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선 (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선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들의 흐름을 의미하며, 1900년경 검전기 방전 현상 관측을 통해 존재가 처음으로 시사되었다. 이후 빅토르 프란츠 헤스 등의 연구를 통해 고도에 따른 이온화율 증가가 확인되면서 우주선의 존재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 우주선은 기원에 따라 은하 우주선, 태양 고에너지 입자로 분류되며, 1차 우주선과 2차 우주선으로 나뉜다. 1차 우주선은 주로 양성자와 헬륨 원자핵으로 구성되며, 2차 우주선은 1차 우주선이 대기와 충돌하여 생성되는 입자들로, 인체 영향, 전자기기 오작동, 기후 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우주선 연구는 기구를 이용한 직접 탐지, 지상 및 우주 기반 관측을 통해 이루어지며, 한국은 국제우주정거장(ISS)의 AMS-02 실험 참여 등 국제 협력을 통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온화 방사선 - 알파 입자
알파 입자는 헬륨 원자핵으로, 불안정한 원자핵의 알파 붕괴 시 방출되는 양전하 입자이며, 낮은 투과력에도 불구하고 체내 흡수 시 위험하고, 핵물리학 연구와 화재 경보기, 암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이온화 방사선 - 자연방사선
자연방사선은 특정 방사선원을 제외한 모든 원천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으로, 우주, 지각, 공기, 음식, 물 등 자연적 요인과 인공적 요인을 포함하며, 피폭량은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전 세계 평균 연간 약 2.4 mSv로 추정된다. - 우주선 (물리) - 오마이갓 입자
오마이갓 입자는 빛의 속도에 매우 가깝게 이동하며 지구 입자 가속기에서 생성되는 입자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 입자를 지칭하며, 최초 관측 이후 유사한 사건들이 수백 건 기록되어 텔레스코프 어레이 프로젝트를 통해 근원 추적 연구가 진행 중이고 최근에는 아마테라스 입자가 관측되기도 했다. - 우주선 (물리) - 우주선 파쇄
우주선 파쇄는 우주선이 원자핵과 충돌하여 핵반응을 일으켜 다양한 핵종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특히 리튬, 베릴륨, 붕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의 기원을 설명하고 우주 생성 핵종을 형성하여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천체물리학 - 천문학
천문학은 우주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으로, 별, 행성, 은하 등을 연구하며 고대부터 발전해 왔고 현대에는 첨단 기술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하고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다. - 천체물리학 - 우주
우주는 모든 공간과 시간, 에너지, 물질, 천체 등을 포함하며 물리 법칙의 지배를 받는 "존재의 총체"로, 천문학, 항공우주공학, 철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의되며 빅뱅 이론으로 설명되는 기원과 진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로 구성된 요소, 그리고 외계 생명체 가능성이 연구되는 공간이다.
우주선 (물리) | |
---|---|
기본 정보 | |
![]() | |
정의 | 주로 태양계 외부에서 기원하는 고에너지 입자 |
주요 구성 성분 | 양성자 원자핵 전자 기타 입자 |
에너지 범위 | 매우 넓음 (상상 가능한 최대 에너지 범위까지) |
발견 | 빅토어 헤스 (1912년) |
기원 | |
주요 기원 | 태양계 외부 |
후보 기원 | 초신성 잔해 활동 은하핵 블레이저 감마선 폭발 |
은하 중심 | 페타전자볼트 에너지 입자 가속 가능성 |
태양 활동 | 태양풍 입자 (상대적으로 낮은 에너지) |
에너지 스펙트럼 | |
특징 | 매우 넓은 에너지 범위 에너지 증가에 따른 입자 플럭스 감소 |
GZK 한계 | 초고에너지 우주선 존재에 대한 미스터리 GZK 한계를 초과하는 입자 관측 |
검출 | |
방법 | 지상 기반 검출기 (대기 샤워 관측) 우주 기반 검출기 (직접 관측) |
주요 검출 시설 | 피에르 오제 천문대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 하이블레스 |
영향 | |
지구 환경 | 대기 이온화 구름 형성 방사선 노출 |
생물학적 영향 | 돌연변이 유발 가능성 우주 비행사 건강 위험 |
기술적 영향 | 전자 장치 오작동 위성 시스템 영향 |
연구 | |
주요 연구 분야 | 기원 규명 가속 메커니즘 이해 전파 특성 연구 입자 물리학 연구 |
연구 중요성 | 우주 및 입자 물리학 연구에 필수적 |
기타 정보 | |
높은 에너지 | 일부 우주선은 "신의 입자"라고 불릴 정도로 매우 높은 에너지 보유 |
연구 과제 | 높은 에너지 우주선의 기원 및 GZK 한계 초과 현상 규명 |
2. 발견
1912년 오스트리아의 헤스는 비행 기구를 타고 5,000m 상공으로 올라가 실험을 했는데, 올라갈수록 대기의 전리 작용(이온화)이 증가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시 대기의 전리 작용의 원인이 지구 외부에서 오는 방사선에 의한 것인지, 지구 내부의 방사선을 가진 광물에 의한 것인지는 알지 못하고 있었는데, 헤스의 이러한 측정으로 그 원인이 지구 외부라는 것이 밝혀졌다. 만약 지구 내부에 원인이 있다면 높이 올라갈수록 전리의 세기는 감소할 것이지만, 4,500m쯤 올라가면 전리 작용이 증가하기 시작했다.[8] 1922년 미국의 밀리컨은 사람이 타지 않는 기구를 약 1만 6,000m의 고도까지 올리는 데 성공하였으며, 자동 기록 장치에 의해 대기 중의 전리 작용을 측정하였다. 그는 비행중인 비행기 위나 산의 정상, 호수의 수면 밑 등에도 방사선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기원은 지구의 외부라고 결론지었다. 그래서 우주선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였다. "선"(예: 광선)이라는 용어는 우주선의 투과력 때문에 초기에는 우주선이 대부분 전자기파라고 믿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 초까지 우주선은 새로운 입자의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3년 11월 24일, 오사카 공립대학(大阪公立大学) 연구팀은 계산상 1그램으로 지구가 파괴될 정도의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미국 유타주 사막 지대에 507대의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131]
2. 1. 초기 연구
초기 연구에서는 우주선의 정체를 전자라고 생각했다. 전자가 음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지구 자기장의 영향으로 동쪽에서 오는 우주선은 밀려나고 서쪽에서 오는 우주선은 끌어당겨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관측 결과, 동쪽에서 오는 우주선이 더 많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우주선의 주성분이 양전하를 가진 입자라는 것이 밝혀졌다.[15]1900년경, 자연 방사선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된 검전기(electroscope)가 방전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우주선의 존재를 보여주는 최초의 단서였다.
