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데이비드 앤더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데이비드 앤더슨은 1905년 뉴욕에서 태어나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물리학과 공학을 전공했다. 로버트 밀리컨의 지도 아래 우주선을 연구하던 중 1932년 양전자를 발견하여 폴 디랙의 이론을 증명했고, 이 업적으로 193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36년에는 뮤온을 발견했으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학문과 연구 경력을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고든 무어
고든 무어는 미국의 기업인이자 공학자로, 페어차일드 반도체를 거쳐 로버트 노이스와 함께 인텔을 공동 설립했으며, 집적 회로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고, 고든과 베티 무어 재단을 설립하여 자선 활동을 펼쳤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팔로마 천문대
팔로마 천문대는 캘리포니아 팔로마 산에 위치한 천문대로, 헤일 반사망원경을 포함한 다양한 장비를 통해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현재는 광해 문제 속에서도 연구와 대중 참여를 지속하고 있다. - 입자물리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입자물리학자 - 양전닝
양전닝은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리정다오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 비보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고, 양-밀스 이론을 개발했으며, 2016년 미국 국적을 포기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적을 취득했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교수 - 루돌프 마커스
루돌프 마커스는 캐나다 출신의 미국 화학자로서 전자 전달 이론 연구로 1992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RRKM 이론 개발에 기여했고, 여러 학술 단체 회원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상을 수상한 저명한 학자이다.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교수 - 찰스 릭터
찰스 릭터는 미국의 지진학자로,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지진의 상대적 크기를 측정하는 릭터 규모를 개발했으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에서 지진학 교수로 재직하며 지진 연구와 교육에 헌신했다.
칼 데이비드 앤더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칼 데이비드 앤더슨 |
로마자 표기 | Kal Deibideu Aendeoseun |
출생지 | 미국 뉴욕 |
사망지 | 미국 캘리포니아주 |
국적 | 미국 |
학력 | |
모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BS, 박사) |
학위 논문 제목 | Space-distribution of x-ray photoelectrons ejected from the K and L atomic energy-levels |
학위 논문 URL | 학위 논문 |
학위 년도 | 1930년 |
박사 지도교수 | 로버트 밀리컨 |
경력 | |
직장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
분야 | 물리학 |
업적 | |
주요 업적 | 뮤온 발견, 양전자 발견 |
수상 | |
수상 내역 | 노벨 물리학상 (1936년), 엘리엇 크레슨 메달 (1937년) |
제자 | |
박사 지도 학생 | 제임스 C. 플레처 도널드 A. 글레이저 세스 네더마이어 |
주요 학생 | 시나 롬니츠 |
2. 생애
칼 데이비드 앤더슨은 1905년 9월 3일 뉴욕에서 스웨덴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15][16] 그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물리학과 공학을 전공하여 1927년에 학사 학위를, 1930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15][16] 로버트 밀리컨의 지도 아래 우주선을 연구했으며, 이 과정에서 안개 상자 사진에 나타난 예상치 못한 소립자 궤적을 발견했다. 앤더슨은 이를 전자와 질량은 같지만 전하는 반대인 입자로 해석했다.[15]
로버트 밀리컨의 지도로 우주선(cosmic rays)을 연구하던 중, 1932년 안개 상자 사진에서 전자와 질량은 같지만 전하가 반대인 양전자를 발견했다.[1] 이는 폴 디랙의 이론적 예측을 증명한 것이었다.[2] 앤더슨은 자연 방사성 핵종 ThC''(208Tl)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전자-양전자 쌍을 생성함으로써 양전자의 존재를 직접 증명했다.[1][9] 이 업적으로 1936년 빅토르 헤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10] 앤더슨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급생이었던 자오중야오의 연구가 자신의 발견에 영감을 주었음을 인정했다.[3][11] (자오중야오는 당시 그의 업적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3][11])
