여 방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알고 있었다고 주장한다.[155]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방법론은 20세기 현상학(철학) 및 해석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에드문드 후설은 아우구스티누스를 시간 의식 분석에 대한 어려움을 깊이 인식한 최초의 사상가라고 평가했다. 마르틴 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기술적 철학을 여러 차례 언급하며, 'concupiscentia' 해석을 통해 '보는 것'의 우선순위를 주목했다. 한나 아렌트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사랑 개념에 관한 논문으로 철학적 글쓰기를 시작했으며, 그의 사회적 삶의 철학적 토대가 이웃 사랑에 있다고 보았다.
진 베스케 엘슈타인은 아우구스티누스와 아렌트를 악에 대한 개념에서 연결하며, 아우구스티누스가 악을 선의 부재로 보았다고 설명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유산은 현대 비판 이론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의 정치 사상에 대한 세 가지 주요 관점(정치적 아우구스티누스주의, 아우구스티누스 정치 신학, 아우구스티누스 정치 이론)이 존재한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영향을 크게 받았지만, 원죄에 대한 견해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보다 더 낙관적인 인간관을 제시했다.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은 원죄가 자유를 완전히 파괴했다고 주장했다.(전적 타락 참조)
레오 루익비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가 마법에 대해 제기한 주장은 초기 교회의 이교에 대한 투쟁과 후대의 마녀 사냥 비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딥팍 라알 교수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천국 도시에 대한 비전은 계몽 시대의 세속적 사업과 전통, 마르크시즘, 프로이트주의, 생태 근본주의에 영향을 미쳤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존 파이퍼와 같은 현대 신학자, 한나 아렌트와 같은 정치 이론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과 같은 철학자에게 영향을 미쳤다. 현대 언어학자들은 아우구스티누스가 페르디낭 드 소쉬르의 기호학 이론 구성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가한다. 베네딕토 16세 교황은 아우구스티누스를 자신의 사상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중 하나로 꼽았다.
남원번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과 인간 사이의 도덕적 인격 관계”를 밝혔다고 평가한다.[179] 반택고마로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라는 말을 “신과의 관계에서 인간 그 자체의 존재 방식에 관한 말”로 정의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적 영향은 서양 사상 전체에 미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는 플라톤, 신플라톤주의,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사상을 통합하여 서양 사상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사상 중 특히 후세에 큰 영향을 준 것은 인간의 의지 또는 자유의지에 관한 것이다. 그는 인간의 의지를 매우 무력한 것으로 여기고, 신의 은총 없이는 선을 행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은 펠라기우스 논쟁을 통해 서방 교회의 원죄 이해 명확화에 기여했다.
프랑크 왕국의 왕 카롤루스 대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를 좋아했으며, 보니파시오 8세는 그를 교회 박사로 추대했다. 토마스 아퀴나스도 아우구스티누스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근대에 들어 장 칼뱅과 코르넬리우스 얀센은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인 신학자이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의식과 정전론 역시 서양 사상의 일부가 되었다. 그는 도나티스트 논쟁에서 이단을 올바른 신앙으로 되돌리기 위해 무력 행사도 불가피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성령이 성부와 성자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설명하여 후대의 필리오케 문제에서 서방 신학의 성령론 기초 중 하나가 되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르틴 루터를 통해 종교 개혁과 프로테스탄트적 금욕 사상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가톨릭 교회에서 "최고의 스승"이라고도 불리며 중요시된다. 그러나 원죄와 인간성의 취약성에 관한 교리, 그리고 은총의 필수성에 관해서는 극단으로 치우쳤다고 지적되기도 한다.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에 의해 아우구스티누스에게 남아 있던 오류가 잘못 이용되었다고 가톨릭 교회에서는 이해되고[180], 루터파, 칼뱅파 등의 프로테스탄트와는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이해에 차이가 있다.
후쿠다 칸이치는 기독교 정치 사상 및 국가론을 최초로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인물로 아우구스티누스를 높이 평가한다.
