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브라힘 루고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브라힘 루고바는 코소보의 정치가이자 작가로, 코소보의 독립을 위한 비폭력 저항 운동을 이끌었다. 1944년 코소보에서 태어나 문학을 전공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절 저널리스트와 작가 연맹 회장으로 활동하며 알바니아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1989년 코소보 민주 연맹(LDK)의 당수가 되었고, 1990년대에는 코소보 공화국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했다. 코소보 전쟁 중에는 이탈리아로 피신하기도 했으며, 2002년과 2005년에는 유엔 행정부 하에서 코소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코소보의 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2006년 폐암으로 사망했으며, 코소보에서는 국부로 존경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소보의 대통령 - 비오사 오스마니
    코소보의 정치인이자 법학자인 비오사 오스마니는 코소보 민주연맹에서 활동하며 코소보 의회 의원을 역임한 후 2021년 코소보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세르비아와의 관계 정상화와 전쟁 범죄자 처벌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 코소보의 대통령 - 베흐제트 파촐리
    코소보의 사업가이자 정치인인 베흐제트 파촐리는 건설 회사 마베텍스 그룹을 설립하여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확장하고 코소보 독립을 위한 로비 활동을 펼쳤으며, 코소보 대통령, 제1 부총리 겸 외무부 장관 등을 역임했고 분쟁 지역에서 인질 석방 협상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 2006년 사망 -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
    타우파하우 투포우 4세는 살로테 투포우 3세의 아들로 태어나 통가의 총리를 지냈고, 1965년부터 2006년까지 통가의 국왕으로 재임하며 1970년 통가의 완전한 독립을 이끌어냈다.
  • 2006년 사망 - 노재원
    노재원은 1954년 고등고시 합격 후 외무부에서 다양한 요직을 거쳐 주영국 참사관, 주이란 및 주쿠웨이트 대사를 지냈고,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활동 경력이 있지만, 외무부 차관, 주캐나다 대사, 초대 주중국 대사를 역임하며 한중 관계 발전에 기여한 외교관이다.
  • 1944년 출생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1944년 출생 - 펠레티 세벨레
    펠레티 세벨레는 통가의 정치인으로, 캔터베리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통가 입법회 의원, 노동상공부 장관, 총리 권한대행 및 총리를 역임했으며, 종신 귀족 작위를 받았다.
이브라힘 루고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브라힘 루고바 공식 사진, 2001년
공식 사진, 2001년
호칭민족의 아버지
출생일1944년 12월 2일
출생지체르차, 이스트그, 유고슬라비아 민주 연방 (현재의 코소보)
사망일2006년 1월 21일
사망지프리슈티나,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
사인폐암
배우자파나 루고바
자녀멘딤 루고바
우케 루고바
테우타 루고바
서명
경력
코소보 대통령재임 시작: 1992년 1월 25일
재임 종료: 2006년 1월 21일
소속 정당코소보 민주 연맹 (1989년–2006년)
코소보 민주 연맹 대표재임 시작: 1989년 12월 23일
재임 종료: 2006년 1월 21일
이전 직책직책 신설
후임파트미르 세이디우
수상
훈장코소보 영웅 훈장
이름
알바니아어이브라힘 루고바
세르비아어Ибрахим Ругова

2. 초기 생애 및 학문 활동

이브라힘 루고바는 1944년 12월 2일, 켈멘디 알바니아 씨족의 분파인 집안에서 태어났다.[4] 당시 코소보의 주요 지역은 알바니아와 통일된 상태였으며(1941년부터 이탈리아, 1943년부터는 독일의 통제 하에 있었다), 1944년 11월 말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불가리아군과 알바니아 협력자들을 몰아내고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의 통치를 재확립했다. 그의 아버지 우케 루고바와 조부 러스트 루고바는 1945년 1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들에게 즉결 처형되었다.

루고바는 고대 다르다니아 왕국의 유산을 강조했는데, 이는 독립 왕국이자 후의 로마 속주였던 다르다니아의 역사를 통해 코소보의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서방과의 관계를 증진하려는 그의 정책과 연결되었다.

