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네이트라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네이트라 주는 시리아 남서부 국경 지대에 위치하며,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다라 주, 다마스쿠스 교외 주와 접경하고 있다. 지형의 대부분은 용암류로 형성된 고원이며, 밀 재배가 활발했다. 1964년 리프 디마스크 주와 다라아 주의 일부를 통합하여 설립되었으며, 이스라엘과의 국경에 위치한 골란고원을 단일 행정 구역으로 통치하기 위함이었다. 1967년 중동 전쟁으로 대부분의 지역이 이스라엘에 병합되었고, 주도는 폐허로 남았다. 시리아 내전 기간 동안 반군과 지하디스트 세력의 점령, 시리아군의 탈환, 2024년 이스라엘의 침공 등 복잡한 역사를 겪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네이트라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쿠네이트라 주 |
| 로마자 표기 | Muḥāfaẓat Al-Qunayṭrah |
| 유형 | 주 |
| 국가 | 시리아 |
| 점령 | 이스라엘 |
| 주도 | 쿠네이트라 (법률상) (사실상) |
| 주요 언어 | 아랍어 |
| 시간대 | EET |
| UTC 오프셋 | +2 |
| 섬머타임 | EEST |
| 섬머타임 UTC 오프셋 | +3 |
| ISO 코드 | SY-QU |
| 지리 | |
| 면적 | 1,200 km² (추정치 범위: 685 km² ~ 1,861 km²) |
| 좌표 주석 | 쿠네이트라 위치 |
| 인구 | |
| 총 인구 (2021년) | 105,124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정치 | |
| 지사 | 정보 없음 |
| 역사 | |
| 설립일 | 1964년 8월 27일 |
| 기타 |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지리
시리아 남서부 국경 지대에 위치하며, 동쪽은 다라 주, 북쪽은 레바논과 다마스쿠스 교외 주, 서쪽은 이스라엘, 남쪽은 요르단과 접한다.
쿠네이트라 주변은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레발루아와 무스테리아 석기 도구가 발견되었다.[5] 헬레니즘 시대 말기부터 정착촌이 건설되어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시대를 거쳐 "사리사이"라는 이름으로 다마스쿠스에서 서부 팔레스타인으로 가는 길목 역할을 했다.[6][7] 사도 바오로도 이 길을 지나갔다고 전해지며, 바오로의 개종 장소는 쿠네이트라 북동쪽의 코카브로 알려져 있다.[8]
주 내 지형의 대부분은 용암류가 형성한 고원이며, 비옥한 토양이기 때문에 밀 등의 재배가 활발했다.
3. 역사
1964년 리프 디마스크 주의 쿠네이트라 지역과 다라아 주의 피크 지역이 통합되어 쿠네이트라 주가 설립되었다.[4] 이는 이스라엘과의 국경에 접한 골란고원의 전략적, 군사적 중요성 때문이었다.
1967년 6일 전쟁으로 쿠네이트라 주의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버려진 도시 쿠네이트라는 시리아에게 패배와 증오의 상징이 되었다.[9]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초반 시리아군이 잠시 탈환했으나,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격퇴되었다.[10] 이스라엘은 팬텀과 스카이호크 전투기의 근접 항공 지원과 네이팜탄 공격으로 시리아군을 저지했다.[11]
1990년대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상에서 시리아는 1949년 휴전 협정에 따른 이스라엘-시리아 비무장 지대를 자국 영토라고 주장했지만, 이스라엘은 위임통치 팔레스타인과 프랑스령 시리아 위임통치령 사이의 1923년 국경 문제를 들어 거부했다.
시리아 내전 동안 쿠네이트라 주는 여러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다. 2014년 가을까지 이스라엘 점령지를 제외한 대부분은 반군과 지하디스트 세력에게 점령되었고, 북부에는 친바트당 민병대가 남았다. 2015년 반군의 공세와 공세는 시리아군에 의해 교착 상태로 끝났다. 2016년 9월 휴전에도 불구하고 반군은 새로운 공세를 선언했다.
