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를로스 파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를로스 파본은 온두라스의 축구 선수로, 선수 시절 레알 에스파냐,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등 여러 클럽에서 활약했으며, 온두라스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01경기 57골을 기록하며 역대 최다 득점자로 이름을 올렸다. 1992년 레알 에스파냐에서 프로 데뷔하여 온두라스 리그 4회 우승, 1992년 온두라스컵 우승을 이끌었으며, 멕시코, 이탈리아, 스페인, 미국 등 다양한 리그에서 뛰었다. 2007년 CONCACAF 골드컵 득점왕을 차지하고, 2009년 온두라스 올해의 선수, IFFHS 가장 인기 있는 선수로 선정되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 출전하였으며, 은퇴 후에는 코치 및 해설가로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에 거주한 온두라스인 - 다비드 수아소
    다비드 수아소는 온두라스 출신의 은퇴한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칼리아리 칼초에서 두각을 나타내 세리에 A 득점 3위에 올랐고, 온두라스 국가대표팀으로 57경기에 출전하여 17골을 기록했으며, 은퇴 후 지도자 경력을 시작했다.
  • 멕시코에 거주한 온두라스인 - 안토니 로사노
    온두라스의 축구 선수 안토니 로사노는 현재 산토스 라구나에서 공격수로 뛰고 있으며, CD 올림피아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여 스페인 무대와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올림픽에도 참가했다.
  • 멕시코에 거주한 온두라스인 - 로저 로하스
    로저 로하스는 온두라스 출신의 축구 선수로, 공격수 포지션에서 활약하며 CD 올림피아에서 프로 데뷔 후 2013년 최연소 리그 50골 기록을 세웠고, 여러 리그를 거쳐 2017년 CONCACAF 리그 우승을 이끌었으며, 온두라스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카를로스 파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4년 온두라스 국가대표팀의 파본
2004년 온두라스의 파본
본명카를로스 알베르토 파본 플루머
1.78m
출생일1973년 10월 9일
출생지엘프로그레소, 온두라스
포지션공격수
클럽 경력
유소년 클럽1990–1992: 레알 에스파냐 유소년팀
클럽1992–1997: 레알 에스파냐 (74경기 22골)
1994–1995: → 톨루카 (임대) (17경기 7골)
1995: → 산 루이스 (임대) (11경기 4골)
1996: → 바야돌리드 (임대) (9경기 0골)
1996–1997: 코레카미노스 (20경기 14골)
1997–1998: 네칵사 (25경기 7골)
1998–2000: 아틀레티코 셀라야 (57경기 34골)
2000–2001: 모렐리아 (28경기 14골)
2001: 우디네세 (7경기 1골)
2002–2003: 나폴리 (12경기 0골)
2003: 레알 에스파냐 (18경기 8골)
2003–2004: 모렐리아 (16경기 6골)
2004: 데포르티보 칼리 (14경기 3골)
2004–2005: 크루스 아술 (13경기 3골)
2005–2006: 코무니카시오네스 (34경기 19골)
2006–2007: 레알 에스파냐 (38경기 17골)
2007: LA 갤럭시 (18경기 3골)
2007–2009: 레알 에스파냐 (25경기 13골)
2009: 네칵사 (9경기 0골)
2009–2013: 레알 에스파냐 (54경기 21골)
총 출장 (골)488 (196)
국가대표 경력
국가대표팀온두라스
국가대표 연도1993–2010
국가대표 출장 (골)101 (57)

2. 선수 시절

카를로스 파본은 1993년 온두라스 국내 클럽팀인 레알 에스파냐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멕시코, 스페인, 이탈리아, 미국 등 다양한 리그에서 뛰었으며, 세리에 A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선수 생활을 한 경험도 있다.

