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병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병우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으로, 1937년 서울 교동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제일고등보통학교와 일본 고치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조선일보 외신부장, 한국일보 외신부장을 거쳐 코리아타임스 편집국장을 역임했으며, 관훈클럽 창립과 신문의 날 제정에 기여했다. 1958년 금문도 취재 중 조난당해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1989년 최병우 국제보도상이 제정되었으며, 2014년 관훈언론상에 통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종군 기자 - 이진숙 (언론인)
    이진숙은 문화방송의 기자 및 간부로 활동하다가 대전문화방송 사장을 역임했고, 걸프 전쟁 등 다양한 보도 활동을 펼쳤으며,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하여 2024년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나 직무가 정지되었다.
  • 목포시 출신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목포시 출신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 1958년 사망 - 찰스 케터링
    찰스 케터링은 전기식 계산대, 자동차용 전기 시동 장치, 점화 및 조명 시스템을 개발하여 자동차 대중화에 기여하고 GM 연구소 부사장을 역임한 미국의 발명가, 엔지니어, 사업가이다.
  • 1958년 사망 - 최린
    최린은 3·1 운동의 주요 기획자였으나, 이후 친일 행보를 보이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하는 등 극렬한 친일 활동을 펼쳤고, 광복 후 체포되었다가 석방, 한국 전쟁 중 월북하여 북한에서 사망, 남북 모두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받으며 친일파 명단에 등재된 인물이다.
최병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최병우
한자 표기崔秉宇
출생일1924년 6월 20일
출생지대한민국 전라남도 목포시
사망일1958년 9월 26일 (향년 34세)
사망지중화민국 진먼현 해상
사망 원인조난
직업기자
학력
학교고치 고등학교(일본)
제일고등보통학교
경력
주요 경력조선일보 외신부장 (1952년)
한국일보 외신부장 (1954년)
코리아타임스 편집국장 (1956년)
한국일보 논설위원 (1956년)
기타
관련관훈클럽 창립회원

2. 생애

최병우는 1924년 평양에서 태어났다. 관훈클럽 창립과 신문의 날 제정을 주도하였으며, 금문도를 취재하던 중 사망하였다.[1]

연도내용
1937년 3월서울 교동보통학교 졸업
1942년 3월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1944년 가을일본 시코쿠(西國) 고치 고등학교(高知 高等學校) 졸업
1952년 3월조선일보 외신부장
1954년 6월한국일보 외신부장
1956년 6월 30일코리아타임스 편집국장
1957년 1월 11일관훈클럽 창립
1957년 4월 7일신문의 날 제정
1958년 9월 26일금문도 취재 도중 조난


2. 1. 학창 시절

최병우는 1937년 3월 서울 교동보통학교, 1942년 3월 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44년 가을에는 일본 시코쿠(西國) 고치 고등학교(高知 高等學校)를 졸업하였다.

2. 2. 언론 활동

최병우는 1952년 3월 조선일보 외신부장, 1954년 6월 한국일보 외신부장을 거쳐 1956년 6월 30일 코리아타임스 편집국장이 되었다.[1] 1957년 1월 11일 관훈클럽 창립에 참여했고,[1] 같은 해 4월 7일 신문의 날 제정에 기여하였다.[1]

2. 3. 관훈클럽 창립과 신문의 날 제정

최병우는 1956년 6월 30일 코리아타임스 편집국장에 취임했다.[1] 1957년 1월 11일 관훈클럽 창립을 주도했고,[1] 같은 해 4월 7일 신문의 날 제정을 이끌었다.[1]

2. 4. 금문도 취재 중 사망

1958년 9월 26일, 최병우는 코리아타임스 편집국장 자격으로 금문도 취재 도중 조난당해 사망했다.[1]

3. 최병우 국제보도상

1989년 최병우 국제보도상이 만들어졌으며, 1990년 1월 11일 제1회 최병우 기념 국제보도상이 시상되었다. 이후 2014년 관훈언론상에 통합되어 '국제보도' 부문이 최병우 국제보도상을 겸하게 되었다.[4][5]

참조

[1] 웹인용 관훈클럽 창립회원 http://www.kwanhun.c[...] n.d.
[2] 간행물 현대 언론인 열전 07 - 최병우(崔秉宇, 1924~1958) https://www.kpf.or.k[...] 한국언론재단 2007-08
[3] 뉴스 대만 충렬사, 故 최병우 종군기자 위패 봉안 https://news.naver.c[...] 2008-08-26
[4] 뉴스 관훈언론상 올해부터 4개 부문 시상 http://www.munhwa.co[...] 2014-10-24
[5] 웹인용 관훈언론상 4개 부문으로 확대 http://www.kwanhun.c[...] 2014-10-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