2018년 6월과 7월, 러시아 공군 지원을 받은 시리아군과 동맹군이 반군 점령 지역을 거의 탈환했으며, ISIL 동맹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 군대의 소규모 지역만 남았다. 아흐라르 알샴,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남부 전선 등 반군 단체는 시리아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이들리브로 철수했다. 2018년 8월, 러시아는 군사 경찰 부대를 골란 고원의 완충 지대에 배치했다.[29][30]
2024년 12월 초, 북부 공세 이후 다시 나타난 남부 전선은 이스라엘 점령 하에 있지 않은 쿠네이트라 주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발표했다.[31][32] 2024년 12월 8일 아사드 정권의 붕괴 이후, 이스라엘은 주 침공을 시작하여, 이스라엘 포병의 지역 마을 공격 주장에 따라 UNDOF 완충 지대로 진격했다.[33][34]
3. 1. 고대 및 중세
쿠네이트라 주변 지역은 수천 년 동안 사람이 거주해 왔다. 주변에서 레발루아와 무스테리아 석기 도구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구석기 시대의 수렵 채집인들이 그곳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5] 늦어도 헬레니즘 시대 말기부터 정착촌이 건설되었으며,[6]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시대를 거쳐 존속했다. "사리사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으며,[7] 다마스쿠스에서 서부 팔레스타인으로 가는 길의 정류장 역할을 했다. 사도 바오로는 예루살렘에서 다마스쿠스로 가는 길에 이 정착촌을 지나갔다고 전해진다. 바오로의 개종 장소는 전통적으로 쿠네이트라 북동쪽, 다마스쿠스 가는 길에 있는 작은 마을 코카브로 알려졌다.[8]
중세 시대에는 쿠네이트라를 포함한 시리아 지역이 황폐해졌다.
3. 2. 근대
근대에 들어 러시아 등에서 오스만 제국으로 도망쳐 온 무슬림들의 이주가 활발해지면서 많은 마을과 촌락이 형성되었다.
1964년 8월 27일, 디마슈크 주(현재의 다마스쿠스 교외 주)에서 분리되어 쿠네이트라 주가 창설되었다.[46]
중동 전쟁으로 쿠네이트라 주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병합되었으며, 드루즈파의 농촌 몇 곳이 남아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스라엘인이 건설한 키부츠가 전쟁 전 마을의 터전에 세워졌다. 주도 쿠네이트라는 제4차 중동 전쟁 후 이스라엘로부터 시리아에 반환되었지만, 현재까지 폐허로 남아 있다.
1970년대, 이스라엘 부총리를 역임한 정치인 이갈 알론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안정을 목표로 요르단과의 양자 협상에서 국경을 확정하려 했다. 알론 계획이라고 불리는 이 계획은 서안의 대부분을 이스라엘 영토로 하고, 대신 팔레스타인인 밀집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건설은 피하고 자치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스라엘 점령지인 골란 고원을 포함하는 시리아의 쿠네이트라 주에 드루즈파 국가(자발 드루즈)를 건국하는 안이 있었다.[49] 알론 계획은 인구 밀집 지역에도 정착촌 건설이 이루어지면서 무산되었다.
알론 사망 후 1981년에는 이스라엘 국회에서 골란 고원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이스라엘의 법을 골란 고원 지구에도 적용하는 것으로, 문면에서는 병합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피했지만, 사실상의 골란 고원 병합으로 간주된다.
