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치라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치라운은 1176년 테무친(칭기즈 칸)이 타르구타이와 타이치우드족에게 쫓길 때 아버지 소르칸 시라, 형 침바이와 함께 테무친을 도왔고, 이후 칭기즈 칸의 신임을 얻어 사준 중 한 명이 되었다. 1206년 아버지와 함께 천호장에 임명되었으며, 오고타이 칸 때 금나라 정벌 중 전사했다. 그의 자손들은 원나라 4대 권문세족으로 번영했으며, 아들 수돈 노얀은 일 칸국의 중신으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32년 사망 - 안혜왕후
    안혜왕후는 고려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고종과의 사이에서 원종 등을 낳고 1232년 사망 후 안혜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아들 원종의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 1232년 사망 - 살리타이
    살리타이는 13세기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금나라 잔당 토벌에 참여하고 1231년부터 1232년까지 고려 침공을 주도했으나 처인성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권황제' 칭호를 사용하고 거란족 출신 장교들을 다수 기용했다.
  • 몽골의 정복전쟁 관련자 - 몽케 칸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인 몽케 칸은 1251년 몽골 제국의 대칸으로 선출되어 금나라 정벌, 유럽 원정 참여, 중앙 정부 강화, 무역로 확보, 고려 항복, 훌라구를 통한 이란-이라크 원정 성공, 룸 술탄국 정벌, 티베트-대리국 평정 등 광범위한 영토 확장을 이끌었으나 남송 정벌 중 병사하며 몽골 제국 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 몽골의 정복전쟁 관련자 - 수부타이
    수부타이는 1175년 또는 1176년 몽골에서 태어나 칭기즈칸과 오고타이 칸 시대에 활약하며 금나라, 호라즘, 루스 등지에서 혁신적인 전술로 몽골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한 명장이다.
  • 몽골 제국의 장군 - 우량카다이
    우량카다이는 몽골 제국의 장수로서 수부타이의 아들이며 젤메의 조카이고, 몽골의 유럽 침략, 남송 정복, 대월 침공 등 여러 원정에 참여하여 군사적 능력을 발휘했으며 쿠빌라이 칸과 함께 대리국 정벌과 남송 공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황위 계승 전쟁에서 쿠빌라이를 지지했다.
  • 몽골 제국의 장군 - 수부타이
    수부타이는 1175년 또는 1176년 몽골에서 태어나 칭기즈칸과 오고타이 칸 시대에 활약하며 금나라, 호라즘, 루스 등지에서 혁신적인 전술로 몽골 제국 영토 확장에 기여한 명장이다.
치라운
기본 정보
로마자 표기Chila'un
위치내몽골 자치구 츠펑시 아오한기
지리
면적3,685 제곱킬로미터
인구
총인구 (2012년 기준)약 30만 명
민족
민족 구성한족: 다수
몽골족: 소수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진 (镇)
소목 (苏木)
기타 정보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2. 생애

치라운은 술두스 부족 출신으로, 아버지 소르칸 시라와 함께 타이치우트 씨족의 가신이었다. 젊은 시절 타이치우트족에게 쫓기던 테무친(훗날의 칭기즈 칸)을 아버지와 함께 숨겨주어 그의 깊은 신뢰를 얻고 친우 관계를 맺었다.[1]

이후 테무친 휘하에서 타이치우트부 격파, 나이만과의 전투 등 여러 전공을 세웠으며, 1201년칭기즈 칸의 핵심 측근인 사준(四駿)의 한 명으로 발탁되었다.[1] 1206년 몽골 제국이 건국된 후 아버지와 함께 천호장에 임명되었고, 아버지 사후에는 그 지위를 계승했다.[2]

칭기즈 칸 사후에도 오고타이 칸을 따라 금나라 정벌에 참여했으나 이 과정에서 전사하였다. 그의 이른 죽음 때문에 『원사』에는 열전이 없으나, 『신원사』에는 기록이 남아있다.[2] 치라운의 자손들은 원나라의 주요 권문세족으로 성장했으며, 일부는 힐레 울루스로 이주하여 고위 관직을 역임하는 등 가문의 명성을 이어갔다.[2][3]

