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소보 민주동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소보 민주동맹(LDK)은 1989년 코소보의 자치권 축소에 반대하며 결성된 정당으로, 코소보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유고슬라비아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으나, 1990년 코소보 의회의 비준에 반대하며 '코소바 공화국'을 선포하고 자체 헌법을 초안했다. 1990년대 초에는 비폭력 저항 운동을 펼쳤으며, 1992년 독립을 위한 국민 투표를 주도했으나 불법으로 선언되었다. 코소보 전쟁 이후에는 지지율이 하락하여, 2000년대 이후에는 코소보 민주당 등 다른 정당에 밀려 두 번째로 큰 정당으로 남았다. 이념적으로는 알바니아 민족주의와 우익 정치를 기반으로 시작했으나, 이후 온건 노선과 친유럽 정책을 채택하며 중도 보수 정당으로 변화했다.
1980년대 후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 민족주의가 부상하고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코소보의 자치권을 박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이에 반발한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지식인들이 1989년 코소보 민주동맹(LDK)을 창당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주도한 세르비아의 자치권 축소 시도에 맞서 LDK는 비폭력 저항 노선을 표방하며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권익 보호와 자치 회복을 목표로 삼았다.
코소보 민주동맹은 초기에 알바니아 민족주의 성향의 우익 정치 운동으로 시작하여 코소보 독립을 목표로 활동했다. 이후 이부라힘 루고바가 이끄는 온건파는 코소보 해방군 파벌과 분리되었다. 전쟁 이후에도 당은 루고바의 보수주의 리더십 아래 유지되었으며, 여러 친유럽 정책을 채택하며 정치 스펙트럼상 중도 방향으로 이동했다.
전 당 대표 이사 무스타파는 프리슈티나 시장으로 재직할 당시 직권 남용 혐의로 70건 이상의 사건이 검찰에 송치된 바 있다.[12] 그러나 이 사건들은 모두 담당 검찰에 의해 기각되었는데, 무스타파 전 시장이 해당 사건들과 관련이 없다는 이유였다. 전 문화부 장관이었던 아스트리트 하라키아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직권을 남용하고, 당 간부인 우케 루고바와 함께 솅겐 비자를 판매하는 계획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다.[13] 또한, 현직 국회의원인 나세르 오스마니는 코소보 사유화 기구 이사회에서 부당 행위를 한 혐의로 부패 혐의를 받고 있으며, 기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다.[14] 전 오빌리크 시 시장이었던 메흐메트 크라스니치 역시 직권 남용 혐의로 조사를 받았으나,[15] 이후 해당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16]
wikitext
코소보 민주동맹은 코소보의 주요 정당 중 하나로, 여러 차례의 총선과 지방 선거를 통해 의회 및 지방 정부 구성에 참여해왔다. 창당 초기, 특히 이브라힘 루고바 대표 시절에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코소보 정치의 중심 역할을 수행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까지 총선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고, 주로 연립 정부를 이끌었다.
2. 역사
1990년 세르비아 당국에 의해 불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LDK는 그림자 정부와 의회를 구성하고 "코소바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하는 등 독자적인 활동을 이어갔다. 이브라힘 루고바의 지도 아래 LDK는 세르비아가 주도하는 선거와 인구 조사에 대한 보이콧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해외 디아스포라의 지원을 통해 조직을 확장했다. 1992년에는 자체적으로 독립 국민투표를 실시하여 압도적인 찬성 결과를 얻었으나, 국제 사회의 인정을 받지는 못했다.
1990년대 중반, LDK는 평화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속했지만 데이턴 협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배제되면서 한계를 드러냈다. 이 시기 무장 투쟁 노선을 내세운 코소보 해방군(KLA)이 부상하면서 LDK의 비폭력 노선은 점차 지지를 잃어갔다. LDK는 KLA의 폭력적 방식과는 거리를 두었으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독립 열망이 고조되면서 KLA의 영향력은 커져갔다.