3. 3. 쿠네이트라 주 설립 (1964)
1964년, 리프 디마스크 주에 속했던 쿠네이트라 지역과 다라아 주에 속했던 피크 지역을 통합하여 쿠네이트라 주가 설립되었다.[4] 이스라엘과의 국경에 접한 전략적, 군사적 중요성 때문에 골란고원을 단일 행정 구역으로 통치할 필요가 있어 새로운 주가 설립되었다. 1964년 8월 27일, 디마슈크 주(현재의 다마스쿠스 교외 주)에서 분리되어 창설되었다.[46]
3. 4. 중동 전쟁 (1967-1973)
1967년 6일 전쟁으로 쿠네이트라주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초반 시리아군이 잠시 탈환했으나, 이스라엘의 반격으로 격퇴되었다.[10]
1973년 10월 중순, 이스라엘은 반격을 시작했다. 시리아군은 60km 전선에 1,000대에 가까운 전차를 집결시켰고, 이스라엘은 막대한 수의 전차로 맞섰다. 초반 시리아군이 후퇴했지만, 반격하여 점령지로 진격하며 쿠네이트라는 여러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결국 이스라엘 기갑전 부대가 팬텀, 스카이호크 전투기의 근접 항공 지원과 네이팜탄 공격으로 시리아군을 저지했다.[11]
1970년대 이스라엘 부총리 이갈 알론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 안정을 위해 요르단과 국경을 확정하려 했다. 알론 계획은 서안 대부분을 이스라엘 영토로 하되, 팔레스타인인 밀집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건설은 피하고 자치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 골란 고원을 포함한 쿠네이트라 주에 드루즈파 국가(자발 드루즈) 건국 안이 있었으나,[49] 인구 밀집 지역에도 정착촌이 건설되면서 무산되었다.
3. 4. 1. 쿠네이트라 파괴
쿠네이트라의 대부분은 1967년 6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이 도시는 이후 6년 동안 이스라엘의 수중에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이스라엘과 시리아는 전쟁 상태였다. 시리아인들은 이곳을 "시리아의 패배의 상징, 시리아와 이스라엘 간의 증오의 상징, 하페즈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짊어져야 할 십자가"로 여겼다.[9]
메롬 골란 정착민들은 1967년에 쿠네이트라의 벙커를 점거하여 케셰트라는 정착지를 세우고, 기존 마을을 철거하기 시작했다. 메롬 골란의 지도자 예후다 하렐과 심손 울너는 유대 민족 기금에 쿠네이트라 파괴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이후 이들은 북부 사령부 보좌관에게 접근하여 군사용 건물을 표시하게 했고, 유대 민족 기금의 트랙터가 파괴 작업을 수행했다.[12] 건물은 체계적으로 해체되었고, 이동 가능한 물건은 이스라엘 계약업자에게 판매된 후 트랙터와 불도저로 파괴되었다.[13][14]
1974년 6월 6일 철수가 발효되었고,[15] 6월 26일 하페즈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은 쿠네이트라를 방문하여 영토 반환을 약속했다.[16] 서방 기자들은 시리아 난민들이 돌아가는 모습을 보도하며, 대부분의 건물이 폭파되거나 포격으로 파괴되었다고 전했다.[17] 르 몽드 특파원은 더 타임스 기고를 통해 파괴된 도시의 모습을 상세히 묘사했다.[18]
이스라엘은 피해가 전쟁과 포격전으로 발생했다고 주장했지만,[19][20] 철수 전 보고서들은 도시가 이미 폐허 상태였다고 언급했다.[21][22][23] 더 타임스 특파원은 철수 한 달 전 도시를 직접 보고 "7년의 전쟁과 황폐함 이후 폐허가 된 채 버려져 있다"고 묘사했다.[24]
1974년 5월 12일 영국 텔레비전 뉴스팀이 촬영한 영상은 도시 파괴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공했다. 영상에는 철수 전 대부분의 건물이 서 있었지만, 인계 후에는 몇 채만 남아 있었고, 이는 포격이나 공중 폭격이 아닌 체계적인 다이너마이트 폭파로 인한 것임을 보여주었다.[25]
유엔은 특별 위원회를 설립하여 스위스 엔지니어 에드워드 그루너에게 피해 조사를 맡겼다.[26] 그루너는 이스라엘군이 철수 전에 의도적으로 건물을 파괴했다고 결론지었다.[26] 유엔 총회는 이 보고서를 채택하고 쿠네이트라 파괴를 제네바 협약 위반으로 규정하며 이스라엘을 비난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27] 유엔 인권 위원회 또한 쿠네이트라 파괴를 비난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28]
3. 5. 시리아 내전 (2011-현재)
시리아 내전 동안 2014년 가을까지 이스라엘이 점령하지 않은 쿠네이트라 주 대부분은 다양한 반군과 지하디스트 세력에게 점령되었고, 북부에는 친바트당 민병대가 차지한 작은 지역만 남았다. 2015년 6월, 반군은 주를 점령하기 위해 공세를 시작했지만, 시리아군에 의해 격퇴되었다. 2015년 10월, 반군은 또 다른 공세를 시작했지만, 다시 교착 상태로 끝났다. 2016년 9월 러시아와 미국이 휴전을 설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주 내의 반군은 정부군에 대한 새로운 공세를 선언했다.
