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팅턴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이 유전적 결함은 뇌의 특정 부위, 특히 기저핵에 영향을 미쳐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걸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한다.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되며, CAG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발병 연령이 빨라지고 증상이 심해진다.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및 비약물 치료법이 존재하며, 유전자 침묵, 자가포식작용 촉진, 줄기세포 치료 등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체외로 및 운동 장애 - 본태성진전
본태성 진전은 특별한 원인 없이 손과 팔에 떨림이 나타나는 가장 흔한 운동 질환 중 하나로, 유전적 요인이 강하게 작용하며 증상 완화를 목표로 치료한다. - 추체외로 및 운동 장애 - 추체외로 증상
추체외로 증상은 추체외로계의 장애로 발생하는 운동 이상 증상으로, 약물 사용이나 뇌 손상 등으로 유발될 수 있으며, 약물 중단이나 변경, 증상에 맞는 약물 투여로 치료한다. - 신경변성 질환 -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 손실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전, 서동증, 근육 강직, 자세 불안정과 같은 운동 증상과 신경정신 증상, 인지 장애, 자율신경계 장애와 같은 비운동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 관리를 위한 약물 치료, 심부 뇌 자극술, 재활 치료 등이 시행된다. - 신경변성 질환 -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은 뇌의 아밀로이드 플라크와 신경원섬유 엉킴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인지 기능 저하, 일상생활 기능 장애, 기억 상실, 언어 장애 등을 동반하며 완치법은 없지만 증상 완화 치료와 관리가 중요하다. - 상염색체 우성 질환 - 결절성 경화증
결절성 경화증은 뇌, 피부, 신장, 심장, 폐 등 여러 장기에 양성 종양 및 과오종을 유발하며 발작, 지적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신장 혈관근종, 림프관평활근종증 등의 증상을 보이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임상적 특징과 유전자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증상 완화 및 합병증 관리를 위한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하다. - 상염색체 우성 질환 - 디조지 증후군
디조지 증후군은 22번 염색체 장완 특정 부위 결실로 발생하는 유전 질환으로, 선천성 심장 질환, 구개 결손, 학습 장애, 특징적인 얼굴 외형, 면역 결핍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유전자 분석으로 진단하고 맞춤형 치료와 다중 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며, "22q11.2 결실 증후군"으로 불리기도 한다.
헌팅턴병 | |
---|---|
질병 정보 | |
![]() | |
다른 이름 | 헌팅턴 무도병 |
진료 분야 | 신경학 |
증상 | 운동 능력(협응 및 걸음걸이 포함), 기분 및 정신 능력 문제 |
합병증 | 폐렴, 심장병, 낙상으로 인한 신체적 부상, 자살 |
발병 시기 | 30–50세 |
지속 기간 | 장기간 |
원인 | 유전적(유전 또는 새로운 돌연변이) |
진단 | 유전자 검사 |
감별 진단 | 시데남 무도병 양성 유전성 무도병 루푸스 종양딸림증후군 윌슨병 |
치료 | 지지 요법 |
약물 | 테트라베나진 |
예후 | 증상 발현 후 15–20년 |
빈도 | 100,000명당 4–15명 (유럽 혈통) |
이름의 유래 | 조지 헌팅턴 |
추가 정보 | |
질병 데이터베이스 | 6060 |
ICD-10 | G10, F02.2 |
ICD-9 | 333.4, 294.1 |
OMIM | 143100 |
메들린플러스 | 000770 |
eMedicine 주제 | 1150165 |
eMedicine 멀티 | 792600 289706 |
메쉬 아이디 | D006816 |
GeneReviews 이름 | Huntington Disease |
GeneReviews NBK | NBK1305 |
오르파넷 | 399 |
관련 정보 | |
관련 사이트 | 헌팅턴병 - 치료 및 지원 |
역사 | 헌팅턴병의 역사 및 유전학 |
국립 신경 장애 및 뇌졸중 연구소 | 헌팅턴병 정보 페이지 |
2. 원인
염색체 4p16.3에 위치하는 헌팅턴(Huntington) 유전자에는 CAG 세 개의 염기가 반복되어 나타나는 특이한 서열이 존재하는데, 비장애인은 19회 정도 반복하지만 헌팅턴병 환자에게서는 40회 이상 나타난다.[192] 이러한 반복 횟수는 헌팅턴병이 발병하는 나이와 반비례한다. 소아 헌팅턴병(''Juvenile Huntington's disease'')의 경우에는 최대 200회 이상의 반복이 나타나는데, 이 때문에 일반 환자에 비해 증상이 조기에 나타난다.[192]
모든 사람은 헌팅틴 단백질(Htt)을 암호화하는 헌팅틴 유전자(''HTT'')의 두 개의 사본을 가지고 있다. ''HTT''는 HD 유전자 또는 ''IT15'' 유전자(흥미로운 전사체 15)라고도 불린다. 이 유전자의 일부는 삼핵산 반복 확장이라고 하는 반복 구간, 즉 개인 간에 길이가 다르고 세대 간에 길이가 변할 수 있는 짧은 반복 서열이다. 건강한 유전자에 이 반복이 존재하는 경우, 동적 돌연변이가 반복 횟수를 증가시켜 결함이 있는 유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반복 구간의 길이가 특정 임계값에 도달하면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mHtt)이라고 하는 변형된 형태의 단백질을 생성한다. 이러한 단백질의 기능 차이는 병리학적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다시 질병 증상을 유발한다. 헌팅턴병 돌연변이는 유전적으로 우성이며 거의 완전히 침투성이다. 사람의 ''HTT'' 대립 유전자 중 하나의 돌연변이가 질병을 일으킨다. 그것은 성별에 따라 유전되는 것이 아니라 유전자의 반복 구간의 길이에 따라 유전된다. 따라서 그 심각성은 영향을 받은 부모의 성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25]
헌팅턴병은 유전자의 반복되는 부분의 길이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여 발생하는 여러 삼염기 반복 질환 중 하나이다.[25] ''HTT'' 유전자는 4번 염색체의 짧은 팔[25] 4p16.3에 위치한다.[25] ''HTT''는 시토신-아데닌-구아닌(CAG)이라는 세 개의 DNA 염기 서열이 여러 번 반복되는(즉, ... CAGCAGCAG ... ) 삼염기 반복을 포함한다.[25] CAG는 글루타민이라는 아미노산의 세 글자 유전 암호(코돈)이므로, 이러한 일련의 CAG는 폴리글루타민 트랙트(또는 polyQ 트랙트)로 알려진 글루타민 사슬의 생성으로 이어지며, 유전자의 반복 부분인 polyQ 영역을 형성한다.[34]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polyQ 영역에 36개 미만의 글루타민 반복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헌팅틴이라는 세포질 단백질의 생성으로 이어진다.[25] 그러나 36개 이상의 글루타민 서열은 특징이 다른 단백질의 생성으로 이어진다.[25] 돌연변이 헌팅틴(mHtt)이라고 불리는 이 변경된 형태는 특정 유형의 중간 가시 뉴런의 붕괴 속도를 증가시킨다. 뇌의 영역은 이러한 유형의 뉴런의 양과 의존도가 다르며 그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25] 일반적으로 CAG 반복 횟수는 이 과정이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와 관련이 있으며, 증상 발현 연령의 변이 약 60%를 차지한다. 나머지 변이는 환경과 HD의 메커니즘을 수정하는 다른 유전자에 기인한다.[25] 약 36~39개의 반복은 발현율이 감소된 질병 형태를 초래하며, 증상의 발병이 훨씬 늦고 진행이 느리다. 어떤 경우에는 발병이 너무 늦어 증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25] 반복 횟수가 매우 많은 경우(60개 이상) HD 발병은 20세 미만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소아기 HD라고 한다. 소아기 HD는 일반적으로 서서히 움직임이 느려지고 경직되고 떨림이 특징인 베스트팔 변이형이다. 이는 HD 보인자의 약 7%를 차지한다.[35][36]
반복 횟수 | 분류 | 질병 상태 | 자녀에게 미치는 위험 |
---|---|---|---|
<27 | 정상 | 영향 없음 | 없음 |
27–35 | 중간 | 영향 없음 | 높지만 50% 미만 |
36–39 | 감소된 발현율 | 영향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 50% |
40+ | 완전 발현율 | 영향을 받음 | 50% |
원인 유전자로서 4번 염색체의 단완에 위치한 huntingtin 유전자(huntingtin gene)가 확인되었다.[177] huntingtin 유전자의 첫 번째 엑손에는 CAG(글루타민(glutamine)을 암호화하는 시토신-아데닌-구아닌) 반복 서열이 존재한다. 비병원성의 경우에는 11~34회 반복이지만, 병원성 유전자에서는 37~876회까지 반복된다. 반복 서열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길어지며, 특히 부계 유전의 경우에는 불명확한 기전에 의해 크게 증가한다. 폴리글루타민병에 속한다.
