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콘티키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티키호는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에 대한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제작된 뗏목으로, 노르웨이의 탐험가 토르 헤위에르달이 이끌었다. 헤위에르달은 잉카 문명과 폴리네시아 문명의 유사성을 근거로,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남아메리카에서 왔다는 가설을 세우고, 고대 재료만 사용하여 뗏목을 제작했다. 1947년 페루에서 출항한 콘티키호는 101일간의 항해 끝에 투아모투 제도에 좌초되었으며, 이를 통해 뗏목으로도 태평양 횡단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했다. 탐험의 결과는 책과 영화로 제작되어 대중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 콘티키호는 노르웨이 오슬로의 콘티키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배 - 고크스타호
    고크스타호는 1880년 노르웨이 고크스타 농장 인근에서 발견된 떡갈나무 재질의 고대 선박으로, 클링커 공법으로 건조되었으며 순풍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고, 복제품이 전 세계에 존재하며 바이킹 배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콘티키호
기본 정보
콘티키호
콘티키호
종류뗏목
건조1947년
길이14 미터 (45 ft)
재료발사 나무
항해1947년
선원6명
항해 정보
출항지페루, 카야오
도착지폴리네시아, 투아모투 제도
항해 거리약 8,000 km (5,000 마일)
항해 기간101일
관련 인물
선장토르 헤위에르달
기타
이름 유래잉카 태양신 비라코차의 옛 이름, 콘티키

2. 배경 및 가설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 사는 폴리네시아인기원에 대해 여러 학설이 존재했다. 그중 남아메리카의 잉카 문명과 폴리네시아 문명의 유사점이 많다는 점에서,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남미에서 바다를 건너 도래한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설이 있었다.

토르 헤위에르달은 이 설을 입증하기 위해 잉카를 정복한 스페인인들이 그린 도면을 바탕으로, 발사소나무, 대나무, 맹그로브, 등 고대에도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만 사용하여 뗏목 한 척을 건조했다. 도면에 충실하게 제작되었지만, 항해의 마지막 무렵까지 기능이 파악되지 않은 부품도 있었다고 헤위에르달은 말했다. 또한 식량은 군사용 레이션도 실었으며, 육분의·시계와 같은 항법 기기나 각종 무선 통신기·발진기, 보트 등 당시 기술의 산물도 사용했다. 또한 아마추어 무선을 통해 노르웨이를 포함한 세계 각국과 교신을 했다[1]

이 항해를 통해 아무런 동력도 없는 뗏목이 바람과 해류에 의해 소시에테 제도 등의 남태평양 섬에 표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증하여,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가능성"을 증명했다.[2]콘티키호의 선명은 잉카 제국태양신비라코차의 별명에서 따왔다.

2. 1.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에 대한 학설

남태평양의 여러 섬에 사는 폴리네시아인기원에 대해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1][2] 남아메리카의 잉카 문명과 폴리네시아 문명의 유사점이 많다는 점에서,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남미에서 바다를 건너 도래한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설이 있었다. 토르 헤위에르달은 잉카 문명과 폴리네시아 문명의 유사점에 주목하고 남아메리카 기원설을 주장했다. 헤위에르달 등은 이 설을 입증하기 위해 잉카를 정복한 스페인인들이 그린 도면을 바탕으로, 발사소나무, 대나무, 맹그로브, 등 고대에도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만 사용하여 뗏목 한 척을 건조했다.

2. 2. 헤위에르달의 가설

폴리네시아인기원에 대해 남아메리카의 잉카 문명과 폴리네시아 문명의 유사점이 많다는 점에서,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남미에서 바다를 건너 도래한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설이 있었다. 헤위에르달 등은 이 설을 입증하기 위해 잉카를 정복한 스페인인들이 그린 도면을 바탕으로, 발사, 소나무, 대나무, 맹그로브, 등 고대에도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만 사용하여 뗏목 한 척을 건조했다.[1] 도면에 충실하게 제작되었지만, 항해의 마지막 무렵까지 기능이 파악되지 않은 부품도 있었다고 헤위에르달은 말했다. 또한 식량은 군사용 레이션도 실었으며, 육분의·시계와 같은 항법 기기나 각종 무선 통신기·발진기, 보트 등 당시 기술의 산물도 사용했다. 또한 아마추어 무선을 통해 노르웨이를 포함한 세계 각국과 교신을 했다.[1]

아래의 항해를 통해 아무런 동력도 없는 뗏목이 바람과 해류에 의해 소시에테 제도 등의 남태평양 섬에 표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실증하여, 폴리네시아인의 조상이 아메리카 원주민이라는 "가능성"을 증명했다.[2] 선명은 잉카 제국태양신비라코차의 별명에서 따왔다.

