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5년에 제정되었으며, 소비에트 연방 해체 이후에도 멜로디가 유지되다가 1992년 카자흐스탄의 새로운 국가가 채택되면서 가사가 변경되었다. 이 국가는 3/4 박자를 사용하여 독특했으며, 가사는 시대에 따라 수정되었는데, 특히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탈스탈린화 정책에 따라 가사의 내용이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스탄의 노래 - 카자흐스탄 공화국 국가
    카자흐스탄 공화국 국가는 국가의 역사, 문화, 국민 정신을 담은 국가 상징으로, 1992년 주권 획득 후 멜로디를 유지하고 가사를 채택했으며, 2006년 '나의 카자흐스탄'이 국가로 승인되어 국민 통합의 상징이자 문화적 유산을 계승하며 국제 사회에 카자흐스탄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 카자흐스탄의 노래 - 카자흐스탄의 국가
    카자흐스탄의 국가는 "나의 카자흐스탄"으로, 1956년 작곡된 곡을 바탕으로 2006년 가사가 수정되었으며, 카자흐스탄의 역사, 문화,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처녀지 개간 운동
    처녀지 개간 운동은 니키타 흐루쇼프 주도로 소련에서 추진된 농업 정책으로, 미경작지 개간을 통해 곡물 생산량 증대를 목표로 했으나, 환경 문제와 비효율성으로 장기적으로 실패하고 흐루쇼프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 카자흐스탄 공산당 (소련)
    카자흐스탄 공산당은 1936년 설립되어 소련 붕괴 전까지 소련 공산당의 일부였으며, 1990년 권력 독점 조항 삭제 후 1991년 해산되었다가 재건되기도 했다.
  • 소련의 국가 -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키르기스스탄의 국가로, 다양한 언어의 가사를 가지며 역사적 배경과 관련되어 스탈린 시대와 탈스탈린 시대를 거치며 가사에 변화가 있었다.
  • 소련의 국가 -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7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무탈 부르하노프가 작곡하고 티무르 파타와 투라브 툴라가 가사를 썼고, 현재 우즈베키스탄의 국가 멜로디로 사용된다.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기본 정보
카자흐 SSR 국가 악보
악보
로마자 표기Qazaq SSR-nyñ memlekettık änūrany
영어 제목State Anthem of the Kazakh SSR
종류이전 지역
국가카자흐스탄
작사가압딜다 타지바예프 외
작곡가예브게니 브루실롭스키 외
채택1945년
재채택1956년
폐지1991년
계승 국가카자흐스탄 공화국 국가 (1992–2006)
카자흐스탄의 국가
1920–1945년인터내셔널가
1945–1991년카자흐 SSR 국가
1991–2006년카자흐스탄 국가
2006–현재나의 카자흐스탄

2. 배경

카자흐 SSR 국가는 1945년, 무칸 퇼레바예프, 예브게니 브루실롭스키, 라티프 하미디가 공동 작곡하고, 압딜다 태지바예프, 카이음 무하메드하노프, 가비트 뮈시레포프가 공동 작사했다. 1991년 12월 10일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카자흐스탄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한 후에도 멜로디는 유지되었으나, 소비에트 시대를 반영하는 가사는 삭제되었다.[2] 1992년, 독립 카자흐스탄의 국가와 동일한 멜로디로 새로운 가사가 채택되었으며, 2006년 1월 7일까지 사용되었다.[3]

이 국가는 대부분의 국가가 4/4 박자를 사용하는 반면, 3/4 박자로 연주되는 유일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였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이 국가는 옛 국가를 유지한 다섯 개의 공화국 중 하나였으며,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투르크메니스탄이 국가를 변경하면서 네 개 중 하나가 되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러시아가 국가를 변경하면서 다시 다섯 개 중 하나가 되었다.

3. 가사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카자흐어 가사가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아랍 문자 등 다양한 문자로 표기되었다는 내용만 간략하게 요약한다.

키릴 문자Jaᶇalif아랍 문자국제 음성 기호로마자
جەڭىسكە، شاتتىققا، ەرلىككە


3. 1. 카자흐어 가사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시대에 따라 가사 내용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예를 들어, 스탈린 언급이 삭제되었다.[4][5]

카자흐어 원문로마자 표기IPA 표기한국어 번역


3. 1. 1. 키릴 문자

카자흐어 키릴 문자 가사는 다음과 같다.[4][5]

카자흐어 원문한국어 번역



1953년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고 전국적인 탈스탈린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가사도 수정되었다. 마지막 연의 마지막 줄에 있던 '스탈린'(Сталинkk)이라는 단어는 소련 공산당을 지칭하는 '당'(Партияkk)으로 대체되었다.

