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누크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누크족은 미국 북서부 태평양 연안 지역에 거주했던 원주민 부족이다. 이들은 연어 낚시와 사냥, 채집을 통해 생활했으며, 사회 계층과 노예 제도를 가지고 있었다. 머리 변형과 같은 독특한 관습을 행하기도 했으며, 프란츠 보아스와 조지 깁스 등 인류학자들의 연구 대상이 되기도 했다. 오늘날 치누크족은 워싱턴주와 오리건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부족의 공식 인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치누크족은 하부 치누크족, 카스라멧, 멀트노마 등 여러 분파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리건주의 미국 원주민 부족 - 쇼쇼니족
    쇼쇼니족은 서부 그레이트 베이슨에서 기원하여 아이다호와 와이오밍을 포함한 지역으로 퍼져나간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으로, 쇼쇼니어 방언을 사용하며 역사적으로 여러 하위 집단으로 나뉘어 살았고, 19세기 이후 영토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보호구역 등에서 문화 보존과 자립을 위해 노력한다.
치누크족
기본 정보
19세기 초 치누크족 영역 위치
19세기 초 치누크족 영역 위치
인구2,700명
지역미국
(오리건주워싱턴주)
언어영어
이전에는 치누크어족
종교전통 부족 종교
관련 민족(정보 없음)
치누크족, 1805년 10월 [[컬럼비아 강 (북아메리카)|하류 컬럼비아]]에서 [[루이스-클라크 탐험대]]와 만나다
치누크족, 1805년 10월 하류 컬럼비아에서 루이스-클라크 탐험대와 만나다 (찰스 M. 러셀, 1905년)
역사
연방 정부 인정현재 연방 정부의 인정을 받기 위해 노력 중
추가 정보
기타 정보치누크족은 컬럼비아 강 하류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을 포함한다.
"치누크"라는 용어는 또한 이 부족들이 사용했던 치누크 자곤이라는 무역 언어를 지칭하기도 한다.
치누크족은 전통적으로 숙련된 어부였으며, 연어를 주요 식량원으로 삼았다.
이들은 독특한 평평한 머리 모양으로 유명하며, 이는 유아기에 머리를 묶어 변형시키는 관습에서 비롯되었다.

2. 역사 문화

치누크족은 비교적 정착 생활을 하며 전통적인 부족 영역에서 사냥과 낚시를 했다. 연어는 이들 식단의 주식이었으며, 여성들은 다양한 견과류, 씨앗, 뿌리 등을 채집하고 가공했다. 이들은 샤먼, 전사, 성공한 상인 등으로 구성된 상위 계급과 평민 사이에 사회적 차별을 두는 사회 계층이 있는 사회를 이루었다.[9] 일부 치누크족은 태평양 북서부 최북단 부족으로부터 들여온 노예 제도를 시행했다.[10]

머리 납작하게 만들기 과정을 겪고 있는 치누크족 아이.


일부 부족 엘리트들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아이들의 머리를 납작하게 하는 머리 변형 관행을 가졌다. 이들은 유아의 머리를 판자 사이에 넣어 압력을 가해 묶는 방식으로 머리 모양을 변형시켰다.[11] 머리가 납작한 사람들은 둥근 머리를 가진 사람들보다 높은 계급으로 여겨졌으며, 이로 인해 치누크족은 "납작 머리 인디언"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태평양 해안 근처에 살았던 치누크족은 숙련된 엘크 사냥꾼이자 어부였으며, 특히 연어를 많이 잡았다. 정착 생활 덕분에 다른 부족과의 영토 분쟁은 비교적 적었다. 이들은 장막집에서 생활했는데, 50명 이상의 사람들이 함께 거주하는 경우도 있었다. 장막집은 붉은 삼나무 판자로 만들어졌으며, 너비는 약 6.10m~약 18.29m, 길이는 약 15.24m~약 45.72m였다.

프란츠 보아스와 조지 깁스는 치누크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한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이들의 연구를 통해 치누크족의 언어와 구전 전통이 보존될 수 있었다.