그는 프리슈티나 대학교와 파리 대학교에서 문학을 공부하고 알바니아 문학 비평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70년대에는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며 학생 신문 "보타 에 레"("새로운 세계")와 잡지 "디투리아"("지식")를 편집했고, 프리슈티나 알바니아 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며 정기간행물 "주르미메 알바놀로지케"("알바니아 연구")의 편집장을 맡았다. 이 시기에 그는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에 가입하기도 했다.[4] 문학 이론, 비평, 역사에 관한 다수의 저작과 시를 발표하며 코소보 알바니아 지식인의 선두 주자로 인정받았고, 1988년에는 코소보 작가 연맹(KWU)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2. 1. 교육

루고바는 부림에서 초등학교를, 페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했으며, 1967년에 졸업했다. 그는 새로 설립된 프리슈티나 대학교로 진학하여 알바니아학과 철학부에서 공부했다. 학생 시절이던 1968년에는 코소보 시위에 참여했으며[4], 알바니아인을 위한 시민 권리 운동에도 적극적이었다. 이 시기에 그는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에 가입하기도 했다.[4]

1971년에 대학을 졸업한 후, 같은 대학에서 문학 이론을 전공하는 연구생으로 학업을 이어갔다. 연구의 일환으로 1976년부터 1977년까지 2년간 파리 대학교의 고등연구실천학교에서 롤랑 바르트의 지도를 받으며 공부했다.[4] 1984년에는 "알바니아 문학 비평의 방향과 전제, 1504–1983"이라는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 2. 학문적 업적

이브라힘 루고바는 문학 이론, 비평, 역사 분야에서 여러 중요한 저작을 남기며 코소보 알바니아 지식인 사회에 기여했다. 그의 주요 학문적 저작은 다음과 같다.

} || 서정적 감동 || 에세이 || 릴린자 출판사 (프리슈티나)

|-

| 1976 || Bibliografia e kritikës letrare shqiptare 1944–1974|sqi || 1944–1974 알바니아 문학 비평의 서지 || 서지 || 알바놀로지크 연구소 (프리슈티나), 이사크 세마(Isak Shema)와 공저

|-

| 1978 || Kah teoria|sqi || 이론으로 || 에세이 || 릴린자 출판사 (프리슈티나)

|-

| 1979 || Kritika letrare (nga De Rada te Migjeni)|sqi || 문학 비평 (데 라다에서 미제니까지) || 선집 || 릴린자 출판사 (프리슈티나), 사브리 하미티(Sabri Hamiti)와 공저

|-

| 1980 || Strategjia e kuptimit|sqi || 의미의 전략 || 에세이 || 릴린자 출판사 (프리슈티나)

|-

| 1982 || Vepra e Bogdanit 1675–1685|sqi || 보그다니의 작품 1675–1685 || 단행본 연구 || 릴린자 출판사 (프리슈티나)

|-

| 1986 || Kahe dhe premisa të kritikës letrare shqiptare 1504–1983|sqi || 1504–1983 알바니아 문학 비평의 방향과 전제 || 단행본 연구 || 알바놀로지크 연구소 (프리슈티나)

|-

| 1987 || Refuzimi estetik|sqi || 미학적 거부 || 에세이 || 릴린자 출판사 (프리슈티나)

|}

특히 1986년에 출판된 "1504–1983 알바니아 문학 비평의 방향과 전제"는 그의 박사 학위 연구를 기반으로 한 중요한 학술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학문적 성과는 2005년 "8권으로 구성된 이브라힘 루고바의 작품"(Kompleti i veprave të Ibrahim Rugovës në tetë vëllime|sqi) 전집 출간으로 이어졌으며, 이후 베흐비 미프타리(Vehbi Miftari) 등에 의해 그의 사상과 업적을 다룬 평론집들이 출간되었다.

3. 정치 경력

이브라힘 루고바는 1989년유고슬라비아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이 코소보의 자치권을 일방적으로 박탈하자[12] 이에 반대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같은 해 12월, 그는 코소보의 여러 지식인 및 반체제 인사들과 함께 코소보 민주 연맹(LDK)을 창당하고 초대 당수가 되었다. LDK는 세르비아의 억압적인 통치[13][16][17] 하에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으며 성장했다.