1998년 코소보 전쟁이 발발하자 LDK는 세르비아 군경의 잔혹 행위를 규탄하는 한편, 국제 사회의 압력 속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의 협상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이는 내부적인 비판에 직면하며 당의 입지를 약화시켰다. 1999년 NATO의 개입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244 채택 이후에도 LDK는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는 입장을 견지했다.[5] 그러나 전쟁 전후 과정에서 경쟁 세력으로 부상한 KLA 측으로부터 LDK 지지자들이 탄압받았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6]
전쟁 이후 코소보에서는 KLA 후신 정당인 코소보 민주당(PDK), 코소보 미래를 위한 동맹(AAK) 등이 약진하면서 LDK의 지지율은 점차 하락했다. 2001년 첫 지방 선거 이후 LDK는 최대 정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2004년 선거 이후 일부 세력이 분당하고 2006년 당의 창립자이자 정신적 지주였던 이브라힘 루고바 대통령이 사망하면서 구심점을 잃었다. 2007년 선거에서는 지지율이 크게 하락하여 PDK와 연립 정부를 구성했으나, 2010년 연정에서 탈퇴했다.[7] 이후 LDK는 코소보의 주요 정당 중 하나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2. 1. 창당 배경 (1980년대 후반)
1980년대 후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전역에서는 민족주의 감정이 고조되고 있었다. 당시 코소보는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으나, 1974년 헌법에 따라 사실상 세르비아 의회의 통제에서 벗어난 높은 수준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었다.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에서의 코소보의 정치적 지위'' 참조) 그러나 198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수십 년간 지속된 코소보 내 불안은 더욱 심화되었고, 다수를 차지하는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더 많은 자치권을 요구하며 유고슬라비아 연방 내 7번째 공화국이 되려는 움직임까지 보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세르비아 공산당 지도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코소보 문제를 세르비아 내에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는 수단으로 활용했다. 그는 1989년, 세르비아 헌법 개정을 통해 코소보의 자치권을 일방적으로 폐지하고 1974년 이전의 상태로 되돌려 세르비아의 통제력을 강화했다.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여 코소보의 알바니아계 지식인들은 같은 해 코소보 민주동맹(LDK)을 결성했다. LDK는 세르비아의 자치권 폐지 조치와 이후 1990년 코소보 의회에서의 비준 시도에 강력히 반대하며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권익 보호를 목표로 삼았다.
2. 2. 초기 활동과 비폭력 저항 (1990년대 초)
1980년대 후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전역에서 민족주의적 긴장이 고조되었다. 당시 코소보는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였지만, 1974년 헌법에 따라 상당한 자치권을 누리고 있었다. 그러나 세르비아 공산주의자 지도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코소보 내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자치 확대 요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여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자극했다. 1989년, 밀로셰비치 정권은 세르비아 헌법 개정을 통해 코소보의 자치권을 사실상 박탈하고 세르비아의 직접 통제를 강화했다.
이러한 조치에 반발하여 알바니아계 지식인 그룹은 1989년 코소보 민주동맹(LDK)을 창설했다. LDK는 코소보의 자치권 축소에 반대하며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유고슬라비아 당국은 LDK의 민족주의적이고 분리주의적인 성향을 문제 삼아 1990년 7월 활동을 금지했다. 이에 LDK는 자체적으로 그림자 의회를 구성하고, 의회 건물 앞에서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된 "코소바 공화국"을 선포하며 독자적인 헌법 초안을 마련했다.
LDK는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권리가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 실시되는 선거는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며, 1990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처음 실시된 자유 총선거에 대한 보이콧 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또한 1991년 실시된 인구 조사 역시 보이콧을 촉구하여, 공식 기록상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 인구는 9,091명(전체 인구의 약 2.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LDK는 알바니아계 주민들에게 세르비아가 주도하는 모든 국가 기관에서 철수하고 보이콧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며, 세르비아어를 코소보의 공식 언어로 재도입하는 등 중앙 집권적 통치 강화에 맞섰다.