2. 1. 초기 생애와 칭기즈 칸과의 만남

치라운은 아버지 소르칸 시라와 함께 타이치우트 씨족의 가신이었다. 1176년 타이치우트부에 잡혀 있던 테무친(훗날의 칭기즈 칸)이 탈출했을 때, 치라운은 아버지 소르칸 시라, 형 침바이와 함께 타르구타이와 타이치우드족에게 쫓기던 테무친을 숨겨주었다. 이 일로 치라운은 테무친의 깊은 신뢰를 얻었으며, 두 사람은 친우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후 타이치우트부가 테무친에게 패배하자, 치라운은 테무친을 섬기기 시작했다. 그는 타이치우트의 수장인 타르구타이 키릴투크를 쳐부수는 데 공을 세웠다.[1] 1201년에는 칭기즈 칸의 수하가 되었다.

2. 2. 몽골 제국에서의 활약

1176년 치라운은 아버지 소르칸 시라, 형 침바이와 함께 타이치우트 씨족의 가신이었다. 당시 타이치우트부에 잡혀 있던 테무친(훗날의 칭기즈 칸)이 타르구타이에게 쫓겨 도망쳤을 때, 치라운과 그의 가족은 테무친을 숨겨주었다. 이 일로 치라운은 테무친의 깊은 신뢰를 얻고 가까운 친구가 되었다.

이후 타이치우트부가 테무친에게 패배하자, 치라운은 1201년 칭기즈칸의 휘하로 들어가 그를 섬겼다. 그는 타이치우트의 수장인 타르구타이 키릴투크를 무찌르는 공을 세웠으며[1], 나이만과의 전투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치라운은 칭기즈칸의 충성스러운 장수인 사준 중 한 명이 되었다.

1206년 몽골 제국이 성립된 후, 아버지 소르칸 시라천호장에 임명되었고, 치라운 역시 아버지, 형과 함께 달간의 특권을 얻었다. 소르칸 시라가 사망하자 치라운은 천호장의 지위를 이어받았다. 그는 이후에도 칭기즈칸을 따라 여러 전투에 참여했으나, 오고타이 칸 시대에 금나라를 정벌하던 중 전사하였다. 비교적 일찍 사망했기 때문에 『원사』에는 그의 열전이 없지만, 『신원사』에는 기록이 남아있다.

치라운의 사후, 그의 자손들은 원나라에서 4대 권문세족 중 하나로 성장하여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힐레 울루스에서 편찬된 『집사』의 "술두스부족지"에는 치라운의 자손에 대한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다. 그의 아들 수돈 노얀이 뒤를 이었고, 수돈 노얀의 아들들 다수는 이란 지역으로 이주하여 힐레 울루스의 고위 관료로 활동했다.[2] 치라운의 또 다른 아들인 아라칸은 오고타이 가문의 고단을 섬겼으며, 그의 자손들 역시 고단 울루스에서 명문가로 번성했다.[3]

3. 가계와 후손

치라운은 사준(四駿) 중 유일하게 『원사』에 열전이 없고, 그의 자손에 대한 기록도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다. 그의 아버지 소르칸 시라와 형 침바이 역시 칭기스 칸을 도운 인물들이다.

여러 다른 출처의 사료를 통해 치라운에게 최소 3명의 아들, 즉 수돈(스톤), 아라칸, 나두르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각 사료는 다른 가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세 아들 간의 나이 순서 등 자세한 관계는 명확하지 않다.[4][5][6]

치라운 사후 그의 자손들은 원조(元朝) 시대에 4대 권문세족 중 하나로 성장하여 큰 부귀영화를 누렸다. 후손 중 일부는 일 칸국에서 중신으로 활약하는 등 몽골 제국 각지에서 가문의 명성을 이어갔다.

