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 응집판정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시 응집 판정법은 실수열의 급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으로, 특히 급수의 항이 단조 감소하고 음이 아닌 경우에 유용하다. 이 판정법은 원래 급수의 수렴 여부를 특정 방식으로 변환된 급수의 수렴 여부로 판단하며, 급수의 합을 추정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코시 응집 판정법은 조화 급수와 같은 특정 형태의 급수의 수렴성을 판별하는 데 효과적이며, 슐뢰밀히에 의해 일반화되었다. 한국의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고급 미적분학에서 다루어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aₙ영어이 실수열이고 모든 자연수 n에 대해 aₙ영어 ≥ 0, aₙ영어 ≥ aₙ₊₁영어일 때(즉, 모든 항이 양수이고 단조 감소),[5] 원래 급수 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응집된 급수 가 수렴하는 것이다.
코시 응집 판정법은 부분합을 2의 거듭제곱 항까지 묶어 비교함으로써 증명할 수 있다. 이 증명의 핵심은 니콜 오렘의 조화 급수 발산성 증명을 따른다.[1]
2. 정의
2. 1. 상세 조건
aₙ영어 ≥ 0 (모든 항이 0 이상)이고 aₙ영어 ≥ aₙ₊₁영어 (단조 감소)일 때,[5] 급수 이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가 수렴하는 것이다. 나아가, 원래 급수의 합의 범위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6]
:
이 판정법의 특징은 극히 소수의 항만을 이용해서 전체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한다는 것이다.
2. 2. 급수의 합 추정
원래 급수의 합은 응집된 급수의 합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6]
:
첫 번째 부등식을 확인하려면, 원래 급수의 항들을 2의 거듭제곱 길이의 묶음으로 묶고, 각 묶음의 각 항을 그 묶음 내에서 가장 큰 항으로 대체하여 위에서 경계를 정한다. 항이 감소하지 않으므로, 이 항은 항상 첫 번째 항이다.
:
두 번째 부등식을 확인하려면, 이 두 급수를 다시 2의 거듭제곱 길이의 묶음으로 묶지만, 아래와 같이 "오프셋"하여 의 묶음이 로 ''시작''하여 의 묶음이 로 ''끝''나는 묶음과 정렬되도록 하여 전자가 후자보다 항상 "앞서"도록 한다.
:
3. 증명
3. 1. 부분합 부등식
부분합에 관한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면, 두 급수는 부분합의 유계성이 같아 단조수렴정리에 의해 수렴성이 같다.[1] 또 여기에 극한을 취하면 위에서의 범위 추정도 증명된다.[1]
:
세 부분합을 전개하고, 아래와 같이 항을 괄호로 조금씩 묶어 전개식 하나당 k|k영어 + 1개의 묶음을 만들어서, 같은 위치의 묶음끼리 비교하면 부분합에 관한 부등식은 증명된다.[1]
:
코시 응축 판정법은 다음의 더 강한 평가식에서 유도된다.[1]
:
(부등식은 확대 실수에서의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1] 이 증명의 핵심 부분은 니콜 오렘의 조화 급수 발산성 증명을 따른다.[1]
첫 번째 부등식을 보이기 위해, 원래 급수를 2의 거듭제곱 개수만큼의 항으로 묶어 다시 쓴다.[1] 묶인 각각의 합은, 수열의 비증가성에 의해, 최댓값을 갖는 첫 번째 항의 값으로 대체된 합으로 위에서 억제된다.[1]
:
두 번째 부등식을 보이기 위해, 급수를 2의 거듭제곱 개수만큼의 항으로 다시 묶는다.[1] 단, 이 때 다음과 같이 1항씩 묶는 방법을 어긋나게 하여, 의 각 괄호 안에서 "마지막"에 위치했던 이, 의 각 괄호 내에서는 "처음"에 위치하도록 한다.[1]
:
3. 2. 단조 수렴 정리
부분합에 관한 다음 부등식을 증명하면, 두 급수는 부분합의 유계성이 같아 단조수렴정리에 의해 수렴성이 같다는 것을 보일 수 있다.
:
여기에 극한을 취하면 위에서의 범위 추정도 증명된다. 세 부분합을 전개하고, 아래와 같이 항을 괄호로 조금씩 묶어 전개식 하나당 k|k영어 + 1개의 묶음을 만들어서, 같은 위치의 묶음끼리 비교하면 부분합에 관한 부등식이 증명된다. (예를 들어 셋째 열에서, aₙ|an영어이 감소함에 따라 a₄ + a₅ + a₆ + a₇|a4 + a5 + a6 + a7영어 ≤ a₄ + a₄ + a₄ + a₄|a4 + a4 + a4 + a4영어 ≤ a₃ + a₃ + a₄ + a₄|a3 + a3 + a4 + a4영어)
:
4. 예시
코시 응집판정법은 분모에 을 포함하는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데 유용하다.
