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병우 국제보도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병우 국제보도상은 국제 보도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언론인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89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시상되었으며, 수상자들은 다양한 국제 현안에 대한 심층적인 보도를 통해 언론의 역할을 수행했다. 수상자들은 걸프전, 유고 내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국제 분쟁 지역을 취재하거나, 북한 관련 보도, 탈북자 문제, 해외 문화재 환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언론상 - 한국기자상
한국기자상은 한국기자협회가 주관하여 뛰어난 취재 및 보도 활동을 펼친 기자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매년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언론인을 선정하여 시상하며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사회·정치·경제 이슈를 다룬 수상작들이 있다. - 대한민국의 언론상 - 이달의 기자상
이달의 기자상은 언론의 공익적 역할을 강조하고 언론인들의 뛰어난 보도 활동을 격려하기 위해 제정된 상으로, 심층 취재와 팩트 체크를 통해 사회 문제 조명 및 공익 증진에 기여한 기사를 선정하여 매월 시상한다. - 기자 - 특파원
특파원은 특정 지역이나 분야를 전문적으로 취재하여 심층 분석과 전문적인 시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자로, 해외, 경제, 국회, 법률/사법, 연예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며, 생활비 특파원이나 외주 특파원 같은 새로운 형태가 등장하고 있고, 객관성 유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기자 - 한국기자상
한국기자상은 한국기자협회가 주관하여 뛰어난 취재 및 보도 활동을 펼친 기자에게 수여하는 권위 있는 상으로, 매년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둔 언론인을 선정하여 시상하며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사회·정치·경제 이슈를 다룬 수상작들이 있다. - 대한민국의 언론 - 오마이뉴스
오마이뉴스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 아래 시민기자 제도를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인터넷 신문으로, 시민들이 직접 기사를 쓰고 상근 기자가 편집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진보적인 성향을 띤다. - 대한민국의 언론 - 빅뉴스
빅뉴스는 변희재 등이 창간한 인터넷 신문으로, 초기에는 진보 및 친노무현 성향을 띠었으나 실크세대론을 주창하며 새로운 세대론을 제시했고, 호남 및 서남 지역 뉴스를 운영하며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의 기사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최병우 국제보도상 | |
---|---|
최병우 국제보도상 | |
주최 | 관훈클럽 |
분야 | 국제보도 |
첫 시상 | 1995년 |
웹사이트 | 관훈클럽 |
2. 역대 수상자 및 공적
최병우 국제보도상은 1989년 제정된 이래 국제 뉴스 보도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언론인 및 언론 기관에게 수여되었다. 매년 또는 격년으로 시상되었으며, 사할린 동포 취재, 남북 고위급 회담 보도, 걸프전 및 이라크 전쟁 등 분쟁 지역 취재, 탈북자 문제, 북한 관련 특종, 문화재 환수 기여 등 다양한 국제 이슈를 다룬 보도들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2005년과 2012년에는 수상자가 없었다.
자세한 역대 수상자 및 공적은 아래 연대별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1980년대
- #1990년대
- #2000년대
- #2010년대
2. 1. 1980년대
1989년 제1회 수상자는 중앙일보의 최철주 경제부장이다. 최철주 부장은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사할린에 거주하는 한인 동포들을 현지에서 직접 취재하여 보도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는 최병우 국제보도상의 첫 번째 시상이었다.2. 2. 1990년대