1992년, 루고바는 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했으나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코소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참상을 목격하며 보스니아와 같은 유혈 사태를 피하고자 간디의 영향을 받은 비폭력 저항 노선을 채택하고 평화적인 독립 운동을 이끌었다. 그는 "지혜는 재앙을 피하는 데 있다"고 강조하며 무력 사용에 반대했다.[18] LDK는 세르비아의 통치를 거부하며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위한 자체적인 교육, 보건 시스템 등 '병행 사회'를 운영했다.

그러나 1995년 보스니아 전쟁을 종결시킨 데이턴 협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배제되면서 루고바의 비폭력 노선은 한계에 부딪혔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국제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무장 투쟁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졌고, 1997년 이후 코소보 해방군(KLA)이 등장하여 세력을 확장했다. 루고바는 1998년 대통령에 재선되고 유럽 의회로부터 사하로프 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인정을 받았으나, 코소보 내에서의 주도권은 점차 KLA에게 넘어가고 있었다.

1999년 코소보 전쟁이 발발하고 NATO가 개입하자 루고바는 전쟁 초기 프리슈티나에서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가 세르비아 당국에 의해 베오그라드로 이송되기도 했다.[20] 이후 이탈리아로 잠시 망명했다가 전쟁이 끝난 후 코소보로 돌아와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 하에서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그는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 '''국부'''로 존경받았으며[25], 2002년 유엔 관리하 코소보의 첫 공식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2006년 1월 21일, 폐암으로 재임 중 사망했다.

3. 1. 코소보 공화국 대통령 (미승인)

1989년, 이브라힘 루고바는 구 유고슬라비아에서 코소보의 자율권 무효화에 반대하는 신생 정당인 코소보 민주 연맹 (LDK)의 지도자로 취임하며 정치에 입문했다. 이는 1980년대부터 고조된 코소보 내 민족 갈등과 세르비아의 중앙 집권 강화 움직임에 대한 반발이었다. 당시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대통령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1989년 일방적인 조치를 통해 코소보의 자율성을 1974년 이전 상태로 되돌렸고[12], 이 과정에서 광범위한 인권 침해와 반대자 탄압이 자행되었다.[13] 약 13만 명의 코소보 알바니아인이 직장에서 해고되었으며[14], 경찰 조직에서도 알바니아계가 거의 배제되었다.[15] 초법적인 폭력, 고문, 살해 사건이 빈번히 보고되어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16][17]

밀로셰비치의 이러한 조치는 코소보-알바니아 정치 엘리트와 주민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혔다. 폐지된 코소보 의회 의원들은 비밀리에 모여 독립적인 코소보 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했고, 이는 알바니아의 승인을 받았다. 세르비아 정부는 이에 의원들을 체포하고 언론인을 탄압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루고바 역시 코소보 지식인 215명과 함께 밀로셰비치의 결정에 반대하는 "코소보 지식인의 호소"에 서명했으며, 이로 인해 공산당에서 제명되었다.

1989년 12월, 루고바는 다른 반체제 인사들과 함께 코소보 민주 연맹(LDK)을 창설하고 지도자가 되었다. LDK는 단기간에 코소보 알바니아 성인 인구 대다수인 70만 명의 지지를 확보하며 급성장했다. LDK는 세르비아 정부의 통치를 거부하고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위한 자체적인 교육 및 보건 시스템을 운영하는 "그림자 정부"와 "병행 사회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주로 해외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기부금으로 운영되었으며, 부야르 부코시가 독일에서 망명 정부의 총리직을 수행했다. 그러나 이 정부는 알바니아 외에는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했다.

코소보-알바니아인들은 세르비아 및 유고슬라비아 선거를 보이콧했다. 대신 1992년 5월, 자체적인 선거를 실시하여 루고바를 코소보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이 선거는 세르비아 보안군의 감시와 방해 속에서 비밀리에 치러졌고 공정성에 대한 논란도 있었으나, 루고바가 압도적인 지지로 당선된 것은 널리 인정되었다.