3. 1. 수돈 노얀 계열

수돈(페르시아어 사료 《집사》에서는 스톤)은 치라운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4] 《집사》에서는 그를 "매우 고명한, 중진 중의 대립자"라고 묘사하는데, 이를 통해 치라운의 지위를 계승한 적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4] 한문 사료인 《원사》에서는 치라운의 아들이라고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숙돈(宿敦)"이라는 한자 표기로 드물게 언급된다.[5]

수돈의 손자인 자우투는 메리크 테무르의 주요 가신이었다고 《집사》에 기록되어 있다. 《원사》에 수돈 일족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는 이유는, 몽골 제국 제위 계승 전쟁 당시 메리크 테무르의 아버지인 아리크 부케 편에 서서 쿠빌라이 가문에 맞섰기 때문으로 추측된다.[6]

수돈의 후손 중 일부는 이란 방면으로 이주하여 활동했는데, 대표적으로 순자크와 초반이 있다. 이들은 일 칸국에서 중신으로 활약했으며, 특히 초반의 자손들은 일 칸국 해체 이후 초반 왕조를 세우기도 했다.

3. 2. 아라칸 계열

치라운은 사준 중 유일하게 『원사』에 열전이 없고, 그 자손에 대한 기록도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여러 다른 출처의 사료를 통해 최소 3명의 자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만, 각 사료는 다른 가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기 때문에, 치라운의 세 아들 사이의 순서 등 자세한 관계는 알 수 없다.

아라칸은 한문 사료인 "손도사씨세훈지비(孫都思氏世勲之碑)"에 기록된 치라운의 아들이다. 그는 제2대 황제 오고데이의 아들인 코덴을 섬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라칸의 이름은 페르시아 사료인 『집사(集史)』에는 직접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집사』에는 "오고데이 카안이 그 자리에 있었을 때... 술두스 부족 2천 명과 함께, 자신의 재량으로, 제왕들과 어가인들에게 자문하지 않고 자신의 아들 코덴에게 주었다"라는 기록이 있다. 학자들은 이 기록 속에서 코덴에게 주어진 2천 명의 술두스 부족 부대를 이끈 인물이 바로 아라칸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3. 3. 나드르 비치쿠치 계열

치라운에게는 여러 사료를 통해 3명의 아들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지만, 이들 간의 관계나 순서는 명확하지 않다. 그중 한 명인 納都魯|나두르중국어는 한문 사료인 「손도태공묘지명(遜都台公墓誌銘)」에 기록된 ᠴᠢᠯᠠᠭᠦᠨ의 아들이다. 나두르는 ᠴᠢᠩᠭᠢᠰ ᠬᠠᠭᠠᠨ 아래에서 ᠪᠢᠴᠢᠭᠴᠢ|비치크치mn(비서관) 직책을 맡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나두르의 가계에 대한 기록은 다른 사료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지만, 그의 후손인 ᠣᠷᠤᠭ ᠪᠦᠺᠠ|오르크 부카mn의 열전이 《원사》(권145 열전32)에 수록되어 있어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3. 4. 가계도

치라운은 사준(四駿) 중 유일하게 『원사』에 열전이 없고, 그 자손에 대한 기록도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지 않다. 하지만 여러 다른 사료를 통해 최소 3명의 아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각 사료는 다른 가계에 대한 언급이 없어, 세 아들의 나이 순서 등은 명확하지 않다.

  • 스톤(수돈): 페르시아어 사료인 《집사》에 기록된 치라운의 아들이다. "매우 고명한, 중진 중의 대립자"로 묘사된 점으로 보아 치라운의 지위를 계승한 적자였을 가능성이 높다.[4] 한문 사료인 《원사》에는 치라운의 아들로 명시되지는 않지만, '숙돈(宿敦)'이라는 한자 표기로 드물게 등장한다.[5] 스톤의 손자인 자우투는 메리크 테무르의 최고 가신이었다고 《집사》에 기록되어 있다. 스톤 일족에 대한 《원사》 기록이 부족한 이유는, 몽골 제국 제위 계승 전쟁 당시 아리크 부케 편에 서서 쿠빌라이 가문에 맞섰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 스톤의 후손 중 이란 지역으로 이주한 순자크와 초반은 일 칸국의 중신으로 활약했으며, 초반의 자손은 일 칸국 해체 후 초반 왕조를 세우기도 했다.