== 유전 ==
헌팅턴병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부모 중 한 명이라도 변이된 헌팅틴 유전자(HTT)를 가지고 있으면 자녀에게 50% 확률로 유전된다.[25][37] 이 유전자는 4번 염색체 단완(4p16.3)에 위치하며, 첫 번째 엑손에 CAG(시토신-아데닌-구아닌) 반복 서열을 포함한다.[177] 이 CAG 반복 횟수가 36회를 넘으면 헌팅턴병이 발병하며,[40] 비장애인은 19회 정도 반복하지만 헌팅턴병 환자에게서는 40회 이상 나타난다.[192]
삼핵산 CAG 반복 수가 28개를 넘으면 복제 중 불안정해지며, 세대가 지남에 따라 반복 수가 변하는 새로운 확장을 초래한다.[25] 특히 부계 유전 시 CAG 반복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25][39] 이로 인해 세대를 거듭할수록 발병 연령이 빨라지고 증상이 심해지는 유전적 예측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11] 반복 서열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길어지며, 특히 부계 유전의 경우에는 불명확한 기전에 의해 크게 증가한다.[177] 모계로 유전된 대립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반복 길이를 가지는 반면, 부계로 유전된 대립 유전자는 길이가 증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25]
드물게 헌팅턴병은 부모 모두에게 36개 이상의 CAG 반복이 없는 신생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40] 두 부모 모두 확장된 HD 유전자를 가지는 드문 경우에는 자녀의 발병 위험이 75%로 증가하며, 한 부모가 확장된 사본 두 개를 가지는 경우 위험은 100%이다.[25]
2. 1. 유전
헌팅턴병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으로, 부모 중 한 명이라도 변이된 헌팅틴 유전자(HTT)를 가지고 있으면 자녀에게 50% 확률로 유전된다.[25][37] 이 유전자는 4번 염색체 단완(4p16.3)에 위치하며, 첫 번째 엑손에 CAG(시토신-아데닌-구아닌) 반복 서열을 포함한다.[177] 이 CAG 반복 횟수가 36회를 넘으면 헌팅턴병이 발병하며,[40] 비장애인은 19회 정도 반복하지만 헌팅턴병 환자에게서는 40회 이상 나타난다.[192]삼핵산 CAG 반복 수가 28개를 넘으면 복제 중 불안정해지며, 세대가 지남에 따라 반복 수가 변하는 새로운 확장을 초래한다.[25] 특히 부계 유전 시 CAG 반복 횟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25][39] 이로 인해 세대를 거듭할수록 발병 연령이 빨라지고 증상이 심해지는 유전적 예측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11] 반복 서열은 세대를 거듭할수록 길어지며, 특히 부계 유전의 경우에는 불명확한 기전에 의해 크게 증가한다.[177] 모계로 유전된 대립 유전자는 일반적으로 유사한 반복 길이를 가지는 반면, 부계로 유전된 대립 유전자는 길이가 증가할 가능성이 더 높다.[25]
드물게 헌팅턴병은 부모 모두에게 36개 이상의 CAG 반복이 없는 신생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40] 두 부모 모두 확장된 HD 유전자를 가지는 드문 경우에는 자녀의 발병 위험이 75%로 증가하며, 한 부모가 확장된 사본 두 개를 가지는 경우 위험은 100%이다.[25]
3. 증상
헌팅턴병의 증상은 대개 30세에서 50세 사이에 나타나지만, 어떤 연령에서든 시작될 수 있으며([1]), 운동, 인지, 정신 증상의 세 가지 특징으로 나타난다.([2]) 조기에 발병하면 소아 헌팅턴병으로 알려져 있다.([3]) 사례의 50%에서 정신 증상이 먼저 나타난다.([2]) 증상의 진행은 초기, 중기, 후기 단계로 설명되며, 그 이전에 전구기 단계가 있다.([4]) 초기 단계에는 미묘한 성격 변화, 인지 및 신체 기능 문제, 과민성, 기분 변화 등이 나타나며, 이러한 증상들은 종종 알아채지 못할 수도 있다.([5],[6]) 이러한 증상들은 일반적으로 운동 증상보다 먼저 나타난다.([7]) 거의 모든 헌팅턴병 환자는 유사한 신체 증상을 보이지만, 인지 및 행동 증상의 발병, 진행 및 정도는 개인마다 크게 다릅니다.([8],[9])
가장 특징적인 초기 신체 증상은 무도증이라고 하는 경련성, 무작위적이고 통제할 수 없는 움직임이다.([10])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불수의적 움직임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이로 인해 방해받지 않는다.([11]) 무도증은 초기에는 일반적인 불안, 의도치 않게 시작되거나 완료되지 않은 작은 움직임, 협응력 부족 또는 느린 안구 운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12]) 이러한 경미한 운동 이상은 더 명백한 운동 기능 장애의 징후보다 적어도 3년 앞서 나타난다.([13]) 강직, 뒤틀리는 움직임 또는 이상 자세와 같은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은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나타나는 징후이다.([12]) 이러한 증상들은 뇌에서 운동을 담당하는 시스템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나타낸다.([14]) 정신 운동 지체 기능은 점점 더 손상되어 근육 조절이 필요한 모든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근육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강직이나 근육 수축과 같은 증상은 근긴장 이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근긴장 이상은 비틀림이나 반복적인 움직임을 초래하는 신경계 과다 운동 장애로, 진전과 유사할 수 있다. 흔한 결과로는 신체 불안정, 비정상적인 얼굴 표정, 저작, 연하곤란, 구음장애 등이 있다.([12]) 수면 장애 및 체중 감소도 관련 증상입니다.([15]) 식사 곤란은 일반적으로 체중 감소를 유발하고 영양 실조로 이어질 수 있다.([16],[17]) 헌팅턴병 환자는 체중 감소가 흔하며,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체중 감소는 심해집니다. 소아 헌팅턴병은 일반적으로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인지 기능 저하가 더 크며, 무도증은 잠깐 나타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운동 저하의 웨스트팔 변이형, 강직 및 진전은 소아 헌팅턴병에서 더 일반적이며, 발작도 마찬가지이다.([12],[15])
인지 능력은 점진적으로 손상되고 일반적으로 치매로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18]) 특히 계획, 인지적 유연성, 추상적 사고, 규칙 습득, 적절한 행동의 시작 및 부적절한 행동의 억제를 포함하는 집행 기능이 영향을 받습니다. 다양한 인지 장애에는 작업에 집중하는 데 어려움, 유연성 부족, 충동 부족, 자신의 행동과 능력에 대한 인식 부족, 새로운 정보를 배우거나 처리하는 데 어려움 등이 포함됩니다.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기억 결손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보고된 장애는 단기 기억 결손에서 장기 기억 장애까지 다양하며, 에피소드 기억(삶에 대한 기억), 절차 기억(활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신체 기억), 작업 기억의 결손이 포함됩니다.([14])
보고된 신경 정신의학적 징후는 불안, 주요 우울 장애, 감정 표현 감소, 자기 중심주의, 공격성, 강박 행동 및 정신병(환각 및 망상)입니다.([19]) 다른 흔한 정신 질환에는 강박 장애, 조증, 불면증 및 양극성 장애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부정적인 표정을 인식하는 데 어려움도 관찰되었습니다.([14]) 이러한 증상의 유병률은 연구마다 매우 다르며, 평생 정신 질환의 유병률은 33%에서 76%로 추정됩니다.([19]) 많은 환자와 그 가족에게 이러한 증상은 질병의 가장 괴로운 측면 중 하나이며, 종종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입원의 이유가 됩니다.([19]) 헌팅턴병의 초기 행동 변화는 자살 위험을 증가시킨다.([10]) 종종 개인은 무도증, 인지 및 정서적 장애에 대한 인식이 저하된다.([20])
돌연변이 헌팅틴은 신체 전체에서 발현되며, 뇌 외부에서의 발현으로 직접적으로 유발되는 말초 조직의 이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상에는 근육 위축, 심부전, 포도당 내성 장애, 체중 감소, 골다공증 및 고환 위축이 포함됩니다.([21])
35~44세에 발병하는 경우가 가장 많지만, 소아기부터 노년기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발병할 수 있다.[172][173]
보고된 신경 증상으로는 치매[174][175], 불안, 우울증, 감정 둔마, 자기 중심성, 공격성, 강박 증상, 후기에는 중독의 발생 또는 악화(알코올 중독, 도박 중독, 성욕 항진 등) 등이 있다.[176]
3. 1. 운동 증상
헌팅턴병의 운동 증상은 대개 안면 경련과 함께 시작되며, 이후 불규칙하고 통제 불가능한 경련성 움직임(무도증, Chorea)이 신체 다른 부위로 퍼져 환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비틀리는 운동으로 발전한다. 무도증은 무용과 유사해 보이는 움직임을 보이기도 한다. 점차 경련이나 비틀리는 운동은 걷기, 말하기, 삼킴 곤란 및 다른 자발적인 운동을 방해하고, 새로운 운동 습관을 형성하는 능력을 쇠퇴시킨다. 근긴장 이상(Dystonia)과 같이 근육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강직이나 근육 수축으로 인해 비틀림이나 반복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기도 하며, 운동 완서(Bradykinesia), 강직(Rigidity), 자세 이상 등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도 나타날 수 있다.이 장애는 광범위한 뇌손상과 관련되는데, 특히 미상핵, 조가비핵, 담창구의 손상을 가져오며 대뇌피질에도 어느 정도 손상을 입게 된다. 병이 진행됨에 따라 뇌의 총 무게가 정상보다 15~20% 정도 감소하기도 한다. 가장 큰 손상을 입는 것은 GABA를 신경전달물질로 분비하는 뉴런들이다.
3. 2. 인지 증상
헌팅턴병은 집행 기능에 장애를 일으켜 계획 수립, 인지적 유연성, 추상적 사고, 규칙 습득 등에 어려움을 초래한다.[176] 또한 기억력 저하를 유발하여 단기 기억, 장기 기억, 절차 기억, 작업 기억 등 다양한 기억 영역에 문제를 일으킨다.[174][175] 이러한 인지 기능 저하는 점차 치매로 진행될 수 있다.[174][175] 이외에도 불안, 우울증, 감정 둔마, 자기 중심성, 공격성, 강박 증상, 후기에는 중독의 발생 또는 악화(알코올 중독, 도박 중독, 성욕 항진 등)등의 신경 증상이 보고되었다.[176]
3. 3. 정신 증상
헌팅턴병 환자들은 여러 가지 심리적 장애를 겪는데, 여기엔 우울증, 기억장애, 불안, 환각과 망상, 판단력의 쇠퇴, 알코올 중독, 약물 남용, 그리고 완전한 무반응성에서부터 분별없는 난잡함에 걸친 성격 장애가 포함된다. 어떤 경우에는 심리적 장애가 운동 장애보다 먼저 발달하기도 한다.과민성 | 38–73% |
무감정 | 34–76% |
불안 | 34–61% |
우울증 | 33–69% |
강박증 | 10–52% |
정신병 | 3–11% |
보고된 신경 증상으로는 치매, 불안, 우울증, 감정 둔마, 자기 중심성, 공격성, 강박 증상, 후기에는 중독의 발생 또는 악화(알코올 중독, 도박 중독, 성욕 항진 등) 등이 있다.