3. 1. 2. 라틴 문자

Biz qazaq ejelden erkindik aŋsağan,

Bostandyq ömir men ar üşin qığan jan.

Torlağan tumannan jol tappaı turğanda,

Jarqyrap Lenındeı kün jyğyp, atty taŋ.

'''Qaıyrmasy:'''

Jasasyn Sovetter Odağy,

Jetkizgen erkindik, teŋdikke,

Bastaıtyn elderdi birlikke,

Jeŋiske, şattyqqa, erlikke!

Daq salmaı Lenınniŋ jeŋimpaz saltyna,

Urpağy qosty daŋq Ottanyŋ daŋqyna,

Odaqtas, urandas elderdiŋ qamqory,

Köp alğys aytamyz uly orys halqyna.

'''Qaıyrmasy'''

İrgeli memleket, erikti boldyq el,

Dostyqpen, birlikpen jaınaıdy twğan jer.

Eŋbekte, maıdanda, jetkizgen jeŋiske

Danyşpan partıya/Stalın – süıikti kemeŋger.

'''Qaıyrmasy'''[6]

3. 1. 3. 아랍 문자

جەڭىسكە، شاتتىققا، ەرلىككە


3. 1. 4. 국제 음성 기호 (IPA)



[bɪz̥ qʰɑzɑq jɘʑʲɘʎdʲɘn ǀ jɘɾkɘndɘk ɑŋsɑʁɑn ǀ]

[bʷo̞stɑndəq wœ̝mɘɾ mʲɘn ǀ ɑɾ ʉɕəɴ qʰəjʁɑɲ ʑɑn ǁ]

[tʷʰo̞rɫɑʁɑn tʰʊmɑnːɑn ǀ ʑʷo̞ɫ tʰɑpːɑj tʰʊɾʁɑndɑ ǀ]

[ʑɑɾqəɾɑp ʎɘnəjɲdʲɘj ǀ kʰʉɲ ʑəʁəp ɑtːə tʰɑŋ ǁ]

'''[qʰɑjəɾmɑsə]'''

''[ʑɑsɑsəɲ sʷo̞vʲɘtʲːɘɾ wo̞dɑʁə ǀ]''

''[ʑʲɘtkɘzɟɘɲ jɘɾkɘndɘk ǀ tʲʰɘŋdɘcːɘ ǀ]''

''[bɑstɑjtəɲ jɘdʲɘɾdɘ bɘrlɘcːɘ ǀ]''

''[ʑʲɘŋ̟ʲɘscɘ ɕɑtːəqːɑ jɘrlɘcːɘ ǁ]''

[dɑq sɑɫmɑj ʎɘnəjnːɘŋ ǀ ʑʲɘŋɘmpɑz̥ sɑɫtənɑ ǀ]

[ʊɾpɑʁə qʷo̞stə dɑɴq ǀ wo̞tːɑnəŋ dɑɴqənɑ ǀ]

[wo̞dɑqtɑs ʊɾɑndɑs ǀ jɘldʲɘɾdɘɴ qʰɑmqʷo̞ɾə ǀ]

[kʷʰœ̝p ɑʟ̠ʁəs ɑjtɑməz ǀ ʊɫə wo̞ɾəs χɑʟ̠qənɑ ǁ]

'''[qʰɑjəɾmɑsə]'''

[ɘɾɟɘlɘ mʲɘmʎɘcɘt ǀ jɘɾɘktɘ bʷo̞ɫdəq jɘl ǀ]

[do̞stəqpʲɘm bɘrlɘkpʲɘn ǀ ʑɑjnɑjdə tʰʊwʁɑɲ ʑʲɘɾ ǁ]

[jɘmbʲɘktʲɘ mɑjdɑndɑ ǀ ʑʲɘtkɘzɟɘɲ ʑʲɘŋɘscɘ]

[dɑnəɕpɑm pʰɑɾtəjːɑ (stɑɫəjn) ǀ sʉjɘktɘ cʰɘmʲɘɲɟɘɾ ǁ]

'''[qʰɑjəɾmɑsə]'''


3. 2. 해석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러시아어, 영어, 한국어 등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었다.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고 전국적인 탈스탈린화 정책을 시행하면서 국가 가사도 수정되었다. 마지막 연 마지막 줄의 '스탈린'()은 소련 공산당을 뜻하는 '당'()으로 대체되었다.

3. 2. 1. 러시아어 해석

Мы, казахи, издревле стремились к свободе,

Жертвуя жизнью ради воли и чести.