1993년 7월 17일 미국과의 경기에서 국가대표 데뷔를 했다. 이후 15년 이상 아마도 게바라와 함께 국가대표팀을 이끌며, 1982년 FIFA 월드컵 이후 자국 월드컵 출전을 꿈꿨다. 대표팀에서는 주로 스트라이커 역할을 맡았으며, 때로는 주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2007년 CONCACAF 골드컵에서는 쿠바와의 경기에서 혼자 4골을 기록하며(경기는 5-0으로 온두라스 승리) 대회 득점왕을 차지했다. 멕시코와 경기를 하면 좋은 결과를 많이 얻었는데, 2002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멕시코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달성하기도 했다(3-1로 온두라스 승리).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와일드카드 선수로 참가했으며, 2010년에는 FIFA 월드컵 출전을 이뤄냈다. 예선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36세의 나이로 2009년 온두라스 올해의 선수상을 받았다.

2010년 FIFA 월드컵 이후 국가대표에서 은퇴했다. 국가대표 통산 102경기 출전 57골을 기록, 온두라스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2009년부터 레알 에스파냐에서 뛰었으나, 2010년 월드컵 출전 후, 탈장으로 인해 팀에서 나갔다. 치료에 전념할 것이 발표되었고, 선수로서의 복귀는 불분명했으나, 2010년 12월, 선수 경력을 마칠 것을 발표했다.

2. 1. 클럽 경력

1992년 레알 에스파냐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한 파본은 2013년까지 21년 동안 프로 통산 488경기 196골을 기록했다. 레알 에스파냐에서 리그 4회 우승, 1992년 온두라스컵 우승을 차지했고, 모나르카스 모렐리아에서는 2000-01 시즌 리가 MX 우승에 기여했다.[4] 1997-98 아센소 MX 공동 득점왕, 2006-07 온두라스 리그 득점왕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레알 에스파냐에서만 72골을 기록하며 팀 내 최다 득점 기록을 세웠다. 2013년 친정팀인 레알 에스파냐에서 은퇴했다.[6]

1992년 5월 30일, 플라텐세 FC와의 온두라스 컵 경기에서 레알 에스파냐 소속으로 데뷔했으며,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4] 이후 멕시코에서 7년 동안 활약하며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소속으로 2000년 클라우수라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톨루카, 산 루이스, 코레카미노스, 네칵사, 크루스 아술, 셀라야 등에서 뛰었으며, 셀라야에서는 멕시코 세군다 디비시온 득점왕을 차지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이탈리아 세리에 A우디네세나폴리에서, 1995년에는 스페인 1부 리그인 레알 바야돌리드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2007년 6월 19일, 로스앤젤레스 갤럭시와 계약했고, 2007년 8월 18일 뉴욕 레드불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데이비드 베컴의 도움을 받아 두 골을 기록했다. 이 경기는 66,000명의 관중을 동원하여 레드불스 경기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

2008년 레알 클럽 에스파냐로 돌아갔고, 이후 클럽 네칵사를 거쳐[5] 2009년 레알 에스파냐로 복귀, 2012년 클라우수라 이후 은퇴했다.[6]

2010년 월드컵 출전 후 탈장으로 팀에서 퇴단했고, 치료에 전념하다가 2010년 12월 선수 경력을 마칠 것을 발표했다.

'''클럽 경력 요약'''

기간클럽국가
1993레알 에스파냐
1994-1995데포르티보 톨루카 FC
1995-1996산 루이스 FC
1995-1996레알 바야돌리드
1996-1997코레카미노스 UAT
1997-1998클루브 네칵사
1998-2000아틀레티코 셀라야
2000-2001모나르카스 모렐리아
2001-2002우디네세 칼초
2001-2003SSC 나폴리 (임대)
2003레알 에스파냐
2004모나르카스 모렐리아
2004데포르티보 칼리
2005크루스 아술
2005-2006콤무니카시오네스 FC
2006-2007레알 에스파냐
2007로스앤젤레스 갤럭시
2008-2009레알 에스파냐
2009클루브 네칵사
2009-2010레알 에스파냐