4. 병태 생리
헌팅틴 단백질은 100개가 넘는 다른 단백질과 상호작용하며, 여러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43] 돌연변이 단백질(mHtt)의 행동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특히 뇌세포를 포함한 특정 세포 유형에 독성이 있다. 초기 손상은 피질하 기저핵에서, 특히 선조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대뇌피질 영역을 포함한 뇌의 다른 영역에도 영향을 미친다. 초기 증상은 선조체와 그 피질 연결의 기능, 즉 운동, 기분 및 고차원적인 인지 기능의 조절에 기인한다.[25] DNA 메틸화 또한 HD에서 변화되는 것으로 보인다.[44]
돌연변이 헌팅틴(mHtt)의 독성 작용은 여러 세포 변화를 통해 헌팅턴병 병리 현상을 나타내고 생성할 수 있다.[46][47]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집체가 축적되어 세포 내에 봉입체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뉴런 기능을 방해한다.[48][46] 봉입체는 세포핵과 세포질 모두에서 발견되었다.[46] 뇌 세포의 봉입체는 가장 초기의 병리학적 변화 중 하나이며, 일부 실험에서는 세포에 독성이 있을 수 있음을 발견했지만, 다른 실험에서는 신체의 방어 기전의 일부로 형성되어 세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6]
mHtt가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경로가 확인되었는데, 여기에는 단백질을 접고 잘못 접힌 단백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샤페론 단백질에 대한 영향, 세포 제거 과정에서 역할을 하는 카스파제와의 상호 작용, 신경 세포에 대한 글루타민의 독성 효과, 세포 내 에너지 생산의 손상, 유전자 발현에 대한 영향이 포함된다.[48][50]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1]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의 손상은 더 높은 수준의 산화 스트레스와 활성 산소종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52]
글루타민은 다량으로 존재할 때 흥분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많은 세포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헌팅턴병에서 과도한 글루타민은 발견되지 않지만, 변형된 헌팅틴 단백질이 뉴런의 수많은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글루타민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취약성 증가는 정상적인 글루타민 수준으로 인한 흥분독성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48]
헌팅턴병 초기에는 뇌의 기저핵 중 등쪽선조체(꼬리핵과 조가비핵)가 주로 영향을 받는다.[53][54]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흑질을 포함한 기저핵의 다른 부위와 피질 3, 5, 6층이 영향을 받는다.[25] 또한 해마, 소뇌의 푸르키네 세포, 시상하부의 외측 융기핵과 시상의 일부도 영향을 받아 세포 손실에 따라 크기가 감소한다.[25] 선조체의 중형 가시 뉴런이 가장 취약하며, 특히 외부담창으로 투사하는 뉴런이 그렇고, 내부담창으로 투사하는 억제뉴런과 가시세포는 영향을 덜 받는다.[25][55] 헌팅턴병은 뇌 면역 세포인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와 비정상적인 증가를 유발한다.[56]
기저핵은 운동과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지 집행 시스템[27]과 운동 회로의 일부로 여겨진다.[57] 기저핵은 특정 운동을 생성하는 여러 회로를 억제하는데, 대뇌 피질이 기저핵에 신호를 보내 이러한 억제를 해제한다. 기저핵 손상은 억제의 해제 또는 재개를 불규칙하고 통제 불능으로 만들어 움직임의 시작이 어색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시작되거나, 의도한 완료 전이나 후에 움직임이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누적 손상은 헌팅턴병의 특징적인 불규칙적인 움직임인 무도병(운동 이상의 일종)을 유발한다.[57] 기저핵의 운동 억제 기능 저하로 인해 말하기 능력과 음식 및 액체를 삼키는 능력(연하곤란)이 감소한다.[58]
전사 조절 보조인자 CREB 결합 단백질(CBP)는 많은 프로모터에서 보조 활성인자로 작용하여 생존 경로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하기 때문에 세포 기능에 필수적이다.[50] CBP는 아세틸트랜스퍼라제 도메인을 포함하고 있으며, 헌팅턴 단백질(HTT)은 폴리글루타민 함유 도메인을 통해 이 도메인에 결합한다.[59] 헌팅턴병 환자의 부검된 뇌에서는 CBP의 양이 엄청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60] 또한, CBP가 과발현되면 폴리글루타민에 의한 세포 사멸이 감소하는데, 이는 CBP가 헌팅턴병과 일반적인 뉴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더욱 보여준다.[50]
헌팅틴 유전자는 3145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헌팅틴(Huntingtin)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이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에서 발현되며, 전체 길이의 단백질은 주로 세포질에 존재한다. 다른 단백질과는 특별히 명확한 아미노산 서열 유사성은 없지만, 어떤 종류의 신경영양인자의 발현량 증가에, 전사 억제 인자의 억제를 통해 기능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178][179]
CAG 반복이 증가한 유전자에서는 아미노 말단의 글루타민 연속이 길어진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헌팅틴 단백질은 더욱 응집되기 쉽다. 또한 긴 폴리글루타민은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헌팅틴 단백질 자체의 절단을 촉진하는 등이 보고되었다. 절단된 단백질은 핵에 많이 존재하며, 이것이 세포에 대한 독성을 발휘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경 변성을 일으키는 상세한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환자의 뇌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 사슬의 이상이나 미토콘드리아 DNA의 결실률 상승, 아포토시스 기전과의 관련성, 전사 조절과의 관련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평균적으로 여자아이에게 많다. 그리고 GABA 함유 뉴런이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180][175]
4. 1. 헌팅틴 단백질의 기능
정상 헌팅틴 단백질(Htt)은 전사, 세포 신호 전달, 세포 내 수송 등 다양한 세포 기능에 관여하는 단백질과 상호작용한다.[51] HTT 유전자는 모든 세포에서 발현되며, 뇌와 고환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간, 심장, 폐에서는 중간 정도의 양이 발견된다. 헌팅턴병을 나타내도록 유전자 조작된 동물에서 HTT는 배아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HTT의 부재는 배아 사망과 관련이 있다.[45] 또한 HTT는 아포토시스를 억제하는 항아포토시스 인자로 작용하고, 뉴런을 보호하고 신경 발생 과정에서 생성을 조절하는 뇌유래신경영양인자(BDNF)의 생성을 조절한다. HTT는 시냅스 소포 수송 및 시냅스 전달을 촉진하고, 뉴런 유전자 전사를 조절한다.[45] HTT의 발현이 증가하면 뇌세포 생존율이 향상되고 mHTT의 영향이 감소하는 반면, HTT의 발현이 감소하면 mHTT가 존재할 때와 유사한 특징이 나타난다.[45] 따라서 이 질병은 HTT의 불충분한 생성이 아니라, mHTT의 독성 기능 증가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25]헌팅틴 유전자는 3145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헌팅틴(Huntingtin)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이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에서 발현되며, 주로 세포질에 존재한다. 어떤 종류의 신경영양인자의 발현량 증가에, 전사 억제 인자의 억제를 통해 기능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178][179]
CAG 반복이 증가한 유전자에서는 아미노 말단의 글루타민 연속이 길어진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헌팅틴 단백질은 더욱 응집되기 쉽다. 긴 폴리글루타민은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헌팅틴 단백질 자체의 절단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절단된 단백질은 핵에 많이 존재하며, 이것이 세포에 대한 독성을 발휘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경 변성을 일으키는 상세한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미토콘드리아의 호흡 사슬의 이상이나 미토콘드리아 DNA의 결실률 상승, 아포토시스 기전과의 관련성, 전사 조절과의 관련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GABA 함유 뉴런이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180][175]
4. 2. 세포 변화
돌연변이 헌팅틴(mHtt)의 독성 작용은 여러 세포 변화를 통해 헌팅턴병 병리 현상을 나타내고 생성할 수 있다.[46][47] 돌연변이(폴리글루타민 확장) 형태에서 이 단백질은 더 짧은 폴리글루타민 확장 부분을 포함하는 단편을 생성하는 분해에 더 취약하다.[46] 이러한 단백질 단편은 잘못 접힘 및 응집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으며, 여러 단백질의 비천연 폴리글루타민 β-가닥이 수소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 섬유상 응집체를 생성한다.[48] 이러한 응집체는 다른 단백질 침착 질환에서 볼 수 있는 동일한 기본적인 크로스-베타 아밀로이드 구조를 공유한다.[49]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응집체가 축적되어 세포 내에 봉입체를 형성하여 궁극적으로 뉴런 기능을 방해한다.[48][46] 봉입체는 세포핵과 세포질 모두에서 발견되었다.[46] 뇌 세포의 봉입체는 가장 초기의 병리학적 변화 중 하나이며, 일부 실험에서는 세포에 독성이 있을 수 있음을 발견했지만, 다른 실험에서는 신체의 방어 기전의 일부로 형성되어 세포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46]
mHtt가 세포 사멸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경로가 확인되었는데, 여기에는 단백질을 접고 잘못 접힌 단백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샤페론 단백질에 대한 영향, 세포 제거 과정에서 역할을 하는 카스파제와의 상호 작용, 신경 세포에 대한 글루타민의 독성 효과, 세포 내 에너지 생산의 손상, 유전자 발현에 대한 영향이 포함된다.[48][50]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1]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의 손상은 더 높은 수준의 산화 스트레스와 활성 산소종의 방출을 초래할 수 있다.[52]
글루타민은 다량으로 존재할 때 흥분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많은 세포 구조에 손상을 줄 수 있다. 헌팅턴병에서 과도한 글루타민은 발견되지 않지만, 변형된 헌팅틴 단백질이 뉴런의 수많은 단백질과 상호 작용하여 글루타민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취약성 증가는 정상적인 글루타민 수준으로 인한 흥분독성 효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48]
헌팅틴 유전자는 3145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헌팅틴(Huntingtin)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이 단백질은 다양한 조직에서 발현되며, 전체 길이의 단백질은 주로 세포질에 존재한다. 다른 단백질과는 특별히 명확한 아미노산 서열 유사성은 없지만, 어떤 종류의 신경영양인자의 발현량 증가에, 전사 억제 인자의 억제를 통해 기능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178][179]
CAG 반복이 증가한 유전자에서는 아미노 말단의 글루타민 연속이 길어진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헌팅틴 단백질은 더욱 응집되기 쉽다. 또한 긴 폴리글루타민은 다른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고, 헌팅틴 단백질 자체의 절단을 촉진하는 등이 보고되었다. 절단된 단백질은 핵에 많이 존재하며, 이것이 세포에 대한 독성을 발휘하는 데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신경 변성을 일으키는 상세한 기전은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환자의 뇌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호흡 사슬의 이상이나 미토콘드리아 DNA의 결실률 상승, 아포토시스 기전과의 관련성, 전사 조절과의 관련성 등이 지적되고 있다.