2. 1. 생활 양식과 관습

치누크족은 비교적 정착 생활을 하며 전통적인 부족 영역에서 사냥과 낚시를 했다. 연어는 이들 식단의 주식이었다. 여성들은 또한 많은 견과류, 씨앗, 뿌리 및 기타 음식을 채집하고 가공했다. 이들은 사회 계층이 있는 사회를 이루었으며, 상위 계급에는 샤먼, 전사, 그리고 성공한 상인이 포함되었다. 상위 계급 구성원들은 평민과의 접촉을 제한하고, 서로 다른 사회 집단의 아이들끼리 어울려 노는 것을 금지하는 등 사회적 차별을 두었다.[9]

일부 치누크족은 노예 제도를 시행했는데, 이는 태평양 북서부 최북단 부족으로부터 들여온 관습이었다.[10] 이들은 전쟁 포로를 노예로 삼았고, 노예를 이용하여 주인을 대신해 도둑질을 하도록 했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관행을 삼갔다.[9]

일부 부족의 엘리트들은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아이들의 이마와 두개골 윗부분을 납작하게 하는 머리 변형 관행을 가졌다. 이들은 유아의 머리를 약 3개월 정도 되었을 때 판자 사이에 넣어 압력을 가해 묶었고, 아이가 약 1살이 될 때까지 이 과정을 계속했다.[11] 이 관습은 사회적 위계를 표시하는 수단이었다. 머리가 납작한 공동체 구성원은 머리가 둥근 사람들보다 더 높은 계급을 가졌다. 납작한 두개골을 가진 사람들은 이와 유사한 표시가 있는 다른 사람들을 노예로 삼는 것을 거부함으로써 둥근 머리를 복종과 연관시켰다.[11] 이러한 풍습으로 인해 치누크족은 이 지역의 초기 백인 탐험가들에게 "납작 머리 인디언"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태평양 해안 근처에 살았던 치누크족은 숙련된 엘크 사냥꾼이자 어부였다. 가장 인기 있는 물고기는 연어였다. 정착 생활 패턴으로 인해 치누크족과 다른 해안 부족들은 서로의 영토를 침범하지 않았고, 자연 환경에서 풍부한 자원을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토지 분쟁은 비교적 적었다. 치누크족은 장막집에 거주했다. 50명 이상의 사람들이 확장된 친족 관계를 통해 한 장막집에 함께 거주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의 장막집은 붉은 삼나무 판자로 만들어졌으며, 집의 너비는 약 약 6.10m~약 18.29m, 길이는 약 15.24m~약 45.72m였다.

2. 2. 언어와 구전 전통

프란츠 보아스와 조지 깁스는 치누크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한 대표적인 인물들이다. 치누크어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연구를 통해 치누크족의 언어와 구전 전통이 보존될 수 있었다.

2. 2. 1. 프란츠 보아스 (1858–1942)

프란츠 보아스는 1888년 미국 민속 연구 저널(The Journal of American Folk-Lore)에 "치누크족의 노래"를 출판하여, 치누크 언어와 영어 번역으로 몇몇 "치누크족의 노래"를 설명했다.[12] 1893년에는 "[https://static1.squarespace.com/static/5a3be988017db211a8409aea/t/5aeb99470e2e72039b6ce927/1525389644113/Boas+33.1.pdf 오리건과 워싱턴의 원주민 전설 모음]"을 작성하여 치누크족의 전설과 이야기를 수집했다. 이 자료는 1890년부터 1891년까지 오리건과 워싱턴을 방문하여 치누크족과 함께 시간을 보내면서 수집한 것이다. 1894년에는 "[https://www.sacred-texts.com/nam/nw/chinook/index.htm 치누크 텍스트]"를 저술했는데, 여기에는 치누크족 사람들이 직접 말한 다양한 신화, 믿음, 관습, 이야기, 역사적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다.[13]

2. 2. 2. 조지 깁스 (1815–1873)

조지 깁스는 저명한 인류학자로, "[https://www.sos.wa.gov/legacy/images/publications/sl_gibbschinook/sl_gibbschinook.pdf 치누크어 알파벳 어휘집]"을 편찬했다.[14] 그는 오리건 주의 로버트 쇼트스, 솔로먼 H. 스미스와 밴쿠버 섬 빅토리아의 A. C. 앤더슨의 도움을 받아 자료를 수집했다.[14] 당시 치누크족의 수가 적었기 때문에, 여러 부족들로부터 다양한 단어들이 수집되었다.[14] 이 책은 주로 무역을 목적으로 쓰였으며, 깁스는 번역의 대부분을 상인들로부터 얻었다.[14]