2. 2. 국가대표팀 경력

파본은 1993년 7월 1993년 CONCACAF 골드컵에서 미국을 상대로 온두라스 데뷔전을 치렀다.[8] 2010년까지 A매치 통산 101경기 57골을 기록하며 온두라스 선수 가운데 6번째로 센추리클럽 가입을 이뤄냈고, 팀내 A매치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렸다.[8] 그는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2회 우승(1993년, 1995년), 2007년 CONCACAF 골드컵 8강, 2009년 UNCAF 네이션스컵 3위, 28년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공헌했다.[8]

2007년 CONCACAF 골드컵에서는 쿠바와의 경기에서 혼자 4골을 기록하며(경기는 5-0으로 온두라스 승리) 대회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북중미 카리브 지역 최고의 스트라이커로 평가받았다.[8] 멕시코와의 상성이 매우 좋아서, 2002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멕시코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달성하기도 했다(3-1로 온두라스 승리).[8]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와일드카드 선수로 참가했다.[8]

2010년 FIFA 월드컵 H조 1차전 칠레와의 경기에도 출전하였고,[8] 월드컵 이후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하며 유니폼을 반납했다. 월드컵에 통증을 참아가며 참가한 후, 파본에게 탈장이 발견되었고, 이 부상으로 인해 그의 축구 미래는 불확실해졌다.[8]

파본은 국가대표팀에서 17년간 활약하며 101경기에 출전해 57골을 넣었으며, 이는 온두라스 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기록이다.

#날짜장소상대팀점수결과대회
1.1995년 11월 29일엘살바도르 산타아나2-01995년 UNCAF 네이션스컵
2.1995년 12월 10일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3-01995년 UNCAF 네이션스컵
3.1995년 12월 10일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3-01995년 UNCAF 네이션스컵
4.1996년 7월 24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1-1친선 경기
5.1996년 8월 21일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2-1친선 경기
6.1996년 8월 25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4-0친선 경기
7.1996년 9월 21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2-11998년 월드컵 예선
8.1996년 10월 21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1-1친선 경기
9.1996년 11월 17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11-31998년 월드컵 예선
10.1998년 2월 1일미국 오클랜드1-31998년 CONCACAF 골드컵
11.1999년 3월 21일코스타리카 산호세1-01999년 UNCAF 네이션스컵
12.1999년 3월 26일코스타리카 산호세2-11999년 UNCAF 네이션스컵
13.1999년 5월 21일미국 마이애미2-0친선 경기
14.1999년 5월 21일미국 마이애미2-0친선 경기
15.2000년 2월 9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5-1친선 경기
16.2000년 2월 12일미국 마이애미2-02000년 CONCACAF 골드컵
17.2000년 2월 16일미국 마이애미2-02000년 CONCACAF 골드컵
18.2000년 2월 19일미국 마이애미3-52000년 CONCACAF 골드컵
19.2000년 5월 7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3-12002년 월드컵 예선
20.2000년 5월 7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3-12002년 월드컵 예선
21.2000년 6월 3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4-02002년 월드컵 예선
22.2000년 7월 16일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5-22002년 월드컵 예선
23.2000년 7월 16일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5-22002년 월드컵 예선
24.2000년 8월 16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6-02002년 월드컵 예선
25.2000년 8월 16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6-02002년 월드컵 예선
26.2000년 9월 2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5-02002년 월드컵 예선
27.2000년 9월 2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5-02002년 월드컵 예선
28.2000년 9월 2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5-02002년 월드컵 예선
29.2001년 5월 23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10-2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30.2001년 5월 23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10-2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31.2001년 5월 23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10-22001년 UNCAF 네이션스컵
32.2001년 6월 16일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4-22002년 월드컵 예선
33.2001년 6월 20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3-12002년 월드컵 예선
34.2001년 6월 20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3-12002년 월드컵 예선
35.2001년 6월 20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3-12002년 월드컵 예선
36.2001년 9월 1일미국 워싱턴 D.C.2-12002년 월드컵 예선
37.2002년 5월 2일일본 고베3-32002년 기린컵
38.2002년 5월 2일일본 고베3-32002년 기린컵
39.2004년 4월 28일미국 포트로더데일1-1친선 경기
40.2004년 6월 19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4-02006년 월드컵 예선
41.2007년 4월 19일온두라스 라세이바1-3친선 경기
42.2007년 5월 25일베네수엘라 메리다1-2친선 경기
43.2007년 6월 13일미국 휴스턴5-02007년 CONCACAF 골드컵
44.2007년 6월 13일미국 휴스턴5-02007년 CONCACAF 골드컵
45.2007년 6월 13일미국 휴스턴5-02007년 CONCACAF 골드컵
46.2007년 6월 13일미국 휴스턴5-02007년 CONCACAF 골드컵
47.2007년 6월 17일미국 휴스턴1-22007년 CONCACAF 골드컵
48.2009년 1월 18일미국 마이애미2-0친선 경기
49.2009년 1월 26일온두라스 테구시갈파2-02009년 UNCAF 네이션스컵
50.2009년 3월 28일트리니다드 토바고 포트오브스페인1-12010년 월드컵 예선
51.2009년 4월 1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3-12010년 월드컵 예선
52.2009년 6월 10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1-02010년 월드컵 예선
53.2009년 8월 12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4-02010년 월드컵 예선
54.2009년 9월 5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4-12010년 월드컵 예선
55.2009년 9월 5일온두라스 산페드로술라4-12010년 월드컵 예선
56.2009년 10월 14일엘살바도르 산살바도르1-02010년 월드컵 예선
57.2010년 1월 23일미국 카슨3-1친선 경기
2015년 10월 7일 기준[17]