평균적으로 여자아이에게 많다. 그리고 GABA 함유 뉴런이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180][175]
4. 3. 거시적 변화
헌팅턴병 초기에는 뇌의 기저핵 중 등쪽선조체(꼬리핵과 조가비핵)가 주로 영향을 받는다.[53][54]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흑질을 포함한 기저핵의 다른 부위와 피질 3, 5, 6층이 영향을 받는다.[25] 또한 해마, 소뇌의 푸르키네 세포, 시상하부의 외측 융기핵과 시상의 일부도 영향을 받아 세포 손실에 따라 크기가 감소한다.[25] 선조체의 중형 가시 뉴런이 가장 취약하며, 특히 외부담창으로 투사하는 뉴런이 그렇고, 내부담창으로 투사하는 억제뉴런과 가시세포는 영향을 덜 받는다.[25][55] 헌팅턴병은 뇌 면역 세포인 미세아교세포의 활성화와 비정상적인 증가를 유발한다.[56]기저핵은 운동과 행동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인지 집행 시스템[27]과 운동 회로의 일부로 여겨진다.[57] 기저핵은 특정 운동을 생성하는 여러 회로를 억제하는데, 대뇌 피질이 기저핵에 신호를 보내 이러한 억제를 해제한다. 기저핵 손상은 억제의 해제 또는 재개를 불규칙하고 통제 불능으로 만들어 움직임의 시작이 어색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이 시작되거나, 의도한 완료 전이나 후에 움직임이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누적 손상은 헌팅턴병의 특징적인 불규칙적인 움직임인 무도병(운동 이상의 일종)을 유발한다.[57] 기저핵의 운동 억제 기능 저하로 인해 말하기 능력과 음식 및 액체를 삼키는 능력(연하곤란)이 감소한다.[58]
평균적으로 여자아이에게 많으며,GABA 함유 뉴런이 탈락하는 경우가 많다.[180][175]
5. 진단
헌팅턴병의 발병 진단은 질병 특유의 신체 증상이 나타난 후 내려질 수 있다.[25] 헌팅턴병 가족력이 없는 경우 유전자 검사를 통해 신체적 진단을 확인할 수 있다. 증상 발현 전에도 유전자 검사를 통해 개인이나 배아가 질병을 유발하는 ''HTT'' 유전자 내 삼염기 반복 서열(CAG)의 확장된 사본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유전 상담은 검사 절차 전반에 걸쳐 조언과 안내를 제공하고 확진된 진단의 의미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의미에는 개인의 심리, 직업, 가족 계획 결정, 친척 및 관계에 대한 영향이 포함된다. 증상 발현 전 검사가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헌팅턴병 유전 위험이 있는 사람 중 5%만이 검사를 선택한다.[25]
헌팅턴병 진단의 약 99%는 전형적인 증상과 가족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헌팅턴병을 일으키는 삼핵산 반복 서열의 확장이 확인된다.[25] 나머지 대부분은 HD 유사 증후군(HDL)으로 분류된다.[25][79] 대부분의 HDL 질환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원인이 밝혀진 경우는 프리온 단백질 유전자(PRNP, HDL1), 정접필린 3 유전자(JPH3, HDL2), 상염색체 열성 유전 질환의 원인이 되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유전자(HDL3 - 두 가족에서만 발견되었고, 잘 알려지지 않음), 그리고 TATA 상자 결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SCA17, 때때로 HDL4라고 함)의 돌연변이 때문입니다. 헌팅턴병으로 오진될 수 있는 다른 상염색체 우성 질환으로는 치아핵 적색핵 담창구 루이소체 위축증과 신경페리틴병증이 있습니다. 또한, 일부 상염색체 열성 장애는 산발성 헌팅턴병과 유사합니다. 여기에는 가시적혈구성 무도병과 판토텐산 키나아제 관련 신경변성 질환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유형의 성염색체 연관 장애 중 하나는 맥리오드 증후군입니다.[79]
5. 1. 임상 진단
신체 검사는 때때로 정신과적 검사와 병행하여 질병의 발병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5] 신체의 어떤 부분에서든 과도한 비의도적 움직임이 종종 의학적 상담을 구하는 이유가 된다. 이러한 움직임이 갑작스럽고 무작위적인 시간과 분포를 보인다면 헌팅턴병 진단을 시사한다. 인지 또는 행동 증상은 첫 번째로 진단되는 증상이 드물며, 일반적으로는 사후적으로 또는 증상이 더 악화될 때에야 인지된다. 질병의 진행 정도는 통합 헌팅턴병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데, 이 척도는 운동, 행동, 인지 및 기능 평가를 기반으로 한 종합적인 평가 시스템을 제공한다.[62][63] 의학 영상 기술, 예를 들어 CT 스캔 또는 MRI 스캔은 질병 초기에 미상핵의 위축을 보여줄 수 있지만(오른쪽 그림 참조), 이러한 변화만으로는 헌팅턴병을 진단할 수 없다. 대뇌 위축은 질병의 진행된 단계에서 관찰될 수 있다.[25] 기능적 신경 영상 기술, 예를 들어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fMRI)과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은 신체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뇌 활동의 변화를 보여줄 수 있지만, 이들은 실험적인 도구이며 임상적으로 사용되지는 않는다.[25]
헌팅턴병 진단의 약 99%는 전형적인 증상과 가족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유전자 검사를 통해 헌팅턴병을 일으키는 삼핵산 반복 서열의 확장이 확인된다.[25]
5. 2. 유전자 검사
5. 3. 예측 유전자 검사
헌팅턴병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므로, 유전 위험이 있는 사람들은 혈액 검사를 통해 ''HTT'' 대립 유전자의 CAG 반복 횟수를 확인하는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다.[64] CAG 반복 횟수가 40회 이상이면 헌팅턴병이 발병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65] 36~39회 반복 시에는 성인 후기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65] 27~35회 반복 시에는 자손에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65] 26회 이하 반복은 헌팅턴병과 관련이 없다.[65]증상 발현 전 유전자 검사는 1986년부터 연관 분석, 1993년부터 직접 돌연변이 분석을 통해 가능해졌다.[66] 검사 결과에 따라 헌팅턴병 발병 위험이 증가하거나 제거될 수 있지만,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검사를 받는 비율은 낮다.[25] 검사 후 스트레스는 감소하지만 양성 결과 시 자살 위험은 증가하며,[25] 유전되지 않은 경우에도 생존자 죄책감을 느낄 수 있다.[25] 또한, 유전적 차별의 가능성도 존재한다.[68]
이러한 이유로 유전자 검사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유전 상담을 통해 검사 전후의 정보, 조언 및 지원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69] 헌팅턴병 유전자 검사 지침은 다른 유전 질환 검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25][71][72]
5. 4. 산전 진단
체외수정을 통해 생성된 배아는 착상 전 유전자 진단을 이용하여 헌팅턴병(HD)에 대한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다. 4~8세포 배아에서 한두 개의 세포를 추출하여 유전적 이상을 검사하며, 헌팅턴병 유전자에 영향을 받은 배아가 착상되지 않도록 하여 자녀가 질병을 유전받지 않도록 한다.[74][75]융모막 샘플링을 통해 얻은 태아의 유전 물질을 이용하여 산전 진단을 받는 것 또한 가능하다. 임신 기간이 14~18주 사이라면 양수천자를 시행할 수 있으며, 아기 주변의 양수에서 HD 돌연변이의 지표를 조사한다.[76] 부모가 HD 진단을 받았거나, ''HTT'' 유전자의 확장을 보여주는 유전자 검사를 받았거나, 질병을 유전받을 확률이 50%인 경우 산전 검사를 할 수 있다. 부모는 임신 중절을 포함한 선택 사항과 확인된 유전자를 가진 아동의 어려움에 대해 상담받을 수 있다.[77][78]
남성 파트너가 헌팅턴병에 영향을 받은 고위험 임신의 경우, 임신 6~12주 사이에 어머니의 혈액 샘플(정맥 천자를 통해)에서 세포 유리 태아 DNA를 분석하여 비침습적 산전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65]
6. 치료
헌팅턴병의 일부 증상 완화를 위한 치료법들이 존재하지만, 그 효과에 대한 증거는 불완전한 경우가 많다.[25][80][81] 병이 진행됨에 따라 자기 관리 능력이 저하되므로, 다학제적 간호가 필요하다.[25]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는 헌팅턴병의 재활에 유용할 수 있다는 증거가 일부 존재한다.[25]
유전 질환이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근본적인 치료법이나 질병 진행을 예방하는 치료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171]
콩고 적색이 변이된 단백질의 응집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신경 장애 경감 및 질병 진행을 늦출 가능성이 제시되고 있다.[181]
그 외에 담즙에서 추출한 물질이 가진 신경 기능 보호 작용을 이용하거나,[182][183] 태아의 뇌세포를 이식하는 치료법이[184][185] 제안되고 있다.
반복 배열의 이상 신장을 단축하는 핵산 표적 저분자가 발견되어 근치가 가능해질지도 모른다는 기대가 있다.[186] 핵산 표적 저분자는 CAG가 생성하는 DNA의 일반적인 이중나선 구조와는 다른 slipped strand 구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이를 제거한다. 마찬가지로 염기 반복 배열의 이상 신장이 원인이 되는 질병으로 척수소뇌실조증 및 근강직성 근이영양증이 있으며, 이들의 치료에도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다.
대증 요법으로는 무도 운동 개선을 위한 테트라베나진이 개발되었으며, 일본에서는 2013년 2월 22일에 알프레사팜(アルフレッサファーム)에서 “코레아진정 12.5mg(コレアジン錠12.5mg)”으로 약가 등재되었다.[187] 또한, 테트라베나진의 수소를 중수소로 치환하여 체내에서의 분해를 늦춘 듀테트라베나진도 개발되어 미국에서 승인되었다.