대통령으로서 루고바는 코소보의 독립을 추구했지만,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참상을 목격하며 보스니아와 같은 유혈 사태를 피하고자 간디비폭력 저항 노선을 견지했다. 그는 "도살장은 유일한 투쟁 형태가 아니다. ... 지혜는 재앙을 피하는 데 있다"고 강조하며 평화적인 해결을 모색했다.[18] 세르비아 정부는 LDK 활동가들을 탄압하면서도 루고바의 해외 활동을 일부 용인했는데, 이는 밀로셰비치가 루고바를 코소보 내 급진 세력의 부상을 억제하는 데 이용하려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루고바는 1990년대 내내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 외에는 세르비아 당국과의 타협을 거부하는 입장을 유지했다. 그러나 1995년 보스니아 전쟁을 종결시킨 데이턴 협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완전히 배제되자, 그의 비폭력 노선은 한계에 부딪혔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국제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무장 투쟁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목소리가 커지기 시작했고, 이는 이후 코소보 해방군(KLA)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1996년, 루고바는 세르비아와 교육 시설 관련 합의(밀로셰비치-루고바 교육 협정)를 맺었으나, 이는 병행 교육 시스템의 통합으로 이어지지 못했다.[19]

3. 2. 비폭력 저항 운동

1991년,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부터 독립을 선언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했다. 1992년 여름까지 유고슬라비아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의 전쟁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브라힘 루고바는 코소보의 독립을 지지하면서도, 보스니아에서 벌어진 참혹한 유혈 사태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무력 사용에는 강력히 반대했다. 그는 간디의 사상에 영향을 받아 비폭력 저항 노선을 채택하고, 평화적인 방법을 통해 코소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런던 방문 중 그는 자신의 신념을 다음과 같이 표현했다.

"도살장은 유일한 투쟁 형태가 아니다. 코소보에는 대규모 굴욕이 없다. 우리는 조직되어 국가로서 운영하고 있다. 거리에 나가 자살하는 것은 쉽지만, 지혜는 재앙을 피하는 데 있다."[18]

루고바의 비폭력 저항 방식은 세르비아의 통치 하에서 고통받던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특히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에서의 전쟁 참상을 목격한 주민들은 루고바의 평화적 노선에 광범위한 지지를 보냈다. 코소보 민주 연맹(LDK)은 세르비아 정부의 시스템에서 배제된 알바니아계 주민들을 위해 자체적인 교육 및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병행 사회 시스템'을 구축하며 비폭력 저항을 구체화했다.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세르비아 및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LDK 활동가들을 탄압했지만, 한편으로는 루고바가 코소보 내 급진적인 무장 봉기를 막는 역할을 한다고 판단하여 그의 활동을 일정 부분 용인하기도 했다. 루고바는 1990년대 내내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 외에는 세르비아 당국과의 어떠한 협상도 거부하는 원칙을 고수했다. 그러나 1996년, 그는 세르비아 측과 교육 시설 문제에 대해 합의(밀로셰비치-루고바 교육 협정)했는데, 이는 알바니아계의 병행 교육 시스템을 세르비아 시스템과 통합하지 않는다는 내용이었지만, 완전한 독립을 목표로 하던 그의 입장에서는 일종의 타협으로 비춰지기도 했다.[19]

루고바의 비폭력 노선은 1995년 데이턴 협정 체결 이후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킨 이 협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완전히 배제되면서, 국제 사회의 무관심 속에 평화적 해결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이 커졌다.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루고바의 비폭력 정책이 독립 달성에 실패했다는 비판과 함께, 무장 투쟁만이 유일한 길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기 시작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코소보 해방군(KLA)과 같은 무장 단체가 부상했고, 1997년부터 세르비아 보안군 등에 대한 공격을 감행하며 세력을 키워나갔다. 이는 결과적으로 루고바의 비폭력 저항 운동의 입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3. 3. 코소보 전쟁과 람부예 회담

1991년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시작되고 1995년 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킨 데이턴 협정에서 코소보 문제가 전혀 다뤄지지 않자, 이브라힘 루고바의 비폭력 저항 노선에 대한 회의감이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 커지기 시작했다. 국제 사회가 코소보 문제 해결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자, 일부 급진파는 무장 봉기를 통해서만 외부 개입을 유도하고 독립을 쟁취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루고바의 정책을 비판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97년, 코소보 해방군(KLA)이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세르비아 보안군 및 민간인, 그리고 KLA가 '협력자'로 간주한 알바니아인들을 대상으로 공격과 암살을 감행했다. 세르비아 당국의 대응은 강경하고 무차별적이어서 상황은 급격히 악화되었다. 1998년에 이르러 KLA는 정규 게릴라 군대로 성장했고, 코소보는 10만 명 이상의 난민이 발생하는 사실상의 내전 상태에 빠졌다.