1912년과 1913년, 빅터 프란츠 헤스는 쾰헐스터(Kolhörster)와 함께 유인 기구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기의 이온화가 증가하는 것을 관측했는데, 이는 우주선의 방사원이 지구 대기 밖에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였다. 헤스는 이 업적으로 193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29년, 스코벨츠인(Skobeltsyn)은 방사성 붕괴로 방출되는 전자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윌슨 구름상자(cloud chamber)를 발명했다. 그는 윌슨 구름상자에서 우주선 입자의 궤적을 관찰하여 우주선의 존재를 뒷받침했다. 같은 해, 가이거(Geiger)와 뮬러(Muller)는 가이거-뮬러 계수기를 발명했다. 이 계수기를 통해 개별 우주선을 검출하고 도착 시간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윌슨 구름상자 실험을 통해 우주선이 하전 입자의 샤워(shower)를 발생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대기 샤워(air shower)는 1차 우주선(지구 외부 기원)이 대기권에 진입할 때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이온화 입자와 전자기 방사선의 광범위(수 킬로미터 폭)한 캐스케이드 현상이다. 1934년 B. 로시(B. Rossi)가 발견했고, 1937년 P. 오제(P. Auger)는 로시의 보고 없이 독자적으로 같은 현상을 발견했다. 오제는 고에너지 1차 우주선 입자가 대기권 상층부에서 대기 원자핵과 상호작용하여 2차, 3차 상호작용의 캐스케이드를 일으키고, 최종적으로 전자와 광자의 샤워가 지상에 도달한다는 것을 관측했다. 로시는 검출기를 멀리 떨어뜨려 우주선을 관측하여 많은 입자가 동시에 검출기에 도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30년, 밀리컨(Millikan)과 앤더슨(Anderson)은 스코벨츠인보다 강력한 전자석을 사용하여 윌슨 구름상자를 통과하는 입자의 궤적을 조사했다. 앤더슨은 양전하를 띠고 전자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입자(양전자)를 관측했다(Anderson 1932). 1933년, 블래킷(Blackett)과 오키알리니(Occhialini)는 우주선이 챔버를 통과할 때 자동 작동되는 윌슨 구름상자를 사용하여 이를 재확인했다(Blackett and Occhialini, 1933). 양전자의 존재는 1928년 디랙(Dirac)에 의해 이미 이론적으로 예측되었다.
1936년, 앤더슨과 네드더마이어(Neddermeyer)는 우주선에서 전자와 양성자의 중간 질량을 가진 입자인 중간자(mesotron)를 발견했다. 이는 1935년 유카와(湯川)에 의해 이론적으로 예측되었다.
3. 종류
우주선은 그 기원에 따라 크게 1차 우주선과 2차 우주선으로 나뉜다.
1차 우주선은 지구 대기 밖에서 기원하며, 대부분 양성자(약 90%), 알파 입자(약 9%), 그리고 더 무거운 원자핵(약 1%)으로 구성된다.[9] 극히 일부는 반물질인 양전자나 반양성자로 이루어져 있다.
2차 우주선은 1차 우주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여 만들어진다. 대기에서 생성된 하전된 파이온은 빠르게 붕괴하여 뮤온을 방출하는데, 이 뮤온은 물질과 강하게 상호작용하지 않아 대기를 지나 지하까지 도달한다. 지표면에 도달하는 뮤온은 1초에 사람 머리 크기의 부피를 통과하는 뮤온이 약 1개 정도이다.[14] 입자 캐스케이드의 중성자 구성은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항공기 고도에서는 방사선의 40%~80%에 이른다.[13]
우주선은 대부분 은하계 내 초신성 잔해 등에 의해 가속되는 은하 우주선이며, 은하 자기장에 의해 은하 내에 장시간 갇혀 파쇄되어 다른 원자핵으로 변하기도 한다. Li, Be, B, Sc, V 등의 원소 존재비가 태양계 내의 것과 우주선 중에서 크게 다른 것이 이를 뒷받침한다.
에너지가 높은 우주선은 드물게 발생하지만, 에너지 스펙트럼은 멱함수 dI/dE∝E-α(α〜3)로 근사할 수 있다. 이는 우주선 가속이 페르미 가속과 같은 비열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지구 대기에 고에너지 우주선이 들어오면 에어 샤워 현상이 발생하여 많은 2차 입자가 생성된다. 수명이 짧은 입자는 곧 붕괴하지만, 안정된 입자는 지상에서 관측된다. 입자가속기로 만들 수 있는 에너지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은 소립자 반응 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GZK 한계를 넘는 에너지를 가진 초고에너지 우주선은 관측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를 관측하기 위한 실험 계획(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도 있다.
우주선은 집적회로와 같은 미세 전자 장치의 오작동 원인이 되기도 하여, 실용적인 공학적 대책 또한 연구되고 있다.
3. 1. 1차 우주선
1차 우주선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직접 날아오는 입자들이다. 1912년 오스트리아의 헤스는 비행 기구를 타고 5,000m 상공으로 올라가 실험을 했는데, 올라갈수록 대기의 전리 작용(이온화)이 증가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는 지구 외부에서 오는 방사선이 대기 전리 작용의 원인임을 밝혀낸 것이다. 1922년 미국의 밀리컨은 무인 기구를 16,000m 고도까지 올려 대기 중 전리 작용을 측정하고, 우주선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초기 연구에서는 우주선의 정체를 전자라고 생각했지만, 관측 결과 동쪽에서 오는 방사선이 더 많다는 것이 확인되어 1차 우주선의 주체가 양전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1차 우주선은 주로 양성자(약 90%), 알파 입자(헬륨 원자핵)(약 9%), 그리고 소량의 더 무거운 원자핵(약 1%)으로 구성된다.[9] 극히 일부는 반물질인 양전자나 반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1차 우주선은 태양 폭발과 같은 태양 활동이나 초신성 폭발, 블랙홀 등 우리 은하 내외부의 다양한 천체 현상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1차 우주선의 에너지는 매우 넓은 범위에 걸쳐 분포하며,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높은 에너지는 1020 ~ 1021eV에 달한다. 이는 거대 강입자 충돌기(LHC)에서 생성되는 에너지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3. 1. 1. 1차 우주선 내 반물질
