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 미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상 미술은 20세기 초에 등장하여 사물의 재현을 벗어나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양식이다. 19세기 말 모리스 드니의 선언과 20세기 초 포비즘, 큐비즘, 미래파 등의 흐름을 거쳐 바실리 칸딘스키, 피에트 몬드리안 등에 의해 시작되었다. 쉬프레마티즘, 구성주의, 데 스틸, 바우하우스 등의 운동을 통해 발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추상 표현주의와 앵포르멜 운동으로 이어졌다. 추상 미술은 기하학적 추상과 서정적 추상으로 분류되며, 바실리 칸딘스키, 피에트 몬드리안, 카지미르 말레비치 등 많은 예술가들이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상 미술 - 입체주의
입체주의는 20세기 초에 등장하여 대상을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표현하는 미술 사조이며, 파블로 피카소와 조르주 브라크가 주도하여 회화, 조각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추상 미술 - 추상 (예술)
추상 예술은 구체적인 형상 재현 없이 순수한 조형 요소로 표현하는 미술 경향으로, 20세기 과학 기술 발전과 도시 변화 속에서 나타났으며, 음악에서는 순음악, 비구체적 음악, 즉흥 연주 해석 방식으로도 사용된다. - 회화 - 현판
현판은 건축물이나 장소의 이름, 의미를 나타내는 표지판으로 건물의 정체성을 드러내고 권위와 상징성을 부여하며 역사와 문화를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 회화 - 삽화
삽화는 텍스트 이해를 돕는 그림이나 도안으로, 시각 정보를 전달하며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되고 예술 작품으로서의 가치와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근대 미술 - 구상 미술
구상 미술은 선, 형태, 색 등을 사용하여 구체적인 형상을 표현하고 현실 세계를 묘사하는 미술 장르로, 고대 그리스 조각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시대적 흐름을 거치며 발전해 왔으며 인류의 예술적 표현과 사상의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이다. - 근대 미술 - 바우하우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독일 바이마르에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중심으로 예술 분야를 통합하고 기능주의와 기하학적 형태를 강조하는 디자인 양식을 추구한 예술 학교로, 나치 정권의 탄압으로 폐교되었으나 그 이념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쳤다.
추상 미술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미술 운동 |
스타일 | 비재현적 미술 비구상 미술 |
범위 | 회화, 조각, 그래픽 디자인, 기타 |
역사적 맥락 |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특징 | |
표현 요소 | 색채 형태 선 질감 구도 |
특징 | 실제 세계의 시각적 재현으로부터의 독립 주관적 감정 및 경험 표현 형식적 요소의 탐구 |
주요 인물 | |
화가 | 바실리 칸딘스키 카지미르 말레비치 피에트 몬드리안 프란티셰크 쿠프카 로베르 들로네 소냐 들로네 힐마 아프 클린트 잭슨 폴록 마크 로스코 |
조각가 | 콘스탄틴 브랑쿠시 헨리 무어 바바라 헵워스 |
역사 | |
기원 | 20세기 초 |
주요 운동 | 입체주의 미래주의 절대주의 신조형주의 추상표현주의 색면추상 미니멀리즘 |
영향 | |
영향 | 현대 미술 시각 디자인 건축 |
2. 역사
19세기 말, 모리스 드니는 "회화란 전쟁터의 말이나 나부이기 이전에 질서를 가진 색채로 덮여진 평면이다"라고 선언하며, 회화가 사물 묘사나 설화적 표현에서 벗어나야 함을 주장했다.[53] 이는 추상 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선언이었다. 20세기에 들어 포비슴은 폴 고갱이 주장한 색채의 해방을 추구했고, 퀴비슴은 사물을 분해하여 화면에 재구성했다. 미래파는 급변하는 현대에 발맞춰 속도감을 표현하는 시각 언어를 창조했다.[53]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1915년 쉬프레마티슴을 주창하며 순수한 형태에 의한 화면 구성을 추구했고, 모든 시각적 대상을 버리고 추상적 도형을 간결하게 배치했다.[53] 쉬프레마티슴은 미술의 가치 전환을 시사하며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구성주의는 퀴비슴의 추상적 조형과 미래파의 기계주의적 이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혁명 전후 민중의 입장을 반영하여 미술, 건축, 공예, 무대 디자인 등 광범위한 혁신 운동을 전개했으나, 소비에트 문화 지도 이념의 전환으로 러시아 내 활동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그 이념은 유럽, 특히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테오 반 도스부르크는 레이던을 중심으로 데 스틸이라는 그룹을 결성, 기하학적 선과 순수한 색채를 이용한 몰개성적인 관계에 기초한 미학을 추구했다. 피트 몬드리안 등은 회화, 조각,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구체화했으나, 유토피아적 성격으로 인해 완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바우하우스에 계승되었다.
