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타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리아타임스는 1950년 11월 1일 한국 전쟁 발발 직후 김헬렌에 의해 창간된 대한민국의 영문 일간지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수진이 편집에 참여하여 정부와 유엔군의 활동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주력했다. 한국 전쟁 중 부산에서 발행을 이어갔으며, 이승만 정권의 간섭, 편집국장의 사망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공식 신문인 '서울 올림피언'을 발행했으며, 현대 한국 문학 번역상 제정, 경제 논술 공모전 개최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과거 칼럼 내용과 타블로이드 뉴스 보도로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일보사 - 서울경제TV
- 한국일보사 - 스포츠한국
- 1950년 창간 - 전북일보
전북일보는 1950년 창간되어 전북신문으로 제호가 변경되었다가 다시 전북일보로 변경되었으며, 정의, 봉사, 도민을 사시로 하는 대한민국의 지역 신문이다. - 1950년 창간 - 대전일보
대전일보는 1950년 전시 특보판으로 시작하여 언론 탄압을 겪고 제호 변경을 거쳐 현재는 남상현 사장이 경영하며, 다양한 문화 행사를 후원하는 대한민국의 지역 신문이다. - 대한민국의 신문 - 동아일보
동아일보는 1920년 창간되어 민주주의, 민족주의, 문화주의를 사시로 내걸고 민족운동 등을 전개했으며, 일제강점기 폐간 후 복간되어 방송 사업을 시작했고, 여러 논란을 겪으며 현재 주 6일제로 신문을 발행한다. - 대한민국의 신문 - 중앙일보
중앙일보는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에 의해 1965년 창간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일간신문으로, 삼성그룹에서 분리되었지만 오너 일가와의 관계가 지속되고, JTBC 등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며 보수 성향 언론으로 분류되지만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코리아타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코리아타임스 |
로마자 표기 | Koria Taimseu |
영문 이름 | The Korea Times |
종류 | 신문 |
발행 형식 | 인쇄, 온라인 |
창간일 | 1950년 11월 1일 |
창립자 | 김활란 |
소유주 | 한국일보, 동화 엔터프라이즈 산하 |
본사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7, 14층 |
편집장 | 김란 |
발행인 | 오영진 |
회장 | 승명호 |
발행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영어 |
정치 성향 | 중도 |
웹사이트 | 코리아타임스 웹사이트 |
연혁 | |
창간 | 1950년 11월 1일 김활란에 의해 창간 |
추가 정보 | |
자매지 | 한국일보 |
기타 |
2. 역사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5개월 후인 11월 1일, 김헬렌이 코리아 타임스를 창간했다. 초기 편집팀은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 교수들로 구성되었다.[10]
유엔군이 서울을 탈환한 후 서울에서 발행을 시작했으나, 1951년 1월 3일 서울 제3차 전투 기간 중 편집부 직원들은 중국군이 수도를 점령하기 직전 마지막 기차를 타고 부산으로 피난을 갔다.[11] 피난 전 신문 편집실은 불에 탄 국회의사당 4층에, 인쇄는 봉래동의 한 인쇄소에서 이루어졌다. 부산 이전 15일 만에 발행을 재개했는데, 당시 제목은 손으로 썼다.[12]
이승만 정권과 긴밀한 관계였으나,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간섭으로 비판적인 논조를 띄기 시작했다. 1954년 4월 23일 조선일보 사장이자 훗날 한국일보를 창간한 장기영에게 인수되었다.[13]
1958년 9월 26일, 최병우 편집국장이 금문도 포격을 취재하던 중 사망했다. 코리아 타임스와 한국일보는 1958년 10월 11일 그의 모교인 경기고등학교에서 추모식을 거행했다. 최병우는 관훈클럽 창립에 영향을 주었고,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지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4]