И искали пути среди темного тумана...

Но взошел Ленин, как заря, и настало утро!

'''Припев:'''

Да здравствует Советский Союз,

Что привел нас к свободе, к равенству,

Что ведет все страны к единству,

К победе, к радости, к подвигам!


Победоносный путь Ленина никогда не будет запятнан,

И поколения будут приумножать славу Отчизне,

И благодетелю союзных братских республик,

Великому русскому народу говорим мы: большое спасибо!

'''''Припев'''''

Стали мы мощным государством, свободной страной

И родная земля расцветает дружбой и единством.

Приведшую нас к победам в труде и на брани

Мудрую/Мудрого Партию/Сталина — искренне любим.

'''''Припев'''''ru[7]

3. 2. 2. 영어 해석

We, Kazakhs of aeons ancient, freedom-seeking,

For the sake of faith and honour their lives sacrificing.

Through the dark fog their ways finding,

But like the dawn rose Lenin and came the morning!

'''Chorus:'''

''Long live the Soviet Union,

Which led us to freedom for equality,

Which ’twas all for the unity of the country,

To victory, happiness, and ability!''

Ne’er shall Lenin’s path of triumph be tarnish’d,

May our land’s glory of aeons be aspread.

To the protector of our sister republics we blazon:

“O hail the great Russian nation!”

'''Chorus'''

We’ve become a country strong, a country free,

The native land bloometh friendship and unity.

Lead us to battle and in labour to victory,

O wise party/Stalin, Thou art lov’d truly.

'''Chorus'''

3. 2. 3. 한국어 해석

우리 카자흐인들은 예로부터 자유를 갈망했네.

믿음과 명예를 위해 자유라는 영혼을 받았네.

하늘을 덮은 안개 속에서 길을 찾아 헤매고 있을 때

레닌은 태양이 되어 밝게 빛났고, 아침이 밝아왔네.

'''후렴:'''

영원하라 소비에트 연방이여

우리를 자유롭고 평등으로 인도하네.

모든 나라들이 단결하네.

승리와 즐거움과 열정을 위해!

레닌의 승리를 더럽히지 않고

후손들은 조국에 영광을 더하네.

단합한 인민들의 후원자들인

위대한 러시아 인민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리.

'''후렴'''

강력한 나라 속에서 우리는 자유로운 인민이 되었네.

우리 조국은 우정과 단결로서 빛날 것이네.

일터에서 전선까지 우리를 승리로 이끌었네.

현명한 당은 사랑스럽고 지혜롭네.

'''후렴'''

4. 탈스탈린화와 가사 수정 (1953년 이후)

1953년 스탈린 사망 이후, 니키타 흐루쇼프가 권력을 잡고 전국적인 탈스탈린화 정책을 시행했다. 이에 따라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가사도 수정되었다.[1][2]

가사의 마지막 연 마지막 줄에서 Сталин|스탈린kk이라는 단어는 소련 공산당을 지칭하는 Партия|당kk으로 대체되었다.

5. 영향

1991년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카자흐 SSR)카자흐스탄 공화국으로 국명을 변경한 후에도, 소련 시대의 가사는 삭제되었지만 멜로디는 유지되었다.[2] 1992년 독립 카자흐스탄의 국가와 동일한 멜로디로 새로운 가사가 채택되었으며, 이 곡은 2006년 1월 7일까지 사용되었다.[2] 즉, 카자흐 SSR 국가는 독립 이후 카자흐스탄의 국가에 멜로디를 제공하며 영향을 미쳤다.

이 국가는 4/4 박자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다른 국가들과 달리, 3/4 박자로 연주되는 유일한 소비에트 연방 공화국 국가였다.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이 국가는 옛 국가를 유지한 다섯 개의 공화국 중 하나였으며,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투르크메니스탄이 국가를 변경하면서 네 개 중 하나가 되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러시아가 국가를 변경하면서 다시 다섯 개 중 하나가 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Казахской ССР http://simvolika.rsl[...]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символы России
[2] 웹사이트 Kazakhstan (1945-1992) http://www.nationala[...] Kendall, David
[3] 웹사이트 https://dic.academic[...]
[4]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КАЗАХСКОЙ ССР http://simvolika.rsl[...]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Е СИМВОЛЫ РОССИИ
[5] 웹사이트 Kazakhstan (1945-1992) http://www.nationala[...] Kendall, David 2013
[6] 뉴스 Fourth version of Kazakh Latin script will preserve language purity, linguists say https://astanatimes.[...] Yergaliyeva, Aidana 2019-11-18
[7] 웹인용 https://back-in-ussr[...] 202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