발터 그로피우스가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바탕으로 총합적인 이념에 입각, 공방을 중심으로 독특한 연구 교육 조직을 갖추었다. 바실리 칸딘스키 등 전위 미술가들이 형태 연구 지도를 담당했으나, 나치스의 압력으로 폐쇄되었다. 그러나 그 이념은 현대미술의 여러 분야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
일반적으로 미술사에서는 바실리 칸딘스키 또는 피에트 몬드리안이 추상미술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그 시기는 1910년경으로 여겨진다. 초기 추상화로는 칸딘스키 외에도 프란티셰크 쿠프카의 그림 등도 언급된다.[42][43][44] 그 외, 힐마 아프 클린트가 이미 1906-07년경에 추상미술로 간주할 수 있는 작품을 그리고 있다.[45]
추상미술의 원류는 주로 「독일 표현주의」와 「큐비즘」의 두 가지 흐름이 있다. 독일 표현주의에서의 흐름은 바실리 칸딘스키나 프란츠 마르크 등의 작품이, 큐비즘에서의 흐름은 오르피즘에서 시작하여, 데 스틸과 러시아 아방가르드를 거쳐 1930년대의 추상미술 운동으로 결집한다. 가장 이 두 가지 흐름은 엄밀하게 독립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때로는 합류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추상 표현주의가 미국에서 활발한 전개를 보여 유럽에 역수입되어 앵포르멜 운동을 낳게 되었다.[50]
2. 1. 서구 추상 미술의 등장 (19세기 말 ~ 20세기 초)
19세기 말, 모리스 드니는 "회화란 전쟁터의 말이나 나부이기 이전에 질서를 가진 색채로 덮여진 평면이다"라고 선언하며, 회화가 사물 묘사나 설화적 표현에서 벗어나야 함을 주장했다.[53] 이는 추상 미술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선언이었다. 제임스 맥닐 휘슬러는 ''검정과 금의 야상곡: 떨어지는 로켓''에서 사물 묘사보다 시각적 감각에 중점을 두어 새로운 미술의 초기 징후를 보였다.[5][6]
20세기에 들어 포비슴은 폴 고갱이 주장한 색채의 해방을 추구했고, 퀴비슴은 사물을 분해하여 화면에 재구성했다. 미래파는 급변하는 현대에 발맞춰 속도감을 표현하는 시각 언어를 창조했다.[53]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쉬프레마티슴을 주창하며 순수한 형태에 의한 화면 구성을 추구했고, 모든 시각적 대상을 버리고 추상적 도형을 간결하게 배치했다. 쉬프레마티슴은 미술의 가치 전환을 시사하며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구성주의는 퀴비슴의 추상적 조형과 미래파의 기계주의적 이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다. 혁명 전후 민중의 입장을 반영하여 미술, 건축, 공예, 무대 디자인 등 광범위한 혁신 운동을 전개했으나, 소비에트 문화 지도 이념의 전환으로 러시아 내 활동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그 이념은 유럽, 특히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테오 반 도스부르크는 레이던을 중심으로 데 스틸이라는 그룹을 결성, 기하학적 선과 순수한 색채를 이용한 몰개성적인 관계에 기초한 미학을 추구했다. 피트 몬드리안 등은 회화, 조각,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구체화했으나, 유토피아적 성격으로 인해 완전히 실현되지 못하고 바우하우스에 계승되었다.
발터 그로피우스가 설립한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바탕으로 총합적인 이념에 입각, 공방을 중심으로 독특한 연구 교육 조직을 갖추었다. 바실리 칸딘스키 등 전위 미술가들이 형태 연구 지도를 담당했으나, 나치스의 압력으로 폐쇄되었다.