6. 1. 약물 치료
헌팅턴병의 증상 완화를 위한 약물 치료는 다음과 같다. 무도증에는 테트라베나진(Tetrabenazine)이 사용되며, 유럽 연합(EU)에서는 2000년, 미국에서는 2008년에 승인받았다.[87] 테트라베나진은 미국에서 헌팅턴병 치료제로 승인된 최초의 약물이었다.[87] 2017년에는 테트라베나진보다 무거운 형태인 듀테트라베나진(Deutetrabenazine)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다.[90] 이 약물은 오스테도(Austedo)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테트라베나진의 대안으로 아만타딘(Amantadine)이 있지만,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증거는 제한적이다.[88] 그 외에도 항정신병약물과 벤조디아제핀이 무도증을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다.[21]
운동 완서 및 강직에는 항파킨슨병 약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21] 근간대성 과잉운동은 발프로산(Valproic acid)으로 치료할 수 있다.[21] 에틸 에이코사펜타엔산(Ethyl eicosapentaenoic acid)은 1년 후 운동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9]
정신 증상은 일반 인구에서 사용되는 약물과 유사하게 치료할 수 있다.[25][81] 우울증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와 미르타자핀(Mirtazapine)이 권장되며, 정신병 및 행동 문제에는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이 권장된다.[81] 환자들은 여러 약물을 장기간 병용해야 할 수 있으므로 전문 신경정신과적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25]
일본에서는 2013년 2월 22일에 알프레사팜(アルフレッサファーム)에서 테트라베나진을 “코레아진정 12.5mg(コレアジン錠12.5mg)”으로 약가 등재하였다.[187]
6. 2. 비약물 치료
헌팅턴병의 증상 완화를 위한 여러 치료법들이 있지만, 그 효과에 대한 증거는 불완전한 경우가 많다.[25][80][81] 병이 진행됨에 따라 자기 관리 능력이 저하되므로, 다학제적 간호가 필요하다.[25]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는 헌팅턴병의 재활에 유용할 수 있다.[25]체중 감소와 연하곤란 등으로 인해 영양 관리가 중요해지며, 필요한 경우 농축제를 사용하거나 경피적 내시경적 위루술을 시행할 수 있다.[25][82] 언어치료사의 평가와 관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25]
물리치료사는 신체 증상 관리를 위해 낙상 위험 평가 및 예방, 근력 강화, 스트레칭, 심혈관 운동 등을 실시하고, 보행 보조기구를 처방할 수 있다.[83] 호흡 문제가 발생하면 호흡 운동과 기도 청소술을 처방하기도 한다.[83] 유럽 HD 네트워크는 헌팅턴병 물리치료에 대한 합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83] 초기 재활 개입은 기능 상실을 예방하고, 질병 초기에서 중기 단계 동안의 재활 프로그램 참여는 운동 및 기능 수행능력의 장기적인 유지를 가져올 수 있다.[84] 말기 단계의 재활은 운동 및 기능적 손실을 보상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84] 장기적인 독립적인 관리를 위해 치료사는 가정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85]
완화 의료는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며, 헌팅턴병 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86]
7. 예후
헌팅턴병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트리뉴클레오티드(CAG) 반복 서열의 길이에 따라 증상 발현 연령과 진행 속도가 달라진다.[25][94] 반복 횟수가 많을수록 발병 연령이 빠르고 증상이 빠르게 진행되며, 60회 이상 반복되는 경우 20세 이전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40회 미만인 경우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95] 나머지 변이는 환경적 요인과 질병 기전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유전자들 때문이다.[25]
일반적으로 헌팅턴병 환자의 평균 수명은 증상 발현 후 10년에서 30년 정도이다.[25] 근육 조정 장애로 인한 합병증이 주된 사망 원인이며, 인지 기능 저하로 인한 행동 변화도 영향을 미친다. 가장 큰 사망 원인은 폐렴으로, 전체 환자의 1/3 정도가 이로 인해 사망한다. 운동 능력 저하로 인해 폐를 পরিষ্কার하기 어렵고 음식물 흡인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96] 두 번째로 흔한 사망 원인은 심장 질환으로, 헌팅턴병 환자 사망 원인의 약 1/4을 차지한다.[96] 자살 또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환자의 7.3%가 자살로 생을 마감하며, 최대 27%가 자살을 시도한다.[97][98][99] 기타 위험 요인으로는 삼킴 곤란으로 인한 질식, 낙상으로 인한 신체적 부상, 영양실조 등이 있다.[96][19]
8. 역학
헌팅턴병의 전 세계적 유병률은 10만 명당 5~10명이며, 민족, 지역 이동 및 과거 이민 패턴에 따라 지리적으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25][100][101] 발생률은 서유럽계 인구에서 가장 높으며, 평균 10만 명당 약 7명이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더 낮다. 예를 들어 아시아계와 아프리카계 인구에서는 100만 명당 1명이다.[25] 2013년 영국에서 1990년부터 2010년까지 헌팅턴병 유병률에 대한 역학 연구에 따르면 영국의 평균 유병률은 10만 명당 12.3명이었다.[25][102]
베네수엘라의 마라카이보 호 지역의 고립된 인구 집단과 같이 일부 지역에서는 지역 평균보다 훨씬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데, 헌팅턴병은 10만 명당 최대 700명에게 영향을 미친다.[25][103] 높은 지역 집중 현상은 타스마니아와 스코틀랜드, 웨일스, 스웨덴의 특정 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99] 어떤 경우에는 지역적 창시자 효과, 즉 보인자의 역사적 이동이 지리적 고립 지역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유병률이 증가한다.[99][104] 이러한 보인자 중 일부는 계보학적 연구를 통해 수백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99] 유전적 해플로타입은 유병률의 지리적 변이에 대한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99][105]
반대로 아이슬란드는 10만 명당 1명으로 유병률이 상당히 낮다. 19세기 초에 살았던 한 부부의 자손에서 유래한 단 한 건을 제외한 모든 사례가 거의 2세기에 걸쳐 발생했다.[106] 핀란드 역시 10만 명당 2.2명으로 발병률이 낮다.[107]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아프리카너 집단은 10만명당 1명꼴의 높은 빈도로 헌팅턴병이 발견된다.
유전자 검사가 발견되기 전까지는 통계는 신체적 증상과 헌팅턴병 가족력에 근거한 임상 진단만 포함할 수 있었고, 진단 전에 다른 원인으로 사망한 사람들은 제외되었다. 이러한 경우는 이제 통계에 포함될 수 있으며, 검사의 이용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질환의 유병률과 발생률에 대한 추정치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99][108] 유병률은 인종에 따라 다른데, 백인의 경우 5~10/10만 명[171]이며, 아시아인과 아프리카인에서는 백인의 100분의 1이다.
원인이 되는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높은 확률로 30~40대에 발병하여 10~20년에 걸쳐 진행된다. 발병 후 10~15년 정도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다.[174]
9. 역사
조지 헌팅턴(George Huntington)은 1872년에 헌팅턴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발표했다.[109] 그는 여러 세대에 걸쳐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가족들의 병력을 연구하여 질병의 연관성을 파악했고, 자신의 논문에서 자세하고 정확한 질병 정의를 제시했다.[109] 헌팅턴은 멘델의 유전법칙(Mendelian inheritance)이 재발견되기 전에 이미 상염색체 우성 질환의 유전 양식을 정확하게 설명했다.[109][115]
수 세기 동안 여러 종류의 무도병은 원인이나 유형에 대한 이해 없이 ''성 비투스 춤'' 등으로 불렸다. 헌팅턴병에 대한 최초의 확실한 언급은 1842년 로블리 덩글리슨(Robley Dunglison)의 ''의학 실제'' 초판에 게재된 찰스 오스카 워터스(Charles Oscar Waters)의 편지였다.[110] 1846년 찰스 롤린 고먼(Charles Rollin Gorman)은 특정 지역에서 유병률이 높아지는 것을 관찰했다.[112][111] 1860년, 요한 크리스티안 룬트/Johan Christian Lundno는 노르웨이 세테스달렌(Setesdalen)에서 치매 유병률이 높은 가족력이 있는 경련성 운동 장애와 관련이 있음을 언급했다.[111][114]
윌리엄 오슬러 경(Sir William Osler)은 헌팅턴의 논문에 감명을 받아 "의학 역사상 질병이 더 정확하고, 더 생생하게, 더 간결하게 묘사된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116][111][117] 19세기 말, 헌팅턴병은 전 세계적인 질환으로 인식되었다.[111]
20세기 초, 헌팅턴병은 윌리엄 베이츠(William Bateson)에 의해 상염색체 우성 유전 패턴을 가진다는 것이 밝혀졌다.[118][113] 스미스 엘리 젤리프(Smith Ely Jelliffe)는 뉴욕주(New York) 전역에서 정보를 수집하여 뉴잉글랜드(New England)의 헌팅턴병 계보에 관한 기사를 발표했다.[119] 찰스 데이븐포트(Charles Davenport)는 미국 동부 해안(East Coast of the United States)의 헌팅턴병 가족에 대한 현장 연구를 수행하고, 미국의 대부분의 헌팅턴병 사례가 소수의 개인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120]
1968년 유전 질환 재단(Hereditary Disease Foundation) (HDF) 설립 이후, 1979년부터 미국-베네수엘라 헌팅턴병 공동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127] 1983년, 유전 연관 분석을 통해 원인 유전자의 대략적인 위치가 확인되었고,[104] 1993년에는 4번 염색체(4p16.3)에서 정확한 유전자 위치가 확인되었다.[125] 이 프로젝트는 인간 게놈 프로젝트(Human Genome Project)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단계였던 DNA 표지 방법을 개발했다.[127] 아니타 하딩(Anita Harding) 연구팀은 유전자 길이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28]
1996년 형질전환(transgenic) 마우스 개발로 대규모 실험이 가능해졌고, 1997년 mHtt 조각이 단백질 접힘(Protein folding)을 잘못 접히는 현상과 핵 내포체 발견으로 이어졌다.[111][145]
이 질환은 이전에는 헌팅턴 무도병이라고 불렸지만, 모든 환자가 무도병을 발병하는 것은 아니고 인지 및 행동 문제의 중요성 때문에 헌팅턴병으로 대체되었다.[130]
10. 사회와 문화
헌팅턴병에 대한 유전자 검사는 여러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다.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문제는 검사 자격을 갖추기 위한 개인의 성숙도 기준 정의, 결과의 기밀 유지, 그리고 기업이 고용, 생명 보험 또는 기타 금융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검사 결과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이 포함된다.[131] 1910년 찰스 데이븐포트가 우생학 운동의 일환으로 헌팅턴병을 포함한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강제 불임 수술과 이민 통제를 제안했을 때 논란이 있었다.[131]
시험관 수정은 배아 사용과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132] 일부 헌팅턴병 연구는 동물 실험 및 배아줄기세포 사용으로 인해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132][133] 헌팅턴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 검사의 개발은 개인의 결과에 대한 접근 및 사용에 대한 사회적, 법적, 윤리적 우려를 야기했다.[134][135] 많은 지침과 검사 절차는 개인이 언제 어떻게 결과를 받을지, 그리고 누구에게 결과를 제공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정보 공개 및 기밀 유지에 대한 엄격한 절차를 가지고 있다.[25]
보험 회사와 기업은 생명 보험이나 고용과 같이 개인을 평가할 때 유전자 검사 결과를 사용할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직면해 있다. 영국의 보험 회사는 보건사회부와 2017년까지 고객이 예측 유전자 검사 결과를 공개할 필요가 없다는 데 동의했지만, 이 합의는 500,000 파운드 이상의 보험 계약을 작성할 때 정부 승인 헌팅턴병 검사는 명시적으로 제외했다.[136][137]
다른 치료 불가능한 유전 질환과 마찬가지로 발병 시기가 늦은 경우, 아동이나 청소년에 대한 증상 발생 전 검사는 개인에게 아무런 의학적 이점이 없기 때문에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 인지적으로 성숙한 개인만 검사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지만, 부모가 자녀를 대신하여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반론도 있다.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한 상황에서 법적 성년에 이르지 못하고 역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을 검사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47][138][139]