1967년 OSO-3 위성을 통해 수행된 MIT 실험에서 고에너지 감마선(>50 MeV 광자)이 우주선에서 발견되었다. 은하계와 은하계 외부 기원의 성분은 주요 하전 입자 강도의 1% 미만으로 확인되었다.[48]3. 2. 2차 우주선
1차 우주선이 지구 대기와 충돌하면 많은 수의 2차 우주선이 생성된다. 1차 우주선은 지표면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중 원자핵과 여러 번 충돌하며, 이 과정에서 2차 우주선이 만들어진다.[9] 2차 우주선은 주로 파이온, 뮤온, 전자, 양전자, 중성미자, 중성자, 광자 등으로 구성된다. 지상에서 관측되는 우주선의 대부분은 2차 우주선이며, 특히 뮤온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14]대기와의 충돌로 인해 생성된 하전된 파이온은 빠르게 붕괴하여 뮤온을 방출한다. 뮤온은 물질과 강하게 상호작용하지 않아 대기를 통과하고 지하까지 도달할 수 있다. 지표면에 도달하는 뮤온의 비율은 1초에 사람 머리 크기의 부피를 통과하는 뮤온이 약 1개 정도이다.[14]

1911년, 도메니코 파치니는 호수, 바다, 그리고 수면 아래 3미터 깊이에서 이온화율의 변화를 관찰했다. 파치니는 수중에서의 방사능 감소를 통해 이온화의 특정 부분이 지구의 방사능 이외의 다른 원인 때문일 것이라고 결론지었다.[23]
입자 캐스케이드의 중성자 구성은 고도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항공기 고도에서는 방사선의 40%~80%에 이른다.[13]
4. 기원
1912년 오스트리아의 헤스는 비행 기구를 타고 5,000m 상공으로 올라가는 실험을 통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의 전리 작용(이온화)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대기의 전리 작용 원인이 지구 외부에서 오는 방사선 때문임을 밝혀낸 것이다. 1922년 미국의 밀리컨은 무인 기구를 약 1만 6,000m 고도까지 올려 대기 중 전리 작용을 측정하고, 지구 외부가 우주선의 기원이라고 결론지으며 우주선이라는 이름을 제안했다.[8]
1909년, 테오도르 울프는 에펠탑 꼭대기에서 바닥보다 더 높은 수준의 방사선을 측정했다.[22] 1911년, 도메니코 파치니는 수중에서의 방사능 감소를 통해 이온화의 원인이 지구 방사능 외 다른 요인임을 밝혔다.[23]
1912년, 빅터 프란시스 헤스는 열기구를 이용해 5,300미터 고도까지 상승, 이온화율이 지상 수준의 두 배로 증가함을 발견했다.[24] 헤스는 일식 동안 기구를 상승시켜 태양을 방사선 원인에서 배제하고, "매우 높은 투과력을 가진 방사선이 우리 대기 위쪽에서 들어온다"고 결론지었다.[25] 1913년에서 1914년 사이, 베르너 콜호르스터는 9km 고도에서 증가된 이온화율을 측정, 헤스의 결과를 확인했다.[26][27] 헤스는 이 발견으로 193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28][29]
우주선의 기원은 다양하다. 태양면 폭발에 의한 태양 우주선은 1010eV 이하의 에너지를 가지며, 1년에 1회 정도 발생한다. 대부분의 우주선은 은하계 내 천체 폭발에 의해 발생하며, 백조좌 A, 게성운 등 강한 전파를 방사하는 천체에 강한 자기장이 존재하여 천연 가속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이론으로 예상되는 에너지 상한은 1016 - 1017eV이며, 그 이상의 초대형 에너지 입자는 은하계 외 전파 은하 등에서 기원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00년경, 자연 방사선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된 검전기가 방전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우주선의 존재를 보여주는 최초의 단서였다.
1929년에는 스코벨츠인이 윌슨 구름상자를 발명, 우주선 입자가 만드는 궤적을 관찰했다. 같은 해, 가이거와 뮬러에 의해 가이거-뮬러 계수기가 발명되어 개별 우주선 검출 및 도착 시간 측정이 가능해졌다.
윌슨 구름상자 실험은 우주선이 하전 입자의 샤워(shower)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기 샤워는 1차 우주선이 대기권에 진입할 때 발생하는 이온화 입자와 전자기 방사선의 광범위한 캐스케이드 현상이다. 1934년 B. 로시가 발견했고, 1937년 P. 오제가 같은 현상을 발견했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 초, 우주선은 새로운 입자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0년 밀리컨과 앤더슨은 양전자를 관측했고, 1933년 블래킷과 오키알리니가 재확인했다. 1936년 앤더슨과 네드더마이어는 중간자를 발견했다.
2023년 11월 24일, 오사카 공립대학 연구팀은 1그램으로 지구가 파괴될 정도의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미국 유타주 사막 지대에 507대의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131]
5. 영향
우주선은 지구 대기, 생태계, 인간의 기술 시스템에 여러 영향을 미친다.
우주선이 지구 대기에 진입하면 에어 샤워 현상을 일으켜 많은 2차 입자를 생성한다.[129][130] 1차 우주선은 주로 양성자를 포함한 하전 입자이며, 2차 우주선은 지상에서 주로 뮤온 형태로 관측된다.
우주선은 집적회로 등 미세 전자 장치의 오작동 원인이 된다. 이는 지상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어 과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공학적 대책도 요구된다.[92] 특히 고도가 높은 곳에서 작동하는 전자기기에 문제가 되었으나, 트랜지스터 소형화로 지상에서도 점차 문제가 되고 있다.[92]
우주선은 번개 발생 초기 단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7]
과거 지구 기후 변화와 대멸종에 우주선이 영향을 주었다는 가설도 제기되었다.[110][111][112]
5. 1. 대기 화학 변화
우주선은 대기 중의 질소와 산소 분자를 이온화시키는데, 이는 여러 화학 반응을 일으킨다. 우주선은 또한 지구 대기에서 다음과 같은 반응을 통해 불안정한 동위원소(예: 탄소-14)를 끊임없이 생성한다.[85]우주선은 1950년대 초 지상 핵무기 실험이 시작될 때까지 지난 10만 년 동안 적어도 대기 중 탄소-14의 양을 대략 70톤으로 일정하게 유지했다.[85] 이 사실은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에 이용된다.
다음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는 주요 방사성 동위원소와 그 생성 반응을 나타낸 표이다.