6. 3. 사회적 영향
아우구스티누스는 마니교, 펠라기우스주의 등 당대의 사상적 조류에 맞서 설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신학 이론을 펼쳤다. 그는 인간의 공로보다 하느님의 은총을 강조했으며, 은총론, 신학적 인식론, 교회론, 영성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상은 중세 초기부터 은총론 논쟁에서 아우구스티누스주의자들의 모범이 되었고, 종교 개혁 시기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장 칼뱅 등 개신교 사상가들과 근대 얀센주의자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193]철학적으로 아우구스티누스는 플로티누스의 ''엔네아데스''를 통해 스토아 철학, 플라톤주의, 신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의 인간의 의지에 대한 초기 저술은 윤리학의 중심 주제가 되었고, 쇼펜하우어, 키르케고르, 니체 등 후대 철학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그는 베르길리우스와 키케로의 저술에도 영향을 받았다.[109] 아우구스티누스는 암브로시오, 히에로니무스, 그레고리우스 1세와 함께 4대 라틴 교부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54]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자유 의지를 인정하면서도 신의 예정과 은총을 강조했다. 에라스무스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과 인간 사이의 도덕적 인격 관계"를 밝혔다고 평가했다.[179]
7. 한국의 관점
에라스무스와 남원번은 개인의 자유 의지를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입장에 있다. 남원번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과 인간 사이의 도덕적 인격 관계"를 밝혔다고 평가한다.[179] 아우구스티누스는 예정설을 통해 세계가 신에 의한 영원불변의 질서 안에 있다고 보았지만, 이는 인간의 자유 의지에 따른 구원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는 신이 인간을 본성적으로 자유 의지를 가진 존재로 창조했기 때문에, 인간의 구원은 자유 의지에 기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참조
[1]
서적
Hall's Dictionary of Subjects and Symbols in Art
John Murray
[1]
서적
Encyclopedia of Themes and Subjects in Painting
Thames and Hudson
[2]
논문
The Genesis of St. Augustine's Idea of Original Sin
2022-06-20
[3]
서적
Enchridion
http://www.ccel.org/[...]
2012-11-17
[4]
서적
The Harmony of the Gospels
http://www.hypotypos[...]
[5]
웹사이트
Jesus Christ Prayers – Prayers
https://www.catholic[...]
[6]
웹사이트
Deity
http://www.etymonlin[...]
2017-06-06
[7]
서적
Literal Interpretation of Genesis
[8]
서적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Genesis
[9]
웹사이트
Church Fathers: On Merit and the Forgiveness of Sins, and the Baptism of Infants, Book I (Augustine)
https://www.newadven[...]
www.newadvent.org
[10]
웹사이트
Augustine of Hippo, Bishop and Theologian
http://justus.anglic[...]
Society of Archbishop Justus
2018-01-22
[11]
백과사전
Augustine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Know Your Patron Saint
http://www.catholica[...]
[13]
서적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First Series, Vol. 5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4]
웹사이트
Some Underlying Positions of This Website
http://www.romanity.[...]
2015-09-30
[15]
웹사이트
Limits of Church
http://www.fatherale[...]
2015-09-30
[16]
웹사이트
Saint Augustine in the Greek Orthodox Tradition
http://www.goarch.or[...]
[17]
서적
Never the Twain Shall Meet?
De Gruyter
2017
[18]
학술지
Book Review: ''The Place of Blessed Augustine in the Orthodox Church''
http://www.orthodoxi[...]
2007-06-28
[19]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College Dictionary
Houghton Mifflin Company
[20]
웹사이트
Saint Augustine – Biography, Philosophy, & Major Works
https://www.britanni[...]
2018-01-28
[21]
서적
On Christian Teaching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2]
서적
Confessions Saint Augustine
[23]
서적
Catholic World, Volumes 175–176
https://books.google[...]
Paulist Fathers
[24]
서적
Ep., CXXXIII, 19
http://www.augustinu[...]
[25]
서적
Confess., VIII, 6, 14
http://www.augustinu[...]
[26]
서적
Contra Faustum, I, 1
http://www.augustinu[...]
[27]
서적
Confessions
[28]
서적
Confessions
[29]
백과사전
Encyclopedia Americana
Grolier
[30]
서적
Confessions
[31]
서적
Confessions
[32]
학술지
Correcting Some Misconceptions about St. Augustine's Sex Life
https://www.jstor.or[...]
