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 수렴 판정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시 수렴 판정법은 수열 또는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데 사용되는 수학적 정리이다.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에서 정의된 수열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코시 수렴 판정법을 통해 모든 양의 실수 ε에 대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자연수 N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 정리는 수열의 부분합이 코시 점렬을 이루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수렴성을 판별하며, 실수의 완비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코시 수렴 판정법은 실수항 또는 복소수항 급수, 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함수항 급수 등 다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항 판정법, 절대 수렴 판정법,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과 같은 다른 정리들을 증명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함수의 극한과 이상 적분의 수렴 여부를 판별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렴판정법 - 아벨-디니-프링스하임 판정법
아벨-디니-프링스하임 판정법은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수학적 정리들을 포괄하는 용어로, 수렴 및 발산 급수에 대한 조건과 관계를 제시하며 19세기와 20세기에 아벨, 디니, 프링스하임 등의 수학자들이 기여하여 발전했다. - 수렴판정법 - 디리클레 판정법
디리클레 판정법은 0으로 수렴하는 단조 수열과 유계인 부분합을 갖는 수열의 곱으로 이루어진 급수의 수렴성을 판정하는 방법으로, 급수와 이상 적분, 함수열의 균등 수렴성 판단에도 활용된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 열
코시 열은 무한수열에서 항들이 뒤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수열로, 수렴열은 항상 코시 열이지만 그 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실수의 완비성 정의 및 무한급수 수렴성 판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이다. - 오귀스탱 루이 코시 - 코시-리만 방정식
코시-리만 방정식은 복소해석학에서 함수가 미분 가능하기 위한 조건을 제공하며, 복소 평면에서 정의된 함수가 정칙 함수가 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과 관련된다.
코시 수렴 판정법 | |
---|---|
코시 수렴 판정법 | |
유형 | 수학적 판정법 |
분야 | 실해석학 |
이름 | 코시 수렴 판정법 |
발명가 | 오귀스탱루이 코시 |
설명 | |
내용 | 실수열 또는 복소수열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 |
필요충분조건 | 임의의 양수 ε에 대해, 충분히 큰 N이 존재하여, 모든 m, n > N에 대해 |an - am| < ε을 만족한다. |
공식 설명 | |
실수열 (aₙ)에 대한 판정법 | 실수열 (aₙ)이 주어졌을 때, 이 수열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임의의 양수 ε > 0에 대해, 자연수 N이 존재하여, 모든 m, n > N에 대해 |aₘ - aₙ| < ε이다. |
복소수열 (aₙ)에 대한 판정법 | 복소수열 (aₙ)이 주어졌을 때, 이 수열이 수렴하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것이다. 임의의 양수 ε > 0에 대해, 자연수 N이 존재하여, 모든 m, n > N에 대해 |aₘ - aₙ| < ε이다. |
역사 | |
기원 | 오귀스탱루이 코시가 1821년 Cours d'Analyse에 발표 |
2. 정의
코시 수렴 판정법은 주어진 수열이나 급수가 코시 수열의 성질을 만족하면 수렴한다는 판정법이다.
실수 또는 복소수 수열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위의 수열 에 대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은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
여기서 는 절댓값이다.
바나흐 공간이나 함수열에 대해서도 유사한 코시 수렴 판정법이 존재하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할 수 있다.
2. 1. 실수항 또는 복소수항 급수
실수 또는 복소수 수열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은 다음과 같다.위의 수열 에 대해,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은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임의의 에 대하여,
여기서 는 절댓값이다. 이는 부분합 이 코시 점렬임을 뜻하며, 가 완비 거리 공간이므로 부분합의 수렴과 동치이다.
수열 가 수렴할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에 대해, 모든 과 모든 에 대해 를 만족하는 자연수 이 존재한다는 것이다.[2]
코시 수렴 판정법은 실수 공간 과 복소수 공간 (거리는 절댓값으로 주어짐)가 모두 완비 거리 공간이기 때문에 성립한다.
2. 1. 1. 증명
부분합 수열의 수렴에 대한 결과를 사용하여 무한 급수의 수렴 자체에 적용할 수 있다. 코시 수렴 판정법은 그러한 적용 중 하나이다.모든 실수 수열 에 대해, 위에서 언급한 수렴에 대한 결과는 다음을 의미한다. 무한 급수
:
가 모든 에 대해 숫자 ''N''이 존재하여 ''m'' ≥ ''n'' ≥ ''N''이 다음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수렴한다.