루고바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비폭력 노선을 견지하며 1998년 대통령 선거에서 재선에 성공했고, 같은 해 유럽 의회로부터 사상적 자유를 위한 사하로프 상을 수상했다. 그러나 코소보 내에서의 실질적인 영향력은 점차 무장 투쟁을 주도하는 KLA에게 넘어가고 있었다.

1999년 2월, 국제 사회의 중재로 프랑스 람부예 회담이 열렸다. 루고바는 코소보 알바니아 대표단의 일원으로 이 회담에 참여했으나, 협상팀의 주도권은 KLA의 정치 지도자인 하시임 타치에게 넘어갔다. 이는 KLA의 부상과 루고바의 입지 약화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결국 람부예 회담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결렬되었다.

회담 결렬 이후 1999년 3월 말, NATO는 세르비아의 군사 행동을 중단시키고 코소보 사태 해결을 위해 연합군 작전이라는 이름의 공습을 시작했다. 코소보 전쟁이 본격화되자 루고바는 수도 프리슈티나의 자택에서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로 전쟁 초기 몇 주를 보냈다. 4월 초에는 세르비아 당국에 의해 강제로 베오그라드로 이송되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과 만나 전쟁 종식을 호소하는 모습이 세르비아 국영 TV를 통해 방영되기도 했다.[20] 이는 그의 의사와 무관하게 이루어진 일로 해석된다.

루고바는 1999년 5월 초, 이탈리아 로마로 일시적인 망명을 떠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인 그해 7월에 코소보로 돌아왔다.

3. 4. 나토 개입과 망명

1999년 3월 말, 람부예 협정에서의 협상이 결렬되자 NATO는 코소보 전쟁의 해결을 강제하기 위해 연합군 작전을 개시했다. 전쟁이 시작되자 루고바는 가족과 함께 프리슈티나에서 사실상 가택 연금 상태로 지냈다. 1999년 4월 초, 그는 세르비아 당국에 의해 강제로 베오그라드로 이송되었고, 그곳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을 만나 전쟁 종식을 촉구하는 모습이 세르비아 국영 텔레비전을 통해 방영되었다.[20] 이는 루고바의 의사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진 일로 평가된다.

이후 루고바는 1999년 5월 초, 전쟁이 끝나기 직전에 이탈리아로 망명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그는 로마에서 일시적으로 머물렀으나, 코소보로의 귀환이 늦어져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전쟁이 끝난 후인 그해 7월이 되어서야 코소보로 돌아왔고, 귀환 당시 영웅적인 환영을 받으며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 하에서 다시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4. 코소보 전쟁 이후

데이턴 협정보스니아 전쟁을 종식시켰지만 코소보 문제는 외면하면서, 이브라힘 루고바의 소극적 저항 전략은 한계에 부딪혔다. 코소보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평화적 방식에 대한 회의감이 커졌고, 무장 투쟁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런 배경 속에서 1997년 코소보 해방군(KLA)이 등장하여 세르비아 측 인사들과 알바니아인 협력자들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세르비아의 강경한 대응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켜 1998년에는 코소보가 사실상 내전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같은 해 루고바는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투표로 대통령에 재선되었고, 유럽 의회로부터 사하로프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 인정을 받았지만, KLA의 부상으로 정치적 영향력은 이전보다 약화되었다. 이는 1999년 2월 람부예 협정 협상 과정에서 코소보 알바니아 측 대표단 단장으로 KLA의 정치 지도자인 하시 타치가 선출되면서 더욱 분명해졌다.

1999년 3월 말, 람부예 협상이 결렬되자 NATO는 코소보 전쟁에 개입하여 연합군 작전을 개시했다. 전쟁 초기 루고바는 가족과 함께 프리슈티나에서 사실상의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 4월 초에는 세르비아 당국에 의해 강제로 베오그라드로 이송되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대통령과 만나 전쟁 종식을 촉구하는 모습이 세르비아 국영 TV를 통해 방영되기도 했다.[20] 이는 루고바의 의사와 무관하게 세르비아 측의 선전에 이용될 소지가 있었다.