2002
[33]
서적
Confessions
[34]
잡지
Don't Blame the Devil: St Augustine and Original Sin
http://www.utne.com/[...]
2015-05
[35]
서적
Confessions
[36]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4-10-30
[37]
서적
Confessions
[38]
서적
Confessions
[39]
서적
Confessions
Oxford University Press
[40]
웹사이트
Augustine of Hippo, Bishop and Theologian
http://justus.anglic[...]
2015-06-17
[41]
웹사이트
Confessions 10.27.38
https://faculty.geor[...]
[42]
논문
Augustine, His Sermons, and Their Significance
2009-10-05
[43]
논문
Augustine and the 'Chair of Lies': Rhetoric in The Confessions
https://online.ucpre[...]
2010-11-01
[44]
서적
The History and Theory of Rhetoric
Pearson
[45]
논문
Redeeming Rhetoric: Augustine's Use of Rhetoric in His Preaching Ministry
https://digitalcommo[...]
2015-05-01
[46]
웹사이트
Augustine's Rhetoric in Theory and Practice
https://www.oxfordha[...]
2017-11-30
[47]
논문
The Rhetoric(s) of St. Augustine's Confessions
https://scholars.unh[...]
2008-01-01
[48]
서적
ep
[49]
서적
Augustine's Theology of Preaching
Fortress Press
[50]
논문
Augustine, His Sermons, and Their Significance
2009-10-05
[51]
서적
Augustine
Twayne Publishers
[52]
논문
Rhetorical Distinctions in Augustine's Early and Later Writing
https://online.ucpre[...]
2018-05-01
[53]
서적
Behold the Pierced One
Ignatius Press
[54]
웹사이트
Life of St. Augustine
https://www.tertulli[...]
[55]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56]
논문
L'Arca di Sant'Agostino: opera di Giovanni di Balduccio
https://www.lerma.it[...]
2021
[57]
웹사이트
Augustine's tomb, Augnet
http://www.augnet.or[...]
2015-06-17
[58]
웹사이트
San Pietro in Ciel d'Oro
https://www.monaster[...]
University of Pavia
[59]
웹사이트
Arca di S. Agostino
https://www.lombardi[...]
Regione Lombardia
[60]
백과사전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plato.stanfor[...]
Stanford
[61]
서적
De cura pro mortuis gerenda
[62]
서적
Enarrationes in psalmos
[63]
서적
[64]
서적
De utilitate ieiunii
[65]
서적
De quantitate animae
[66]
서적
De quantitate animae
[67]
서적
On the free will (De libero arbitrio)
[68]
웹사이트
A Plea for the Christians
http://www.newadvent[...]
New Advent
[69]
웹사이트
Respect for Unborn Human Life: the Church's Constant Teaching
http://www.usccb.org[...]
U.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70]
웹사이트
Modern Look at Abortion Not Same as St. Augustine's
https://web.archive.[...]
2016-12-04
[71]
서적
The City of God
[72]
서적
On the Merits
[73]
서적
City of God
[74]
서적
Enchiridion
[75]
간행물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Augustine's View of Creation
http://www.asa3.org/[...]
1988-03-00
[76]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Volume 2 (From Augustine to the eve of the Reformation)
Abingdon Press
1970-00-00
[77]
서적
The Church of the Living God: A Reformed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2-00-00
[78]
웹사이트
The Non-Orthodox: The Orthodox Teaching on Christians Outside of the Church
http://www.orthodoxi[...]
[79]
서적
Enchiridion
[80]
서적
De Sancta Virginitate
[81]
서적
De Sancta Virginitate
[82]
서적
De Genesi ad literam 1:19–20
[83]
서적
Contra Julianum
PL
[84]
서적
On the Literal Meaning of Genesis
BA
[85]
서적
On the Literal Meaning of Genesis
BA
[86]
서적
On the Trinity
http://www.newadvent[...]
CCL
[87]
서적
Contra Julianum
PL
[88]
서적
Retractationes
PL
[89]
서적
De nuptiis et concupiscentia
PL
[90]
서적
Lib. subnot.in verb. Iul. Praef.