  • 아라칸: 한문 사료인 "손도사씨세훈지비(孫都思氏世勲之碑)"에 기록된 치라운의 아들이다. 제2대 황제 오고타이 칸의 아들인 코덴을 섬겼다고 알려져 있다. 아라칸의 이름은 《집사》에는 직접 나오지 않지만, "오고타이 카안이 그 자리에 있었을 때... 술두스 부족 2천 명과 함께, 자신의 재량으로, 제왕들과 어가인들에게 자문하지 않고 자신의 아들 코덴에게 주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2천 명의 부대를 이끈 인물이 아라칸으로 여겨진다.

  • 나두르: 한문 사료인 「손도태공묘지명(遜都台公墓誌銘)」에 기록된 치라운의 아들이다. 칭기스 칸 밑에서 비치크치(서기)를 맡았다고 전해진다. 나두르의 가계는 다른 사료에는 거의 언급되지 않지만, 그의 후손인 오르크 부카의 열전이 《원사》(권145 열전32)에 수록되어 있다.


아래는 현재까지 알려진 치라운의 가계도이다.

  • '''솔칸 시라'''(Sorqan Šira||鎖児罕失剌xal, سورغان شيره||Sūrghān Shīrafa)
  • *'''치라운 바아르터르'''(Čila'un ba'atur||赤老温xal, چيلاوغان بهادر||Chīlāūghān bahādurfa)
  • **'''수돈 노얀'''(Sudon noyan||宿敦xal, سدون نویان||Sudūn Nūyānfa)

카주달 (Qajudar||قاجودرxal)
사르타크 노얀(Sartaq noyan||سرتاق نویانxal)
만인대장 부르자 (Burja||بورجهxal)
'''극위 어가인 순자크 노얀'''(Sunjaq noyan||سونجاق نویانxal)
토단 (Tudan||تودانxal)
*말리크 (Malik||ملكxal)
**'''만인대장 추반'''(Čuban||出班xal, جوبان||Jūbānfa)
***아미르 하산 (Amīr Ḥasan||أمير حسنfa)
***테무르 타슈 (Temür taš||أمير تیمور تاشxal)
'''샤이흐 하산''' (Shaykh ḥasan||شیخ حسنfa)
'''말리크 아슈라프'''(Malek Ashraf||ملک اشرفfa)
***담샤크 호자 (Damshaq noyan||خواجه نویانxal)
***샤이흐 마흐무드 (Shaikh Maḥmūd||شيخ محمودfa)

  • **'''알라칸'''(Alaqan||阿剌罕xal)

소그두 (Soγudu||鎖兀都mn)
*탕구타이 (Tangγutai||唐古䚟mn)
**'''가인두발''' (Gaindu-dpal||健都班xal)

  • **나드르 비치쿠치 (Nadr||納図児xal)

'''찰란''' (Čalan||察剌xal)
*우크나 (Uquna||忽訥xal)
**'''토크 테무르''' (Toq temür||脱帖穆耳xal)
***'''오르크 부카''' (Örüg buqa||月魯不花xal)

  • *'''침바이''' (Čimbai||沈伯xal)

참조

[1] 서적 C.M.ドーソン『モンゴル帝国史』1巻、52頁
[2] 서적 志茂2013,664-665頁 2013
[3] 서적 杉山2004,481-482頁 2004
[4] 서적 志茂2013,668頁 2013
[5] 서적 『元史』巻95食貨志3
[6] 서적 松田1988,93-96頁 1988
[7] 서적 志茂2013,673頁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