루고바는 1999년 5월 초, 전쟁이 끝나기 직전에야 이탈리아로 망명을 떠날 수 있었다. 전쟁이 끝난 후 코소보로 돌아오는 시점이 다소 늦어져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7월 귀환했을 때 그는 여전히 많은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에게 영웅적인 환영을 받으며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4. 1. UNMIK 통치 하의 대통령

2003년의 이브라힘 루고바


코소보 전쟁 이후, 이브라힘 루고바는 코소보로 돌아와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UNMIK) 하에서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전쟁 중 정치적 위상을 일부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곧 대중의 지지를 회복했다. 이는 코소보 해방군(KLA) 출신 정치 세력과의 경쟁에서 유리하게 작용했다. KLA는 해방군으로 환영받았지만, 일부의 범죄 연루 의혹 등으로 인해 지지 기반이 약화되었다.[11]

루고바는 부자르 부코시를 총리로 둔 망명 정부의 명목상 대통령직을 유지하려 했으나, 실질적인 권력은 UNMIK에 있었다. 한편, 전 KLA 사령관 하시임 타치는 임시 정부를 이끌고 있었다. 2000년, 루고바와 타치는 코소보의 최종 지위가 결정될 때까지 임시 자치 정부 기구를 만드는 데 협력하기로 합의했다.[11] 같은 해 10월 치러진 선거에서 루고바가 이끄는 코소보 민주 동맹(LDK)은 58%의 득표율로 압승했으며, 타치의 코소보 민주당(PDK)은 27%를 얻는 데 그쳤다.

2003년 전 미국 상원의원 밥 돌과 함께 있는 루고바


2002년 3월 4일, 루고바는 오랜 정치적 협상 끝에 네 번째 시도만에 새로 구성된 코소보 의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1] 그는 자유롭게 선출된 민주 의회에서 코소보 헌법이 채택되는 과정을 지켜보았다.

2004년의 루고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코소보 대통령으로서 루고바는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을 지속적으로 추구했다. 그는 모든 당사자의 합의와 평화적인 수단을 통한 독립 달성을 강조했으며, 미국유럽 연합과의 긴밀한 관계 구축에 힘썼다. 그의 점진적인 접근 방식은 일부 급진 세력의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그는 과거 KLA 지지자들을 포용하려는 노력을 보였다. 대표적인 예로 2004년 11월, 전 KLA 사령관이었던 라무시 하라디나이를 총리로 임명한 것을 들 수 있다.[11] 이는 과거 적대 세력과의 화합을 모색하는 행보로 평가받았다.

2004년 12월, 루고바는 코소보 의회에서 대통령으로 다시 선출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폭력적인 위협에 직면했다. 2005년 3월 15일, 그가 탄 차량 근처의 쓰레기통에서 폭탄이 터지는 암살 시도가 있었으나, 다행히 목숨을 건졌다.[11]

다르다니아 국기, 루고바 대통령 재임 기간에 도입된 국기


루고바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몇 가지 독특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코소보의 억압을 상징하는 실크 스카프를 항상 착용했으며, 방문객들에게 자신의 암석 수집품을 선물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선물은 신중하게 등급이 매겨졌는데, 결정의 크기는 회담 결과에 대한 루고바의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다. 그는 또한 애연가였으며, 이는 나중에 그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된다.[11] 그는 재임 기간 중 고대 다르다니아의 이름을 딴 새로운 국기를 제안하기도 했다.

루고바는 2006년 폐암으로 사망할 때까지 코소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로 남아있었다.[11] 그의 사망은 UNMIK의 통치 하에 있는 코소보 자치주의 지위를 놓고 세르비아 공화국과의 협상이 본격화될 시점에 발생했다.

