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라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콜라신은 몬테네그로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오스만 제국 시대에 요새 취락으로 발전했다. 1878년 베를린 회의를 통해 몬테네그로 공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왕국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의 일부가 되었다. 콜라신은 몬테네그로 산악 관광의 중심지 중 하나로, 스키를 타기 좋은 환경과 국립공원, 고급 리조트 등을 갖추고 있다. 쾨펜 기후 구분상 습윤 대륙성 기후에 속하며, 도로와 철도를 통해 몬테네그로의 다른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스키장 - 자블라크
자블라크는 몬테네그로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두르미토르 국립공원과 인접하여 뛰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겨울에는 스키, 여름에는 래프팅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관광지이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콜라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콜라신 |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 | |
위치 | 몬테네그로 |
설립 | 17세기 |
구성 단위 | 70개 정착지 |
행정 | |
정치 체제 | 시장-의회 |
시장 | 밀로슬라브 바토 불라토비치 (DPS) |
지리 | |
면적 | 897 km² |
고도 | 954 m |
인구 | |
도시 인구 | 2,725명 |
농촌 인구 | 5,655명 |
지방 자치체 인구 | 8,380명 |
인구 밀도 | 11명/km² |
시간대 | |
시간대 | CET |
협정 세계시 오프셋 | +1 |
하계 시간 | CEST |
하계 시간 협정 세계시 오프셋 | +2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81210 |
지역 번호 | +382 20 |
ISO 코드 | ME-09 |
차량 등록 번호 | KL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 |
2. 역사
콜라신은 17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에 의해 니크시치 나히야(nahiye)의 요새 취락으로 발전했다. 1565년 술탄의 포고에서 콜라신이라는 이름이 언급되었는데, 밀로시 대공 사후 그의 아들 토도르에게 계승되었다는 내용이다.[1] 터키화 이전의 마을 이름도 콜라신이었으며, 이 이름이 그대로 계승되었다. 1651년 가브릴로 대주교는 자흐무스코 교구, 니크시치 교구, 플라나, 콜라시노비체브스, 모라차를 오스트로그의 성 바실에게 할당했다.[1] 1667년 문서에는 콜라신 주변의 정교회 주민들이 '콜라시노비치(Kolašinovići)'로 불렸으며, 이들은 조직화되어 존중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1] 'Kolašinović'라는 성씨는 이와 관련이 있으며, 콜라신이라는 지명 또한 슬라브 군주 콜라신 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전해진다.
1878년 베를린 회의 결과 콜라신은 정식으로 몬테네그로 공국에 편입되었다. 베를린 회의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과 몬테네그로 사이에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후 콜라신은 몬테네그로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6년 모이코바츠 전투에서 몬테네그로 인민군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을 격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콜라신은 격전지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과 이탈리아에게 18번이나 폭격을 받았다. 1943년 9월 15일과 16일, 몬테네그로 전역에서 544명의 대의원이 참가한 가운데 「몬테네그로와 보카의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첫 회의가 콜라신에서 열려 몬테네그로 재건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6] 1944년 12월 29일, 콜라신은 몬테네그로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6]