1991년 봄까지 LDK는 취리히, 슈투트가르트, 브뤼셀 등지의 알바니아계 디아스포라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받으며 약 70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조직으로 성장했다. 같은 해 9월, LDK가 구성한 코소바 공화국 그림자 의회는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과 주권"을 지지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LDK는 코소보 내 대부분의 알바니아계 정당들을 아우르는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정당 조정 위원회"를 이끌며, 알바니아 민족 문제 해결을 위해 유고슬라비아 내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의 통일 또는 모든 알바니아인의 단일 국가 창설이라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1992년, LDK는 코소보의 독립 여부를 묻는 자체적인 국민투표를 조직했다. 이 투표에서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87%(당시 코소보 전체 인구의 약 80% 차지)가 독립에 찬성표를 던졌다. 그러나 세르비아 당국은 이 국민투표를 불법으로 규정했으며, 이는 코소보 내 알바니아계와 세르비아계 주민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새롭게 출범하고 코소보가 세르비아 공화국의 자치주로 남게 되자, LDK는 중앙 세르비아와 프레셰보 계곡의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포함하여 유고슬라비아 연방 총선거에 대한 보이콧을 다시 한번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2. 3. 독립 선언과 국제적 노력 (1990년대 중반)
1989년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코소보의 자치권을 박탈하자, 이에 반발한 알바니아계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코소보 민주동맹(LDK)이 결성되었다. LDK는 세르비아의 조치에 반대하며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권익 보호와 자치 회복을 목표로 활동을 시작했다.
1990년 7월, 세르비아 당국은 민족주의 및 분리주의 성향을 이유로 LDK를 불법화하고 코소보 의회를 해산했다. 이에 LDK 소속 의원들은 의회 건물 앞에서 자체적으로 "코소바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하고 임시 헌법을 마련했다. LDK는 코소보 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1990년 세르비아 총선과 1991년 유고슬라비아 인구 조사에 대한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보이콧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또한 알바니아계 주민들에게 세르비아 통치 하의 모든 국가 기관에서 철수할 것을 촉구하며 비폭력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1991년 봄, LDK는 스위스 취리히, 독일 슈투트가르트, 벨기에 브뤼셀 등지의 해외 디아스포라로부터 상당한 지원을 확보하며 조직 규모를 확장했다. 같은 해 9월, LDK가 주도하는 그림자 의회는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과 주권"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LDK는 코소보 내 알바니아계 주요 정당들을 규합하여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 정당 조정 위원회"를 결성하고, 발칸 지역 알바니아인 문제 해결을 위한 두 가지 방안, 즉 유고슬라비아 내 알바니아인 거주 지역 통합 또는 대알바니아 건설을 제시하며 국제 사회의 관심을 촉구했다.
1992년, LDK는 코소보 독립에 대한 비공식 국민투표를 조직했다. 코소보 알바니아 인구의 87% (전체 인구의 약 80% 해당)가 독립에 찬성했으나, 세르비아 정부와 국제 사회는 이 투표를 인정하지 않았고, 이는 세르비아계와 알바니아계 간의 갈등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코소보는 세르비아 공화국 내의 자치주 지위를 유지하게 되었다. LDK는 이에 항의하며 유고슬라비아 총선 보이콧을 지속했다.
1995년 보스니아 전쟁을 종결시킨 데이턴 협정 논의 과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완전히 배제되자 LDK는 큰 실망감을 표출했다. 초기에는 평화적 저항 노선을 견지하며 알바니아 민족 운동 단체를 지원했으나, 점차 무장 투쟁 노선을 강화한 코소보 해방군(KLA)과는 거리를 두었다. 1997년 이후 알바니아의 정권 교체와 맞물려 LDK 내부에서도 알바니아와의 통일보다는 코소보 독립 노선이 우세해졌다.