3. 콘티키 호 제작

3. 1. 재료 및 건조 방식

3. 2. 현대 기술의 사용

4. 항해 과정

1947년 4월 28일, 콘티키호는 페루카야오 항구를 출발했다. 콘티키호는 카야오 항구에서 80km 떨어진 지점까지 페루 해군의 군함에 의해 예인되어 훔볼트 해류를 넘어 항해를 시작했다. 헤위에르달 등의 예상대로 서쪽으로 나아가 7월 30일에는 투아모투 제도의 푸카푸카 환초/Puka-Puka영어를 보았다. 항해 102일째인 1947년 8월 7일투아모투 제도의 라로이아 환초/Raroia영어에서 좌초되었다. 항해한 거리는 약 8,000km에 달했다.

4. 1. 출항 및 초기 항해

1947년 4월 28일페루카야오 항구를 출발했다. 콘티키호는 카야오 항구에서 80km 떨어진 지점까지 페루 해군의 군함에 의해 예인되어 훔볼트 해류를 넘어 항해를 시작했다.

4. 2. 태평양 횡단

1947년 4월 28일 페루카야오 항구를 출발한 콘티키 호는 페루 해군의 군함에 의해 80km 떨어진 지점까지 예인되어 훔볼트 해류를 넘어 항해를 시작했다. 헤위에르달 등의 예상대로 바람과 해류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여, 7월 30일에는 투아모투 제도의 푸카푸카 환초/Puka-Puka영어를 목격했다. 항해 102일째인 1947년 8월 7일투아모투 제도의 라로이아 환초/Raroia영어에서 좌초될 때까지 4,300마일 (약 8천 km)을 항해했다.

4. 3. 좌초 및 항해 종료

콘티키호는 1947년 4월 28일 페루카야오 항구를 출발하여 페루 해군의 군함에 의해 80km 떨어진 지점까지 예인되어 훔볼트 해류를 넘어 항해를 시작했다. 서쪽으로 나아간 콘티키호는 7월 30일투아모투 제도의 푸카푸카 환초를 보았다. 1947년 8월 7일, 항해 101일째에 투아모투 제도의 라로이아 환초에서 좌초되었다. 콘티키호는 약 8,000km를 항해했다.

5. 탐험 결과 및 영향

콘티키호는 현재 헤위에르달의 모국 노르웨이오슬로시 비그도이 지구에 있는 콘티키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헤위에르달은 1948년에 표류 항해의 모습을 정리한 『'''콘티키호 탐험기'''』를 발표했다[3]。 이 책은 62개 국어로 번역되어 2천만 부 이상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4]

헤위에르달 등 6명의 크루와 콘티키호의 항해를 그린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콘티키/Kon-Tiki_(1950_film)영어는 1951년 아카데미상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5. 1. 학문적 의의

콘티키 호 탐험은 동력 없이 뗏목으로 태평양 횡단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여 남아메리카인의 폴리네시아 이주 가능성을 제시했다.[3][4] 그러나 유전학적 연구 결과 등에 따르면 폴리네시아인의 주류 기원은 동남아시아 및 대만 지역으로 알려져, 헤위에르달의 주장이 정설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헤위에르달은 1948년에 표류 항해의 모습을 정리한 『'''콘티키호 탐험기'''』를 발표했다.[3] 이 책은 62개 국어로 번역되어 2천만 부 이상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4] 헤위에르달 등 6명의 크루와 콘티키호의 항해를 그린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콘티키/Kon-Tiki_(1950_film)영어는 1951년 아카데미상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5. 2. 대중적 영향

헤위에르달은 1948년 탐험기 '''콘티키 호 탐험기'''를 발표했다.[3] 이 책은 62개 국어로 번역되어 2천만 부 이상 판매되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4] 헤위에르달 등 6명의 승무원과 콘티키 호의 항해를 그린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콘티키/Kon-Tiki_(1950_film)영어는 1951년 아카데미상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콘티키호는 현재 헤위에르달의 모국 노르웨이 오슬로 시 비그도이 지구에 있는 콘티키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6. 승무원 (크루)



'''토르 헤위에르달'''(토르 헤위에르달/Thor Heyerdahlnor)은 콘티키호 탐험대의 대장이자 인류학자였다.

에릭 헤셀베르크(Erik Hesselberg)는 콘티키호의 항해사이자 예술가였다.

벵트 다니엘손은 스웨덴 출신의 사회학자로, 콘티키호 탐험대의 일원이었다. 탐험대에서 취사를 담당했다.

크누트 하우글란은 무선 통신 전문가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다.

토르스타인 라비는 콘티키호의 승무원 중 한 명으로, 무선 통신을 담당하였다.

헤르만 바칭거는 콘티키호 탐험에 참여한 엔지니어였다. 항해 중에는 각종 측정을 담당하였다.

6. 1. 토르 헤위에르달 (Thor Heyerdahl)



'''토르 헤위에르달'''(토르 헤위에르달/Thor Heyerdahlnor)은 콘티키호 탐험대의 대장이자 인류학자였다.

6. 2. 에릭 헤셀베르크 (Erik Hesselberg)

에릭 헤셀베르크(Erik Hesselberg)는 콘티키호의 항해사이자 예술가였다.