동위원소 | 반감기 | 생성 반응 | 추가 정보 |
---|---|---|---|
수소-1 (안정) | - | 질소 및 산소의 파쇄, 그러한 파쇄로부터의 중성자 붕괴 | |
헬륨-3 (안정) | - | 파쇄 또는 삼중수소로부터 | |
헬륨-4 (안정) | - | 알파선을 생성하는 파쇄 | |
삼중수소 | 12.3년 | 14N(n, 3H)12C (파쇄) | |
베릴륨-7 | 53.3일 | ||
베릴륨-10 | 139만 년 | 14N(n,p α)10Be (파쇄) | |
탄소-14 | 5730년 | 14N(n, p)14C (중성자 활성화) | |
나트륨-22 | 2.6년 | ||
나트륨-24 | 15시간 | ||
마그네슘-28 | 20.9시간 | ||
실리콘-31 | 2.6시간 | ||
실리콘-32 | 101년 | ||
인-32 | 14.3일 | ||
황-35 | 87.5일 | ||
황-38 | 2.84시간 | ||
염소-34m | 32분 | ||
염소-36 | 30만 년 | ||
염소-38 | 37.2분 | ||
염소-39 | 56분 | ||
아르곤-39 | 269년 | ||
크립톤-85 | 10.7년 | [86] | |
알루미늄-26 |
5. 2. 전자기기 오작동
우주선은 전자 집적 회로의 회로 구성 요소 상태를 변경하여 일시적인 오류를 일으킬 수 있는데, 이를 "소프트 에러"라고 부른다.[92] 이러한 오류에는 전자 메모리 장치의 데이터 손상이나 CPU의 오작동 등이 있다. 우주선에 의한 소프트 에러는 특히 위성과 같이 고도가 매우 높은 곳에서 작동하는 전자기기에서 문제가 되어 왔지만, 트랜지스터가 작아지면서 지상에서도 점차 문제가 되고 있다.[92] 1990년대 IBM의 연구에 따르면,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매달 256MB의 RAM당 우주선에 의한 오류가 약 1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3]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인텔은 우주선 검출기를 제안했는데, 이는 우주선 사건이 발생한 후 마지막 명령을 반복할 수 있게 해준다.[94] ECC 메모리는 우주선으로 인한 데이터 손상으로부터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2008년에는 에어버스 A330 여객기가 항공기 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손상으로 인해 수백 피트 급강하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에서 우주선이 데이터 손상의 원인 중 하나로 조사되었으나, 그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결론지어졌다.[95]
5. 3. 인체 영향 및 방사선 피폭
지구상 인류의 연간 방사선 노출량 중 우주선이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0.39 mSv로, 연간 총 3 mSv (배경 방사선의 13%) 중 하나이다.[87][88] 그러나 우주선으로 인한 배경 방사선은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여 해수면 지역에서는 연간 0.3 mSv이지만 고지대 도시에서는 연간 1.0 mSv에 달하며, 이러한 도시 지역 주민의 경우 우주 방사선 노출량이 총 배경 방사선 노출량의 4분의 1에 달한다. 장거리 고고도 항공로를 운항하는 항공기 승무원은 우주선으로 인해 매년 2.2 mSv의 추가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는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총 노출량을 거의 두 배로 증가시킨다.방사선 | 유엔과학위원회(UNSCEAR)[87][88] | 프린스턴[89] | 워싱턴주[90] | 일본 문부과학성(MEXT)[91] | 비고 | ||
---|---|---|---|---|---|---|---|
종류 | 원천 | 세계 평균 | 일반적인 범위 | 미국 | 미국 | 일본 | |
자연적 | 공기 중 | 1.26 | 0.2–10.0a | 2.29 | 2.00 | 0.40 | 주로 라돈에서 기인하며, (a) 실내 라돈 가스 축적량에 따라 달라짐. |
체내 | 0.29 | 0.2–1.0b | 0.16 | 0.40 | 0.40 | 주로 식품 속 방사성 동위원소 (40K, 14C 등)에서 기인하며, (b)식단에 따라 달라짐. | |
지표면 | 0.48 | 0.3–1.0c | 0.19 | 0.29 | 0.40 | (c)토양 구성 및 건축 자재에 따라 달라짐. | |
우주선 | 0.39 | 0.3–1.0d | 0.31 | 0.26 | 0.30 | (d)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함. | |
소계 | 2.40 | 1.0–13.0 | 2.95 | 2.95 | 1.50 | ||
인공적 | 의료 | 0.60 | 0.03–2.0 | 3.00 | 0.53 | 2.30 | |
낙진 | 0.007 | 0–1+ | – | – | 0.01 | 1963년에 정점을 찍었으며 (부분적 핵실험 금지 조약 이전), 1986년에 급증하였음; 핵실험 및 사고 현장 근처에서는 여전히 높음. 미국의 경우, 낙진은 다른 범주에 포함됨. | |
기타 | 0.0052 | 0–20 | 0.25 | 0.13 | 0.001 | 연간 평균 직업 노출량은 0.7 mSv이며, 광부는 노출량이 더 높음. 원자력 발전소 인근 주민은 연간 약 0.02 mSv의 추가 노출량을 가짐. | |
소계 | 0.6 | 0~수십 | 3.25 | 0.66 | 2.311 | ||
총계 | 3.00 | 0~수십 | 6.20 | 3.61 | 3.81 |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전의 수치임. UNSCEAR의 인위적 값은 UNSCEAR 데이터를 요약한 일본 방사선의학종합연구소의 자료임.
고도를 비행하는 제트 여객기의 승객과 승무원은 해수면에 있는 사람들이 받는 우주선 방사선량의 최소 10배에 노출된다.[104][105] 극지방 항로를 따라 지자기 극 근처를 비행하는 항공기는 특히 위험에 처해 있다.[106]
은하 우주선은 유인 우주선을 이용한 행성 간 여행 계획의 가장 중요한 장애물 중 하나이다. 2013년 5월 31일, NASA 과학자들은 화성 유인 탐사는 2011년~2012년에 지구에서 화성으로 이동하는 동안 화성 과학 연구소의 RAD가 감지한 고에너지 입자 방사선의 양을 기준으로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큰 방사선 위험을 수반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101][102][103]
5. 4. 번개 발생
우주선은 번개 발생의 초기 단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모든 번개가 우주선 2차 입자에 의해 씨앗이 뿌려지는 상대론적 과정 또는 "폭주적 고장"을 통해 발생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 후 번개 방전은 "종래의 고장" 메커니즘을 통해 발달한다.[107]5. 5. 기후 변화
에드워드 P. 네이(Edward P. Ney)는 1959년[108], 로버트 E. 디킨슨(Robert E. Dickinson)은 1975년[109]에 우주선이 기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과거 주요 기후 변화와 대멸종에 우주선이 원인이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에이드리언 멜롯(Adrian Mellott)과 미하일 메드베데프(Mikhail Medvedev)에 따르면, 해양 생물 개체군의 6,200만 년 주기는 지구의 은하면 상대 운동과 우주선 노출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다.[110] 연구자들은 이와 지역 초신성에서 유래하는 감마선 폭격이 암과 돌연변이율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으며, 지구 기후의 결정적인 변화와 오르도비스기의 대멸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제시했다.[111][112]덴마크 물리학자 헨릭 스벤스마르크(Henrik Svensmark)는 태양 변화가 지구의 우주선 플럭스를 조절하기 때문에 구름 형성률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간접적으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이 된다는 논쟁적인 주장을 펼쳤다.[113][114] 스벤스마르크는 지구 온난화에 대한 주류 과학적 평가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는 몇몇 과학자 중 한 명이며, 우주선이 지구 온난화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이 과학적 근거보다는 이념적으로 치우쳐 있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115] 다른 과학자들은 스벤스마르크의 부정확하고 일관성 없는 연구를 강력하게 비판했다. 한 예로, 하층 구름 데이터의 오차는 축소했지만 상층 구름 데이터의 오차는 축소하지 않은 구름 데이터 조정이 있다.[116] 또 다른 예로는 "물리적 데이터의 잘못된 처리"로 인해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는 그래프가 생성된 것이다.[117] 스벤스마르크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은하 우주선은 구름량 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118] 연구에서 지구 온도 변화와 인과관계가 없다는 것이 입증되었다.[119]
6. 연구 및 실험
1912년 오스트리아의 헤스는 비행 기구를 타고 5,000m 상공으로 올라가 실험을 했는데, 올라갈수록 대기의 전리 작용(이온화)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당시 대기의 전리 작용의 원인이 지구 외부에서 오는 방사선에 의한 것인지, 지구 내부의 방사선을 가진 광물에 의한 것인지는 알지 못하고 있었는데, 헤스의 측정으로 그 원인이 밝혀졌다. 4,500m쯤 올라가면 전리 작용이 증가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아낸 것이다. 1922년 미국의 밀리컨은 사람이 타지 않는 기구를 약 1만 6,000m의 고도까지 올리는 데 성공하였으며, 자동 기록 장치로 대기 중의 전리 작용을 측정하였다. 그는 비행중인 비행기 위나 산의 정상, 호수의 수면 밑 등에도 방사선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기원은 지구의 외부라고 결론지었다. 그래서 우주선이라는 이름을 제안하였다.[20][21]
주된 우주선(cosmic rays)은 대부분 태양계 바깥, 때로는 은하수 바깥에서 기원하며, 지구 대기와 상호 작용하면 이차 입자로 변환된다. 헬륨과 수소 원자핵의 질량 비율은 28%로, 이들 원소의 원시 원소 존재비 비율 24%와 유사하다.[59] 나머지 부분은 주로 리튬, 베릴륨, 붕소와 같이 핵합성의 전형적인 최종 생성물인 다른 무거운 원자핵으로 구성된다. 헬륨보다 무거운 하전된 원자핵으로 구성된 우주선을 HZE 이온이라고 하며, 비교적 드물지만 우주에서 우주비행사의 방사선량에 대한 기여가 상당하다.