5. 사망

프리슈티나의 이브라힘 루고바 광장에 있는 이브라힘 루고바 동상


2005년 8월 30일, 루고바는 치료를 위해 독일 미국 공군 란츠툴 군 병원으로 이동했다. 이전에는 프리슈티나와 캠프 본드스틸에서 치료를 받은 바 있었다. 란츠툴에서 일주일을 보낸 후 코소보로 돌아왔고, 2005년 9월 5일 폐암 진단을 받았다고 발표했으나 대통령직은 계속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프리슈티나 자택에서 미 육군 의사들에게 화학 요법 치료를 받았지만, 병세는 호전되지 않았다.

결국 루고바는 4개월 뒤인 2006년 1월 21일, 프리슈티나에서 폐암으로 사망했다. 향년 61세였다. 그의 사망은 코소보 자치주의 지위를 놓고 세르비아 공화국과의 협상이 본격화될 시점에 일어났다.

루고바의 무덤 앞에서 장례 기도를 하는 이맘들


2006년 1월 26일에 거행된 그의 장례식은 국장으로 치러졌으며, 종교 의식 없이 매장되었다. 이 장례식에는 지역 지도자들과 약 150만 명으로 추산되는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여 애도했다. 비록 국장은 종교 의식 없이 진행되었지만, 코소보 이슬람 공동체의 수장과 여러 이맘들이 루고바를 위해 이슬람식 장례 기도를 올렸다. 프리슈티나의 언덕 꼭대기에 위치한 그의 무덤은 이슬람 전통에 따라 메카를 향하고 있다.

사망 직전 루고바가 가톨릭으로 개종했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이는 그의 가족이나 다른 출처에 의해 확인되지 않았다. 그의 측근인 사브리 하미티는 루고바 사망 1주기에 출판된 글에서 이러한 소문을 반박하며, 루고바가 자신을 '상징적인 무슬림'이라고 칭했다고 밝혔다.[21] 코소보 가톨릭 교회의 총대리인 돈 샨 제피 역시 코소보 국영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루고바의 가톨릭 개종이나 세례에 대한 증거가 없으며, 자신이 루고바에게 세례를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22]

6. 유산 및 평가

이브라힘 루고바는 코소보 독립 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여겨지며, 코소보의 알바니아인들 사이에서는 '''국부'''로 추앙받는다.[25] 그는 1989년 세르비아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이 코소보의 자치권을 박탈하자 이에 반대하며 코소보 민주 연맹(LDK)을 창설하고 지도자가 되었다. 이후 알바니아계 주민들은 세르비아 주도의 선거를 보이콧하고, 1992년 자체적으로 선거를 실시하여 루고바를 미승인 국가인 코소보 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했으나, 이 정부는 국제적인 승인을 얻지 못했다.

루고바는 코소보 전쟁 전후로 알바니아계 주민들 사이에서 온건파 지도자로서 활동하며, 간디와 같은 비폭력 저항 노선을 통해 독립을 추구했다.[18] 이러한 평화적 방식은 그에게 '코소보의 간디' 또는 '발칸의 간디'라는 별명을 안겨주었다. 그는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들을 위한 교육 및 보건 시스템 등 병행 기관을 설립하고 운영하며 세르비아의 통치에 맞섰다. 그의 비폭력 노선은 보스니아 전쟁과 같은 유혈 사태를 우려한 코소보 알바니아인들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데이턴 협정 이후 국제 사회의 무관심 속에서 코소보 해방군(KLA)과 같은 무장 세력이 부상하며 그의 입지는 도전을 받기도 했다. 1998년에는 유럽 의회로부터 사상적 자유를 위한 사하로프 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인정을 받기도 했다.

코소보 전쟁 중에는 프리슈티나에서 가택 연금을 당하고 세르비아 국영 방송에 출연하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며[20], 잠시 이탈리아로 피신했다가 전쟁 후 코소보로 복귀했다. 이후 유엔 코소보 임시 행정부 하에서 2002년 코소보의 대통령으로 다시 선출되어 활동했다.