폴 세잔은 단일 시점에서 본 관점을 기반으로 현실을 논리적으로 구성하려 했고,[9] 이는 입체주의로 발전하는 새로운 시각 예술의 기초가 되었다. 헬레나 블라바츠키의 신비주의와 초기 모더니즘 종교 철학은 힐마 아프 클린트와 바실리 칸딘스키 등 기하 추상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0] 영매술 또한 카지미르 말레비치와 프란티셰크 쿠프카의 추상 미술에 영감을 주었다.[11]
표현주의 화가들은 강렬한 색채와 왜곡된 드로잉을 통해 감정적으로 충만한 그림을 제작, 후기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았지만 20세기 추상 미술의 출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2. 20세기 초 추상 미술의 발전
20세기 초, 추상 미술은 여러 갈래의 흐름 속에서 발전했다. 1890년 모리스 드니는 "회화란 전쟁터의 말이나 나부이기 이전에 질서를 가진 색채로 덮여진 평면이다"라고 선언하며, 회화가 사물 묘사나 이야기 전달에서 벗어나야 함을 주장했다.[53] 포비슴은 폴 고갱이 주장한 색채 해방을 추구했고, 퀴비슴은 사물을 분해하여 화면에 재구성했다. 미래파는 빠른 속도감을 표현하는 시각 언어를 창조했다.[53]카지미르 말레비치는 1915년 쉬프레마티슴을 주창하며 순수한 형태에 의한 화면 구성을 추구했고, 모든 시각적 대상을 버리고 추상적 도형을 간결하게 배치했다.[53] 이는 미술의 가치 전환을 시사하는 중요한 사상으로,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한편, 구성주의는 퀴비슴과 미래파의 영향을 받아 미술,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 운동을 전개했지만, 소비에트 문화 정책 변화로 러시아 내 활동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그 이념은 유럽, 특히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1917년 테오 반 도스부르크는 레이던을 중심으로 데 스틸을 결성, 기하학적 선과 순수한 색채를 기반으로 한 미학을 추구했다. 피트 몬드리안, 발터 그로피우스 등이 참여했으나 유토피아적 성격으로 인해 이상을 완전히 실현하지는 못했고, 바우하우스에 이념이 계승되었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는 바우하우스를 설립, 건축을 중심으로 모든 시각 예술을 통합하는 교육을 추구했다. 파울 클레, 바실리 칸딘스키 등이 교수진으로 참여했으나, 나치의 탄압으로 1932년 폐쇄되었다. 그러나 바우하우스의 이념은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끼쳤다.
앙리 마티스는 표현적인 색채와 자유로운 드로잉으로 ''콜리우르의 프랑스식 창문''(1914년) 등에서 순수 추상에 근접했다. 1909년부터 1913년까지 프란시스 피카비아, 바실리 칸딘스키, 프란티셰크 쿠프카, 로베르 들로네 등 여러 예술가들이 '순수 예술'을 추구하는 실험적인 작품을 창작했다. 1912년 황금분할파 살롱에서 쿠프카가 추상화 ''두 색조의 푸가''(1912년)를 전시했을 때, 기욤 아폴리네르는 로베르 들로네 등의 작품을 오르피즘(미술)이라고 명명했다.[12]

레이요니즘의 나탈리아 곤차로바와 미하일 라리오노프는 빛의 광선과 같은 선을 사용했다. 카지미르 말레비치는 1915년 첫 완전 추상 작품 ''검은 사각형''을 완성했다. 리우보프 포포바는 건축적 구성 등을 만들었다. 피트 몬드리안은 수평선과 수직선의 추상적 언어를 발전시켰고, 데 스틸은 미래 환경 재구성을 추구했다.

러시아의 많은 추상 예술가들은 구축주의자가 되어 예술과 삶의 통합을 추구했다. 바르바라 스테파노바 등은 연극 디자인 등에 힘을 쏟았다. 반면 카지미르 말레비치 등은 예술이 영적인 활동이라고 주장했다. 1920년대 중반 혁명기가 끝나고 1930년대에는 사회주의 리얼리즘만 허용되었다.[25]
바실리 칸딘스키는 음악과 미술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색채가 영혼에 울림을 준다고 생각했다.[26][27][28] 신지학회는 고대 지혜를 대중화했고, 피에트 몬드리안 등은 오컬트에 관심을 가졌다. 원, 정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기하학적 형태는 추상 예술의 공간적 요소가 되었다.