탄소와 산소 원자핵이 성간 물질과 충돌하여 리튬, 베릴륨, 붕소를 형성하는데, 이는 우주선 파쇄의 한 예이다. 파쇄는 또한 철과 니켈 원자핵이 성간 물질과 충돌하여 생성되는 우주선에서 스칸듐, 티타늄, 바나듐, 망간 이온의 풍부도를 설명한다.[60]
고에너지에서는 조성이 변하고, 일부 에너지 범위에서 더 무거운 원자핵이 더 풍부하다. 현재의 실험은 고에너지에서의 조성을 더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주선에는 태양 우주선과 은하 우주선 등이 있다.[127][128] 우주선의 대부분은 은하계 내를 기원으로 하는 은하 우주선이며, 초신성 잔해 등에 의해 가속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들은 은하 자기장에 의해 은하 내에 장시간 갇히기 때문에, 은하 내 물질과의 충돌로 파쇄되어 다른 원자핵으로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Li, Be, B, Sc, V 등의 원소 존재비가 태양계 내의 것과 우주선 중에서 크게 다른 것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주선의 원소비와 동위원소 존재비를 측정함으로써 우주선이 통과한 물질량을 추정할 수 있다.
에너지가 높은 우주선의 도래 빈도는 극단적으로 낮아지지만, 그 에너지 스펙트럼은 멱함수 dI/dE∝E-α(α〜3)로 근사할 수 있다. 따라서 우주선의 가속은 열적인 것이 아니라, 항성간 자기 구름이나 충격파와의 충돌을 반복하는 페르미 가속과 같은 기구가 생각된다.
지구 대기 내에 고에너지의 우주선이 입사하는 경우, 에어 샤워 현상이 생겨 많은 2차 입자가 발생한다. 수명이 짧은 것은 곧 붕괴하지만, 안정된 입자는 지상에서 관측된다. 이때, 대기 중에 입사하는 우주선을 1차 우주선, 거기서 발생한 입자를 2차 우주선이라고 부른다.[129][130] 1차 우주선의 대부분은 양성자를 비롯한 하전입자이다. 2차 우주선은 지상 고도에서는 대부분 μ입자이다.
입자가속기 등에서 인간이 만들어낼 수 있는 에너지는, 중심계에서 최대 1013 eV 정도(CERN에서 계획되고 있는 LHC가 1.4×1013 eV)이며, 실험실계로 환산해도 1017 eV 정도이다. 그에 대해 우주선의 에너지는 실험실계에서 최대 1020 eV에 달한다. 따라서 우주선에 의해 초고에너지 영역에서의 소립자 반응에 대한 중요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실제로 다양한 새로운 입자가 소립자 실험보다 먼저 우주선 중에서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GZK 한계를 넘는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초고에너지 우주선)은 관측되지 않는다고 여겨지지만, 그 관측을 목적으로 한 실험 계획(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이 있다.
우주선은 집적회로 중의 소자와 같은 아주 미소한 전자 장치의 오작동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기본적인 부분은 다른 방사선 등과 같지만, 지상에서는 어디든 내리쬐고 있다는 점 등 특이한 점도 있어, 이학적인 연구로서 뿐만 아니라, 실무적인 공학적인 대책 등이 검토되는 대상이기도 하다.
1900년경, 자연 방사선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어두운 곳에 설치된 검전기(electroscope)가 방전되는 현상이 관측되었는데, 이는 우주선의 존재를 보여주는 최초의 단서가 되었다.
빅토르 프란츠 헤스는 1912년과 1913년에 유인 기구 실험을 통해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대기의 이온화가 증가하는 것을 관측했고, 이는 우주선의 방사원이 지구 대기 밖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였다. 이 업적으로 그는 193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1929년에는 스코벨츠인(Skobeltsyn)이 윌슨 구름상자(cloud chamber)를 발명하여 우주선 입자가 만드는 궤적을 관찰했다. 같은 해, 가이거(Geiger)와 뮬러(Muller)에 의해 가이거-뮬러 계수기가 발명되어 개별 우주선을 검출하고 도착 시간을 매우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윌슨 구름상자 실험은 우주선이 하전 입자의 샤워(shower)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대기 샤워(air shower)란, 1차 우주선이 대기권에 진입할 때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이온화 입자와 전자기 방사선의 광범위(수 킬로미터의 폭)에 걸친 캐스케이드 현상이다. 1934년에 B. 로시(B. Rossi)에 의해 발견되었고, 1937년 P. 오제(P. Auger)는 로시의 보고를 모르는 상태에서 같은 현상을 발견했다. 오제는 고에너지의 1차 우주선 입자가 대기권 상층부에서 대기 원자핵과 상호작용하여 2차, 3차 상호작용의 캐스케이드가 시작되고, 최종적으로 전자와 광자의 샤워가 지상에 도달한다는 것을 관측을 통해 밝혔다. 로시는 검출기를 서로 멀리 떨어뜨려 우주선을 관측함으로써 많은 입자가 동시에 검출기에 도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1930년대부터 1950년대 초까지 우주선은 새로운 입자의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30년에는 밀리컨(Millikan)과 앤더슨(Anderson)이 윌슨 구름상자를 통과하는 입자의 궤적을 조사했고, 앤더슨은 양전하를 띠고 전자와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입자(양전자)를 관측했다 (Anderson 1932). 1933년 블래킷(Blackett)과 오키알리니(Occhialini)는 우주선이 챔버를 통과할 때 자동으로 트리거되는 윌슨 구름상자를 사용하여 양전자를 재확인했다 (Blackett and Occhialini, 1933). 양전자의 존재는 1928년 디랙(Dirac)에 의해 이미 이론적으로 예측되었다. 1936년에는 앤더슨과 네드더마이어(Neddermeyer)가 우주선으로부터 중간자(mesotron)라 불리는 전자와 양성자의 중간 질량을 가진 입자를 발견했다. 이것은 1935년 유카와(湯川)에 의해 이론적으로 예측되었다.
