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브라 (예술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브라(CoBrA)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네덜란드, 덴마크, 벨기에의 예술가들이 결성한 국제적인 실험 예술 운동이다. 1948년 파리에서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이 작성한 선언문에 카렐 아펠, 콩스탕, 코르네유, 아스거 요른 등이 서명하며 시작되었다. 이들은 기존 예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색채와 형태의 자유, 초현실주의에 대한 반감을 공유하며, 마르크스주의와 모더니즘에 관심을 가졌다. 자발성과 실험을 중시하며 어린이 그림, 원시 예술, 파울 클레와 호안 미로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 1951년 해체되었으나, 타시슴과 유럽 추상표현주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20세기 마지막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술 단체 - 미술관
미술관은 예술 작품을 전시, 보존, 연구, 교육하는 기관이며, 다양한 종류로 나뉘어 전시, 수집, 보관, 복원, 조사, 연구,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문화적 가치를 지닌다. - 미술 단체 - 성희승
성희승은 하이퍼-추상 회화 개념을 창시하고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미술가이자 교육자, 시민운동가이며, 현재 K미술연대 대표로서 미술 작가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활동하고 있다. - 예술 단체 - 일본 예술원
일본예술원은 일본 예술 정책 자문 및 예술가 우대를 위한 문부과학성 특별기관이자 명예기관으로, 1907년 설립 후 제국미술원과 제국예술원을 거쳐 현재 명칭으로 개편되었으며, 순수 학술 및 자문 기관으로 재편되어 일본예술원상 시상과 회원 선출 등의 활동을 한다. - 예술 단체 - 국제조형예술협회
국제조형예술협회(IAA)는 유네스코의 지원으로 설립된 조형예술가들의 국제 단체로서, 예술가들의 권익 보호와 예술적 자유를 위해 활동한다. - 근대 미술 - 구상 미술
구상 미술은 선, 형태, 색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형상을 표현하고 현실 세계를 묘사하는 미술 장르로, 고대 그리스 조각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시대적 흐름을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인류의 예술적 표현과 사상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 근대 미술 - 추상 미술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며, 바실리 칸딘스키 등에 의해 시작되어 다양한 운동을 거쳐 발전했고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된다.
| 코브라 (예술운동) | |
|---|---|
| 코브라 (예술 운동) | |
![]() | |
| 결성 | 1948년 11월 8일 |
| 해체 | 1951년 |
| 국적 | 유럽 |
| 운동 | 예술 운동 |
| 이념 | 표현주의 초현실주의 전후 아방가르드 |
| 관련 인물 | |
| 주요 인물 | 카럴 아펠 아스게르 욘 코르네유 크리스티앙 도트르몽 요세프 노이만 도흐테르 피에르 알레친스키 스티븐 길 막스 월로쉬스키 윌리엄 데 쿠닝 |
| 영향 받은 사람 | 장 미셸 바스키아 |
| 추가 정보 | |
| 영향 | 앵포르멜 |
2. 역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코브라는 유럽 여러 국가 출신 예술가들이 결성한 국제적인 예술 운동이다. 코브라는 네덜란드의 그룹 Reflex, 덴마크의 그룹 Høst, 벨기에의 혁명적 초현실주의 그룹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이들은 짧은 기간 동안 활동했지만, 정기 간행물 ''Cobra''를 출판하고, ''Peintures-Mot'' 시리즈와 같은 협업 작품을 제작했으며, 1949년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과 1951년 리에주 팔레 데 보자르에서 두 차례 대규모 전시회를 개최했다.
코브라에는 이 운동에 참여한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인 덴마크 조각가 소냐 펠로브 만코바와 결혼한 흑인 예술가 어니스트 만코바가 있었다.[7]
1949년 11월, 코브라는 공식 명칭을 국제 예술가 협회(Internationale des Artistes Expérimentaux)로 변경했지만, 이 이름은 오래 유지되지 않았다. 1951년 공식적으로 해체되었지만, 많은 회원들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특히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은 주요 회원들과 협력을 이어갔다.[8]
2. 1. 코브라의 결성 (1948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덜란드는 국경 너머의 예술계와 단절되어 있었는데, 그 후 곧 코브라(CoBrA)가 결성되었다. 실험적으로 작업한 이러한 국제적인 예술가 운동은 서구 사회에 대한 비판과 "혐오스러운" 자연주의와 "개성이 부족한" 추상주의 등 기존 예술 운동에서 벗어나려는 공통된 욕구에서 발전했다. 콘스탄트에 따르면 실험은 제한받지 않는 자유의 상징이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이들과 아이들의 표현을 통해 구체화되었다고 한다.[2]코브라는 1948년 11월[3] 파리의 카페 노트르담(Café Notre-Dame)에서[4] 도트르몽이 작성한 선언문 《La cause était entendue》(사건은 해결되었다)에 카렐 아펠, 콩스탕, 코르네유, 크리스티안 도트르몽, 아스거 요른 및 조셉 느와레 등의 예술가들이 서명하면서 결성되었다.[5] 색채와 형태의 완전한 자유와 초현실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형성된 이 예술가들은 마르크스주의와 모더니즘에 대한 관심도 공유했다.