1930년대 파리는 여러 국가의 예술가들을 수용했다. 소피 토이베르와 장 아르프는 회화와 조각 작업을 공동으로 진행했다. 카타지나 코브로는 수학적 아이디어를 조각에 적용했다. 세를클 에 카레 전시회에는 다양한 추상주의자들의 작품이 포함되었다. 테오 반 두스부르크는 ''구체미술(Art Concret)'' 저널을 발행했다.[32] 추상 창조(Abstraction-Création)는 추상 미술가들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했다. 영국 최초의 추상 미술 전시회는 1935년에 열렸다. 헵워스, 니콜슨, 가보는 세인트 아이브스에서 구축주의 작업을 계속했다.[33]

미술사에서 좁은 의미의 추상미술은 1910년대 무렵에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바실리 칸딘스키 또는 피에트 몬드리안이 추상미술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초기 추상화로는 칸딘스키 외에도 프란티셰크 쿠프카의 그림 등도 언급된다.[42][43][44] 그 외, 힐마 아프 클린트가 이미 1906-07년경에 추상미술로 간주할 수 있는 작품을 그리고 있다.[45]
File:Hilma af Klint - 1907 - De Tio Största - no 10 Alderdomen.jpg|힐마 아프 클린트 「De Tio Största, n°10 Alderdomen」(1907년)
Image:Robert Delaunay, 1913, Premier Disque, 134 cm, 52.7 inches, Private collection.jpg|로베르 들로네 「Le Premier Disque」(1912년~1913년)
File:Piet Mondriaan, 1930 - Mondrian Composition II in Red, Blue, and Yellow.jpg|피에트 몬드리안 「적·청·황의 구성」(1930년)
추상미술의 원류는 주로 「독일 표현주의」와 「큐비즘」의 두 가지 흐름이 있다. 독일 표현주의에서의 흐름은 바실리 칸딘스키나 프란츠 마르크 등의 작품이, 큐비즘에서의 흐름은 오르피즘에서 시작하여, 데 스틸과 러시아 아방가르드를 거쳐 1930년대의 추상미술 운동으로 결집한다. 가장 이 두 가지 흐름은 엄밀하게 독립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며,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때로는 합류하기도 했다.
이들 작가 중,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나치 정권을 피한 많은 사람이 미국에 망명·이민하였다. 이것이 전후 미국의 미술 번영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전후의 추상미술은, 그때까지의 기하학적인 추상에 대한 새로운 흐름으로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와 유럽의 「앵포르멜」이 등장하여[50], 그것들에서 파생한 미술 표현이 다양성을 가진 전개를 보였다.
2. 3. 20세기 중반 이후의 추상 미술
20세기에 들어 포비슴에서는 이미 고갱이 주장해 온 색채의 해방을 추진했고, 퀴비슴은 사실적인 사물을 분해하여 화면에 재구성하였다.[53] 또 미래파는 현대의 급속한 변혁에 일치하는 스피드 감각을 표현하는 관계로 일종의 시각언어를 창조하였다.[53]1915년 퀴비슴의 영향을 받은 말레비치는 쉬프레마티슴을 주창하며 순수한 형태에 의한 화면 구성을 목적하였고, 모든 시각적인 대상을 버리고 추상적 도형을 간결하게 응축시킨 형태로 화면에 배치하였다.[53] 쉬프레마티슴은 추상미술이 현상의 추출 작업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사상을 제시하며 미술의 가치 전환에 큰 영향을 주었다. 이 운동은 러시아 본국에서는 소비에트의 정책 변경과 함께 소멸했지만, 그 이념은 유럽 추상미술의 저류가 되었고, 특히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53]
쉬프레마티슴과 함께 타틀린, 로드첸코, 가보, 페브스너 등은 혁명 전후 러시아에서 구성주의를 전개하였다.[53] 퀴비슴이 시사한 추상적 조형과 미래파가 촉발한 기계주의적인 이념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방향으로 발전시켰고, 혁명 전후 민중의 입장도 반영하여 미술뿐만 아니라 건축·공예·무대·디자인 등 광범위에 걸친 혁신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 모스크바에서 구성주의 대총합 전시회가 열렸지만, 페브스너와 가보 형제가 그룹을 이탈하고 소비에트 문화 지도이념의 전환으로 인해 형식주의라는 비판을 받으며 러시아에서의 활동은 끝났다. 그러나 그 이념은 유럽에 전파되어 독일의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끼쳤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귀국한 칸딘스키도 1921년까지 이 운동에 참가하였다.[53]