2. 1. 오스만 제국 시대
17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은 니크시치 나히야(nahiye)에 콜라신 요새 취락을 건설했다. 1565년 술탄의 포고에는 밀로시 대공 사후 그의 아들 토도르에게 콜라신이 계승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 1651년, 가브릴로 대주교는 자흐무스코 교구, 니크시치 교구, 플라나, 콜라시노비체브, 모라차를 오스트로그의 성 바실에게 할당했다.[1] 1667년 문서에는 콜라신 주변 정교회 주민들이 '콜라시노비치'로 불렸으며, 이들은 조직화되고 존중받았다.[1] '콜라시노비치'라는 성씨는 이와 관련이 있으며, 지명 '콜라신' 역시 슬라브 군주 콜라신 공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1]레베카 웨스트에 따르면, 이 지역은 원래 알바니아어로 '성 니콜라스'를 뜻하는 '콜 I 셴'(Kol I Shen)으로 불렸으며, 19세기까지 가톨릭 알바니아인과 정교회 몬테네그로인이 평화롭게 공존했다.[1] 그러나 1858년, 몬테네그로 부족들이 마을을 공격하여 알바니아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무슬림이었던 모든 주민을 파괴했다.[2]
이 기간 동안 콜라신에는 상당한 규모의 알바니아인 공동체가 있었다. 19세기 후반 알바니아인 축출 과정에서 이들은 여러 차례에 걸쳐 추방되어 터키, 코소보 (프리슈티나)[3] 및 마케도니아로 피난했다.[4] 몬테네그로 군대는 추방 전에 알바니아인들의 재산을 약탈하기도 했다.[5] 1901~02년 불가리아 외무부 보고서에 따르면, 콜라신 카자는 거의 전적으로 알바니아인이 거주했으며, 27개의 알바니아 마을(732가구)과 5개의 세르비아 마을(75가구)이 있었다.[6]
2. 2. 몬테네그로 공국/왕국 시대
1878년 베를린 회의 결과, 콜라신은 정식으로 몬테네그로 공국의 영토가 되었다.[1] 베를린 회의 이전에는 오스만 제국과 몬테네그로 사이에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858년, 몬테네그로 부족들이 마을을 공격하여 알바니아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무슬림이었던 주민들을 추방했다.[2] 이 과정에서 몬테네그로 군대는 알바니아인들의 재산을 약탈하기도 했다.[5] 19세기 후반, 알바니아인 축출 과정에서 많은 알바니아인들이 터키, 코소보 (프리슈티나)[3] 및 마케도니아 지역으로 피난했다.[4]1916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 인민군은 모이코바츠 전투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군을 격파했다.
2. 3. 유고슬라비아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콜라신은 격전지로 큰 피해를 입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독일과 이탈리아에게 18번이나 폭격을 받았다. 1943년 9월 15일과 16일, 몬테네그로 전역에서 544명의 대의원이 참가한 가운데 「몬테네그로와 보카의 국가 반파시스트 위원회」 첫 회의가 콜라신에서 열려 몬테네그로 재건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6] 1944년 12월 29일 몬테네그로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6]불가리아 외무부 보고서(1901~1902)에 따르면, 당시 콜라신 카자는 거의 전적으로 알바니아인이 거주했으며, 27개 알바니아 마을과 5개 세르비아 마을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6]
3. 인구
연도 | 인구 |
---|---|
1981년 3월 3일 | 2,439명 |
1991년 3월 3일 | 2,807명 |
2003년 11월 1일 | 2,989명 |
민족 | 비율 |
---|---|
몬테네그로인 | 50.65% |
세르비아인 | 44.77% |
4.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Dfb (온난한 여름 대륙성 기후)에 속한다.[7]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5.1 | 19.3 | 22.7 | 27.2 | 33.0 | 32.7 | 35.2 | 37.1 | 32.7 | 28.4 | 25.4 | 16.4 | 37.1 |
평균 최고 기온 (°C) | 3.6 | 5.0 | 8.8 | 13.7 | 18.6 | 22.8 | 25.3 | 25.9 | 20.5 | 15.8 | 10.0 | 4.1 | 14.5 |
평균 최저 기온 (°C) | -5.1 | -4.3 | -1.6 | 1.9 | 5.8 | 9.1 | 10.3 | 10.3 | 7.4 | 3.9 | 0.2 | -3.7 | 2.8 |