1968년 2월 27일, 코리아 타임스와 자매지 사무실에 화재가 발생하여 7명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었다.[15] 미국 대사관과 미 원조단을 포함한 많은 독자와 외국 단체들이 타자기를 기증하거나 대여했다. 신문사는 인근 충무로의 사무실로 피신하여 수년간 제작을 이어갔다.[15]
1968년 크리스마스에 최초로 컬러 이미지를 게재했다.[16] 1984년 11월 1일 창간 34주년을 맞아 활자 인쇄에서 사진식자의 콜드 타입 시스템으로 전환했다.[17]
전직 한국 대통령인 김대중은 코리아 타임스를 읽으며 영어를 독학한 것으로 유명하다.[18] 1988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올림픽 신문인 '''서울 올림피언'''(The Seoul Olympian)을 발행했다.[19][20]
2. 1. 창간과 초기 (1950년대)
1950년 11월 1일, 한국 전쟁 발발 직후, 여성 교육자이자 사회운동가인 김헬렌(김활란)에 의해 창간되었다.[10] 초기에는 이화여자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진이 편집진으로 참여하여, 대한민국 정부의 입장과 유엔군의 활동을 국제 사회에 알리는 데 주력했다. 초판은 2페이지짜리 타블로이드판으로, 월요일을 제외한 주 6일 발행되었으며 가격은 100원이었다.[10]유엔군이 서울을 탈환한 후 서울에서 발행을 시작했으나, 1951년 1월 서울 제3차 전투 기간 중 중국군이 수도를 점령하기 직전 마지막 기차를 타고 서울을 떠난 편집부 직원들과 함께 부산으로 옮겼다.[11] 부산으로 이전 후 15일 만에 발행을 재개했는데, 당시에는 제목이 손으로 쓰였다.[12]
이승만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지만, 이승만 대통령의 간섭으로 인해 비판을 시작했다. 1954년 4월 23일, 조선일보 사장이었고 후에 한국일보를 창간한 장기영에게 인수되었다.[13]
1958년 9월 26일, '''코리아 타임스'''의 최병우 편집국장이 중국 공산당의 금문도 포격을 취재하던 중 사망하여,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중 첫 사망자로 기록되었다.[14] '''코리아 타임스'''와 '''한국일보'''는 1958년 10월 11일 그의 모교인 경기고등학교에서 최병우를 위한 추모식을 거행했으며, 수백 명의 조문객들이 참석했다. 최병우는 고참 언론인들의 친목 단체인 관훈클럽 창립에 주요한 영향을 주었으며,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지정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이 날은 오늘날까지 한국 언론인들에 의해 기념되고 있다.[14]
2. 2. 발전과 격동기 (1960년대 ~ 1980년대)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안정효 등 여러 필진이 사회 비판적인 칼럼을 게재하며 언론의 역할을 확대했다.[15] 1968년 2월 27일, 서울 종로구 중학동에 위치한 코리아 타임스와 자매지 사무실에 화재가 발생하여 7명의 직원이 사망하고 3명이 부상을 입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15] 화재 이후, 코리아 타임스는 2월 28일 축약판을 발행했으며, 미국 대사관과 미 원조단(미국 원조 미션)을 포함한 많은 독자와 외국 단체들이 타자기를 기증하거나 대여하는 등 도움을 주었다.[15] 신문사는 인근 충무로의 사무실로 피신하여 수년간 제작을 이어갔다.[15]1968년 크리스마스에는 YMCA 합창단의 크리스마스 캐럴을 부르는 4색 사진을 게재하여 최초로 컬러 이미지를 게재했다.[16] 1984년 11월 1일, 창간 34주년을 맞아 활자 인쇄에서 사진식자의 콜드 타입 시스템으로 전환하며 기술적인 발전을 이루었다.[17] 1988년 하계 올림픽 당시에는 공식 올림픽 신문인 '서울 올림피언'(The Seoul Olympian)을 발행했다.[19][20]
2. 3. 민주화 이후 (1990년대 ~ 현재)
김대중 전 대통령은 코리아 타임스를 읽으며 영어를 독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8] 1988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올림픽 신문인 '''서울 올림피언'''(The Seoul Olympian)을 발행했다.[19][20]3. 논란
《코리아타임스》는 여러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
- 1958년 7월 30일, 편집국장 헨리 창은 "도박꾼의 정의"라는 칼럼을 발표했다가 반역죄 혐의로 구금되었다.[23]
- 1973년, 버나드 와이드먼의 풍자 기사가 논란이 되어 편집국장이 정보 당국에 연행되기도 했다.