산전 유전자 검사 또는 착상 전 유전자 진단과 관련하여 자녀가 특정 질병으로 태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윤리적 우려가 있다.[140] 예를 들어, 산전 검사는 일부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않는 선택적 낙태 문제를 제기한다.[140] 우성 질환이기 때문에 부모가 자신의 진단 결과를 알고 싶어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부모에게 일부 과정을 비밀로 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140]
유전질환재단(Hereditary Disease Foundation)(HDF)은 1968년 아내의 가족이 헌팅턴병을 앓는 것을 목격한 밀턴 웨클러 박사에 의해 설립되었다.[16] 이 재단과 웨클러 박사의 딸인 낸시 웨클러(Nancy Wexler)는 헌팅턴병 유전자를 발견한 베네수엘라 연구팀의 핵심 구성원이었다.[16]
HDF가 설립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민중가수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가 헌팅턴병 합병증으로 사망한 후, 마조리 거스리(Marjorie Guthrie)는 헌팅턴병 퇴치 위원회 설립을 도왔다.[17]
그 이후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헌팅턴병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및 연구 단체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단체 중 상당수는 국제 헌팅턴병 협회(International Huntington Association) 및 유럽 헌팅턴병 네트워크(European HD network)와 같은 상위 조직과 협력하고 있다.[141] 많은 지원 단체가 매년 헌팅턴병 인식 행사를 개최하며, 일부 행사는 해당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예를 들어, 6월 6일은 미국 상원에 의해 "전국 헌팅턴병 인식의 날(National Huntington's Disease Awareness Day)"로 지정되었다.[142] 영국의 헌팅턴병 협회(Huntington's Disease Association)를 포함하여 헌팅턴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지원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많은 단체가 존재한다. 연구에 대한 가장 큰 자금 지원은 헌팅턴병 치료 이니셔티브 재단(CHDI)에서 제공한다.[143]
10. 1. 윤리적 문제
헌팅턴병에 대한 유전자 검사는 여러 윤리적 문제를 제기한다. 유전자 검사와 관련된 문제는 검사 자격을 갖추기 위한 개인의 성숙도 기준 정의, 결과의 기밀 유지, 그리고 기업이 고용, 생명 보험 또는 기타 금융 문제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검사 결과를 사용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이 포함된다.[131] 1910년 찰스 데이븐포트가 우생학 운동의 일환으로 헌팅턴병을 포함한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강제 불임 수술과 이민 통제를 제안했을 때 논란이 있었다.[131]시험관 수정은 배아 사용과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132] 일부 헌팅턴병 연구는 동물 실험 및 배아줄기세포 사용으로 인해 윤리적 문제를 야기한다.[132][133] 헌팅턴병에 대한 정확한 진단 검사의 개발은 개인의 결과에 대한 접근 및 사용에 대한 사회적, 법적, 윤리적 우려를 야기했다.[134][135] 많은 지침과 검사 절차는 개인이 언제 어떻게 결과를 받을지, 그리고 누구에게 결과를 제공할지 결정할 수 있도록 정보 공개 및 기밀 유지에 대한 엄격한 절차를 가지고 있다.[25]
보험 회사와 기업은 생명 보험이나 고용과 같이 개인을 평가할 때 유전자 검사 결과를 사용할지 여부에 대한 질문에 직면해 있다. 영국의 보험 회사는 보건사회부와 2017년까지 고객이 예측 유전자 검사 결과를 공개할 필요가 없다는 데 동의했지만, 이 합의는 500,000 파운드 이상의 보험 계약을 작성할 때 정부 승인 헌팅턴병 검사는 명시적으로 제외했다.[136][137]
다른 치료 불가능한 유전 질환과 마찬가지로 발병 시기가 늦은 경우, 아동이나 청소년에 대한 증상 발생 전 검사는 개인에게 아무런 의학적 이점이 없기 때문에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 인지적으로 성숙한 개인만 검사해야 한다는 데 의견이 일치하지만, 부모가 자녀를 대신하여 결정할 권리가 있다는 반론도 있다. 효과적인 치료법이 부족한 상황에서 법적 성년에 이르지 못하고 역량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을 검사하는 것은 대부분의 경우 비윤리적인 것으로 간주된다.[47][138][139]
산전 유전자 검사 또는 착상 전 유전자 진단과 관련하여 자녀가 특정 질병으로 태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관련된 윤리적 우려가 있다.[140] 예를 들어, 산전 검사는 일부 사람들이 받아들이지 않는 선택적 낙태 문제를 제기한다.[140] 우성 질환이기 때문에 부모가 자신의 진단 결과를 알고 싶어하지 않는 상황에서 어려움이 있는데, 이는 부모에게 일부 과정을 비밀로 유지해야 함을 의미한다.[140]
10. 2. 지원 단체
유전질환재단(Hereditary Disease Foundation)(HDF)은 1968년 아내의 가족이 헌팅턴병을 앓는 것을 목격한 밀턴 웨클러 박사에 의해 설립되었다.[16] 이 재단과 웨클러 박사의 딸인 낸시 웨클러(Nancy Wexler)는 헌팅턴병 유전자를 발견한 베네수엘라 연구팀의 핵심 구성원이었다.[16]HDF가 설립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민중가수 우디 거스리(Woody Guthrie)가 헌팅턴병 합병증으로 사망한 후, 마조리 거스리(Marjorie Guthrie)는 미국 헌팅턴병 협회(Huntington's Disease Society of America) 설립을 도왔다.[17]
그 이후로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헌팅턴병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한 지원 및 연구 단체가 설립되었다. 이러한 단체 중 상당수는 국제 헌팅턴병 협회(International Huntington Association) 및 유럽 헌팅턴병 네트워크(European HD network)와 같은 상위 조직과 협력하고 있다.[141] 많은 지원 단체가 매년 헌팅턴병 인식 행사를 개최하며, 일부 행사는 해당 정부의 승인을 받았다. 예를 들어, 6월 6일은 미국 상원에 의해 "전국 헌팅턴병 인식의 날(National Huntington's Disease Awareness Day)"로 지정되었다.[142] 영국의 헌팅턴병 협회(Huntington's Disease Association)를 포함하여 헌팅턴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지원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많은 단체가 존재한다. 연구에 대한 가장 큰 자금 지원은 헌팅턴병 치료 이니셔티브 재단(CHDI)에서 제공한다.[143]
11. 연구 동향
헌팅턴병의 발병 기전에 대한 연구는 헌팅틴 단백질(Htt)의 기능,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mHtt)이 어떻게 기능에 차이를 보이거나 방해하는지, 그리고 이 질병이 유발하는 뇌 병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144] 연구는 ''시험관'' 방법, 유전자 변형 동물(형질전환동물이라고도 함), 그리고 사람 자원자들을 사용하여 수행된다.[144] 동물 모델은 질병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신약 개발의 초기 단계를 지원하는 데 중요하다.[145] 원인 유전자의 확인으로 돌연변이 헌팅틴을 발현하고 진행성 신경퇴행 및 HD 유사 증상을 나타내는 선충(회충), ''초파리'', 그리고 마우스, 랫트, 양, 돼지, 원숭이를 포함한 유전자 변형 포유류 등 많은 유전자 변형 생물의 개발이 가능해졌다.[145]
헌팅턴병을 예방하거나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한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144] 질병 변형 전략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돌연변이 헌팅틴 단백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유전자 스플라이싱 및 유전자 침묵 포함), 특정 세포 경로 및 메커니즘(단백질 항상성 및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 포함)에 대한 단백질의 손상을 줄임으로써 뉴런 생존을 개선하는 접근 방식, 그리고 손실된 뉴런을 대체하는 전략이다.[146]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치료법도 개발 중인데, 이는 질병 변형 치료보다는 증상 치료를 목표로 하며, 포스포디에스터라제 억제제를 포함한다.[146][147]
CHDI 재단은 헌팅턴병 연구에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HD의 진행 속도를 늦추는 약물을 찾고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43][149] 2006년에는 헌팅턴병 연구에 5천만 달러를 투자했다.[143] CHDI는 전 세계의 많은 학계 및 상업 연구소와 협력하고 연구 프로젝트의 감독 및 관리뿐만 아니라 자금 조달에도 참여한다.[150]
유전자 침묵은 헌팅턴병이 독성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단일 우성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기 때문에 돌연변이 단백질의 생성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우스 모델에서의 유전자 침묵 실험은 mHtt의 발현이 감소하면 증상이 호전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51] RNA 간섭 및 대립 유전자 특이적 올리고뉴클레오티드(ASO) 유전자 침묵 방법의 안전성은 마우스와 더 큰 영장류인 마카크 뇌에서 입증되었다.[152][153] 대립 유전자 특이적 침묵은 야생형 Htt는 그대로 두면서 돌연변이 htt를 침묵시키려는 시도이다. 이를 달성하는 한 가지 방법은 하나의 대립 유전자에만 존재하는 다형성을 확인하고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의 다형성만을 표적으로 하는 유전자 침묵 약물을 생산하는 것이다.[154] 헌팅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유전자 침묵 임상 시험은 2015년에 시작되어 아이오니스 파마슈티컬스(Ionis Pharmaceuticals)가 생산하고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신경학 연구소(UCL Institute of Neurology)가 주도한 IONIS-HTTRx의 안전성을 검증했다.[155][156] 2015년 새로운 "단일 분자 계수" 면역 분석법을 사용하여 헌팅턴병 돌연변이 보인자의 뇌척수액에서 돌연변이 헌팅틴을 최초로 검출하고 정량화하여[157] 헌팅틴 저하 치료법이 원하는 효과를 달성하고 있는지 직접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했다.[158][159] 토미니센(tominersen)으로 이름이 바뀐 이 화합물의 3상 시험은 로슈 제약(Hoffmann-La Roche|Roche Pharmaceuticals)이 후원하여 2019년에 시작되었지만, 안전성 모니터링 위원회가 위험-이익 균형이 불리하다고 결론지은 후 2021년에 중단되었다.[160] 유니퀴어(Uniqure)가 진행하는 헌팅틴 저하 유전자 치료 시험은 2019년에 시작되었으며, 경구 투여되는 헌팅틴 저하 스플라이싱 조절제 화합물에 대한 여러 임상 시험이 발표되었다.[161] 유전자 스플라이싱 기술은 CRISPR/Cas9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HD를 유발하는 잘못된 유전자를 가진 게놈을 복구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147] PTC 테라퓨틱스(PTC Therapeutics)는 ''HTT'' 전사체에서 독성 엑손 포함을 유도하는 저분자를 평가하여 ''HTT'' 발현을 낮추는 치료 전략으로 사용하고 있다.[162][163]
돌연변이 헌팅틴의 수준을 낮추는 또 다른 전략은 세포가 헌팅틴을 제거하는 속도를 높이는 것이다.[164] mHtt(그리고 많은 다른 단백질 응집체)는 자가포식작용에 의해 분해되므로, 자가포식작용의 속도를 높이면 mHtt의 수준을 낮추고 질병을 완화할 수 있다.[165] 자가포식작용을 유도하는 약리학적 및 유전적 방법들이 다양한 헌팅턴병 모델에서 시험되었으며, 많은 경우 mHtt 수준을 낮추고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64]
돌연변이 헌팅틴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세포 생존율을 향상시키는 데 목표를 둔 접근 방식에는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억제제를 사용한 전사 조절 교정, 헌팅틴의 응집 조절, 대사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개선, 그리고 시냅스 기능 회복이 포함된다.[151]
줄기세포 치료법은 손상된 뉴런을 뇌의 영향받는 부위에 줄기세포를 이식하여 대체하는 데 사용된다. 동물 모델(쥐만 해당)에서의 실험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166]
향후 치료 잠재력과 관계없이, 줄기세포는 이미 실험실에서 헌팅턴병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도구이다.[167]
참조
[1]
서적
Ferri's differential diagnosis: a practical guide to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ymptoms, signs, and clinical disorders
Elsevier/Mosby
2010
[2]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 Treatment and support
https://www.nhs.uk/c[...]