루고바는 코소보의 최종 지위를 놓고 세르비아와의 협상이 본격화되던 시점인 2006년 1월 21일, 폐암으로 프리슈티나에서 사망했다. 향년 61세였다. 비록 코소보의 완전한 독립을 보지는 못했지만, 그의 비폭력 저항 정신과 독립을 향한 노력은 코소보 독립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7. 수상 경력

연도원제 (알바니아어)한국어 번역 제목종류비고
1971{{lang|sqi|Prekje lirike|}
연도내역수여 기관 / 장소비고
1995년평화상덴마크 폴 리처 재단
1996년명예 박사프랑스 파리 8대학교 빈센느-생드니
1998년사하로프상유럽 의회
1998년호모 호미니 상피플 인 니드[24]인권 운동
1999년평화상뮌스터
1999년명예 시민이탈리아 베네치아, 밀라노, 브레시아
2000년평화상스페인 바르셀로나 카탈루냐 민주 연합
2003년유럽 명예 상원의원상
2004년명예 박사티라나 대학교
2006년국가 깃발 훈장알바니아 대통령 알프레드 모이시우사후 추서
2007년코소보 영웅 훈장코소보 대통령 파트미르 세이디우사후 추서
2013년고속도로 명명R 7 고속도로 (코소보-알바니아 연결)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참조

[1] 웹사이트 Poezi nga Ibrahim Rugova të botuara në 'Rilindje' kur ai ishte vetëm 18 vjeç https://www.kultplus[...] 2023-01-21
[2] 웹사이트 "1988 - 2000 | Laureates | Sakharov Prize | European Parliament" https://www.europarl[...]
[3] 웹사이트 Kosovo mourners braced for leadership battle after mourns loss of https://www.independ[...] 2006-01-23
[4] 문서 "Ibrahim Rugova: Umeren političar, ekstreman cilj" http://www.nspm.rs/k[...] Vreme
[5] 웹사이트 Pre-election overview from Kosovo, 2010 http://www.foreignpo[...] Foreign Policy Journal 2010-12-14
[6] 웹사이트 IFIMES predicts PDK victory in generanl elections :: EMG :: Business news from Serbia 2010 http://www.emg.rs/en[...] Emg.rs
[7] 웹사이트 Study predicts PDK victory in Kosovo's nap elections http://www.setimes.c[...] Setimes.com
[8] 웹사이트 Journal Of Turkish Weekly http://www.turkishwe[...] 2010-11-25
[9] 웹사이트 Wahlen im Kosovo: Die Stunde der Tatubrecher – Ausland – Politik – FAZ.NET https://www.faz.net/[...]
[10] 웹사이트 Parlamentswahlen: Kosovo hofft auf Neuanfang http://www.n-tv.de/p[...] n-tv.de
[11] 뉴스 Kosovo leader Ibrahim Rugova die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1-21
[12] 웹사이트 "Backing Request by Serbia, General Assembly Decides to Seek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Ruling on Legality of Kosovo’s Independence'" https://www.un.org/N[...]
[13] 웹사이트 Human Rights Watch World Report 1989 – Yugoslavia http://www.unhcr.org[...] 2012-10-17
[14] 웹사이트 Regularizing Housing and Property Rights in Kosovo http://www.unhabitat[...] United Nations Centre for Human Settlements 2006-05-03
[15] 간행물 Another Balkan Bloodbath? Part One Jane's Intelligence Review 1998-02
[16] 웹사이트 Human Rights Abuses in Kosovo 1990–1992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1992-10
[17] 웹사이트 Serbia/Montenegro Human Rights Practices, 1993 http://dosfan.lib.ui[...]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994-01
[18] 뉴스 Ibrahim Rugova – Obituaries, News – The Independent https://www.independ[...]
[19] 서적 2003
[20] 웹사이트 ‘PHANTOM MEETINGS’ OF RUGOVA AND MILOSEVIC http://www.sense-ag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14-05-07
[21] 웹사이트 Rugova: Memento për Rugovën http://aristoteli-ru[...]
[22] 뉴스 Don Shan Zefi: Kam dilema nëse Ibrahim Rugova është konvertuar në katolik http://www.gazetatem[...]
[23] 웹사이트 "Exiled Writers Ink ! – Writers" http://www.exiledwri[...] Exiledwriters.co.uk
[24] 웹사이트 Previous Recipients of the Homo Homini Award http://www.clovekvti[...] People in Need
[25] 문서 http://news.bbc.co.u[...]
[26] 뉴스 Albanian Gandhi dies https://progressive.[...] progressive.org 2006-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