2018년 6월과 7월, 주의 반군 점령 지역은 러시아 공군 지원을 받은 시리아군과 동맹군에 의해 거의 완전히 탈환되었으며, 요르단 국경 근처의 ISIL 동맹 할리드 이븐 알-왈리드 군대의 손에 소규모 지역만 남았다. 아흐라르 알샴,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남부 전선, 이슬람 군대, 기준 여단, 자유 부족 군대의 반군 단체는 시리아 정부와의 합의에 따라 이들리브로 철수했다. 2018년 8월, 러시아는 군사 경찰 부대를 배치하여 골란 고원의 완충 지대인 브라보 라인을 따라 여러 초소를 운영했다.[29][30]
3. 5. 1. 2024년 남부 시리아 공세
2024년 12월 초, 북부 공세 이후 다시 나타난 남부 전선은 이스라엘 점령 하에 있지 않은 쿠네이트라 주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발표했다.[31][32] 2024년 12월 8일 아사드 정권의 붕괴 이후, 이스라엘은 주 침공을 시작하여, 이스라엘 포병의 지역 마을 공격 주장에 따라 UNDOF 완충 지대로 진격했다.[33][34]
4. 행정 구역
쿠네이트라주는 2개의 구(manatiq)로 나뉜다. 이 구들은 다시 6개의 하위 구역(나와히)으로 세분된다.
| 구 | 하위 구역 |
|---|---|
| 쿠네이트라 구 | 쿠네이트라 하위 구역 (1973년 이후 대부분 비무장 지대에 위치) |
| 주바타 알-카샵 하위 구역 (일명 Jabta Elhashab) | |
| 마사데 하위 구역 (일명 Massade, 1967년부터 이스라엘 점령) | |
| 키쉬니야 하위 구역 (일명 Hushnia, 1967년부터 이스라엘 점령) | |
| 피크 구 | 피크 하위 구역 |
| 엘마제르 하위 구역 |
5. 인구
6일 전쟁 이전인 1967년, 쿠네이트라 주 인구는 130,000명에서 145,000명 사이였으며, 이 중 약 17,000명이 팔레스타인 난민이었다.[42] 쿠네이트라 주의 농촌 및 도시 인구는 주 북부에 거주하는 드루즈 아랍인, 차르 시대의 체르케스인 학살 동안 북 코카서스에서 고향을 떠난 난민의 후손인 체르케스인, 투르크멘족, 아랍 알라위파, 아랍 수니 펠라힌 및 베두인으로 구성되었다. 쿠네이트라 시의 도시 인구에는 이스마일파와 시아파 무슬림 아랍인이 포함되었다.[41][43] 소련 붕괴 후 일부는 북 코카서스로 이주했다.[44] 골란 고원은 시리아 전체에서 시리아 체르케스인의 주요 거주지였다.[43]
2021년 시리아가 통치하는 쿠네이트라 주의 인구는 105,124명으로 추산되었다.[2] 시리아 내전 이전에는 시리아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난민의 약 8.5%가 쿠네이트라 주에 거주했다.[45] 이스라엘이 점령한 골란 고원에서 온 난민과 그 후손의 총 수는 35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었으며, 대부분 다마스쿠스와 그 주변에 거주하고 있다.[41] 이스라엘이 점령한 골란 부현의 인구는 약 5만 명이며, 그 중 절반은 시리아 아랍인이고, 나머지 절반은 국제법에 따라 불법으로 간주되는 정착지에 거주하는 이스라엘 정착민이다.