1917년 테오 반 도스부르크는 레이덴을 중심으로 데 스틸이라는 그룹을 결성하였다. 기하학적인 선과 순수한 색채와의 몰개성적인 관계에 기초를 둔 이 운동은 회화에 몬드리안과 도스부르크, 조각에는 반톤게를로, 건축에는 아우드, 실내장식과 가구에 리트펠드 등이 각 분야에서 구체화하였다. 그러나 이 운동의 유토피아적 성격 때문에 총합은 충분히 실현되지 못하고, 그 이념은 독일의 바우하우스에게 계승되었다.[53]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의 입안으로 독일에서 국립 종합 조형학교인 바우하우스가 창립되었다.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바탕으로 총합적인 이념에 입각하여 공방을 기본으로 독특한 연구 교육 조직을 갖추었고, 한 공방에서 형태와 실기의 연구지도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공방에는 벽화, 글라스화·판화·제도(製陶)·금속·직물 등이 있었고, 각 분야에는 칸딘스키, 클레, 파이닝거, 마르크스, 모홀리 나기, 무헤 등 전위 미술가가 형태 연구지도를 담당하였다. 나치스의 정치적 압력으로 바우하우스는 사학교로 격하되고 베를린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폐쇄되었다. 그러나 그 이념은 현대미술의 여러 분야에 매우 큰 영향을 끼쳤다.[53]
1930년대 나치의 집권으로 많은 예술가들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망명했다. 1940년대 초에는 표현주의, 입체주의, 추상,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등 근대 미술의 주요 운동들이 뉴욕에 자리 잡았다. 마르셀 뒤샹, 페르낭 레제, 피에트 몬드리안, 자크 리피치츠, 앙드레 마송, 막스 에른스트, 앙드레 브르통 등이 뉴욕으로 온 망명 유럽 예술가들이었다.[35] 뉴욕의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유럽 예술가들이 가져온 풍부한 문화적 영향은 현지 화가들에 의해 흡수되고 발전되었다. 미술관들은 현지 미술 공동체와 젊은 미국 예술가들의 작품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조지아 오키프처럼 특정 그룹에 가입하지 않고 매우 추상적인 형태를 그린 독불장군도 있었다.[36]
결국 다양한 스타일로 작업하던 미국 예술가들은 응집력 있는 스타일 그룹으로 통합되기 시작했는데, 이들이 추상표현주의와 뉴욕 스쿨이다. 존 D. 그레이엄과 한스 호프만은 새로 온 유럽 근대주의자들과 성장하는 젊은 미국 예술가들 사이에서 중요한 가교 역할을 했다. 마크 로스코는 처음에는 강력한 초현실주의 이미지로 시작했지만, 1950년대 초에는 강력한 색채 구성으로 발전했다. 표현주의적 제스처와 회화 행위 자체는 잭슨 폴록, 로버트 마더웰, 프란츠 클라인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되었다. 1940년대 동안 아쉴 고르키와 윌렘 드 쿠닝의 구상 작품은 10년 말까지 추상으로 발전했다. 뉴욕시는 중심지가 되었고, 전 세계의 예술가들이 미국 다른 지역뿐 아니라 뉴욕으로 몰려들었다.[3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추상 표현주의가 미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어 유럽에 역수입되어 앵포르멜 운동을 낳게 되었다.[50] 디지털 아트, 하드 엣지 페인팅, 기하학적 추상, 미니멀리즘, 서정적 추상, 옵 아트, 추상 표현주의, 색면 회화, 단색화, 조합, 네오 다다, 형태가 있는 캔버스 회화는 20세기 후반 추상과 관련된 몇 가지 경향이다.
미국에서는 미니멀리스트 조각가 도널드 저드와 화가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예술 작품으로서의 대상''이 새로운 변형으로 여겨진다. 서정적 추상과 로버트 마더웰, 패트릭 헤론, 케네스 놀랜드, 샘 프랜시스, 사이 투옴블리, 리처드 디벤콘, 헬렌 프랑켄서러, 조안 미첼, 베로니카 루이스 데 벨라스코 등 다양한 화가들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감각적인 색채 사용도 주목할 만하다.
2. 4. 대한민국 추상 미술의 전개
19세기말 모리스 드니는 "회화란 전쟁터의 말이나 나부이기 이전에 질서를 가진 색채로 덮여진 평면이다"라고 선언하며, 회화가 사물 묘사나 설화적 표현에서 벗어나야 함을 주장했다. 이는 20세기에 들어 포비슴의 고갱이 주장한 색채 해방, 퀴비슴의 사물 분해 및 재구성, 미래파의 시각 언어 창조로 이어졌다.1915년 말레비치는 쉬프레마티슴을 통해 순수 형태에 의한 화면 구성을 추구하며 모든 시각적 대상을 버리고 추상적 도형을 간결하게 배치했다. 쉬프레마티슴은 현상 추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미술의 가치 전환을 시사하며, 신조형주의와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다.