> 그들의 작업 방식은 자발성과 실험에 기반한 것이었으며, 특히 어린이의 그림, 원시 예술 형식 및 파울 클레와 호안 미로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6]
코브라는 네덜란드의 그룹 Reflex와 덴마크의 그룹 Høst, 그리고 벨기에의 혁명적 초현실주의 그룹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2. 2. 코브라의 활동 (1948년 ~ 1951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덜란드는 국경 너머의 예술계와 단절되어 있었는데, 그 후 곧 코브라가 결성되었다. 실험적으로 작업한 이 국제적인 예술가 운동은 서구 사회에 대한 비판과 "혐오스러운" 자연주의와 "개성이 부족한" 추상주의 등 기존 예술 운동에서 벗어나려는 공통된 욕구에서 발전했다. 콘스탄트에 따르면 실험은 제한받지 않는 자유의 상징이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이들과 아이들의 표현을 통해 구체화되었다고 한다.[2] 코브라는 1948년 11월[3] 파리의 카페 노트르담(Café Notre-Dame)에서[4]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이 작성한 선언문 《La cause était entendue》(사건은 해결되었다)에 카렐 아펠, 콩스탕, 코르네유, 크리스티안 도트르몽, 아스거 요른 및 조셉 느와레 등의 예술가들이 서명하면서 결성되었다.[5] 색채와 형태의 완전한 자유와 초현실주의에 대한 반감으로 형성된 이 예술가들은 마르크스주의와 모더니즘에 대한 관심도 공유했다.> 그들의 작업 방식은 자발성과 실험에 기반한 것이었으며, 특히 어린이의 그림, 원시 예술 형식 및 파울 클레와 호안 미로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6]
네덜란드의 그룹 Reflex와 덴마크의 그룹 Høst, 그리고 벨기에의 혁명적 초현실주의 그룹이 합쳐져 만들어진 코브라는 그리 길지 않은 기간 동안 존재했지만, 정기 간행물인 ''Cobra''를 출판하거나, 다양한 멤버가 협업하여 만든 ''Peintures-Mot'' 시리즈, 그리고 두 개의 대규모 전시회를 여는 등 많은 활동을 했다. 첫 번째 행사는 1949년 11월 암스테르담의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에서 열렸고, 두 번째 행사는 1951년 리에주의 팔레 데 보자르(Palais des beaux-arts de Liège)에서 열렸다.
코브라에는 이 운동에 참여한 몇 안 되는 여성 중 한 명인 덴마크 조각가 소냐 펠로브 만코바와 결혼한 흑인 예술가 어니스트 만코바가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7]
코브라는 1949년 11월에 공식적으로 이름을 국제 예술가 협회(Internationale des Artistes Expérimentaux)로 변경했으며, 회원 수는 유럽과 미국 전역으로 퍼져나갔지만 이 이름은 유지되지 않았다. 이 운동은 1951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지만 많은 회원들은 계속 가깝게 지냈으며 특히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은 코브라의 주요 회원들과 협력을 계속 이어나갔다.[8]
2. 3. 코브라의 해체 (1951년)와 영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사회에 대한 비판과 기존 예술 운동에서 벗어나려는 공통된 욕구에서 발전한 국제적인 예술가 운동인 CoBrA는 1951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8] 하지만 많은 회원들은 계속 가깝게 지냈으며, 특히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은 코브라의 주요 회원들과 협력을 계속 이어나갔다.[8]CoBrA의 중점은 밝은 색채와 격렬한 붓놀림, 왜곡된 인간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상적인 그림이었으며, 이는 원시 및 민속 예술에서 영감을 받았고 미국의 액션 페인팅과 유사하다. CoBrA는 타시슴과 유럽 추상표현주의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CoBrA는 아마 20세기의 마지막 아방가르드 운동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9] 나탈리 오베르(Nathalie Aubert)에 따르면 CoBrA는 공식적으로 3년(1948년~1951년) 동안만 지속되었다고 한다. 그 기간 이후 그룹의 각 예술가들은 각자의 길을 개척해 나갔다.[10]
2. 4. 주요 특징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네덜란드는 국경 너머의 예술계와 단절되어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브라는 실험적인 작업을 추구하는 국제적인 예술가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들은 서구 사회를 비판하고, 기존 예술 운동의 "혐오스러운" 자연주의와 "개성이 부족한" 추상주의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콘스탄트는 실험을 제한받지 않는 자유의 상징으로 보았으며, 이는 아이들과 그들의 표현을 통해 구체화된다고 생각했다.[2]코브라는 1948년 11월[3] 파리의 카페 노트르담에서[4]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이 작성한 선언문 《La cause était entendue》(사건은 해결되었다)에 카렐 아펠, 콩스탕, 코르네유, 아스거 요른 등 여러 예술가들이 서명하면서 결성되었다.[5] 이들은 색채와 형태의 완전한 자유를 추구하고 초현실주의에 반대했으며, 마르크스주의와 모더니즘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들의 작업 방식은 자발성과 실험에 기반을 두었으며, 특히 어린이 그림, 원시 예술, 파울 클레와 호안 미로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6]