6. 이스라엘 점령과 국제 사회의 입장
1967년 6일 전쟁 당시 쿠네이트라주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점령되었다. 이후 6년 동안 이스라엘이 도시를 차지했지만, 이스라엘과 시리아는 여전히 전쟁 상태였다. 시리아인들은 이곳을 "시리아 패배의 상징, 시리아와 이스라엘 간 증오의 상징, 하페즈 알 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이 짊어져야 할 십자가"로 여겼다.[9]
1990년대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상에서 시리아는 1949년 휴전 협정에 따라 설치된 이스라엘-시리아 비무장 지대를 쿠네이트라 주에 속하는 자국 영토라고 주장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시리아가 위임통치 팔레스타인과 프랑스령 시리아 위임통치령 사이의 1923년 국경 서쪽에 영토를 갖게 된다는 이유로 이러한 주장을 거부했다. 이 지역에는 6일 전쟁 전에 세워진 이스라엘 키부츠가 포함되어 있었다.
제4차 중동 전쟁 이후 주도 쿠네이트라는 이스라엘로부터 시리아에 반환되었지만 현재까지 폐허로 남아 있다. 중동 전쟁으로 쿠네이트라주 대부분이 이스라엘에 병합되었으며, 드루즈파의 농촌 몇 곳을 제외하고는 이스라엘인이 건설한 키부츠가 전쟁 전 마을 터전에 세워졌다.
6. 1. 알론 계획과 골란 고원법
1970년대, 이스라엘 부총리를 역임한 정치인 이갈 알론은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안정을 목표로 요르단과의 양자 협상에서 국경을 확정하려 했다. 알론 계획이라고 불리는 이 계획은 서안의 대부분을 이스라엘 영토로 하고, 대신 팔레스타인인 밀집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 건설은 피하고 자치구를 만드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이스라엘 점령지인 골란 고원을 포함하는 시리아의 쿠네이트라 주에 드루즈파 국가(자발 드루즈)를 건국하는 안이 있었다[49]。 알론 계획은 인구 밀집 지역에도 정착촌 건설이 이루어지면서 무산되었다.또한 알론 사망 후 1981년에는 이스라엘 국회에서 골란 고원법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이스라엘의 법을 골란 고원 지구에도 적용하는 것으로, 문면에서는 병합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피했지만, 사실상의 골란 고원 병합으로 간주된다.
참조
[1]
웹사이트
إعلام عبري: دخول بري "إسرائيلي" مع دبابات إلى القنيطرة السورية
https://factjo.com/n[...]
2024-12-08
[2]
간행물
Quneitra
https://euaa.europa.[...]
European Union Agency for Asylum
2021
[3]
웹사이트
Syria: Governorates, Major Cities & Localiti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www.citypopul[...]
2006-10-14
[4]
웹사이트
Syria Provinces
http://www.statoids.[...]
2006-10-14
[5]
서적
Neanderthals and Modern Humans in Western Asia
Springer
1998
[6]
서적
Ancient Synagogues: Historical Analysis and Archaeological Discovery
https://books.google[...]
[7]
서적
Ancient Synagogues: Historical Analysis and Archaeological Discovery
https://books.google[...]
[8]
서적
Biblical Damascus
Footprint Travel Guides
2001
[9]
서적
Asad of Syria: The struggle for the Middle Eas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10]
뉴스
Tables turned on Arabs, Israel general says
The Times
1973-10-09
[11]
뉴스
The War of the Day of Judgment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73-10-22
[12]
문서
Kipnis, p. 160
[13]
문서
Qunaytirah, Al.