- 2009년, 칼럼니스트 마이클 브린이 한국 유명 인사들을 풍자하는 칼럼을 기고했다가 삼성으로부터 명예훼손 소송을 당했다.[27]
- 2015년, 한국인의 인종차별을 비판하는 듯한 기사가 논란이 되었으나, 곧 장난으로 밝혀졌다.[32][33]
- 2017년, 편집국장이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교하는 기사를 발표하여 논란을 일으켰다.[35]
또한, 《코리아타임스》는 타블로이드 뉴스를 그대로 싣는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8] 특히 2012년에는 더 어니언이 김정은을 "가장 섹시한 남자"로 선정한 기사를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여 논란이 되었다.[39][40][41]
3. 1. 칼럼 관련 논란
1958년 7월 30일, 편집국장 헨리 창은 "헨싱크"라는 필명으로 "도박꾼의 정의"라는 글을 발표했고, 이로 인해 반역죄 혐의로 16일간 구금되었다.[23]1973년 6월 11일, 버나드 와이드먼은 《타임》지의 일본인 관광객과 기생에 관한 기사에 대한 풍자 기사를 작성했다.[24][25] 이 기사에 대한 반응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미국인 주부가 한국 소년들의 예속과 착취를 요구하는 기사를 썼고, 이에 지역 신문들이 풍자 기사의 번역본을 재인쇄하여 외국인들을 비판하면서 편집국장 창순일이 정보 당국에 연행되었다.
2009년 12월 25일, 칼럼니스트 마이클 브린[27]은 이명박, 비, 삼성 등 한국의 유명 인사들을 풍자하는 칼럼을 기고했다. 삼성은 브린의 칼럼이 이건희 회장 아들의 사진을 보내 회장 사진 옆에 걸어두라고 지시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어, 북한의 인격 숭배를 암시하고 부패와 오만을 드러낸다고 주장하며 명예훼손으로 민사 및 형사 소송을 제기했다.[27] 브린이 사과한 후 민사 소송은 취하되었으나, 형사 소송은 재판에 넘겨졌지만 "피해자가 없다"는 이유로 기각되었다.
2015년 9월 11일, "왜 지하철에서 제 옆에 앉지 않으시나요?"[32]라는 제목의 기사가 한국인들이 대중교통에서 외국인을 피하는 것을 비판하여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켰으나, 곧 장난으로 밝혀졌다.[33]
2017년 6월 2일, 당시 편집국장 오영진은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교하는 논쟁적인 기사를 발표했다.[35] 이후 홀로코스트 부정론자의 주장을 담은 독자 반응을 소개하고,[36] 독일인 교사의 반박 편지를 게재했다.[37]
3. 2. 타블로이드 뉴스 보도 논란
《코리아 타임스》는 암호 동물학[38]이나 UFO 목격담[38]과 같은 타블로이드 뉴스를 그대로 옮겨 싣는다는 비판을 받았다. 미국의 풍자 매체인 《위클리 월드 뉴스》나 《더 어니언》의 기사를 사실인 것처럼 보도하기도 했는데, 2012년 김정은을 "더 어니언이 선정한 가장 섹시한 남자"로 선정한 기사가 대표적이다.[39][40][41]4. 기타
1970년 《코리아 타임스》는 창간 20주년을 맞아 한국 문학의 국제적 홍보 기반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한국 출신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 현대 한국 문학 번역상을 제정했다.[42]
코리아타임스는 매년 경제 논술 공모전(한국과 외국 대학의 대학원생 및 학부생 대상, 우리은행 후원, 수상자 상금 수여)[44][45][46], 글로벌 코리아 청소년상(2012년 여성가족부와 협력하여 제정, 다문화 가정 학생 대상)[47][48] 등 여러 상을 수여한다.
1988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올림픽 신문인 '''서울 올림피언'''을 발행했다.[19][20][49]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세종대로, 숭례문과 서울역 사이 한국일보 건물에 있으며,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도 주요 사업장이 있다.