PL
[91]
서적
De gratia Christi et de peccato originali
http://www.augustinu[...]
CSEL
[92]
서적
Against Two Letters of the Pelagians
[93]
웹사이트
The Manichaean Version of Genesis 2–4
http://www.religious[...]
Biblio Verlag
2008-03-25
[94]
서적
De libero arbitrio
[95]
서적
On the Good of Marriage
http://www.newadvent[...]
PL
[96]
서적
Enarrations on the Psalms
CCL
[97]
서적
De continentia
PL
[98]
서적
Merits and Remission of Sin, and Infant Baptism
http://www.newadvent[...]
PL
[99]
서적
Imperfectum Opus contra Iulianum
[100]
서적
On the Gift of Perseverance
[101]
서적
St. Augustine's Writings Against The Manichaeans And Against The Donatists
Jazzybee Verlag
2012-00-00
[102]
서적
Explanations of the Psalms
[103]
서적
Sermons
[104]
서적
Sermons
[105]
서적
On Christian Doctrine
[106]
서적
A Sermon to Catechumens on the Creed
[107]
서적
City of God
[108]
서적
Confessions
[109]
백과사전
Saint Augustine
http://plato.stanfor[...]
2012-12-21
[110]
뉴스
A Time For War?
http://www.christian[...]
Christianity Today
2001-09-17
[111]
웹사이트
Augustine of Hippo
https://archive.toda[...]
2013-04-28
[112]
웹사이트
St. Augustine of Hippo
https://archive.toda[...]
[113]
웹사이트
Saint Augustine and the Theory of Just War
http://www.jknirp.co[...]
2013-04-28
[114]
웹사이트
The Just War
http://www.catholice[...]
2013-04-28
[115]
서적
Luther's Works
Fortress Press
1963
[116]
서적
Calvin's Calvinism
Sovereign Grace Union
1927
[117]
웹사이트
Augustine on Law and Order – Lawexplores.com
https://lawexplores.[...]
[118]
서적
Of the Work of Monks
Eerdmans
1956
[119]
서적
The Saints
Pauline Books & Media, Daughters of St. Paul, Editions du Signe
1998
[120]
서적
The City of God
Eerdman's
1986
[121]
웹사이트
Church Fathers: City of God, Book XIX (St. Augustine)
http://www.newadvent[...]
2018-07-31
[122]
학술지
Augustine, His Sermons, and Their Significance
https://hts.org.za/i[...]
2009-10-05
[123]
서적
City of God
[124]
서적
Antisemitism: A historical encyclopedia of prejudice and persecution
ABC-CLIO
2005
[125]
서적
Augustine and the Jews: A Christian Defense of Jews and Judaism
Yale UP
2010
[126]
서적
On Christian Doctrine
[127]
웹사이트
De Nuptiis et Concupiscentia ad Valerium (Latin text)
https://la.wikisourc[...]
[128]
서적
City of God
[129]
서적
On marriage and concupiscence
https://en.wikisourc[...]
[130]
서적
On marriage and concupiscence
https://en.wikisourc[...]
[131]
서적
On marriage and concupiscence
https://en.wikisourc[...]
[132]
서적
City of God
[133]
성경
[134]
성경
[135]
서적
Discovering Feminist Philosophy Knowledge, Ethics, Politic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3
[136]
서적
Women and Religion in the First Christian Centuries
Taylor & Francis
2002
[137]
서적
Encyclopedia of Education: AACSB-Commerce
https://books.google[...]
Macmillan Reference
2003
[138]
학술지
Augustine on the Hebrew Bib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04-01
[139]
서적
Saeculum: History and Society in the Theology of St.Augustine
Cambridge
1970
[140]
서적
Donatist Martyr Stories The Church in Conflict in Roman North Africa
Liverpool University Press
1996
[141]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284–430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142]
학술지
St. Augustine's Attitude to Religious Coercion
[143]
서적
The Donatist Church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2020
[144]
논문
The Debate on Religious Coercion in Ancient Christianity
2013
[145]
학술지
Lacking love or conveying love?: The fundamental roots of the Donatists and Augustine's nuanced treatment of them
https://search.infor[...]