코브라는 네덜란드의 그룹 Reflex, 덴마크의 그룹 Høst, 벨기에의 혁명적 초현실주의 그룹이 합쳐져 만들어졌다. 짧은 기간 동안 활동했지만, 정기 간행물 ''Cobra''를 출판하고, ''Peintures-Mot'' 시리즈와 같은 협업 작품을 만들었으며, 1949년 암스테르담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과 1951년 리에주의 팔레 데 보자르에서 두 번의 대규모 전시회를 개최했다. 코브라에는 덴마크 조각가 소냐 펠로브 만코바와 결혼한 흑인 예술가 어니스트 만코바도 참여했다.[7]
1949년 11월, 코브라는 공식 명칭을 국제 예술가 협회(Internationale des Artistes Expérimentaux)로 변경했지만, 이 이름은 오래가지 못했다. 1951년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지만, 많은 회원들은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특히 도트르몽은 주요 회원들과 협력을 이어갔다.[8] 코브라는 밝은 색채, 격렬한 붓놀림, 왜곡된 인간 형상을 특징으로 하는 반추상적인 그림을 주로 그렸으며, 이는 원시 및 민속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미국의 액션 페인팅과 유사하다. 코브라는 타시슴과 유럽 추상표현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코브라는 20세기 마지막 아방가르드 운동으로 평가받는다.[9] 나탈리 오베르에 따르면, 코브라는 공식적으로 3년(1948년~1951년) 동안만 지속되었으며, 이후 각 예술가들은 각자의 길을 갔다.[10]
2. 4. 1. 선언문: 《La cause était entendue》
크리스티안 도트르몽이 작성하고 1948년 파리에서 카렐 아펠, 콩스탕, 코르네유, 아스거 요른, 조셉 느와레 등 모든 창립 멤버가 서명한 선언문 《La cause était entendue》(사건은 해결되었다)는 아방가르드 예술을 위한 국제 문서 센터(Centre International de Documentation sur l'Art d'Avant-garde)의 삭막하고 권위주의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 유기적인 실험 방식으로 협력하며 그들의 작업을 발전시키겠다는 성명이었다.[11] 이 선언문의 이름은 1947년 7월 벨기에와 프랑스 혁명 초현실주의자들이 서명한 "La cause est entendue"(사건은 해결됨)라는 문서에서 따왔다.[11]3. 평가 및 의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구 사회에 대한 비판과 기존 예술 운동에서 벗어나려는 공통된 욕구에서 발전한 국제적인 예술가 운동인 코브라는 실험적인 작업을 추구했다. 콘스탄트에 따르면 실험은 제한받지 않는 자유의 상징이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아이들과 아이들의 표현을 통해 구체화되었다고 한다.[2]
코브라는 원시 및 민속 예술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타시슴과 유럽 추상표현주의의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또한 액션 페인팅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코브라의 작업 방식은 자발성과 실험에 기반하였으며, 특히 어린이의 그림, 원시 예술 형식 및 파울 클레와 호안 미로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6]
코브라는 아마 20세기의 마지막 아방가르드 운동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9] 나탈리 오베르(Nathalie Aubert)에 따르면 코브라는 공식적으로 3년(1948년~1951년) 동안만 지속되었다고 한다. 그 기간 이후 그룹의 각 예술가들은 각자의 길을 개척해 나갔다.[10]
참조
[1]
서적
A Short History of the Netherlands: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Day
https://www.worldcat[...]
Bekking
[2]
서적
Klee and Cobra: A Child's Play
Hatje Cantz
[3]
웹아카이브
La cause est entendue
http://www.andrebret[...]
2011-07-18
[4]
웹사이트
collections page
http://moma.org/coll[...]
MOMA online
[5]
웹인용
La cause etait entendue
https://brbl-dl.libr[...]
2019-07-23
[6]
웹사이트
collections page
http://moma.org/coll[...]
MOMA online
[7]
저널
The Erasure of Ernest Mancoba: Africa and Europe at the Crossroads
https://doi.org/10.1[...]
2010-03-01
[8]
웹인용
Cobra Museum
https://web.archive.[...]
[9]
서적
Cobra: The Last Avant-garde Movement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Lund Humphries
2004
[10]
간행물
Cobra after Cobra' And The Alba Congress: From Revolutionary Avant-Garde To Situationist Experiment.
2006
[11]
서적
Cobra: The Last Avant-Garde Movement
Lund Humphries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