1936년 앤더슨과 그의 대학원생 친구 세스 네더마이어는 뮤온을 발견하였다.[16] 뮤온(또는 '뮤-메손' 이라고 수년 동안 알려짐)은 전자보다 207배 무거운 아원자 입자이다.[16] 앤더슨과 네더마이어는 처음에 유카와 히데키가 강한 상호작용의 이론에서 제안한 파이온(pion)을 발견했다고 믿었다. 이론 물리학자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에 의해 앤더슨이 발견한 입자가 파이온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
뮤온은 전자의 207배 질량을 가지며, 전자와 같은 음전하와 스핀 1/2를 가진 소립자로 우주선에서 발견되었다.[12] 이는 처음에는 유카와 히데키가 강한 상호작용 이론에서 제창한 중간자가 검출된 것이라고 생각되어 "뮤 중간자"라고 불렸다. 그러나 그것이 중간자가 아님이 밝혀지자, 이론물리학자 I.I. 라비는 이 예상 밖의 발견이 소립자 물리학의 논리적 스킴에 어떻게 적합한지 곤혹스러워하며, "그런 것, 누가 주문했나?"라고 (동료와 중화요리점에서 식사 중에)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12] 뮤온은 긴 역사 속에서 발견된 소립자의 최초의 것으로, 처음에는 정연한 개념도에 맞출 수 없어 이론물리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했다.[12] 윌리스 램은 1955년 노벨상 수상 강연에서 "새로운 소립자 발견자는, 과거에는 노벨상으로 보상받았지만, 현재는 그러한 발견은 1만 달러의 벌금으로 처벌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고 농담을 했다. 니시지마 가즈히코와 머레이 겔만 등에 의한, 소립자의 새로운 규칙성(나카노-니시지마-겔만 공식) 등에 의한 해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뮤온의 발견은 당시 소립자 물리학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었으며, 소립자 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는 대한민국 과학계에도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기초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앤더슨은 그의 학문과 연구 경력의 모든 기간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보냈다.[5][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로켓 연구에 참여했다.[5][6][7][8] 193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와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5][6] 1950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7] 1975년 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8] 1991년 1월 11일 사망했으며, 그의 유골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포레스트 론 공원 묘지 (할리우드 힐스)에 안장되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칼 데이비드 앤더슨은 1905년 9월 3일 뉴욕에서 스웨덴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났다.[15][16] 그는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물리학과 공학을 전공하여 1927년에 학사 학위를, 1930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15][16] 로버트 밀리컨의 지도 아래 우주선을 연구했으며, 이 과정에서 안개 상자 사진에 나타난 예상치 못한 소립자 궤적을 발견했다. 앤더슨은 이를 전자와 질량은 같지만 전하는 반대인 입자로 해석했다.[15]2. 2. 양전자 발견
로버트 밀리컨의 지도로 우주선(cosmic rays)을 연구하던 중, 1932년 안개 상자 사진에서 전자와 질량은 같지만 전하가 반대인 양전자를 발견했다.[1] 이는 폴 디랙의 이론적 예측을 증명한 것이었다.[2] 앤더슨은 자연 방사성 핵종 ThC''(208Tl)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이용하여 전자-양전자 쌍을 생성함으로써 양전자의 존재를 직접 증명했다.[1][9] 이 업적으로 1936년 빅토르 헤스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10] 앤더슨은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동급생이었던 자오중야오의 연구가 자신의 발견에 영감을 주었음을 인정했다.[3][11] (자오중야오는 당시 그의 업적이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3][11])2. 3. 뮤온 발견