2023-05-06
[3]
학술지
Molecular Pathogenesis in Huntington's Disease
http://protein.bio.m[...]
2020-11-08
[4]
학술지
Gene Therap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2019-01-00
[5]
학술지
Huntington Disease
2020
[6]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Elsevier
2018
[7]
서적
Neuroscience
Sinauer Associates
2012
[8]
학술지
The Biology of Huntingtin
2016-03-00
[9]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Information Page
https://www.ninds.ni[...]
2020-12-14
[10]
학술지
The presymptomatic phase of Huntington disease
2012-11-00
[11]
학술지
Huntington disease: pathogenesis and treatment
2015-02-00
[12]
학술지
Treatment of Huntington's disease
2014-01-00
[13]
웹사이트
Aspiration Pneumonia: What It Is, Causes, Diagnosis, Treatment
https://my.cleveland[...]
2023-06-12
[14]
학술지
Chorea: A Journey through History
2015
[15]
웹사이트
About Huntington's Disease
https://www.genome.g[...]
2021-01-13
[1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HDF
http://hdfoundation.[...]
Hereditary Disease Foundation
2015-11-18
[17]
웹사이트
History and Genetics of Huntington's Disease {{!}} Huntington's Disease Society of America
https://hdsa.org/wha[...]
2020-12-14
[18]
학술지
[Psychiatric symptoms in patients with Huntington's disease]
2018-03-00
[19]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2-12-13
[20]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https://www.nhsinfor[...]
www.nhsinform.scot
2020-07-12
[21]
학술지
Huntington Disease
https://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2020-11-22
[22]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23]
서적
Huntington's Disease –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4]
학술지
Psychiatric Morbidity in Huntington's disease
[25]
학술지
Huntington's disease
2007-01-00
[26]
서적
Huntington's Disease –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Brain imaging and cognitive dysfunctions in Huntington's disease
http://www.cma.ca/mu[...]
2008-09-17
[28]
학술지
Therapy development in Huntington disease: From current strategies to emerging opportunities
2018-04-00
[29]
학술지
Weight loss in neurodegenerative disorders
2008-12-00
[30]
웹사이트
Booklet by the Huntington Society of Canada
http://www.hdac.org/[...]
HD Society of Canada
2008-08-10
[31]
학술지
Psychopathology in verified Huntington's disease gene carriers
[32]
서적
Bradley's neurology in clinical practice
Elsevier/Saunders
[33]
학술지
Beyond the brain: widespread pathology in Huntington's disease
2009-08-00
[34]
학술지
Molecular genetics and biomarkers of polyglutamine diseases
2008-05-00
[35]
학술지
Juvenile Huntington's disease: does a dosage-effect pathogenic mechanism differ from the classical adult disease?
2006-02-00
[36]
논문
Juvenile onset Huntington's disease--clinical and research perspectives
[37]
서적
Color Atlas of Genetics
https://archive.org/[...]
Thieme
[38]
웹사이트
Sex Linked
https://www.genome.g[...]
2022-12-13
[39]
논문
Anticipation in Huntington's disease is inherited through the male line but may originate in the female
1988-09-01
[40]
논문
Predictive testing for Huntington disease: interpretation and significance of intermediate alleles
2006-10-01
[41]
논문
Homozygotes for Huntington's disease
[42]
논문
Homozygosity for CAG mutation in Huntington disease is associated with a more severe clinical course
2003-04-01
[43]
논문
A protein interaction network links GIT1, an enhancer of huntingtin aggregation, to Huntington's disease
2004-09-01
[44]
논문
Epigenetic Mechanisms Involved in Huntington's Disease Pathogenesis
2015-01-01
[45]
논문
Normal huntingtin function: an alternative approach to Huntington's disease
2005-12-01
[46]
논문
Huntington's disease: molecular basis of neurodegeneration
2003-08-01
[47]
논문
Opinion: predictive testing for Huntington disease in childhood: challenges and implications
1990-01-01
[48]
논문
Huntington disease
2015-04-01
[49]
논문
Conformational studies of pathogenic expanded polyglutamine protein deposits from Huntington's disease
2019-12-01
[50]
논문
Mechanisms of disease: Histone modifications in Huntington's disease
2006-06-01
[51]
논문
Oxidative Stres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From Molecular Mechanisms to Clinical Applications
2017-01-01
[52]
논문
Oxidative Stress and Huntington's Disease: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2016-10-01
[53]
논문
Huntington disease: a single-gene degenerative disorder of the striatum
2016-03-01
[54]
논문
Huntington's disease: a clinical review
2018-01-01
[55]
서적
Neuroscience
https://www.ncbi.nlm[...]
Sinauer Associates
2009-04-01
[56]
논문
Glial cells as intrinsic components of non-cell-autonomous neurodegenerative disease
2007-11-01
[57]
논문
Functional anatomy of movement disorders
2000-05-01
[58]
서적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Elsevier
[59]
논문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arrest polyglutamine-dependent neurodegeneration in Drosophila
https://escholarship[...]
2019-06-28
[60]
논문
Analysis of strand slippage in DNA polymerase expansions of CAG/CTG triplet repeats associated with neurodegenerative disease
1998-02-01
[61]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http://www.radpod.or[...]
www.radpod.org
2009-07-24
[62]
논문
Clinical measurement of mobility and balance impairments in Huntington's diseas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2009-04-01
[63]
웹사이트
Unified Huntington's Disease Rating Scale (UHDRS)
http://huntingtonstu[...]
HSG
2009-02-01
[64]
논문
Huntington's disease genetics
2004-04-01
[65]
논문
Reproductive options for prospective parents in families with Huntington's disease: clinical, psychological and ethical reflections
2013-05-01
[66]
논문
22 Years of predictive testing for Huntington's disease: the experience of the UK Huntington's Prediction Consortium
2016-10-01
[67]
논문
How do partners find out about the risk of Huntington's disease in couple relationships?
2013-06-01
[68]
논문
Perception, experience, and response to genetic discrimination in Huntington disease: the international RESPOND-HD study
2010-07-01
[69]
논문
Genetic counseling issues in predictive genetic testing for familial adult-onset neurologic diseases
2001-09-01
[70]
논문
Risk Percep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in Candidates for Genetic Testing for Huntington's Disease: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2002-03-01
[71]
논문
Predictive testing for Huntington's disease: a universal model?
2003-03-01
[72]
논문
Guidelines for the molecular genetics predictive test in Huntington's disease. International Huntington Association (IHA) and the World Federation of Neurology (WFN) Research Group on Huntington's Chorea
1994-08-01
[73]
논문
EMQN/CMGS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olecular genetic testing of Huntington disease
2013-05-01
[74]
논문
Preimplantation genetic testing for Huntington disease and certain other dominantly inherited disorders
1996-02-01
[75]
논문
Non-disclosing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Huntington disease
2002-06-01
[76]
웹사이트
Predictive Testing for Huntington's Disease
http://predictivetes[...]
2013-05-07
[77]
논문
Preimplantation diagnosis: a realistic option for assisted reproduction and genetic practice
2005-04-01
[78]
웹사이트
Guidelines for Genetic Testing for Huntington's Disease
https://web.archive.[...]
Heredity Disease Foundation
2013-05-07
[79]
논문
The Huntington's disease-like syndromes: what to consider in patients with a negative Huntington's disease gene test
2007-09-01
[80]
논문
Advances in the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Huntington's disease
https://web.archive.[...]
2010-03-01
[81]
논문
Huntington's disease: present treatments and future therapeutic modalities
2004-03-01
[82]
논문
DPEJ tube placement prevents aspiration pneumonia in high-risk patients
[83]
웹사이트
EHDN Physiotherapy Guidance Document
https://web.archive.[...]
European HD Network Physiotherapy Working Group
2015-11-15
[84]
논문
Development of physiotherapy guidance and treatment-based classifications for people with Huntington's disease
http://www.futuremed[...]
2012-05-10
[85]
논문
Adherence to use of a home-based exercise DVD in people with Huntington disease: participants' perspectives
2012-01-01
[86]
논문
Palliative care provision in Huntington's disease
2007-03-01
[87]
웹사이트
FDA Approves First Drug for Treatment of Chorea in Huntington's Disease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8-08-15
[88]
논문
Current Pharmacological Approaches to Reduce Chorea in Huntington's Disease
2017-01-01
[89]
논문
Efficacy of ethyl-EPA as a treatment for Huntington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08-01
[90]
웹사이트
In Pursuit of Tardive Dyskinesia: The Breakthrough Designation and Approval of Valbenazine
https://www.fda.gov/[...]