그러나 LDK의 평화적, 외교적 해결 노력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 LDK의 지지 기반은 점차 약화되었다. 반면 무력 투쟁을 주장하는 KLA의 영향력은 커져갔다. 1998년 코소보 전쟁이 발발하자 LDK는 세르비아 군경에 의한 알바니아계 주민 학살을 강력히 규탄했다. 한편, 미국 등 국제 사회의 압력과 권고에 따라 LDK 지도자 이브라힘 루고바는 독립 노선을 일시적으로 접고 베오그라드를 방문하여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당시 유고 연방 대통령과 자치권 협상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이는 오히려 알바니아계 주민들의 비판을 받으며 LDK의 입지를 더욱 약화시켰다.
1999년 NATO의 유고슬라비아 공습 이후, LDK는 쿠마노보 조약 체결과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244 채택 과정에 참여했다. 결의안 1244는 코소보의 실질적인 자치권을 보장하면서도 유고슬라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명시했지만, LDK는 결의안 지지 입장 표명과 별개로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 추구를 계속 이어나갔다.[5] 한편, 1998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경쟁 세력으로 부상한 KLA(이후 PDK의 모태)에 의해 LDK 지지자 수백 명이 납치, 고문, 살해당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6]
2. 4. 코소보 전쟁과 당의 위기 (1990년대 후반)
1995년 데이턴 협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논의되지 않자 코소보 민주동맹(LDK)은 실망감을 표했다. LDK는 알바니아 저항 운동인 '코소보 해방을 위한 국민 운동'을 지지했지만, 이후 폭력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코소보 해방군(KLA)에 대한 지지는 철회했다. 1997년 이후 알바니아에 민주 정부가 들어서면서, LDK 내에서는 코소보와 알바니아를 통합하려는 의지가 약화되었다.
그러나 평화적인 해결을 추구했던 LDK의 노선은 점차 대중의 지지를 잃어갔고, 무력을 통한 독립을 주장하는 코소보 해방군(KLA)이 세력을 확장했다. 결국 1998년 말과 1999년, KLA와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군대 사이에 코소보 전쟁이 발발했다. LDK는 이 과정에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에게 자행된 잔혹 행위를 강하게 비판했다.
전쟁 중 미국의 권고에 따라, LDK는 독립 요구를 유보하고 코소보의 자치권 확보를 목표로 세르비아와의 협상을 모색했다. 이 결정에 따라 당 대표 이브라힘 루고바는 베오그라드를 방문하여 당시 유고슬라비아 연방 대통령이었던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와 회담했다. 하지만 이 행동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거센 비판에 직면했고 LDK의 인기는 더욱 하락했다.
1999년 NATO의 유고슬라비아 폭격 이후, LDK의 주요 인사들은 쿠마노보 조약 서명에 참여했다. 이 조약으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244가 채택되어 코소보에서의 적대 행위가 공식적으로 중단되었다. 결의안 1244는 코소보에 상당한 자치권을 부여하면서도 유고슬라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인정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5] LDK는 이 결의안을 지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을 계속해서 주장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한편, 1998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코소보 해방군(KLA)이 운영한 것으로 의심되는 비밀 감옥에서 수백 명의 LDK 지지자들이 납치, 고문당하고 일부는 살해되었다는 의혹이 있다. 이는 KLA에서 분화된 코소보 민주당(PDK) 등이 LDK를 정치적 경쟁자로 인식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 이러한 탄압은 LDK의 위기를 심화시켰으며, 전쟁 이후 KLA 관련 정당인 코소보 민주당(PDK)과 코소보 미래를 위한 동맹(AAK) 등이 세력을 확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2. 5. 전후 혼란과 지지율 하락 (2000년대)
1999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NATO 폭격 이후, 코소보 민주동맹(LDK)의 주요 구성원들은 쿠마노보 조약 서명에 참석하여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1244 채택에 기여했다. 이 결의안은 코소보 내 적대 행위의 중단을 공식화하고 코소보에 상당한 수준의 자치권을 부여했지만, 동시에 유고슬라비아의 "주권과 영토 보전"을 인정하는 내용도 담고 있었다.[5] 이러한 국제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LDK는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을 계속해서 추구했다.