최저 기온 기록 (°C) | -29.8 | -23.4 | -20.0 | -10.1 | -5.4 | -3.0 | 1.0 | 1.0 | -5.4 | -9.0 | -21.6 | -22.8 | -29.8 |
강수량 (mm) | 185.9 | 191.7 | 184.1 | 165.7 | 135.2 | 96.3 | 75.1 | 60.5 | 163.5 | 221.5 | 301.2 | 275.8 | 2056.5 |
평균 강수일 (≥ 1 mm) | 11.5 | 11.9 | 11.7 | 12.4 | 12.8 | 9.4 | 7.9 | 6.2 | 9.1 | 10.0 | 11.8 | 13.1 | 127.8 |
평균 상대 습도 (%) | 84 | 82 | 79 | 78 | 79 | 80 | 78 | 79 | 82 | 82 | 85 | 86 | 81.6 |
평균 일조 시간 | 78.8 | 89.5 | 129.3 | 147.9 | 188.0 | 193.2 | 245.8 | 234.7 | 184.6 | 152.1 | 92.9 | 68.5 | 1805.3 |
자료 출처 1: 미국 해양대기청[8] | |||||||||||||
자료 출처 2: 몬테네그로 수문기상청 (습도, 일조량 1961–1990)[9][10] |
5. 관광
콜라신은 몬테네그로 산악 관광의 중심지 중 하나이다. 자블랴크가 더 매력적인 목적지로 여겨지지만, 콜라신은 도로와 철도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콜라신은 비옐라시차 산맥과 시냐예비나 산맥 기슭에 있어 스키를 타기에 훌륭한 조건을 제공한다. 해발 954m의 고도 덕분에 콜라신은 공기 치료 스파로도 알려져 있다.
비오그라드스카 고라 국립공원이 도시 근처에 있어 훌륭한 관광 명소로 꼽힌다. 도시 중심부에 위치한 고급 리조트인 [http://www.biancaresort.com/ Bianca Resort & Spa]는 콜라신 관광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6. 교통
콜라신은 2차선 고속도로로 몬테네그로의 나머지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몬테네그로 해안과 포드고리차를 몬테네그로 북부 및 세르비아(E65, E80)와 연결하는 주요 도로에 위치해 있다.[1]
콜라신은 베오그라드-바 철도의 역이기도 하다.[1]
포드고리차 공항은 80km 떨어져 있으며 주요 유럽 목적지로 가는 정기 항공편이 운항한다.[1]
7. 스포츠
지역 축구팀은 과거 3부 리그 클럽인 FK 고르슈타크이며, 홈 경기는 스타디온 우 루구에서 치른다. 이 마을의 농구팀은 KK 고르슈타크이다.
8. 미디어
오존 라디오
9. 인물
- 슬라브코 라보비치, 덴마크계 세르비아 배우
- 벨리코 블라호비치, 몬테네그로 공산주의 정치인
- 블라도 슈체파노비치, 몬테네그로의 프로 농구 코치이자 전직 선수
- 가브릴로 5세, 제41대 세르비아 정교회 총대주교
- 밀로반 야크시치, 전직 축구 골키퍼
- 암필로히예 라도비치, 세르비아 정교회 대주교
참조
[1]
서적
Black Lamb and Grey Falcon
https://books.google[...]
Penguin
2019-12-24
[2]
서적
MONTENEGRO IN REBECCA WEST'S BLACK LAMB AND GREY FALCON: THE LITERATURE OF TRAVELLERS AS A SOURCE FOR POLITICAL GEOGRAPHY CRNA GORA U DJELU REBECCE WEST BLACK LAMB AND GREY FALCON: PUTOPISI KAO IZVOR PODATAKA U POLITIČKOJ GEOGRAFIJI
https://www.research[...]
1Sveučilište Paris-Sorbonne / University of Paris-Sorbonne
2020-03-26
[3]
서적
Kosovo: A Short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19-11-21
[4]
서적
Kultura popullore
https://books.google[...]
Akademia e Shkencave e RSH
2019-11-21
[5]
서적
Dëbimet e shqiptarëve dhe kolonizimi i Kosovës (1877-1995)
https://books.google[...]
Qendra për Informim e Kosovës
2019-11-21
[6]
간행물
1968
[7]
웹사이트
Climate Summary for Kolašin
http://www.weatherba[...]
[8]
웹사이트
Kolasi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9-15
[9]
웹사이트
Climate: Kolašin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7
[10]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7
[11]
웹인용
Climate: Kolašin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