6. 3. 벵트 다니엘손 (Bengt Danielsson)

벵트 다니엘손은 스웨덴 출신의 사회학자로, 콘티키호 탐험대의 일원이었다. 탐험대에서 취사를 담당했다.

6. 4. 크누트 하우글란 (Knut Haugland)

크누트 하우글란은 무선 통신 전문가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용사였다.

6. 5. 토르스타인 라비 (Torstein Raaby)

토르스타인 라비는 콘티키호의 승무원 중 한 명으로, 무선 통신을 담당하였다.

6. 6. 헤르만 바칭거 (Herman Watzinger)

헤르만 바칭거는 콘티키호 탐험에 참여한 엔지니어였다. 항해 중에는 각종 측정을 담당하였다.

7. 콘티키 호 박물관

콘티키 호는 현재 헤위에르달의 모국 노르웨이오슬로 시 비그도이 지구에 있는 콘티키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 헤위에르달은 1948년에 표류 항해의 모습을 정리한 『'''콘티키호 탐험기'''』를 발표했다. 이 책은 62개 국어로 번역되어 2천만 부 이상 판매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4] 헤위에르달 등 6명의 크루와 콘티키호의 항해를 그린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콘티키/Kon-Tiki_(1950_film)영어』는 1951년 아카데미상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8. 기타

콘티키호는 현재 헤위에르달의 모국 노르웨이오슬로 시 비그도이 지구에 있는 콘티키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헤위에르달은 1948년에 표류 항해의 모습을 정리한 '''콘티키호 탐험기'''를 발표했다[3]。 이 책은 62개 국어로 번역되어 2천만 부 이상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4]

헤위에르달 등 6명의 크루와 콘티키호의 항해를 그린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콘티키/Kon-Tiki_(1950_film)영어는 1951년 아카데미상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토르 헤위에르달의 콘티키 호 탐험기/The Kon-Tiki Expedition: By Raft Across the South Seas영어는 미즈구치 시게오가 번역하여 월요 서방에서 1951년, 치쿠마 서방에서 1956년, 치쿠마 총서에서 1969년에 출판되었고, 주요 신판으로는 치쿠마 문고에서 1996년, 가와데 문고에서 2013년에 출판되었다. 아르놀드 야코비의 캡틴 콘티키/Captain Kon-Tiki영어는 기무라 타다오가 번역하여 아사히 신문사에서 1969년, 현대교양문고에서 1976년(상, 하)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콘티키 호 탐험을 둘러싼 평전으로, 저자 아르놀드 야코비(Arnold Jacoby, 1913-2002)는 미국의 북유럽 · 아동 문학가이다. 에리크 헤셀베르그의 그림과 글로 된 콘티키 호와 나/Kon-Tiki and I영어는 마쓰시타 유타카가 번역하여 분카 출판국에서 1980년에 출판되었으며, 아동용 도서이다. 헤셀베르그의 콘티키 호 표류기/Kon-Tiki and I영어는 우치다 오사무가 번역하여 슈에이샤의 「주니어판 세계의 모험」으로 1971년에 출판되었다.

8. 1. 관련 서적

토르 헤위에르달의 콘티키 호 탐험기/The Kon-Tiki Expedition: By Raft Across the South Seas영어는 미즈구치 시게오가 번역하여 월요 서방에서 1951년, 치쿠마 서방에서 1956년, 치쿠마 총서에서 1969년에 출판되었고, 주요 신판으로는 치쿠마 문고에서 1996년, 가와데 문고에서 2013년에 출판되었다. 아르놀드 야코비의 캡틴 콘티키/Captain Kon-Tiki영어는 기무라 타다오가 번역하여 아사히 신문사에서 1969년, 현대교양문고에서 1976년(상, 하)에 출판되었다. 이 책은 콘티키 호 탐험을 둘러싼 평전으로, 저자 아르놀드 야코비(Arnold Jacoby, 1913-2002)는 미국의 북유럽 · 아동 문학가이다. 에리크 헤셀베르그의 그림과 글로 된 콘티키 호와 나/Kon-Tiki and I영어는 마쓰시타 유타카가 번역하여 분카 출판국에서 1980년에 출판되었으며, 아동용 도서이다. 헤셀베르그의 콘티키 호 표류기/Kon-Tiki and I영어는 우치다 오사무가 번역하여 슈에이샤의 「주니어판 세계의 모험」으로 1971년에 출판되었다.

8. 2. 관련 영화

참조

[1] 뉴스 "Kon-Tiki Communications--Well Done!(pdf)" http://p1k.arrl.org/[...] QST 1947-12
[2] 문서 폴리네시아인은 아시아를 기원으로 이주
[3] 서적 身体が語る人間の歴史 人類学の冒険 筑摩書房
[4] 서적 『コン・ティキ号探検記』(筑摩叢書版)訳者のあとが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