그러나 전쟁 이후의 혼란 속에서 LDK는 상당한 어려움에 직면했다. 특히 1998년부터 2001년 사이에 코소보 해방군(KLA)의 경쟁 세력으로 여겨졌던 LDK 지지자 수백 명이 KLA와 연계된 것으로 추정되는 비밀 감옥 등에서 납치되거나 고문을 당했으며, 일부는 살해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건들이 발생했다.[6] 이러한 폭력적인 상황은 LDK의 활동에 큰 부담을 주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LDK의 지지율은 2001년 코소보에서 처음으로 실시된 지방 선거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반면, KLA에 뿌리를 둔 코소보 민주당(PDK)이나 코소보 미래를 위한 동맹(AAK)과 같은 신생 정당들은 LDK의 지지 기반을 잠식하며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2004년 코소보 의회 선거에서 LDK는 45.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120석 중 47석을 확보하여 여전히 제1당의 지위를 유지했다. 하지만 선거 이후 넥하트 다치가 이끄는 세력이 7석을 가지고 다르다니아 민주동맹으로 분당하면서 당의 규모는 다소 축소되었다. LDK의 창립자이자 정신적 지주였던 이브라힘 루고바 코소보 대통령은 2006년 1월 21일에 사망하여 당은 큰 구심점을 잃게 되었다.
이어진 2007년 코소보 의회 선거에서 LDK는 22.6%의 득표율과 25석 확보에 그치며 이전 선거에 비해 지지율이 크게 하락했다. 선거 결과에 따라 LDK는 하시 텀치가 이끄는 코소보 민주당(PDK)과 연립 정부를 구성하였으나, 정치적 이견 등으로 인해 2010년 10월 연정에서 탈퇴하였다.[7]
2. 6. 최근 동향 (2010년대 ~ 현재)
하시 텀치의 코소보 민주당(PDK)과 구성했던 연립 정부에서 2010년 10월 탈퇴하였다.[7]
3. 이념 및 정책
이부라힘 루고바 사망 후, 당은 여러 파벌이 주도권을 놓고 경쟁하는 혼란기를 겪었다. 파트미르 세이디우의 자유 보수주의 노선이 우위를 점했고, 넥하트 다치를 포함한 6명의 국회의원은 더욱 보수적인 다르다니아 민주동맹을 창당하며 탈당했다.
파트미르 세이디우 지도 하에서 당의 의석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자 당내 불안감이 커졌고, 2010년 코소보 총선을 앞두고 이사 무스타파가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어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되었다. 무스타파의 지도 아래 당은 다시 강경한 보수주의 노선으로 회귀했으며, 일부 정치인들은 당을 사회 보수주의 정당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비평가들은 코소보 민주동맹이 전통적인 코소보-알바니아 민족주의 정책과 창립자 이부라힘 루고바의 정책에서 상당히 벗어났다고 지적해왔다. 특히 2014년 8월 이후에는 베테벤도스제로부터 이러한 비판을 받았다.