1936년 앤더슨과 그의 대학원생 친구 세스 네더마이어는 뮤온을 발견하였다.[16] 뮤온(또는 '뮤-메손' 이라고 수년 동안 알려짐)은 전자보다 207배 무거운 아원자 입자이다.[16] 앤더슨과 네더마이어는 처음에 유카와 히데키가 강한 상호작용의 이론에서 제안한 파이온(pion)을 발견했다고 믿었다. 이론 물리학자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에 의해 앤더슨이 발견한 입자가 파이온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다.뮤온은 전자의 207배 질량을 가지며, 전자와 같은 음전하와 스핀 1/2를 가진 소립자로 우주선에서 발견되었다.[12] 이는 처음에는 유카와 히데키가 강한 상호작용 이론에서 제창한 중간자가 검출된 것이라고 생각되어 "뮤 중간자"라고 불렸다. 그러나 그것이 중간자가 아님이 밝혀지자, 이론물리학자 I.I. 라비는 이 예상 밖의 발견이 소립자 물리학의 논리적 스킴에 어떻게 적합한지 곤혹스러워하며, "그런 것, 누가 주문했나?"라고 (동료와 중화요리점에서 식사 중에)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12] 뮤온은 긴 역사 속에서 발견된 소립자의 최초의 것으로, 처음에는 정연한 개념도에 맞출 수 없어 이론물리학자들을 곤혹스럽게 했다.[12] 윌리스 램은 1955년 노벨상 수상 강연에서 "새로운 소립자 발견자는, 과거에는 노벨상으로 보상받았지만, 현재는 그러한 발견은 1만 달러의 벌금으로 처벌받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고 농담을 했다. 니시지마 가즈히코와 머레이 겔만 등에 의한, 소립자의 새로운 규칙성(나카노-니시지마-겔만 공식) 등에 의한 해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뮤온의 발견은 당시 소립자 물리학 이론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었으며, 소립자 물리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이는 대한민국 과학계에도 새로운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기초과학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2. 4. 이후 생애
앤더슨은 그의 학문과 연구 경력의 모든 기간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에서 보냈다.[5][6] 제2차 세계 대전 동안에는 로켓 연구에 참여했다.[5][6][7][8] 1938년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와 미국 철학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5][6] 1950년에는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7] 1975년 미국 업적 아카데미의 골든 플레이트 상을 받았다.[8] 1991년 1월 11일 사망했으며, 그의 유골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포레스트 론 공원 묘지 (할리우드 힐스)에 안장되었다.3. 주요 논문
칼 데이비드 앤더슨은 1932년 사이언스에 〈쉽게 편향되는 양전자의 명백한 존재〉를 발표하였고, 1933년에는 피지컬 리뷰에 〈양전자〉를 발표했다. 앤더슨은 또한 1957년 벨 연구소 과학 시리즈의 〈우주선의 이상한 경우〉에 기술 자문으로 참여했다.
3. 1. 양전자 관련
칼 데이비드 앤더슨은 1932년 사이언스에 〈쉽게 편향되는 양전자의 명백한 존재〉를 발표하였고, 1933년에는 피지컬 리뷰에 〈양전자〉를 발표했다. 앤더슨은 또한 1957년 벨 연구소 과학 시리즈의 〈우주선의 이상한 경우〉에 기술 자문으로 참여했다.3. 2. 기타
칼 데이비드 앤더슨(기술 자문)은 1957년 벨 연구소 과학 시리즈의 일환으로 제작된 《우주선의 이상한 경우》에 참여했다.참조
[1]
문서
ThC" is a historical designation of 208Tl, see
Decay chains
[2]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6
http://nobelprize.or[...]
[3]
학술지
Chinese Science and the 'Nobel Prize Complex'
http://china-us.uore[...]
2004
[4]
강연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https://www.nobelpri[...]
1955-12-12
[5]
웹사이트
Carl D. Anderson
http://www.nasonline[...]
2023-05-18
[6]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5-18
[7]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7
[8]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9]
문서
ThC" は、208Tl の古い表記法である。
崩壊系列
[10]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6
https://www.nobelpri[...]
[11]
학술지
Chinese Science and the 'Nobel Prize Complex'
http://china-us.uore[...]
2004
[12]
강연
Fine structure of the hydrogen atom
https://www.nobelpri[...]
1955-12-12
[13]
웹사이트
Book of Members, 1780–2010: Chapter A
http://www.amacad.o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1-04-17
[14]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2021-04-27
[15]
문서
ThC"는 208Tl에서 고안되었다.
붕괴 사슬
[16]
웹사이트
1936년 노벨상 수상자
http://nobelprize.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