4. 1. 수상
1970년 《코리아 타임스》(The Korea Times)는 창간 20주년을 맞아 한국 문학의 국제적 홍보 기반을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한국 출신 노벨 문학상 수상자를 배출하기 위해 현대 한국 문학 번역상을 제정했다.[42] 이 상은 수십 년 동안 한국 문학 번역 분야의 떠오르는 별들에게 수여되었다.과거 주요 수상자 및 심사위원은 다음과 같다.
- 소라 김-러셀(Sora Kim-Russell)
- 브루스 풀턴(Bruce Fulton): 1985년, 1987년, 1989년 단편 소설 번역으로 세 차례 수상
- 안토니오 형제(Brother Anthony): 1991년 고은의 "교장 선생님 아베(Headmaster Abe)" 번역으로 시 부문 최고상 수상, 1996년부터 2023년까지 심사위원 역임
- 리처드 럿(Richard Rutt): 1970년부터 1973년까지 심사위원 역임
- 장왕록(Chang Wang-rok): 1970년과 1976년에 표창상 수상, 1982년부터 1988년까지 심사위원 역임
- 정하윤: 2000년 단편 소설 부문 최고상 수상, 현재 심사위원
- 재닛 홍(Janet Hong): 2001년 단편 소설 부문 최고상 수상, 현재 심사위원
- 다프나 주르(Dafna Zur): 2004년 단편 소설 부문 최고상 수상, 현재 심사위원[43]
코리아타임스는 매년 다른 여러 상도 수여한다. 경제 논술 공모전은 한국과 외국 대학의 대학원생 및 학부생을 대상으로 경제 관련 주제에 대한 논술을 접수하며, [44] 수상자에게는 상금이 수여된다.[45] 우리은행이 후원한다.[46]
글로벌 코리아 청소년상은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격려하기 위해 여성가족부와 협력하여 2012년 다문화 청소년상이라는 이름으로 제정되었다.[47][48]
4. 2. 발행물
1988년 하계 올림픽의 공식 올림픽 신문인 '''서울 올림피언'''(The Seoul Olympian)을 발행했다.[19][20][49]4. 3. 위치
본사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세종대로, 숭례문과 서울역 사이 한국일보 건물에 있다. 뉴욕과 로스앤젤레스에도 주요 사업장이 있다.참조
[1]
뉴스
About Dongwha Group
https://www.koreatim[...]
2019-04-10
[2]
뉴스
Hankook Ilbo chairman is arrested for corruption
http://koreajoongang[...]
2013-08-07
[3]
뉴스
South Korea newspaper owner arrested for embezzlement
https://www.straitst[...]
2013-08-06
[4]
뉴스
About Dongwha Group
https://www.koreatim[...]
2019-04-10
[5]
뉴스
Seung Myung-ho named chairman of Korea Times
https://www.koreatim[...]
2015-11-01
[6]
웹사이트
https://m.dongwha.co[...]
2024-08-06
[7]
뉴스
Oh Young-jin appointed Korea Times president and publisher
https://www.koreatim[...]
2020-04-01
[8]
웹사이트
UK journalist Bethell established newspapers in 1904
https://www.koreatim[...]
2024-01-26
[9]
뉴스
The Times Vigorously Entering 4th Decade
1980-11-01
[10]
뉴스
Helen Kim: Mother of the Korea Times
https://koreatimes.c[...]
2015-11-04
[11]
뉴스
Times' Look Over Shoulder With Sense of Pride, Ire, Frustration
1962-11-01
[12]
뉴스
Early 'Times' Survived War, Persecution, Amateurism
1965-10-31
[13]
뉴스
Korea Times History
https://www.koreatim[...]
2007-12-31
[14]
웹사이트
A managing editor's death while on duty (1958. 09. 26)
http://www.dongwha.c[...]
2019-04-15
[15]
뉴스
Fire Guts Korea Times Building (7 Dead, Inaugural Copies Burned in 1968 Blaze)
https://www.koreatim[...]