3. FIFA 월드컵

파본은 FIFA 월드컵 예선 경기에 온두라스 국가대표로 37번 출전했으며, 2010년 FIFA 월드컵에서는 단 1경기에 출전했다.[8] 그의 마지막 A매치 경기는 2010년 6월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칠레를 상대로 치러졌다. 월드컵에 통증을 참아가며 참가한 후, 파본에게 탈장이 발견되었다. 이 부상으로 인해 그의 축구 미래는 불확실해졌다.

카를로스 파본은 1998년, 2002년, 2006년, 2010년 등 4차례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여 총 34경기 25골을 기록했다. 개인적으로는 충분한 결과를 계속 내고 있었지만, 월드컵 본선 진출은 쉽지 않았다. 하지만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 예선에서는 최종 예선부터 대표팀에 복귀하여, 복귀 직후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경기에서 득점을 올리는 등 9경기 7골을 기록하며 활약하여 팀 득점왕이 되었고, 28년 만의 본선 진출에 크게 기여했다.

스페인, 칠레, 스위스와 같은 H조에 편성된 본선에서는 어려운 싸움이 예상되는 가운데 팀의 핵심으로 활약이 기대되었고, 나이를 고려했을 때 마지막이 될 수 있는 세계 무대에서의 활약이 기대되었다. 그러나 예선에서 호흡을 맞췄던 카를로 코스트리가 선수 발표 직전에 소속 클럽에서 골절상을 입었고, 게임 메이커인 훌리오 세사르 레온이 첫 경기인 칠레전 전날 부상으로 대회에서 이탈하여 예비 등록 선수와 교체되었으며, "온두라스의 괴인"이라고 불리는 다비드 수아소가 대회 기간 내내 부상에 시달리는 등 주축 선수들이 제대로 뛰지 못했다. 파본은 첫 경기인 칠레전에 선발 출전했지만, 주변 선수들과의 연계, 콤비네이션 부족으로 인해 전선에서 고립되는 장면이 눈에 띄었고, 뚜렷한 움직임을 보여주지 못한 채 후반에 교체되었다. 본인도 완벽한 컨디션이라고 할 수 없었고(이미 허리 디스크의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후 2경기에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고, 국내에서는 "온두라스 역사상 최강"이라고 불리던 팀과 함께 실력을 발휘했다고 보기 어려웠다. 1무 2패로 조 최하위로 대회를 마무리하게 되었다.