2023년 11월 24일, 오사카 공립대학(大阪公立大学) 연구팀이 계산상 1그램으로 지구가 파괴될 정도의 강력한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8년부터 미국 유타주 사막 지대에 507대의 검출 장치를 설치하고 관측을 계속하고 있다.[131]
우주선 연구는 지상 기반 관측, 우주 기반 관측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지상 기반 관측은 광범위한 대기 샤워(EAS)를 형성하는 이차 입자를 탐지하거나, 대기 중 EAS에서 방출되는 전자기 복사를 탐지한다. 우주 기반 관측은 인공위성, 우주 탐사선, 고고도 기구 등을 이용하여 우주 공간에서 직접 우주선을 관측한다. 한국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탑재된 알파 자기 분광계 실험에 참여하여 우주선 내 반물질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6. 1. 지상 기반 관측
현재 사용 중인 우주선을 탐지하는 지상 기반 방법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다양한 종류의 입자 검출기를 사용하여 광범위한 대기 샤워(EAS)를 형성하는 이차 입자를 탐지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대기 중 EAS에서 방출되는 전자기 복사를 탐지하는 것이다.입자 검출기로 구성된 광범위한 대기 샤워 배열은 통과하는 하전 입자를 측정한다. EAS 배열은 넓은 영역의 하늘을 관측할 수 있으며 90% 이상의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대기 체렌코프 망원경보다 배경 효과를 우주선과 구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대부분의 최첨단 EAS 배열은 플라스틱 섬광체를 사용한다. 또한 물(액체 또는 고체)은 입자가 통과하여 체렌코프 복사를 생성하여 검출 가능하게 하는 검출 매질로 사용된다.[75] 따라서 여러 배열이 신틸레이터의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물/얼음 체렌코프 검출기를 사용한다.
여러 검출기를 조합함으로써 일부 EAS 배열은 뮤온을 가벼운 이차 입자(광자, 전자, 양전자)와 구분할 수 있다. 이차 입자 중 뮤온의 비율은 기본 우주선의 질량 구성을 추정하는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시범 목적으로 여전히 사용되는 역사적인 이차 입자 탐지 방법은 파이온이 붕괴될 때 생성되는 이차 뮤온을 탐지하기 위해 운무상을 사용하는 것이다.[76] 특히 운무상은 널리 사용 가능한 재료로 제작할 수 있으며 고등학교 실험실에서도 제작할 수 있다. 거품상을 이용한 다섯 번째 방법은 우주선 입자를 탐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77]
최근에는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 카메라의 CMOS 장치가 초고에너지 우주선으로부터 대기 샤워를 탐지하는 실용적인 분산 네트워크로 제안되었다.[78] 이 제안을 활용한 최초의 앱은 CRAYFIS(Cosmic RAYs Found in Smartphones) 실험이었다.[79][80] 2017년, CREDO(Cosmic-Ray Extremely Distributed Observatory) 협력단[81]은 안드로이드 기기를 위한 완전히 오픈 소스 앱의 첫 번째 버전을 출시했다. 그 이후로 이 협력단은 전 세계의 많은 과학 기관, 교육 기관 및 일반인들의 관심과 지원을 받고 있다.[82] 미래 연구는 이 새로운 기술이 전용 EAS 배열과 어떤 측면에서 경쟁할 수 있는지 보여줘야 한다.
두 번째 범주에서 첫 번째 탐지 방법은 대기 체렌코프 망원경이라고 하며, 우주선의 체렌코프 복사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저에너지(200 GeV 미만) 우주선을 탐지하도록 설계되었다. 우주선의 경우 대기라는 매질에서 빛보다 빠르게 이동할 때 방출되는 감마선이다.[83] 이러한 망원경은 배경 방사선과 우주선 기원의 방사선을 구분하는 데 매우 뛰어나지만, 달이 빛나지 않는 맑은 밤에만 제대로 작동하고, 시야가 매우 좁으며, 시간의 몇 퍼센트만 작동한다.
두 번째 방법은 대기를 통과하는 입자에 의해 대기 중 질소의 여기로 인해 발생하는 질소 형광의 빛을 탐지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특히 입자 검출기의 EAS 배열과 결합할 때 가장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에 대해 가장 정확하다.[84] 체렌코프 광의 탐지와 마찬가지로 이 방법은 맑은 밤에만 제한된다.
또 다른 방법은 대기 샤워에서 방출되는 전파를 탐지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입자 검출기와 유사하게 높은 작동률을 갖는다. 이 기술의 정확도는 여러 시제품 실험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최근 몇 년 동안 향상되었으며, 적어도 고에너지에서는 대기 체렌코프 광 및 형광 광의 탐지에 대한 대안이 될 수 있다.
다음은 우주선 연구 계획의 일부 목록이다.
연구 계획 |
---|
아케노 거대 공기샤워 배열 |
시카고 공기샤워 배열 |
CHICOS |
CLOUD |
CRIPT |
GAMMA |
GRAPES-3 |
고고도 수체렌코프 실험 |
HEGRA |
고에너지 입체 시스템 |
고해상도 파리 눈 우주선 검출기 |
아이스큐브 중성미자 관측소 |
KASCADE |
매직 망원경 |
MARIACHI |
밀라그로 실험 |
NMDB |
피에르 오제 관측소 |
쿼크넷 |
스페이스쉽 어스 검출기 |
망원경 배열 프로젝트 |
툰카 실험 |
VERITAS |
워싱턴 대면적 시간 동시 배열 |
슈퍼-카미오칸데 |
캥거루(물리학) |
텔레스코프 어레이 실험 |
GRAPES-3 |
6. 2. 우주 기반 관측
인공위성, 우주 탐사선, 고고도 기구 등을 이용하여 우주 공간에서 직접 우주선을 관측하고 연구한다. 주요 우주 기반 우주선 관측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6. 3. 한국의 우주선 연구 참여
한국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탑재된 알파 자기 분광계 실험에 참여하여 우주선 내 반물질 탐색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참조
[1]
서적
Atomic and Nuclear Physics
Pearson Education India
2008
[2]
뉴스
Detecting cosmic rays from a galaxy far, far away
https://www.scienced[...]
2017-12-26
[3]
서적
Earth System: History and Natural Variability
Eolss Publishers
[4]
학술지
Detection of the characteristic pion decay-signature in supernova remnants
2013-02-15
[5]
보도자료
Evidence shows that cosmic rays come from exploding stars
http://www.aaas.org/[...]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3-02-13
[6]
학술지
Acceleration of petaelectronvolt protons in the Galactic Centre
[7]
학술지
Neutrino emission from the direction of the blazar TXS 0506+056 prior to the IceCube-170922A alert
2018-07-12
[8]
웹사이트
Are cosmic rays electromagnetic radiation?
http://helios.gsfc.n[...]