2007-10-31
[16]
뉴스
1968-12-25
[17]
뉴스
KT Renovates Mechanism
1984-11-01
[18]
뉴스
A New Kind of Leader for Korea, and Asia Too
https://www.nytimes.[...]
2018-04-04
[19]
뉴스
Former Korea Times President Chung Tae-yun passes away
https://www.koreatim[...]
2013-12-15
[20]
뉴스
Tourism is Korea's new driving force
https://www.koreatim[...]
2015-04-02
[21]
뉴스
Critic without pity who wrote 'Scouting the City'
https://www.koreatim[...]
2018-01-23
[22]
뉴스
[Korea Encounters] Weekly scribbles reflect life in Seoul in 1970s
https://www.koreatim[...]
2018-09-11
[23]
뉴스
Definition of a Gambler
1958-07-30
[24]
잡지
SOUTH KOREA: The Seoul of Hospitality
http://content.time.[...]
1973-06-04
[25]
뉴스
Thoughts of the Times
1973-07-11
[26]
뉴스
Thoughts of the Times
1973-07-14
[27]
뉴스
Samsung doesn't find satirical spoof amusing
http://www.latimes.c[...]
2010-05-10
[28]
블로그
What People Got for Christmas (full text) by Michael Breen
http://thebobster.wo[...]
2009-12-25
[29]
뉴스
한국 ´조롱´ 마이클 브린, "사과한 것 맞아?" (Michael Breen mocking Korea, Is he really going to apologize to us?)
http://www.ebn.co.kr[...]
2010-05-14
[30]
웹사이트
Samsung Sues Satirist, Claiming Criminal Defamation, Over Satirical Column Poking Fun At Samsung
http://www.techdirt.[...]
2010-09-04
[31]
뉴스
Samsung doesn't find satirical spoof amusing
http://www.latimes.c[...]
2010-05-23
[32]
뉴스
Why won't you sit next to me?
https://www.pressrea[...]
2015-09-11
[33]
뉴스
Sex Offender Photo Used in Korea Opinion Article
https://www.10mag.co[...]
2015-09-11
[34]
뉴스
Letter to our dear readers
https://www.koreatim[...]
2015-09-16
[35]
뉴스
Holocaust vs. comfort women
https://www.koreatim[...]
2017-06-02
[36]
뉴스
Diverse views on Holocaust vs. sex slavery
https://www.koreatim[...]
2018-04-04
[37]
뉴스
Holocaust Happened
https://www.koreatim[...]
2018-04-04
[38]
뉴스
Is this bigfoot?
https://www.koreatim[...]
2018-04-04
[39]
뉴스
Kim Jong Un Named The Onion's Sexiest Man Alive For 2012 [UPDATE]
https://www.theonion[...]
2018-04-04
[40]
뉴스
People's Daily doesn't understand The Onion, congratulates Kim Jong Un on being named Sexiest Man Alive (UPDATE)
http://shanghaiist.c[...]
2018-04-04
[41]
뉴스
Korea Times Believes Onion Article About Kim Jong Un Being The Sexiest Man Alive
http://www.thegloss.[...]
2018-04-04
[42]
뉴스
New generation leads 48th Translation Awards
https://www.koreatim[...]
2018-04-04
[43]
웹사이트
Translation Awards
https://thekoreatime[...]
The Korea Times
2024-11-07
[44]
뉴스
Economic Essay Contest for University Students
https://www.koreatim[...]
2024-11-07
[45]
뉴스
Winners of 20th Economic Essay Contest
https://www.koreatim[...]
2024-11-07
[46]
뉴스
Students honored for offering insights into enhancing banking system
https://www.koreatim[...]
2024-11-07
[47]
뉴스
Winners of Multicultural Youth Awards suggest solutions for more inclusive society
https://www.koreatim[...]
2024-11-07
[48]
웹사이트
13th Global Korea Youth Awards
https://gky.koreatim[...]
2024-11-12
[49]
뉴스
Former Korea Times President Chung Tae-yun passes away
https://www.koreatim[...]
2018-04-04
[50]
간행물
The Korea Times
https://kw.maruzen.c[...]
丸善雄松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