구성주의는 쉬프레마티슴과 함께 타틀린, 로드첸코, 가보, 페브스너 등이 혁명 전후 러시아에서 전개한 운동이다. 퀴비슴의 추상적 조형과 미래파의 기계주의적 이념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방향으로 발전했으며, 미술, 건축, 공예, 무대 디자인 등 광범위한 혁신 운동을 펼쳤다. 1920년 모스크바에서 구성주의 대총합 전시회가 열렸지만, 소비에트 문화 지도 이념 전환으로 형식주의 비판을 받고 러시아 내 활동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그 이념은 유럽, 특히 독일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고, 칸딘스키도 1921년까지 이 운동에 참여했다.
1917년 테오 반 도스부르크는 레이덴을 중심으로 데 스틸 그룹을 결성했다. 기하학적 선과 순수 색채의 몰개성적 관계에 기초한 이 운동은 몬드리안과 도스부르크의 회화, 반톤게를로의 조각, 아우드의 건축, 리트펠드의 실내 장식과 가구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유토피아적 성격으로 인해 총합은 충분히 실현되지 못하고 독일 바우하우스에 계승되었다.
1919년 발터 그로피우스가 설립한 독일 국립 종합 조형 학교 바우하우스는 건축을 바탕으로 공방 중심의 연구 교육 조직을 갖추고 벽화, 글라스화, 판화, 제도, 금속, 직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위 미술가들이 형태 연구 지도를 담당했다. 칸딘스키, 클레, 파이닝거, 마르크스, 모홀리 나기, 무헤 등이 참여했다. 그러나 나치스의 압력으로 사립 학교로 격하, 베를린으로 이전 후 폐쇄되었지만, 그 이념은 현대 미술에 큰 영향을 끼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추상 표현주의가 미국에서 활발히 전개되어 유럽에 역수입, 앵포르멜 운동을 낳았다.
3. 분류
추상미술은 그 표현에 있어서 엘리멘터리즘(요소주의)과 자유추상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말레비치의 쉬프레마티슴과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로, 최소한의 형태와 색채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하여 '차가운 추상'이란 별명을 얻었으며 후에 디자인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후자의 자유추상은 '뜨거운 추상'이라 하는데 직관의 감정에 의한 표현(칸딘스키) 때문에 1차, 2차 양대전 사이에는 쉬르레알리슴의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에서 활발한 전개를 보여 유럽에 역수입되어 앵포르멜 운동을 낳게 되었다.
3. 1. 기하학적 추상 (차가운 추상)
말레비치의 쉬프레마티슴과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는 최소한의 형태와 색채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하여 '차가운 추상'이란 별명을 얻었으며, 후에 디자인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3. 2. 서정적 추상 (뜨거운 추상)
추상미술은 엘리멘터리즘(요소주의)과 자유추상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말레비치의 쉬프레마티슴과 몬드리안의 신조형주의처럼 최소한의 형태와 색채로 기하학적 형태를 추구하여 '차가운 추상'이란 별명을 얻었으며, 디자인 분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후자의 자유추상은 '뜨거운 추상'이라 불리며, 직관과 감정에 의한 표현(칸딘스키) 때문에 1차, 2차 양대전 사이에는 쉬르레알리슴에 가려 빛을 보지 못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미국에서 활발하게 전개되어 유럽에 역수입되었고, 앵포르멜 운동을 낳게 되었다.4. 주요 예술가
바실리 칸딘스키, 피트 몬드리안, 카지미르 말레비치 외에도 이우환, 유영국 등 한국 작가들이 추상 미술 발전에 기여했다.
4. 1. 국외
바실리 칸딘스키, 피트 몬드리안, 카지미르 말레비치를 비롯한 여러 화가들이 추상 미술에 기여했다.네덜란드의 카렐 아펠, 빌렘 드 쿠닝, 테오 반 두스뷔르흐, 피에트 몬드리안이 추상 미술 운동에 참여했다. 독일에서는 요제프 알베르스, 장 아르프, 게르하르트 리히터가, 우크라이나에서는 알렉산드라 엑스테르와 소냐 드로네가 활동했다. 러시아 출신의 바실리 칸딘스키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프란티셰크 쿠프카도 추상 미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국에서는 아서 도브, 리처드 디벤콘, 버넷 뉴먼, 케네스 놀랜드, 모리스 루이스 등이 추상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들이다. 프랑스에서는 로베르 드로네와 장 포르트리에가, 이탈리아에서는 자코모 발라와 알베르토 부리가 활동했다. 헝가리의 필모스 후사르도 추상 미술 운동에 참여했다.