NASA
2012-12-11
[9]
웹사이트
What are cosmic rays?
http://imagine.gsfc.[...]
NASA
[10]
학술지
Data-driven model of the cosmic-ray flux and mass composition from 10 GeV to 10^11 GeV
[11]
웹사이트
Cosmic Rays
https://imagine.gsfc[...]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19-03-23
[12]
웹사이트
Extremely powerful cosmic rays are raining down on us. No one knows where they come from
https://www.vox.com/[...]
Vox Media
2022-12-14
[13]
학술지
Potential benefit of retrospective use of neutron monitors in improving ionising radiation exposure assessment on international flights: issues raised by neutron passive dosimeter measurements and EPCARD simulations during sudden changes in solar activity
[14]
웹사이트
Cosmic rays: particles from outer space
https://home.cern/sc[...]
CERN
[15]
뉴스
Astronomy without a telescope – 'Oh-my-God' particles
http://www.universet[...]
2013-02-17
[16]
웹사이트
LHC: The guide
https://home.web.cer[...]
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 (CERN)
2022-10-09
[17]
잡지
Extreme speed
http://ska.cosmosmag[...]
2011-11
[18]
학술지
Ultrahigh energy cosmic rays: The state of the art before the Auger Observatory
[19]
웹사이트
Cosmic rays
http://hyperphysics.[...]
Georgia State University
2013-02-17
[20]
서적
Radioactivity: A History of a Mysterious Scienc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8-25
[21]
서적
Cosmos: An Illustrated History of Astronomy and Cosmolog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8-07-15
[22]
학술지
Beobachtungen über die Strahlung hoher Durchdringungsfähigkeit auf dem Eiffelturm
https://babel.hathit[...]
1910
[23]
학술지
La radiazione penetrante alla superficie ed in seno alle acque
[24]
웹사이트
Nobel Prize in Physics 1936 – Presentation Speech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936-12-10
[25]
학술지
Über Beobachtungen der durchdringenden Strahlung bei sieben Freiballonfahrten
[26]
학술지
Messungen der durchdringenden Strahlung im Freiballon in größeren Höhen
https://babel.hathit[...]
1913
[27]
학술지
Messungen der durchdringenden Strahlungen bis in Höhen von 9300 m.
https://babel.hathit[...]
1914
[28]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36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10-02-11
[29]
웹사이트
Unsolved Problems in Physics: Tasks for the Immediate Future in Cosmic Ray Studies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10-02-11
[30]
서적
Cosmic Rays
McGraw-Hill
[31]
학술지
Discussion on Ultra-Penetrating Rays
[32]
학술지
Penetrating Radiation
http://www.dwc.knaw.[...]
[33]
학술지
Das Wesen der Höhenstrahlung
1929-11
[34]
학술지
On the Magnetic Deflection of Cosmic Rays
1930-08
[35]
학술지
The Azimuthal Asymmetry of the Cosmic Radiation
1933-05
[36]
논문
A Positively Charged Component of Cosmic Rays
1933-05-01
[37]
논문
Directional Measurements on the Cosmic Rays Near the Geomagnetic Equator
1934-05-01
[38]
논문
Evidence for Heavy Nuclei in the Primary Cosmic radiation
1948-07-01
[39]
논문
Investigation of the Primary Cosmic Radiation with Nuclear Photographic Emulsions
1948-12-01
[40]
논문
Misure sulla distribuzione angolare di intensita della radiazione penetrante all'Asmara
1934-01-01
[41]
논문
Extensive Cosmic-Ray Showers
1939-07-01
[42]
서적
The Invention and Development of the Radiosonde
http://www.sil.si.ed[...]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2002-01-01
[43]
논문
Radio-Transmission of Cosmic Ray Data from the Stratosphere
1935-01-01
[44]
논문
The Passage of Fast Electrons and the Theory of Cosmic Showers
http://repository.ia[...]
[45]
논문
A study of Bhabha scattering at PETRA energies
1988-01-01
[46]
논문
Cosmic-Ray Air Showers at Sea Level
[47]
웹사이트
The Pierre Auger Observatory
https://www.auger.or[...]
Auger Project
[48]
논문
(none)
1972-01-01
[49]
논문
Cosmic rays from super-novae
[50]
논문
Magnetic variable stars as sources of cosmic rays
[51]
논문
The Crab Nebula as an observed point source of cosmic rays
[52]
웹사이트
Cosmic rays
http://imagine.gsfc.[...]
NASA Goddard Space Flight Center
2010-02-03
[53]
학회발표
Correlation of the Highest Energy Cosmic Rays with Nearby Extragalactic Objects in Pierre Auger Observatory Data
http://www.auger.org[...]
2009-07-01
[54]
논문
Correlation of the highest energy cosmic rays with nearby extragalactic objects in Pierre Auger Observatory data
http://www.auger.org[...]
2009-07-01
[55]
웹사이트
Source of cosmic rays pinned down
http://www.space.com[...]
Tech Media Network
2009-06-25
[56]
논문
PAMELA measurements of cosmic-ray proton and helium spectra
[57]
뉴스
Cosmic ray mystery solved
https://www.theguard[...]
Guardian News and Media Ltd
2013-02-14
[58]
논문
Observation of a large-scale anisotropy in the arrival directions of cosmic rays above 8×10{{sup|18 }}eV
[59]
웹사이트
Cosmic Rays
http://www.srl.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60]
논문
The relative abundances of the elements scandium to manganese in relativistic cosmic rays and the possible radioactive decay of manganese 54
1981-10-01
[61]
논문
High statistics measurement of the positron fraction in primary cosmic rays of 0.5–500 GeV with the alpha magnetic spectrometer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ams.nasa.gov/[...]
2014-09-18
[62]
논문
Synopsis: More dark matter hints from cosmic rays?
https://cds.cern.ch/[...]
[63]
웹사이트
New results from the Alpha Magnetic$Spectrometer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http://ams.nasa.gov/[...]
[64]
논문
First result from the Alpha Magnetic Spectrometer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Precision measurement of the positron fraction in primary cosmic rays of 0.5–350 GeV
https://boa.unimib.i[...]
[65]
논문
Secondary antiprotons and propagation of cosmic rays in the Galaxy and heliosphere
2002-01-01
[66]
논문
The Alpha Magnetic Spectrometer (AMS) on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Part I – Results from the test flight on the space shuttle
2002-08-01
[67]
웹사이트
EGRET detection of gamma rays from the Moon
http://heasarc.gsfc.[...]
NASA
2005-08-01
[68]
서적
Introduction to Astronomy and Cosmology
John Wiley & Sons
[69]
웹사이트
Extreme Space Weather Events
http://sxi.ngdc.noaa[...]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70]
웹사이트
How many?
http://www.auger.org[...]