3. 오늘날의 치누크족

치누크족은 오랫동안 컬럼비아강 하류 지역에 공동체를 이루어 살았다. 20세기에 들어 이들은 재조직되어 선출된 형태의 정부를 수립하고 부족 문화를 부활시켰다. 이들은 20세기 후반, 연방 정부가 인정한 주권 부족으로 인정받기 위해 노력했는데, 이는 교육 및 복지를 위한 조약에 따른 혜택을 받기 위해서였다.[17]

2001년, 미국 내무부는 빌 클린턴 대통령 임기 말에 치누크 인디언 부족을 공식 부족으로 인정했다.[16] 이 부족은 컬럼비아강 하류 지역에서 공동체의 연속성을 문서화했다. 그러나 1930년대부터 개별 치누크족은 퀴노트 보호구역에 도스법에 따른 토지를 할당받았고, 퀴노트는 2001년 8월에 치누크족의 인정을 항소했다.[17]

조지 W. 부시 대통령 당선 후, 그의 정치 임명자들은 치누크 관련 자료를 검토했고, 2002년 이들은 치누크족과 다른 두 부족의 인정을 철회했다.[18][19] 워싱턴 제3선거구의 민주당 소속 브라이언 베어드의 2011년 부족 인정 법안 통과 노력은 실패했다.[19][20] 2017년 소송에서 법원은 인정을 의회 및 다른 정부 기관으로부터만 받을 수 있다고 판결했지만, 대체로 부족의 편을 들었다.[21]

치누크 인디언 부족의 사무실은 워싱턴주 베이 센터에 있다. 부족은 워싱턴주 리지필드의 판자집에서 연례 겨울 모임을, 컬럼비아강 북쪽 해안의 치누크 포인트(Fort Columbia)에서 연례 첫 연어 의식을 개최한다.[22] 2019년, 치누크 인디언 부족은 1851년 Tansy Point 조약 부지의 10acre를 매입했다.[23]

21세기, 많은 치누크족이 워싱턴 남서부의 워싱턴주 베이 센터, 워싱턴주 치누크, 워싱턴주 일와코와 오리건주 애스토리아 주변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4. 치누크족 분파

치누크어를 사용하는 여러 부족 및 집단은 다음과 같다.

Cathlapotle Plankhouse
캐슬라포틀 플랭크하우스. 2005년에 지어진 치누크 스타일의 삼나무 플랭크하우스의 실물 크기 복제품으로, 한때 1,200명 이상의 치누크족이 거주했던 곳이다.


Interior of a Chinookan plankhouse
치누크 플랭크하우스 내부의 삽화

  • 하부 치누크족 (Lower Chinookans): 로어 치누크어 방언을 사용하며, 컬럼비아강 하구와 해안을 따라 마을을 이루었던 관련 집단이다. 클랫솝, 로어 치누크, 쇼얼워터 (윌라파) 치누크 부족이 여기 속한다.
  • 카스라멧 (Kathlamet/Downstreamers): 카스라멧어를 사용했으며, 카스라멧, 콰니악, 스킬루트, 와키아쿰 등 여러 작은 마을 집단으로 구성되었다.[1]
  • 멀트노마 (Multnomah/Wapato Valley): 어퍼 치누크어를 사용하는 마을들이 밀집해 있던 곳으로, 루이스 강 어귀에서 거버먼트 아일랜드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킨다. 캐슬래포틀, 멀트노마족, 쇼토족 등이 이 지역에 거주했다.
  • 클래캐머스 (Clackamas): 클래캐머스 강을 따라 한 개의 마을을 이루었던 킥스트어를 사용하는 집단이다.[1]
  • 샤클라트크쉬/샤할라스 (Shakhlatksh/Shahalas / Upstreamers): 와틀랄라
  • 와스코-위시람 (Wasco-Wishram): 와스코와 위시람 부족이 여기 속한다. 와스코는 '댈러스 와스코', '후드 리버 와스코', '화이트 살몬 리버 밴드'의 세 하위 부족으로 나뉘었으며, 위시람은 파이브 마일 급류 근처에 위치한 위시람 마을을 중심으로 지역 무역 시스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웜 스프링스 보호구역 출신 하부 치누크족 족장 (1886).

4. 1. 하부 치누크족 (Lower Chinookans)

로어 치누크어 방언을 사용하고, 컬럼비아강 하구와 해안을 따라 마을을 이루었던 관련 집단이다.