일본에서는 아메리, 이시고오카 케이카, 오가타 준, 오카모토 토시코, 가모시타 요코, 카미하라 야스시, 키무라 이치세이, 고야 테츠오, 사사키 히로코, 시라가미 카즈오, 와시미 야스오, 타가야 이토쿠, 타부치 안이치, 츠타카 카즈이치, 하세가와 아키, 하나다 카즈하루, 후지오 히토시, 마사노부 마사토시, 무라이 마사키, 혼구우 켄지, 요시다 하나코 등 많은 작가들이 추상 미술 분야에서 활동했다.
콘스탄틴 브랑쿠시, 장 아르프, 나움 가보, 앙투안 페브스너, 블라디미르 타트린, 바바라 헵워스 등은 추상 조각을 제작한 대표적인 작가들이다. 한편, "추상사진"이나 "추상건축"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추상예술"은 "추상음악"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4. 2. 국내
바실리 칸딘스키, 피트 몬드리안, 카지미르 말레비치 외에도 추상 미술은 이우환, 유영국 등 국내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5. 분석
근대 미술에서 추상 미술의 유행이 증가한 것에 대해, 테오도르 아도르노는 추상이 산업 사회에서 사회적 관계의 추상화에 대한 반응이자 반영이라고 설명했다.[37] 프레데릭 제이미슨 또한 근대주의적 추상을 돈의 추상적인 힘의 기능으로 보았으며, 이는 모든 것을 교환 가치로 동등하게 평가한다고 주장했다.[38] 따라서 추상 미술의 사회적 내용은 후기 근대성 세계에서 사회적 존재의 추상적 본질, 즉 법적 형식, 관료적 비인격화, 정보/권력을 반영한다.[39]
반면, 융 이후 학파는 양자 이론이 형태와 물질에 대한 기존 개념을 분해하여, 근대 미술에서 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의 분리를 뒷받침한다고 본다.[40]
화가 알 캡은 추상 미술을 "무능한 자가 만들어내고, 원칙 없는 자가 완전히 어리둥절한 자에게 파는 산물"이라고 간략하게 설명했다.[41]
예를 들어, 가로로 긴 캔버스에 왼쪽부터 “○△□”를 유채 또는 수채로 그린 그림이 있을 때, 그림 제작자의 주관에 따라 구상 회화, 추상 회화, 디자인·마크·기호·무늬 등으로 구분된다. 에도 시대의 선승 선외의범(仙厓義梵)의 작품 중에는 실제로 “○△□"를 그린 작품이 존재한다.[52]
6. 관련 논문
민주식은 〈추상미술의 미학적 원리: 개념과 장르적 특성을 중심으로〉라는 논문에서 추상미술의 미학적 원리를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2010년 미술사학연구회에서 발행하는 《미술사학보》 34에 수록되었다.
참조
[1]
서적
Visual Think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9
[2]
서적
Abstract Art
Tate Publishing
2000
[3]
웹사이트
Abstract Art – What Is Abstract Art or Abstract Painting, retrieved January 7, 2009
http://painting.abou[...]
Painting.about.com
2011-06-07
[4]
웹사이트
Themes in American Art – Abstraction, retrieved January 7, 2009
https://web.archive.[...]
Nga.gov
2000-07-27
[5]
웹사이트
Whistler versus Ruskin, Princeton edu.
http://blogs.princet[...]
2010-06-13
[6]
웹사이트
From the Tate
http://www.tate.org.[...]
2009-04-12
[7]
서적
The Early Medici as Patrons of Art
1966
[8]
서적
Paying the Piper: Causes and Consequences of Art Patronage
Univ. of Illinois Press
[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Modern Art
Thames and Hudson
[10]
웹사이트
Mondrian & mysticism: My long search is over
http://www.newcriter[...]
Newcriterion.com
1995-09
[11]
뉴스
Art View; How the Spiritual Infused the Abstract
https://www.nytimes.[...]
1986-12-21
[12]
간행물
La Section d'or, 1912–1920–1925
Éditions Cercle d'art
2000
[13]
서적
Art in theory, 1900–2000
https://books.google[...]
Wiley-Blackwell
2003
[14]
서적
The World Backwards
British museum Publications
1978
[15]
웹사이트
Francis Picabia, Caoutchouc, c. 1909, MNAM, Paris
http://francispicabi[...]