2019-07-17
[91]
논문
In planta expression of human polyQ-expanded huntingtin fragment reveals mechanisms to prevent disease-related protein aggregation
2023-11-01
[92]
논문
The Patient Education Program for Huntington's Disease (PEP-HD)
2012-01-01
[93]
서적
Huntington's Disease –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4]
논문
Huntington's disease: a clinical, genetic and molecular model for polyglutamine repeat disorders
1999-06-01
[95]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rinucleotide (CAG) repeat length and clinical features of Huntington's disease
1993-08-01
[96]
논문
Huntington's disease
2007-01-01
[97]
서적
Huntington's Disease –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98]
논문
Suicide risk in Huntington's disease
1993-04-01
[99]
서적
Huntington's Disease –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00]
웹사이트
Huntington Disease Dementia
http://emedicine.med[...]
Medscape
2010-05-16
[101]
서적
Neurology and Clinical Neuroscience
Mosby Elsevier
[102]
논문
Prevalence of adult Huntington's disease in the UK based on diagnoses recorded in general practice records
2013-10-01
[103]
논문
Medical and Social Aspects of Huntington's chorea in the state of Zulia, Venezuela
[104]
논문
A polymorphic DNA marker genetically linked to Huntington's disease
[105]
논문
DNA haplotype analysis of Huntington disease reveals clues to the origins and mechanisms of CAG expansion and reasons for geographic variations of prevalence
1994-12-01
[106]
논문
An unusually low prevalence of Huntington's disease in Iceland
2012-07-00
[107]
논문
Epidemiology of Huntington's disease in Finland
2015-01-00
[108]
논문
High incidence rate and absent family histories in one quarter of patients newly diagnosed with Huntington disease in British Columbia
2001-09-00
[109]
논문
On Chorea
https://babel.hathit[...]
2022-04-21
[110]
서적
The Practice of Medicine ...
https://babel.hathit[...]
Lea & Blanchard
2022-04-20
[111]
서적
Huntington's Disease – Thir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12]
논문
On a Form of Chorea, Vulgarly called Magrums
Jefferson Medical College
1846-00-00
[112]
웹사이트
Catalogue of Jefferson Medical College of Philadelphia: Session of 1846-7
https://jdc.jefferso[...]
[112]
서적
The Practice of Medicine ...
https://archive.org/[...]
Lea & Blanchard
1848-00-00
[112]
논문
Hereditary chorea with report of a case
https://books.google[...]
1913-11-06
[113]
서적
The Woman Who Walked Into the Sea. Huntington's and the Making of a Genetic Disease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2015-11-15
[114]
논문
Chorea Sti Viti i Sætersdalen. Uddrag af Distriktslæge J. C. Lunds Medicinalberetning for 1860
[115]
논문
George Huntington (1850–1916) and hereditary chorea
2000-04-00
[116]
논문
Historical notes on hereditary chorea
https://wellcomecoll[...]
1908-00-00
[116]
논문
Remarks on the varieties of chronic chorea, and a report upon two families of the hereditary form, with one autopsy
https://babel.hathit[...]
1893-02-00
[117]
논문
Huntington's chorea
1967-09-00
[118]
서적
Mendel's Principles of Heredity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09-00-00
[119]
논문
Huntington's Chorea: A Study in Heredity
https://zenodo.org/r[...]
[120]
논문
Huntington's chorea in relation to heredity and eugenics
https://babel.hathit[...]
[121]
논문
On the transmission of Huntington's chorea for 300 years – the Bures family group
https://scholar.goog[...]
[122]
논문
Chorea and community in a nineteenth-century town
[123]
논문
Huntington disease: genetics and epidemiology
1984-05-00
[124]
논문
Huntington's disease: advocacy driving science
[125]
논문
A novel gene containing a trinucleotide repeat that is expanded and unstable on Huntington's disease chromosomes. The Huntington's Disease Collaborative Research Group
1993-03-00
[126]
논문
The genetic epidemiology of neurodegenerative disease
2005-06-00
[127]
웹사이트
The Venezuela Huntington's disease project
https://web.archive.[...]
Hereditary Disease Foundation
[128]
논문
Meiotic stability and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 of the trinucleotide repeat in X-linked spinal and bulbar muscular atrophy
1992-12-00
[129]
뉴스
Sought Out by Science, and Then Forgotten
https://www.nytimes.[...]
2023-05-23
[130]
웹사이트
What is HD?
https://web.archive.[...]
Huntington's disease association
[131]
논문
Huntington's Chorea in Relation to Heredity and Eugenics
1915-05-00
[132]
논문
The regulation of animal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animal ethics: a conceptual history
https://web.archive.[...]
[133]
논문
The problem of deception i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2008-02-00
[134]
논문
Predictive testing for adult-onset genetic disease: ethical and legal implications of the use of linkage analysis for Huntington disease
1990-07-00
[135]
논문
Ethical and legal dilemmas arising during predictive testing for adult-onset disease: the experience of Huntington disease
1990-07-00
[136]
보도자료
Insurance Genetics Moratorium extended to 2017
https://www.abi.org.[...]
Association of British Insurers
2011-04-05
[137]
뉴스
Expert backs gene test disclosure
http://news.bbc.co.u[...]
BBC article
2007-06-07
[138]
논문
Huntington's disease predictive testing: the case for an assessment approach to requests from adolescents
1996-11-00
[139]
논문
Predictive genetic testing in minors for adult-onset genetic diseases
https://lirias.kuleu[...]
[140]
논문
Non-disclosure preimplantation genetic diagnosis for Huntington's disease: practical and ethical dilemmas
1998-12-00
[141]
웹사이트
The International Huntington Association
http://www.huntingto[...]
International Huntington Association
2009-04-03
[142]
웹사이트
US Senate s. resolution 531
https://www.congress[...]
US Senate
2008-04-06
[143]
논문
Biomedical philanthropy: The money tree
2007-05-17
[144]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Hope Through Research
https://www.ninds.ni[...]
2020-11-16
[145]
논문
Huntington's disease: from molecular pathogenesis to clinical treatment
2011-01
[146]
논문
Targets for future clinical trials in Huntington's disease: what's in the pipeline?
2014-09
[147]
뉴스
Taube to fund $3m Huntington's disease research in US
http://www.timesofis[...]
2017-05-03
[148]
웹사이트
Scientific Publications CHDI Foundation
https://chdifoundati[...]
2021-12-12
[149]
웹사이트
CHDI Foundation
https://chdifoundati[...]
2020-11-13
[150]
논문
Biomedical philanthropy: love or money
2007-05
[151]
논문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basic and clinical research toward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ies for Huntington disease
2011-02
[152]
논문
Preclinical safety of RNAi-mediated HTT suppression in the rhesus macaque as a potential therapy for Huntington's disease
2011-12
[153]
논문
Sustained therapeutic reversal of Huntington's disease by transient repression of huntingtin synthesis
2012-06
[154]
논문
Antiviral therapy and pulmonary disease
1987-02
[155]
뉴스
Landmark Huntington's trial starts
https://www.bbc.com/[...]
2015-10-19
[156]
웹사이트
Safety, Tolerability,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IONIS-HTTRx in Patients With Early Manifest Huntington's Disease - Full Text View
https://clinicaltria[...]
ClinicalTrials.gov
2016-04-18
[157]
논문
Quantification of mutant huntingtin protein in cerebrospinal fluid from Huntington's disease patients
2015-05
[158]
논문
Huntington disease: cerebrospinal fluid and MRI biomarkers for prodromal HD
2015-05
[159]
논문
Gene suppression strategies for dominantly inherited neurodegenerative diseases: lessons from Huntington's disease and spinocerebellar ataxia
2016-04
[160]
논문
Genetic therapies offer new hope against incurable brain diseases
2021-04-06
[161]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clinical trial round up
https://en.hdbuzz.ne[...]
2021-04-26
[162]
논문
Small molecule splicing modifiers with systemic HTT-lowering activity
2021-12-15
[163]
웹사이트
A Study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PTC518 in Participants With Huntington's Disease (HD)
https://clinicaltria[...]
[164]
논문
Autophagy Induction as a Therapeutic Strategy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
https://www.reposito[...]
2020-04
[165]
논문
Inhibition of mTOR induces autophagy and reduces toxicity of polyglutamine expansions in fly and mouse models of Huntington disease
2004-06
[166]
논문
Therapeutic effects of stem cells in rodent models of Huntington's disease: Review and electrophysiological findings
Wiley
2018-04
[167]
논문
Impact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on the study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2011-06
[168]
논문
Ferroptosis: A Regulated Cell Death Nexus Linking Metabolism, Redox Biology, and Disease
2017-10
[169]
웹사이트
Search of: Huntington Disease - List Results - ClinicalTrials.gov
https://clinicaltria[...]
2020-11-16
[170]
웹사이트
Completed Clinical Trials
http://www.huntingto[...]
Huntington Study Group
2012-02-04
[171]
웹사이트
Huntington's disease
https://www.nhs.uk/c[...]
NHS
2016-07-01
[172]
논문
Huntington's disease
[173]
웹사이트
Huntington Disease
http://www.ncbi.nlm.[...]
University of Washington
2007-07-19
[174]
서적
生理学テキスト
文光堂
2017-08-09
[175]
서적
標準病理学
医学書院
2015-03-25
[176]
저널
Psychopathology in verified Huntington's disease gene carriers
[177]
저널
A novel gene containing a trinucleotide repeat that is expanded and unstable on Huntington's disease chromosomes.
[178]
저널
Loss of huntingtin-mediated BDNF gene transcription in Huntington's disease.
[179]
저널
Huntingtin interacts with REST/NRSF to modulate the transcription of NRSE-controlled neuronal genes.
[180]
서적
生理学テキスト
文光堂
2017-08-09
[181]
저널
Congo red and protein aggregation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182]
저널
A bile acid protects against motor and cognitive deficits and reduces striatal degeneration in the 3-nitropropionic acid model of Huntington's disease.
[183]
저널
Tauroursodeoxycholic acid, a bile acid, is neuroprotective in a transgenic animal model of Huntington's disease.
[184]
저널
Motor and cognitive improvements in patients with Huntington's disease after neural transplantation.
[185]
저널
Transplanted fetal striatum in Huntington's disease: phenotypic development and lack of pathology.
[186]
웹사이트
ハンチントン病の根本的治療へ道ひらける
https://resou.osaka-[...]
2022-07-23
[187]
웹사이트
新薬薬価収載 日本初のハンチントン病の治療薬発売
https://www.mixonlin[...]
2022-11-13
[188]
저널
Huntington Disease
2014
[189]
저널
Huntington disease: pathogenesis and treatment.
2015-02
[190]
저널
Treatment of Huntington's disease.
2014-01
[191]
웹인용
Huntington's Disease Information Pag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http://www.ninds.nih[...]
2016-07-19
[192]
웹사이트
네이버 건강: 헌팅턴병
http://health.nave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