부족명위치
클랫솝컬럼비아강 남쪽 둑, 애덤스 곶에서 영스 만까지, 그리고 클랫솝 평원에서 틸라무크 헤드까지
로어 치누크컬럼비아강 북쪽 둑, 실망곶에서 그레이스 만까지
쇼얼워터 (윌라파) 치누크윌라파 만에 거주


4. 2. 카스라멧 (Kathlamet/Downstreamers)

카스라멧/다운스트리머(Kathlamet/Downstreamers) 집단은 카스라멧어를 사용했으며, 다음과 같은 여러 작은 마을 집단으로 구성되었다.[1]

부족명거주 지역
카스라멧카스라멧 헤드(Cathlamet Head)
콰니악오크 포인트(Oak Point) 동쪽
스킬루트스킬루트의 정확한 정체성은 논쟁 중. 칼라푸얀족을 지칭하는 틸라무크족의 이름이었다는 설부터 단순한 의사소통 오류였다는 설까지 다양함.[2]
와키아쿰필러 록 인근






4. 3. 멀트노마 (Multnomah/Wapato Valley)

이 집단은 어퍼 치누크어를 사용하는 마을들이 밀집해 있던 곳으로, 루이스 강 어귀에서 거버먼트 아일랜드에 이르는 지역을 가리킨다.

  • 캐슬래포틀 - 루이스 강 상류
  • 멀트노마족 - 소비 아일랜드
  • 쇼토족 - 루이스와 클라크가 기록했으며, 밴쿠버 호수에 거주했다고 한다.

4. 4. 클래캐머스 (Clackamas)

클래캐머스족은 킥스트어를 사용하는 집단으로, 클래캐머스 강을 따라 한 개의 마을을 이루었다.[1]

4. 5. 샤클라트크쉬/샤할라스 (Shakhlatksh/Shahalas / Upstreamers)

와틀랄라

4. 6. 와스코-위시람 (Wasco-Wishram)


  • 와스코(사하프틴어로는 'Wascopam'으로도 알려져 있음)는 전통적으로 오리건주 컬럼비아강 남쪽에 살았으며, '댈러스 와스코' 또는 '와스코 본족'(더 댈스 인근의 워스코 카운티), '후드 리버 와스코'(후드강을 따라 컬럼비아강 하구까지, 때로는 '후드 리버 밴드' (오리건주)와 '화이트 살몬 리버 밴드'(워싱턴주)로 나뉘기도 함)의 세 하위 부족으로 나뉘었다. 1822년 와스코족의 인구는 900명으로 추산되었으며, 오늘날 웜 스프링스 연합 부족 4,000명 중 200명이 와스코족으로 추산된다.
  • 위시람(야카마-사하프틴 용어)의 자칭어인 'Ita'xluit'는 'Tlakluit' 또는 '에셜루트(에체루트)'로 번역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워싱턴주 컬럼비아강 북쪽에 살았다. 위시람 마을 또는 'Nixlúidix'(“교역소”)는 파이브 마일 급류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1700년대에는 태평양 연안, 고원, 그레이트 베이슨 및 평원 부족을 위한 지역 무역 시스템의 중심지였다. 1700년대에 추정된 위시람 인구는 1,500명이였다. 1962년 워싱턴주 인구 조사에서 위시람족은 10명만 집계되었으며, 오늘날 이들은 주로 야카마족 연합 부족 및 밴드에 등록되어 있다.
  • 'Chilluckittequaw' 또는 'Chiluktkwa'는 워싱턴주 클리키타트 및 스카매니아 카운티의 컬럼비아강 북쪽에 살았으며, 댈러스에서 약 약 16.09km 아래에서 캐스케이드 근처까지 살았다. 1806년 루이스와 클라크는 그들의 수를 2,400명으로 추산했다. 무니에 따르면 부족의 잔재가 1880년까지 화이트 살몬 강 입구 근처에 살다가 캐스케이드로 이주했으며, 1895년에도 소수가 그곳에 거주했다. 오늘날에는 때때로 후드 리버 와스코 하위 부족의 워싱턴주 '화이트 살몬 리버 밴드'로 간주된다.