4. 수상 내역

구분수상
클럽
클럽
국가대표팀
개인


4. 1. 개인

수상내용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A 득점왕베라노 1997 (앙헬 레무스와 공동 수상)
온두라스 올해의 축구 선수2009
IFFHS 가장 인기 있는 선수상2009
CONCACAF 골드컵 득점왕2007
CONCACAF 골드컵 올스타 팀2007
온두라스 리가 나시오날 득점왕2006–07 C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자58골
레알 에스파냐 역대 최다 득점자72골



카를로스 파본의 국가대표팀 득점 기록[24]
연도경기득점
199310
199420
199543
1996176
199700
199831
199974
20001314
2001129
200212
200300
2004112
200500
200600
200777
200800
2009179
201071
통산10258


4. 2. 클럽

1992년 레알 에스파냐에 입단하며 프로에 입문한 후 2013년까지 21년동안 프로 통산 488경기 196골을 기록하였다. 레알 에스파냐의 리그 4회 우승, 1992년 온두라스컵 우승, 모나르카스 모렐리아의 2000-01 시즌 리가 MX 우승에 일조했다.[24] 1997-98 아센소 MX 공동 득점왕, 2006-07 온두라스 리그 득점왕 타이틀을 거머쥐었으며 레알 에스파냐에서만 72골을 터뜨리며 팀내 최다 득점 기록도 수립했고 2013년 친정팀인 레알 에스파냐에서 은퇴를 선언했다.[24] 2009년 국제축구역사통계연맹에서 선정한 올해의 최우수선수상, 2009년 온두라스 올해의 선수에 선정되는 영예를 안기도 했다.[24]

'''C.D. 레알 에스파냐'''

  • 온두라스 프로페셔널 리그: 1993–94, 2003–04 A, 2006–07 C, 2010–11 A
  • 온두라스 컵: 1992


'''모나르카스 모렐리아'''

  • 멕시코 프리메라 디비시온: 인비에르노 2000

4. 3. 국가대표팀

1993년 7월 17일 미국과의 1993년 CONCACAF 골드컵 A조 최종전에서 공식 국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2010년까지 A매치 통산 101경기 57골을 기록하며 온두라스 선수 가운데 6번째로 센추리클럽 가입을 이뤄냈고, 팀내 A매치 최다 득점자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팀의 코파 센트로아메리카나 2회 우승(1993년, 1995년), 2007년 CONCACAF 골드컵 8강, 2009년 UNCAF 네이션스컵 3위, 28년만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큰 공을 세웠다. 칠레와의 2010년 FIFA 월드컵 H조 1차전에도 출전하였고, 월드컵 이후 국가대표팀 은퇴를 선언하며 유니폼을 반납했다.[1]

아마도 게바라와 함께 15년 이상 국가대표팀을 지탱하며, 1982년 FIFA 월드컵 이후 자국 월드컵 출전을 꿈꿨다. 대표팀에서는 항상 스트라이커 역할을 맡았으며, 경기에 따라 주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1]

2007년 CONCACAF 골드컵에서는 쿠바와의 경기에서 혼자 4골을 기록했고(경기는 5-0으로 온두라스 승리), 이 대회에서 득점왕을 차지하는 등 북중미 카리브 지역 최고의 스트라이커로 평가받았다.[1]

멕시코와 상성이 매우 좋아서, 2002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에서 멕시코를 상대로 해트트릭을 달성했다(3-1로 온두라스 승리).[1]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 출전한 대표팀에 와일드카드 선수로 참가했다.[1]

2010년에는 자신의 최종 예선에서의 활약에 힘입어 염원하던 FIFA 월드컵 출전을 달성했다. 예선에서의 활약을 인정받아 36세의 나이로 2009년 온두라스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다(두 번째 수상, 첫 번째는 2000년).[1]

2010년 FIFA 월드컵 종료 후 국가대표 은퇴를 표명했다. 오랫동안 추구해온 월드컵 출전이라는 꿈을 이루고, 17년에 걸친 긴 국가대표 경력에 마침표를 찍었다.[1]