Pierre Auger Observatory
[71]
웹사이트
The mystery of high-energy cosmic rays
https://web.archive.[...]
Pierre Auger Observatory
2015-07-15
[72]
논문
Evidence for large century time-scale changes in solar activity in the past 32 Kyr, based on in-situ cosmogenic 14C in ice at Summit, Greenland
[73]
서적
Planets, Stars, and Stellar Systems
Springer
[74]
서적
Nuclear tracks in solid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5
[75]
웹사이트
What are cosmic rays?
https://web.archive.[...]
Michigan State University National Superconducting Cyclotron Laboratory
2013-02-23
[76]
웹사이트
Cloud Chambers and Cosmic Rays: A Lesson Plan and Laboratory Activity for the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
http://www.chess.cor[...]
Cornell University Laboratory for Elementary-Particle Physics
2006
[77]
논문
Evidence of a Quark in a High-Energy Cosmic-Ray Bubble-Chamber Picture
[78]
웹사이트
Cosmic ray particle shower? There's an app for that.
https://arstechnica.[...]
2014-10-13
[79]
웹사이트
Collaboration website
https://web.archive.[...]
[80]
웹사이트
CRAYFIS detector array paper
https://web.archive.[...]
[81]
웹사이트
CREDO
https://credo.scienc[...]
[82]
웹사이트
CREDO's first light: The global particle detector begins its collection of scientific data
https://www.eurekale[...]
[83]
웹사이트
The Detection of Cosmic Rays
https://web.archive.[...]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2002-04-03
[84]
논문
Ultrahigh energy cosmic rays
[85]
서적
Quaternary Geochronology: Methods and Applications
https://web.archiv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11-10-28
[86]
웹사이트
Natürliche, durch kosmische Strahlung laufend erzeugte Radionuklide
https://web.archive.[...]
2010-02-11
[87]
웹사이트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http://www.unscear.o[...]
UNSCEAR
2011-06-29
[88]
웹사이트
UNSCEAR 2008 report
http://www.aec.go.jp[...]
Japan NIRS
2011-06-29
[89]
웹사이트
Background radiation
http://web.princeton[...]
Princeton.edu
2011-06-29
[90]
웹사이트
Background radiation
http://www.doh.wa.go[...]
Washington state Dept. of Health
2011-06-29
[91]
웹사이트
Radiation in environment
http://www.kankyo-ho[...]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2011-06-29
[92]
웹사이트
IBM experiments in soft fails in computer electronics (1978–1994)
http://www.research.[...]
2008-04-16
[93]
웹사이트
Solar Storms: Fast Facts
https://www.scientif[...]
Nature Publishing Group
2008-07-21
[94]
뉴스
Intel plans to tackle cosmic ray threat
http://news.bbc.co.u[...]
2008-04-08
[95]
간행물
In-flight upset, 154 km west of Learmonth, Western Australia, 7 October 2008, VH-QPA, Airbus A330-303
https://www.atsb.gov[...]
Australian Transport Safety Bureau
2011
[96]
뉴스
Quantum computers may be destroyed by high-energy particles from space
https://www.newscien[...]
2020-09-07
[97]
뉴스
Cosmic rays may soon stymie quantum computing
https://phys.org/new[...]
2020-09-07
[98]
논문
Impact of ionizing radiation on superconducting qubit coherence
https://www.nature.c[...]
2020-08
[99]
웹사이트
Appendix E: Mass Shielding
https://web.archive.[...]
NASA
2002-07-10
[100]
웹사이트
Magnetic shielding for spacecraft
http://www.thespacer[...]
2005-01-24
[101]
논문
Radiation Will Make Astronauts' Trip to Mars Even Riskier
2013-05-31
[102]
논문
Measurements of Energetic Particle Radiation in Transit to Mars on the Mars Science Laboratory
2013-05-31
[103]
뉴스
Data Point to Radiation Risk for Travelers to Mars
https://www.nytimes.[...]
2013-05-30
[104]
웹사이트
The Effects of Space Weather on Aviation
https://web.archive.[...]
NASA
2013-10-25
[105]
Youtube
Converting Cosmic Rays to Sound During a Transatlantic Flight to Zurich
bAKdaYumlq4
[106]
웹사이트
NAIRAS Real-time radiation Dose
http://sol.spacenvir[...]
[107]
간행물
Runaway Breakdown and the Mysteries of Lightning
http://physicstoday.[...]
2005-05-00
[108]
논문
Cosmic Radiation and the Weather
1959-02-14
[109]
논문
Solar Variability and the Lower Atmosphere
1975-12-00
[110]
뉴스
Ancient Mass Extinctions Caused by Cosmic Radiation, Scientists Say
http://news.national[...]
[111]
논문
Late Ordovician geographic patterns of extinction compared with simulations of astrophysical ionizing radiation damage
[112]
웹사이트
Did Supernova Explosion Contribute to Earth Mass Extinction?
https://www.space.co[...]
2016-07-11
[113]
웹사이트
Sun's Shifts May Cause Global Warming
http://discovermagaz[...]
Discover
2007-06-25
[114]
논문
Influence of Cosmic Rays on Earth's Climate
http://ruby.fgcu.edu[...]
[115]
뉴스
No, a new study does not show cosmic-rays are connected to global warming
http://blogs.discove[...]
Kalmbach
2011-08-31
[116]
웹사이트
'Cosmoclimatology' – tired old arguments in new clothes
http://www.realclima[...]
2007-03-09
[117]
간행물
Solar activity and terrestrial climate: an analysis of some purported correlations
http://stephenschnei[...]
[118]
논문
Solar Influence on Global and Regional Climates
2012-05-16
[119]
논문
Cosmic rays, solar activity and the climate
2013-11-07
[120]
논문
Muon Radiation Dose and Marine Megafaunal Extinction at the end-Pliocene Supernova
2019-00-00
[121]
논문
Evidence for Nearby Supernova Explosions
2002-00-00
[122]
논문
Interstellar 60Fe on the Surface of the Moon
2016-00-00
[123]
웹사이트
宇宙線
https://atomica.jaea[...]
[124]
문서
명월 2011
[125]
문서
주 2010
[126]
웹사이트
“1グラムで地球破壊” 超高エネルギーの「宇宙線」捉える
https://www3.nhk.or.[...]
2023-11-24
[127]
웹사이트
乗鞍岳におけるミューオン強度の精密測定
http://www.icrr.u-to[...]
東京大学
2016-07-02
[128]
웹사이트
宇宙放射線
https://web.archive.[...]
JAXA
2016-07-02
[129]
웹사이트
宇宙船搭乗員の放射線防護
https://atomica.jaea[...]
ATOMICA
2002-00-00
[130]
논문
宇宙線と土壌科学
https://doi.org/10.3[...]
山梨医科大学
[131]
웹사이트
“1グラムで地球破壊” 超高エネルギーの「宇宙線」捉える
https://www3.nhk.or.[...]
2023-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