:
위 급수가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1이 아닌 지수가 있고, 처음으로 오는 1이 아닌 지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이다. 즉, 사전식 순서대로 일 때 수렴하고, 일 때 발산한다.[1]
일 때, 축약 변환을 하면 다음 급수를 얻는다.
:
로그는 "왼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일 때, 에 대해 수렴하고 에 대해 발산한다. 일 때는 의 값에 따라 수렴 여부가 결정된다.[1]
4. 1. 조화 급수
조화급수 ∑1/n는 코시 응집판정법을 적용하면 ∑1로 변환되는데, 이는 명백히 발산한다.[1] 따라서 조화 급수는 발산한다.4. 2. 일반화된 베르트랑 급수
코시 응집판정법은 일반화된 베르트랑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반화된 베르트랑 급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1]:
여기서 은 함수 의 번째 반복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1]
:
합의 하한 은 수열의 모든 항이 양수가 되도록 선택된다.[1]
이 급수는 일 때 수렴하고, 일 때 발산한다.[1]
이러한 급수는 임의로 천천히 수렴하거나 발산하는 무한 합의 예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고 인 경우, 부분 합은 (구골플렉스) 항을 더해야 10을 넘지만, 급수는 발산한다.[1]
5. 적분과의 비교
"응축" 변환 는 적분에서 변수 치환 을 통해 가 되는 것과 유사하다.
5. 1. 적분 판정법과의 관계
적분 판정법에 따르면, 단조 함수 $f$에 대해 $\sum\limits_{n=1}^{\infty}f(n)$이 수렴하는 것과 $\displaystyle\int_{1}^{\infty}f(x)\,\mathrm{d}x$가 수렴하는 것은 동치이다. 여기서 변수 치환 $x\rarr 2^x$을 적용하면, 적분은 $\displaystyle \log 2\ \int_{0}^{\infty}\!2^{x}f(2^{x})\,\mathrm{d}x$로 변환된다. 이 적분의 수렴성은 응축된 급수 $\sum\limits_{n=0}^{\infty} 2^{n}f(2^{n})$의 수렴성과 동치이다. 따라서, 원래 급수 $\sum\limits_{n=1}^{\infty} f(n)$의 수렴성은 응축된 급수 $\sum\limits_{n=0}^{\infty} 2^{n}f(2^{n})$의 수렴성과 필요충분조건 관계를 갖는다."응축" 변환 $f(n) \rarr 2^{n} f(2^{n})$은 적분에서 변수 치환 $x \rarr e^{x}$을 통해 $f(x)\,\mathrm{d}x \rarr e^{x} f(e^{x})\,\mathrm{d}x$가 되는 것과 유사하다.
6. 슐뢰밀히의 일반화
오스카 슐뢰밀히는 코시 응집 판정법을 일반화했다.[2] 이 일반화는 정수열 u(n)영어을 이용하여 응집된 급수를 정의하며, 코시 응집 판정법을 특수한 경우로 포함한다.[4]
6. 1. 추가 조건
오스카 슐뢰밀히가 제시한 코시 응집 판정법의 일반화는 다음과 같다.[2]u(n)|''u''(''n'')영어을 정수의 양의 단조 증가 수열로 정의하고, 연속적인 유한 차분의 비율이 유계라고 가정한다. 즉, 다음을 만족하는 양의 실수 N이 존재한다.
::
이때 이 코시 수렴 판정법과 동일한 전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급수 의 수렴은 다음 급수의 수렴과 동치이다.[4]
::
을 취하면, 이 되어, 코시 응집 판정법이 특수한 경우로 나타난다.
6. 2. 일반화된 응집 급수
오스카 슐뢰밀히는 코시 응집 판정법을 일반화했다.[2] ''u''(''n'')을 양의 정수로 이루어진 단조 증가 수열이라 하고, 연속적인 유한 차분의 비율이 어떤 양의 실수 ''N''에 대해 다음과 같이 유계라고 하자.:
이때 이 코시 수렴 판정법과 동일한 전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급수 의 수렴은 다음 급수의 수렴과 동치이다.[4]
:
을 취하면, 이 되어, 코시 응집 판정법이 이 일반화된 판정법의 특수한 경우가 된다.
참조
[1]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McGraw-Hill
[2]
간행물
Extending tests for convergence of number series
http://people.brande[...]
2012
[3]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s://archive.org/[...]
McGraw-Hill
[4]
문서
http://people.brande[...]
[5]
서적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http://www.mcgraw-hi[...]
McGraw-Hill
2014-10-06
[6]
서적
Analysis I
Springer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