Encyclopædia Britannica
2007
[14]
서적
Syria & Lebanon
Lonely Planet
2004
[15]
뉴스
Israel-Syrian disengagement goes into effect today after detailed plan is signed in Geneva
The Times
1974-06-06
[16]
뉴스
Egypt offers air force to defend Lebanon
The Times
1974-06-26
[17]
뉴스
Returning to Quneitra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74-07-08
[18]
뉴스
Golan's capital turns into heap of stones
The Times
1974-07-10
[19]
뉴스
Israel fears Russian incitement of Arabs
The Times
1975-09-08
[20]
뉴스
Corrections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2017-12-28
[21]
뉴스
Syrian 160mm mortar shells were falling on the northern side of the city, a shell-scarred ghost city since its capture by the Israelis in 1967
The Times
1973-10-05
[22]
뉴스
Kuneitra, the ruined capital of the Heights
The Times
1974-04-05
[23]
뉴스
Israel sees no end to Golan battle
The Times
1974-05-02
[24]
뉴스
Settlers insist Israel keeps Golan
The Times
1974-05-07
[25]
뉴스
A question mark over the death of a city.
The Times
1975-02-17
[26]
간행물
Report of the Special Committee to Investigate Israeli Practices Aff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 Population of the Occupied Territories; including Edward Gruner: Quneitra Report on Nature, Extent and Value of Damage
https://unispal.un.o[...]
UN Secretary General
1976-10-01
[27]
간행물
Report of the Special Committee to Investigate Israeli Practices Affecting the Human Rights of the Population of the Occupied Territories
https://unispal.un.o[...]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3240
1974-11-29
[28]
뉴스
Human Rights Commission condemns Israel
The Times
1975-02-22
[29]
뉴스
Russian military police deploys four posts on Golan heights
http://tass.com/defe[...]
TASS
2018-08-14
[30]
뉴스
На Голанских высотах появились четыре поста российской военной полиции
https://ria.ru/syria[...]
RIA Novosti
2018-08-14
[31]
웹사이트
Syrian rebels say they have taken Quneitra, near border with Israel
https://www.timesofi[...]
2024-12-08
[32]
웹사이트
Syria govt forces evacuate positions in Quneitra near Israel-annexed Golan: Monitor
https://english.alar[...]
2024-12-07
[33]
웹사이트
IDF deploys in Golan buffer zone with Syria, girding for post-Assad regime chaos
https://www.timesofi[...]
2024-12-08
[34]
웹사이트
Israel watches Syria with trepidation as 50 years of detente is upended
https://amp.cnn.com/[...]
2024-12-08
[35]
웹사이트
The Golan Heights under Israeli Occupation 1967–1981
http://dro.dur.ac.uk[...]
[36]
웹사이트
Submission to 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
http://www2.ohchr.or[...]
Al Marsad, the Arab Center for Human Rights in the Golan Heights
2007-01
[37]
서적
Murphy & Gannon 2008
[38]
뉴스
BBC News, Regions and territories: The Golan Heights
http://news.bbc.co.u[...]
[39]
웹사이트
Destroyed Villages in the Golan Heights
http://www.jawlan.or[...]
[40]
학술 논문
Changing the Landscape: Israel's Gross Violations of International Law in the Occupied Syrian Gol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41]
학술 논문
Voices from the Golan
2000-07
[42]
뉴스
The disinherited
http://www.haaretz.c[...]
Haaretz
2010-07-30
[43]
웹사이트
The Circassians of Syria: Opting for the Rightful Cause
http://circasvoices.[...]
Circassian Voices
2012-07
[44]
웹사이트
How Circassians maintain identity in changing Golan
http://www.al-monito[...]
2017-02-09
[45]
학술 논문
The Palestinian Refugees in Syria Their Past ... .
http://prrn.mcgill.c[...]
McGill University
1999
[46]
웹사이트
Provinces of Syria
https://www.statoids[...]
Statoids
2015-06-30
[47]
웹사이트
Syrian insurgents attack government-held town near Israel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
2024-11-21
[48]
웹사이트
Syria
https://www.citypopu[...]
Citypopulation
2022-09-25
[49]
웹사이트
http://www.haaretz.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