Francispicabia.org
[16]
웹사이트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Francis Picabia, ''The Spring'', 1912
http://www.moma.org/[...]
Moma.org
[17]
웹사이트
MoMA, New York, Francis Picabia, ''Dances at the Spring'', 1912
http://www.moma.org/[...]
Moma.org
[18]
웹사이트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DC., Francis Picabia, The Procession, Seville, 1912
https://archive.toda[...]
Nga.gov
[19]
웹사이트
Wassily Kandinsky, ''Untitled'' (First Abstract Watercolor), 1910
https://web.archive.[...]
Faculty.txwes.edu
2007-12-13
[20]
웹사이트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Guggenheim Museum, Kandinsky Retrospective, Guggenheim Museum, New York, 2009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Philadelphia Museum of Art, Disks of Newton (Study for "Fugue in Two Colors") 1912
http://www.philamuse[...]
Philamuseum.org
[22]
웹사이트
Musée National d'Art Moderne, Centre Georges Pompidou, Paris, Robert Delaunay, ''Formes Circulaires, Soleil n°2'' (1912–13)
https://web.archive.[...]
Centrepompidou.fr
[23]
웹사이트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Léopold Survage, Colored Rhythm (Study for the film) 1913
http://www.moma.org/[...]
Moma.org
1914-07-15
[24]
웹사이트
Rijksmuseum Kröller-Müller, Otterlo, Netherlands, Piet Mondrian, 1913
https://web.archive.[...]
Kmm.nl
[25]
서적
The Russian Experiment in Art, 1863–1922
Thames and Hudson
1962
[26]
서적
Arnold Schoenberg's Journey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27]
서적
Kandinsky
Random House Incorporated
1987
[28]
서적
Watercolors by Kandinsky at the Guggenheim Museum: a selection from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and the Hilla von Rebay Foundation
Solomon R. Guggenheim Museum, Hilla von Rebay Foundation
1991
[29]
서적
Bauhaus 1919–1928
Museum of Modern Art
1959
[30]
서적
Geometric Abstraccion 1926-1949
Dallas Museum of Fine Arts
1972
[31]
서적
Abstract Painting
[32]
서적
Abstract Art
Thames and Hudson
1990
[33]
서적
Abstract Art
Thames and Hudson
1990
[34]
서적
Utopian Reality: Reconstructing Culture in Revolutionary Russia and Beyond
BRILL
2013-10-24
[35]
서적
The Bauhaus
Studio Vista
1968
[36]
서적
New York Painting and Sculpture: 1940–1970
Metropolitan Museum of Modern Art
1969
[37]
논문
Asceticism Against Colour
2005
[38]
서적
The Jameson Reader
2000
[39]
논문
[40]
서적
Man and his Symbols
1978
[41]
웹사이트
https://quoteinvesti[...]
[42]
웹사이트
Wassily Kandinsky, Untitled (First Abstract Watercolor), 1910
https://web.archive.[...]
Faculty.txwes.edu
2023-05-06
[43]
웹사이트
The Fiftieth Anniversary of the Guggenheim Museum, Kandinsky Retrospective, Guggenheim Museum, New York, 2009
https://web.archive.[...]
2023-05-06
[44]
웹사이트
Disks of Newton
http://www.philamuse[...]
Philamuseum.org
2023-05-06
[45]
웹사이트
ヒルマ・アフ・クリントとは何者か? 美術史を覆す女性画家
https://bijutsutecho[...]
2022-04-03
[46]
뉴스
The constructivists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art and achitecture
https://www.theguard[...]
2023-05-06
[47]
웹사이트
Cubo-Futurism art movement
https://www.britanni[...]
2023-05-06
[48]
논문
The New Russian Art and Italian Futurism
2023-05-06
[49]
웹사이트
A Revolutionary Impulse: The Rise of the Russian Avant-Garde
https://www.moma.org[...]
The Museum of Modern Art
2023-05-06
[50]
기타
[51]
기타
[52]
웹사이트
ARTAGEND-仙厓ワールド―また来て笑って 仙厓さんのZen Zen禅画― 永青文庫
https://www.artagend[...]
[53]
웹사이트
추상주의
https://ko.wikisourc[...]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얽히고설킨 관계들"…구도자의 자세로 풀어내다
일상 속 사물을 운명처럼 만날 때…오는 30일까지 ‘이상용 개인전-운명 : 형상의 변주’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