:[3]
이 정리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코시 조건이 극한의 존재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는 실수의 완비성과 관련이 있다.
코시 판정법은 "소멸하는 진동 조건은 수렴과 동등하다"로 요약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으로 일반화될 수 있다.[4]
2. 2. 바나흐 공간 위의 급수
-바나흐 공간 위의 점렬 에 대하여, 코시 수렴 판정법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5]- 은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2. 2. 1. 증명
-바나흐 공간 위의 점렬 이 주어졌다고 하자. 코시 수렴 판정법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5]- 은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첫 번째 조건은 부분합 의 수렴을 일컫는다. 두 번째 조건은 부분합이 코시 점렬임을 뜻한다. 는 완비 거리 공간을 이루므로, 부분합이 수렴하는 것은 부분합이 코시 점렬인 것과 동치이다.
2. 3. 함수항 급수
집합 및 값 함수열 ()이 주어졌을 때, 균등 수렴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은 균등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집합 및 -바나흐 공간 및 값 함수열 ()이 주어졌을 때도 마찬가지로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은 균등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 *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임의의 집합 및 -바나흐 공간 에 대하여, 유계 함수 의 집합 은 점별 덧셈과 점별 스칼라 곱셈에 대하여 벡터 공간을 이루며, 다음과 같은 상한 노름에 대하여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
만약 각 이 유계 함수라면, 첫 번째 조건은 이 상한 노름에 대하여 수렴하는 것과 동치이며, 두 번째 조건은 부분합 이 상한 노름에 대하여 위의 코시 점렬을 이루는 것과 동치이다.
2. 3. 1. 증명
이 균등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이 존재한다.:임의의 및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및 에 대하여,
:
이다.
반대로,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임의의 및 에 대하여,
그렇다면, 각 에서의 부분합 는 위의 코시 수열이며, 따라서 은 수렴한다. 이제, 위 조건에서 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에 따라, 은 균등 수렴한다.
이 균등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가 존재한다.
:임의의 및 에 대하여,
따라서, 임의의 및 에 대하여,
:
이다.
반대로,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자연수 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임의의 및 에 대하여,
그렇다면, 각 에서의 부분합 는 위의 코시 수열이며, 따라서 은 수렴한다. 이제, 위 조건에서 을 취하면 다음을 얻는다.
:임의의 및 에 대하여,
이에 따라, 은 균등 수렴한다.
3. 따름정리
일반항 판정법은 코시 수렴 판정법에서 n=m+1을 취한 특수한 경우이다. 모든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하며,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 또한 코시 수렴 판정법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
3. 1. 일반항 판정법
일반항 판정법은 코시 수렴 판정법에서 을 취한 특수한 경우로 생각할 수 있다.3. 2. 절대 수렴 판정법
절대 수렴하는 급수는 코시 수렴 판정법을 사용하여 수렴함을 증명할 수 있다.[1]3. 3.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
바이어슈트라스 M-판정법은 코시 수렴 판정법을 사용하여 증명할 수 있다.[1]4. 관련 정리
함수의 극한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에 따르면, 열린구간 및 및 함수 에 대하여, 함수의 극한 이 존재하는 것과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 가 존재한다는 것은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이상 적분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에 따르면, 이상 적분
:
:
에 대하여, 가 수렴하는 것과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실수 가 존재한다는 것은 서로 동치이다.
- 임의의 에 대하여,
4. 1. 함수의 극한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
임의의 열린구간 및 및 함수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함수의 극한 이 존재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양의 실수 가 존재한다.
- 임의의 에 대하여,
4. 2. 이상 적분에 대한 코시 수렴 판정법
이상 적분: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은 서로 동치이다.
- 는 수렴한다.
- 임의의 양의 실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실수 가 존재한다.
- * 임의의 에 대하여,
참조
[1]
웹사이트
Answer to 'Origin of Cauchy convergence test'
https://hsm.stackexc[...]
StackExchange
2021-09-10
[2]
서적
Understanding analysis
Springer Verlag
2001
[3]
서적
An Introduction to Analysis
Prentice Hall
[4]
간행물
Cauchy criteria
https://encyclopedia[...]
Springer, European Mathematical Society
2013
[5]
서적
Series in Banach Space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Converg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