코소보 민주동맹은 정치적으로 중도주의,[8] 중도 우파,[9][10] 그리고 우익 정치로 분류되어 왔다.[11]
4. 논란
코소보 민주동맹 소속 전 국회의원이자 고(故) 이브라힘 루고바 전 대통령의 아들인 우케 루고바는 유럽 연합 코소보 법치 임무(EULEX)로부터 비자 사기에 연루되었다는 혐의를 받았다.[17] 코소보 특별 검찰은 이탈리아 비자와 관련된 사기 혐의로 우케 루고바와 코소보 민주동맹 관련 인사 여러 명을 기소했다.[17] EULEX 소속 경찰은 루고바가 코소보 공화국 의회 의원이던 2014년 2월 그를 처음 체포했으며, 기소 내용에 따르면 그는 코소보 국민의 여행 서류를 위조한 범죄 단체를 이끌었다고 한다.[17]
2020년 10월, 압둘라 호티 총리가 이끌던 정부는 기업 지원을 위한 경제 회복 계획을 마련했다. 코소보 재무부, 노동 및 이송부 장관 헤쿠란 무라티가 작성한 목록에 따르면, 총 50개 기업이 호티 내각이 마련한 6000만유로 규모의 복구 패키지 혜택을 받았다. 이 계획은 소규모 기업보다는 코소보의 대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했다는 비판을 받았는데, 예를 들어 "비바 프레시"는 86만유로 이상, 라미즈 켈멘디의 "엘코스"는 67.5만유로 이상, "프로엑스"는 33.5만유로 이상, "HIB 페트롤"은 30.7만유로 이상을 지원받았다. 이 복구 계획에는 이사 무스타파가 코소보 총리였을 당시 그의 전 고문이었던 베스니크 베리샤 소유의 경비 회사 "발칸 인터내셔널 SHPK"도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회사는 10만유로 이상을 지원받았다.[18]
5. 역대 당 대표
# 의장 출생–사망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재임 기간 1 이브라힘 루고바 1944–2006 1989년 12월 23일 2006년 1월 21일 16년 29일 2 파트미르 세이디우 1951– 2006년 12월 9일 2010년 11월 7일 3년 333일 3 이사 무스타파 1951– 2010년 11월 7일 2021년 3월 14일 10년 127일 4 루미르 압디지쿠 1983 – 2021년 3월 14일 현직 현직 재임 중
6. 주요 선거 결과
하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는 지지율 하락 추세를 보이며 제1당의 지위를 내주었다. 이후 선거에서는 주로 2위 또는 3위를 기록하며 이전과 같은 압도적인 영향력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이사 무스타파 대표 시기를 거치며 연립 정부 참여와 야당 활동을 반복했고, 최근 선거에서는 지지율이 더욱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방 정치에서는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2017년 지방 선거 결과, 그닐라네, 이스토크, 포두예버, 페야 등 다수 주요 도시에서 제1당 지위를 차지하고 단독 또는 연립 형태로 지방 정부를 운영하고 있다.
각 선거별 상세 득표율 및 의석수 변화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6. 1. 코소보 의회 선거
연도 | 득표수 | 득표율 | 전체 의석 | 알바니아계 의석 | 순위 | 증감 (석) | 정부 구성 | 지도자 |
---|---|---|---|---|---|---|---|---|
1992 | 574,755 | 76.44% | 96 / 140 | 96 / 126 | 1위 | ▲ 96 | 여당 (연립) | 이브라힘 루고바 |
2001 | 359,851 | 45.7% | 47 / 120 | 47 / 100 | 1위 | ▼ 49 | 여당 (연립) | |
2004 | 313,437 | 45.4% | 47 / 120 | 47 / 100 | 1위 | ▬ 0 | 여당 (연립) | |
2007 | 129,410 | 22.6% | 25 / 120 | 25 / 100 | 2위 | ▼ 22 | 여당 (연립) | 파트미르 세이디우 |
2010 | 172,552 | 24.7% | 27 / 120 | 27 / 100 | 2위 | ▲ 2 | 야당 | 이사 무스타파 |
2014 | 184,596 | 25.2% | 30 / 120 | 30 / 100 | 2위 | ▲ 3 | 여당 (연립) | |
2017 | 185,892 | 25.5% | 23 / 120 | 23 / 100 | 3위 | ▼ 7 | 야당 | |
2019 | 206,516 | 24.5% | 28 / 120 | 28 / 100 | 2위 | ▲ 5 | 여당 (연립) | |
2021 | 110,985 | 12.7% | 15 / 120 | 15 / 100 | 3위 | ▼ 13 | 야당 |
6. 2. 지방 선거 (2017년 기준)
wikitext지방 자치 단체 | 선거 연도 | 총 득표수 | 총 득표율 (%) | 의석 | 정부 구성 | ||