5. 주목할 만한 치누크족 인물


  • 컴컴리, 19세기 초중반의 추장
  • 찰스 컬티, 20세기 초 인류학자 프란츠 보아스의 언어 및 부족 연구, 특히 《치누크 텍스트》에 대한 주요 정보 제공자
  • 레널드 맥도날드, 스코틀랜드인 허드슨 베이 회사의 모피 상인 아치볼드 맥도날드와 컴컴리 추장의 딸 레이븐의 혼혈 아들로, 오리건주 애스토리아에서 태어났으며, 1847년에서 1848년까지 일본에서 영어를 가르친 최초의 서양인이다. 그는 페리 제독과 도쿠가와 막부 간의 협상에서 수석 통역관 중 한 명으로 활동한 모리야마 에이노스케를 가르쳤다.
  • J. 크리스토퍼 스티븐스, 2012년 6월부터 2012년 9월까지 리비아 주재 미국 대사를 역임한 미국의 외교관이자 변호사. 그는 2012년 9월 11일 리비아 벵가지에서 미 영사관이 공격받아 사망했다.[25]
  • 캐서린 트로, 역사학자, 예술가, 활동가이자 아메리카 원주민 권리와 문화를 옹호하는 사람. 치누크 부족의 장로이자 컴컴리 추장의 직계 후손이다.
  • 툼르스 추장, 그랜드 론드 보호구역을 설립한 1855년 조약에 서명했으며, 이후 필립 셰리던 장군의 군대에 의해 살해되었다.[26]
  • 친-이스-텀, "제니 미셸 공주", 아메리카 원주민 민속학자. "클라츠옵의 마지막 사람"이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ook Nation heads to court to battle federal government's 'genocide' https://www.indianz.[...] 2023-12-17
[2]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 Request Access https://www.federalr[...]
[3]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 Request Access https://www.federalr[...]
[4] 웹사이트 Congressman tries a different approach to secure recognition for Chinook nation https://www.chinooko[...] 2009-05-21
[5] 웹사이트 Oregon Secretary of State https://egov.sos.sta[...]
[6] 웹사이트 Oksd_icc_d234_v06_p208 https://cdm17279.con[...]
[7] 웹사이트 Oksd_icc_d240_v11_p026 https://cdm17279.con[...]
[8] 서적 Indian Slavery in the Pacific Northwest Arthur H. Clark Company
[9] 서적 Indian Slavery in the Pacific Northwest
[10] 서적 Indian Slavery in the Pacific Northwest
[11] 서적 Indian Slavery in the Pacific Northwest
[12] 서적 The Journal of American of Folk-Lore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LONDON: TRUBNER &: CO., 57 LUDGATE HILL
[13] 웹사이트 Chinook Texts Index https://www.sacred-t[...] 2021-10-13
[14] 서적 Alphabetic Vocabulary of the Chinook Language CRAMOISY PRESS
[15] 웹사이트 Chinook tribe pushes for recognition, again http://www.oregonliv[...] The Oregonian 2012-11-30
[16] 웹사이트 Federal Register, Volume 66 Issue 6 (Tuesday, January 9, 2001) https://www.govinfo.[...] 2023-12-17
[17] 뉴스 Feds revoke tribe's status http://tdn.com/feds-[...] The Daily News (TDN) 2002-07-06
[18] 간행물 Federal Register
[19] 웹사이트 Members of Chinook Indian Nation liken lack of federal recognition to slow-motion 'genocide' https://www.oregonli[...] 2024-10-03
[20] 웹사이트 Recognition move by Oregon tribe stirs Chinook concerns http://www.chinookob[...] 2015-09-04
[21] 웹사이트 Chinook Tribe A Step Closer To Recognition As Federal Judge Advances Claims https://www.opb.org/[...] 2019-05-14
[22] 웹사이트 Chinook Indian Nation – Cathlamet • Clatsop • Lower Chinook • Wahkaikum • Willapa http://www.chinookna[...] 2005-06-18
[23] 웹사이트 Chinook Nation buys an Oregon foothold https://www.dailyast[...] The Astorian 2021-08-30
[24] 웹사이트 The Clackamas Chinook people http://www.usgennet.[...] 2017-08-28
[25] 뉴스 "President Obama, Hillary Clinton pay tribute to slain Chinook member Stevens", Chinook Observer Newspaper, September 14, 2012 http://www.chinookob[...]
[26] 기타 Kalliah Tumulth (Indian Mary) (1854–1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