wikitext회 | 연도 | 수상자 | 공적 |
---|---|---|---|
2 | 1990 | 한국일보 이성준 부국장대우 정치부장 | 탁월한 남북고위급 평양회담 취재기 |
3 | 1991 | MBC 걸프전 취재팀(강성주·이진숙 취재팀 기자, 서태경·황성희 카메라 취재부 기자) | 걸프전 개전 현장 취재 보도 |
4 | 1992 | KBS 김진화 중동 지국장 | 국제분쟁지역에서 활발한 취재 활동 |
5 | 1993 | KBS 유고연방 내전 취재팀(박선규 정치부 기자, 박정용 보도제작국 PD, 이중완 카메라취재부 기자) | 위험을 무릅쓰고 유고연방의 처절한 내전현장 취재 |
6 | 1994 | 서울신문 이도운 정치2부 기자, 왕상관 사진부 부장급 | 러시아 벌목공 실태 보도 |
7 | 1995 | 강원일보 송광호 모스크바 특파원 | 관동군 한인 징병, 징용자 6,133명 명단 보도 |
8 | 1996 | 문화일보 중국 취재팀(팀장 홍순도 국제부 차장대우) | 심층기획을 통해 새로운 중국모습 보도하고 21세기 세계질서 재편 전망 |
9 | 1997 | 중앙일보 문일현 베이징 특파원 | 덩샤오핑 鄧小平중국어 사망을 세계적인 특종으로 보도 |
9 | 1997 | 연합통신 정광훈 카이로 특파원 | 이집트 주재 장순길 북한대사 부부 잠적 최초 보도 |
10 | 1998 | 조선일보 함영준 홍콩 특파원 | 아시아 정상들과 인터뷰 등 국제뉴스 취재에 큰 공헌 |
11 | 1999 | 조선일보 정병선 사회부 기자 | 구 소련지역을 떠도는 1만여 카레이스키 난민들 시리즈 보도 |
11 | 1999 | 중앙일보 국제부 특별취재팀(김석환 기자 외 4명) | 공산붕괴 10년, 비틀거리는 동유럽 보도 |
2. 3. 2000년대
회 | 연도 | 수상자 | 공적 |
---|---|---|---|
12 | 2000 | 중앙일보 유상철 베이징 특파원 | 김정일-장쩌민 극비 베이징 회담 보도 |
13 | 2001 | KBS 조재익 모스크바 특파원 | 아프카니스탄 전쟁 현장 보도 |
14 | 2002 | 연합뉴스 박일 사진부장, 이충원 남북관계부 기자 | 장길수군 친척 5명의 중국 선양 일본 영사관 진입사건 특종 보도 |
15 | 2003 | 조선일보 강인선 워싱턴특파원 | 한국 최초의 이라크전쟁 정식 종군기자로 45일간 전황 보도 |
16 | 2004 | 연합뉴스 조성대 베이징 지사장 | 북한 용천역 대규모 폭발 대참사 특종 보도 |
17 | 2005 | 수상자 없음 | 해당 없음 |
18 | 2006 | KBS 금철영 탐사보도팀 기자, 이중우 영상취재팀 기자 | 이라크전쟁 실상과 자이툰 부대 상황을 심층 보도 |
19 | 2007 | KBS 이영석 국제팀 기자 | 이슬람 분쟁 지역의 인권, 환경, 문화 등 다양한 측면을 심층 보도 |
20 | 2008 | 연합뉴스 故 조계창 선양 특파원 | 북파공작 한국인 켈로부대원 첫 보도와 북한 신법전 최초 보도 |
21 | 2009 | 문화일보 이미숙 정치부 차장 | 미국 여기자 북한군 억류 최초 보도 |
2. 4. 2010년대
회 | 연도 | 수상자 | 공적 |
---|---|---|---|
22 | 2010 | 중앙일보 중앙SUNDAY 안성규 외교안보 에디터, 신인섭 사진팀 차장 | 국내 언론 최초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남 김정남 인터뷰 보도 |
23 | 2011 | KBS 윤수희 시사제작2부 기자, 이병권 보도영상국 촬영기자 | 탈북자가 국경에서 총살당하는 현장을 최초로 촬영하여 보도 |
24 | 2012 | 수상자 없음 | 해당 없음 |
25 | 2013 | KBS 김민철 기자, 김용모 기자 | 한국 전쟁 당시 미군에 의해 불법 반출된 대한제국 국새 현종어보의 소재를 추적하여 최초로 확인하고, 호조태환권 등 반출 문화재 환수에 기여 |
26 | 2014 | 중앙일보·JTBC 김현기 도쿄특파원 | 아베 정권의 우경화 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극우 단체 ‘일본회의’의 실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보도 |
27 | 2015 | 한겨레신문 박현 국제에디터, 길윤형 도쿄특파원 |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 방어 체계(THAAD)의 구체적인 성능을 최초로 보도하고, 사드 레이더의 환경 및 건강 피해 문제점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높임 |
참조
[1]
간행물
관훈언론상 최병우 국제보도상 상금 1천만원으로 인상
http://www.kwanhun.c[...]
관훈클럽
2013-04-11
[2]
뉴스
관훈언론상 올해부터 4개 부문 시상
http://www.munhwa.co[...]
2018-07-29
[3]
웹인용
관훈언론상 4개 부문으로 확대
http://www.kwanhun.c[...]
2018-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