---|---|---|---|---|---|---|---|
의석 수 (총) | 변동 | 순위 | |||||
그닐라네 | 2017 | 21,261 | 63.81 (1위) | 11 / 35 | 변동 없음 | 1위 (유지) | 코소보 민주동맹 |
이스토크 | 2017 | 10,033 | 50.03 (1위) | 11 / 27 | -1 | 1위 (유지) | 코소보 민주동맹 |
포두예버 | 2017 | 9,821 | 63.84 (1위) | 12 / 27 | 변동 없음 | 1위 (유지) | 코소보 민주동맹 |
리플란 | 2017 | 17,019 | 59.51 (1위) | 12 / 31 | +3 | 1위 (상승) | 코소보 민주동맹-AKR |
페야 | 2017 | 22,014 | 50.23 (1위) | 15 / 35 | +5 | 1위 (유지) | 코소보 민주동맹-PDK |
비티 | 2017 | 10,768 | 51.65 (1위) | 10 / 27 | +1 | 1위 (유지) | 코소보 민주동맹-AAK |
부슈트리 | 2017 | 15,122 | 54.24 (1위) | 6 / 35 | -1 | 1위 (상승) | 코소보 민주동맹 |
참조
[1]
웹사이트
Kosovo
http://www.parties-a[...]
[2]
뉴스
Kosovo pol brands himself Trump's biggest fan to try to win election
https://nypost.com/2[...]
2021-01-17
[3]
서적
Political Parties in Kosova – Profile and Ideology
http://www.fes-prish[...]
Çelnaja
2011-07-06
[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epp.eu/si[...]
2013-07-17
[5]
문서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1244 (1999), Annex 1
[6]
웹사이트
Onze anciens de l'UÇK jugés coupables de crimes de guerre au Kosovo
http://www.lalibre.b[...]
2023-06-15
[7]
웹사이트
Kosovo in crisis after LDK quits government (SETimes.com)
http://www.setimes.c[...]
2010-10-18
[8]
웹사이트
Kosovo: sweeping victory for the opposition
https://www.osw.waw.[...]
Centre for Eastern Studies
2019-10-09
[9]
뉴스
Why Kosovo Still Matters
https://www.theatlan[...]
2013-02-20
[10]
웹사이트
Kosovo
[11]
웹사이트
Kosovo's Year in Review: Exceptional hardships and challenges
https://europeanwest[...]
European Western Balkans
2021-01-13
[12]
뉴스
Mustafa kërkon suspendimin e zyrtarëve nën hetime, jo edhe të të emëruarve politikë
http://dialogplus.ch[...]
2015-09-02
[13]
뉴스
Astrit Haraqija, pjesë e grupit 21 personash të Ukë Rugovës për shitje vizash
http://koha.net/?id=[...]
KOHA
2015-12-03
[14]
뉴스
I dyshuari për korrupsion në listën e LDK-së për deputet
http://koha.net/?id=[...]
KOHA
2014-05-16
[15]
뉴스
I akuzuari për korrupsion është Mehmet Krasniqi i LDK-së
http://www.indeksonl[...]
2015-05-08
[16]
웹사이트
Shpallet i Pafajshëm ish- Kryetari i Obiliqit
http://kallxo.com/sh[...]
2017-05-19
[17]
웹사이트
Kosovo Prosecution Indicts Ibrahim Rugova's Son
https://balkaninsigh[...]
2023-04-17
[18]
웹사이트
Kompanitë që morën më së shumti para nga Qeveria Hoti janë ato që patën më së paku nevojë
https://ballkani.inf[...]
2022-05-23
[19]
웹인용
Kosovo in crisis after LDK quits government (SETimes.com)
http://www.setimes.c[...]
2010-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