2020-04-22
[146]
웹사이트
Robert Markus: Medieval historian noted for his writings on the early Church
https://www.independ[...]
Independent
2011-02-25
[147]
서적
The Limits of Ancient Christianity: Essays on Late Antique Thought and Culture in Honor of R.A. Markus.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9
[148]
웹사이트
Frederick Russell
https://sasn.rutgers[...]
Rutgers University Newark
[149]
서적
Augustine and Liberal Education
Lexington Books
2008
[150]
백과사전
Toleration, History of
University of Michigan
[151]
논문
Augustine and Republican Liberty: Contextualizing Coercion
2017
[152]
뉴스
Herbert L. Deane, 69, Ex-Columbia Official
https://www.nytimes.[...]
1991-02-16
[153]
서적
The Political and Social Ideas of St. Augustine
New York
1963
[154]
서적
The Old Catholic: Or the History, Doctrine, Worship, and Polity of the Christians
https://www.google.s[...]
T T Clark Edinburgh
[155]
웹사이트
Confessiones Liber X: commentary on 10.8.12
http://www.stoa.org/[...]
[156]
오디오비주얼매체
La conversione Di Sant' Agostino
Capriccio Digital
[157]
잡지
Confessional
https://www.theparis[...]
1983
[158]
뉴스
Sant'Agostino (2009)
https://www.mymovies[...]
MYmovies
2010-01-28
[159]
웹사이트
I Dreamed I Saw St. Augustine – Bob Dylan
https://www.allmusic[...]
[160]
웹사이트
Sting – Saint Augustine In Hell Lyrics
https://songmeanings[...]
2006-03-21
[161]
서적
Confessions – Book VIII Chapters 1–6
[162]
서적
On Christian Doctrine – Preface Section 4
[163]
논문
Augustinus und Irenäus
1949
[164]
서적
Enchiridion on Faith, Hope and Love – 8
[165]
서적
Confessions
[166]
웹사이트
The Meaning Of Protestant Theology: Luther, Augustine, And The Gospel That Gives Us Christ
https://idoc.pub/doc[...]
Baker Publishing Group
2019-06-17
[167]
논문
The Genesis of St. Augustine’s Idea of Original Sin
http://www.jstor.org[...]
1917
[168]
서적
Enchridion
http://www.ccel.org/[...]
[169]
서적
The Harmony of the Gospels
http://www.hypotypos[...]
[170]
웹사이트
Jesus Christ Prayers – Prayers
https://www.catholic[...]
[171]
웹사이트
Deity
http://www.etymonlin[...]
[172]
서적
Literal Interpretation of Genesis
[173]
서적
The Literal Interpretation of Genesis
[174]
웹사이트
CHURCH FATHERS: On Merit and the Forgiveness of Sins, and the Baptism of Infants, Book I (Augustine)
https://www.newadven[...]
www.newadvent.org
[175]
웹사이트
St. Augustine|Christian bishop and theologia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176]
웹사이트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http://www.ccel.org/[...]
[177]
서적
中世における理性と霊性
[178]
서적
政治学史
[179]
서적
政治理論史
[180]
서적
カトリック大辞典 I
冨山房
1967-00-00 # Showa 42 is 1967. The exact date is unknown.
[181]
서적
信仰の機密
東京復活大聖堂教会(ニコライ堂)
2004-00-00 # Exact date is unknown.
[182]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183]
서적
カリストス・ウェア主教論集1 私たちはどのように救われるのか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 西日本主教区
2003-00-00 # Exact date is unknown.
[184]
서적
ギリシャ正教
講談社
1980-00-00 # Exact date is unknown.
[185]
기타
대담
[186]
웹사이트
ニカイア教父とニカイア後教父: シリーズ I
https://ja.wikisourc[...]
[187]
서적
고백록
[188]
서적
고백록, 행복론, 독백론
[189]
서적
고백록
[190]
서적
고백록
[191]
성경
로마서 13장 12-14절
[192]
서적
고백록
[193]
잡지
당신의 자아에서 벗어나라
두란노
2005-02-00 # Exact date is unknown.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