국가대표 통산 102경기 출전 57골을 기록, 역대 온두라스 최다 득점 기록 보유자이다.[1]

5. 기타

카를로스 파본은 1970년대 C.D. 마라톤에서 활약한 코스타리카 출신 앨라드 플러머와 블랑카 니에베스 파본 마세도의 아들이다. 에미 디아나 제임스 데 파본과 결혼하여 두 아들 카를로스와 앙드레를 두고 있다.[19] 아들 카를로스 알베르토 플러머 제임스는 2011년 레알 에스파냐에 입단했다.[20]

음악계에도 도전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유니세프의 여성 폭력 방지 캠페인에 참여하기도 했다.[21] 국제 축구 역사 통계 연맹 조사에서 2009년 세계 득점 랭킹 5위에 올랐고, 같은 해 2010년 FIFA 월드컵 최종 예선 3차전 멕시코전에서 기록한 발리슛은 FIFA 선정 지역 예선 베스트 10 골 중 6위에 랭크되었다.

온두라스 국내에서 인기가 많아 유니세프와 음료 광고에 기용되었으며, 대표팀 경기에서는 팔에 온두라스 색상의 파란색과 흰색 리스트 밴드를 착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arlos Pavón es el mejor jugador en la historia de Honduras según aficionados https://www.diez.hn/[...] Diario Diez 2016-10-10
[2] 웹사이트 Hondureños votaron: Carlos Pavón el mejor de la historia, David Suazo el segundo https://futbolcentro[...] Fútbol Centroamérica 2020-03-06
[3] 웹사이트 Carlos Alberto Pavón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21-01-13
[4] 웹사이트 Desafíe a Ismael http://archivo.lapre[...] 2013-12-03
[5] 웹사이트 Necaxa ficha al hondureño Carlos Pavón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Carlos Pavón también es comentarista deportivo http://www.latribuna[...] 2013-02-20
[7] 웹사이트 Sombra Voladora, el fútbol te extrañará https://www.laprensa[...]
[8] FIFA player "{{Trim|{{{id|{{{1|{{#property:P2574}}}}}}}}}}"
[9] 웹사이트 UNCAF Tournament 1995 https://www.rsssf.or[...]
[10] 웹사이트 Qualifying Tournament for Gold Cup 1999 – Details http://www.rsssf.com[...]
[11] 웹사이트 Qualifying Tournament for Gold Cup 2001 – Details https://www.rsssf.or[...]
[12] 웹사이트 UNCAF (Qualifying Tournament for Gold Cup) 2009 – Details https://www.rsssf.or[...]
[13] 웹사이트 CONCACAF Championship, Gold Cup 1993 – Full Details https://www.rsssf.or[...]
[14] 웹사이트 CONCACAF Championship, Gold Cup 1998 – Full Details https://www.rsssf.or[...]
[15] 웹사이트 CONCACAF Championship, Gold Cup 2000 – Full Details https://www.rsssf.or[...]
[16] 웹사이트 CONCACAF Championship, Gold Cup 2007 – Full Details https://www.rsssf.or[...]
[17] 웹사이트 Carlos Alberto Pavón - Century of International Appearances https://www.rsssf.or[...]
[18] 웹사이트 Desafíe a Ismael https://archive.toda[...]
[19] 웹사이트 Emy de Pavón: “Nadie me va a creer, pero en casa manda Carlos http://www.laprensa.[...]
[20] 웹사이트 Real España inscribe a hijo de Carlos Pavón https://archive.toda[...]
[21] 웹사이트 Pavón y las Naciones Unidas contra violencia de la mujer https://archive.toda[...]
[22] 뉴스 日本 vs ホンジュラス - 2002年5月2日 http://www.japannati[...]
[23] 웹사이트 The World's Top Goal Scorer 2009 http://www.iffhs.de/[...] 2012-08-03
[24] National-Football-Teams "{{PAGENAMEBASE}}" https://www.natio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