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6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246년은 남송 순우 6년, 일본 간겐 4년, 쩐 왕조 티엔응찐빈 15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쿠빌라이 칸이 남송 정복 지원을 받은 일, 리투아니아의 민도우가스가 기독교로 개종하고 국왕으로 즉위한 일, 몽골 제국의 구유크 칸이 대칸으로 즉위한 일 등이 있다. 주요 인물로는 닛코 쇼닌, 존 피츠알란, 다피드 압 류웰린 등이 태어났으며, 잉글랜드의 이사벨라, 오스트리아의 프리드리히 2세, 몽골 제국의 야로슬라프 2세 등이 사망했다.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몽골 제국의 쿠빌라이 칸이 몽골 제국의 대칸 몽케 칸으로부터 남송 정복을 위한 지원을 받았다.
-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민도우가스가 기독교로 개종하고 리투아니아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국왕으로 즉위했다.
-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교황령이 신성 로마 제국으로부터 독립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독일의 새로운 왕으로 빌럼 2세를 임명했다.
- 제1차 잉글랜드 남작 전쟁: 헨리 3세는 리즈 성을 포위했다.
- 스코틀랜드의 알렉산더 2세가 사망했고 그의 아들인 알렉산더 3세가 왕위에 올랐다.
- 안토니우스 아바테가 사망했다.
- 마르틴 데 알라르콩이 카스티야의 왕 페르난도 3세의 지휘 아래 세비야를 재정복하는 데 참여했다.
- 야만의 요한이 사망했다.
- 란케이 도류가 남송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센유지의 주지가 되었다.
- 플라노 카르피니가 카라코룸에서 구유크를 만났다.
- 8월 24일 – 오고타이 칸의 장남 구유크 칸이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즉위했다.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가 이끄는 교황 사절단이 카라코룸에서 즉위식을 목격했다.[4] 구유크는 어머니 투르게네 카툰의 여러 칙령을 뒤집고, 페르시아의 몽골 총독 엘지기데이에게 시리아로 진격하여 바그다드 공격을 준비하라고 명령한다.[4]
- 9월 30일 – 야로슬라프 2세가 카라코룸에서 투르게네 카툰에게 독살당했다.
- 2월 16일 - 고사가 천황이 아들 고후카쿠사 천황에게 양위하여 제89대 일본 천황이 되었다.
- 2월 28일 – 하엔 포위전: 카스티야 왕국 군대가 페르난도 3세의 지휘하에 하엔을 안달루시아로부터 함락한다. 무함마드 1세는 20년 간의 휴전을 조건으로 페르난도의 종주권을 받아들여 도시를 넘겨준다. 그라나다 토후국은 카스티야 왕국의 봉신국이 된다.[1]
- 5월 22일 – 하인리히 라스페는 콘라트 4세와 그의 아버지인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대항하여 독일에서 대립왕으로 선출된다.
- 6월 15일 – 라이타 강 전투: 헝가리 군대는 러요시 4세의 지휘하에 프리드리히 2세를 라이타 강가에서 격파한다. 프리드리히는 전사하고, 바벤베르크가는 해산된다.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오스트리아 공국과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의 봉토를 자신의 통치하에 둔다. 이는 헝가리 왕국이 서부 백국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영유권 주장을 종식시킨다.[2]
- 11월 – 미하일 2세 아센,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차르'')는 형 칼리만 1세를 계승한다(독살당했을 가능성이 있음). 그는 니케아 제국의 비잔틴 통치자 요한 3세 두카스 바타체스에 대항한 불가리아 영토의 재정복을 확정한다.[3]
- 프리드리히 2세는 시칠리아 반란을 진압하고, 루체라에 남아있던 무슬림 주민들을 추방한다 (추정 날짜).
- 샹파뉴의 앨리스가 사망했다. 그녀의 아들인 키프로스의 앙리 1세가 뒤를 이었다.
- 10월 2일 – 다마스쿠스는 약 4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아이유브 왕조에게 함락되었다.
4. 1. 동아시아
4. 1. 1. 몽골 제국
- 8월 24일 – 오고타이 칸의 장남 구유크 칸이 몽골 제국의 3대 대칸으로 즉위했다.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가 이끄는 교황 사절단이 카라코룸에서 즉위식을 목격했다.[4] 구유크는 어머니 투르게네 카툰의 여러 칙령을 뒤집고, 페르시아의 몽골 총독 엘지기데이에게 시리아로 진격하여 바그다드 공격을 준비하라고 명령한다.[4]
- 9월 30일 – 알렉산드르 네프스키의 아버지인 야로슬라프 2세가 구유크 칸의 소환을 받아 카라코룸에 갔다가 투르게네 카툰에게 독살당했다.
- 플라노 카르피니가 카라코룸에서 구유크를 만났다.
- 란케이 도류가 남송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센유지의 주지가 되다.
4. 1. 2. 고려
4. 1. 3. 일본
4. 1. 4. 남송
4. 2. 유럽
- 2월 28일 – 하엔 포위전: 카스티야 왕국 군대는 국왕 페르난도 3세 ('''성왕''')의 지휘하에 하엔을 안달루시아로부터 함락한다. 산티아고 기사단 기사들과의 합동 공격으로 술탄 무함마드 1세는 20년 간의 휴전을 조건으로 페르난도의 종주권을 받아들여 도시를 넘겨준다. 그라나다 토후국은 카스티야 왕국의 봉신국이 된다.[1]
- 5월 22일 – 하인리히 라스페는 콘라트 4세와 파문된 그의 아버지인 황제 프리드리히 2세에 대항하여 독일에서 대립왕으로 선출된다.
- 6월 15일 – 라이타 강 전투: 헝가리 군대는 국왕 러요시 4세의 지휘하에 프리드리히 2세 ('''다툼이 많은 자''')를 라이타 강가에서 격파한다. 프리드리히는 전사하고 (남성 상속자 없이), 바벤베르크가는 해산된다.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오스트리아 공국과 슈타이어마르크 공국의 봉토를 자신의 통치하에 둔다. 이는 헝가리 왕국이 서부 백국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영유권 주장을 종식시킨다.[2]
- 11월 – 미하일 2세 아센, 불가리아 제국의 통치자(''차르'')는 형 칼리만 1세를 계승한다(독살당했을 가능성이 있음). 그는 니케아 제국의 비잔틴 통치자 요한 3세 두카스 바타체스에 대항한 불가리아 영토의 재정복을 확정한다.[3]
- 프리드리히 2세는 시칠리아 반란을 진압하고, 루체라에 남아있던 무슬림 주민들을 추방한다 (추정 날짜).
- 란케이 도류가 남송에서 일본으로 건너와 센유지의 주지가 되다.
- 플라노 카르피니가 카라코룸에서 구유크를 만났다.
4. 2. 1. 잉글랜드
4. 2. 2. 스코틀랜드
4. 2. 3. 신성 로마 제국
}}}}}} 추가해] 주세요.}}|크기 = 왼쪽
}}
4. 2. 4. 동유럽
4. 2. 5. 레반트
5. 탄생
- 3월 8일 - 닛코 쇼닌, 일본의 종교 지도자 (1333년 사망)
- 3월 24일 - 헨리 베이트 오브 메헬렌, 브라반트의 철학자
- 3월 26일 - 닛코,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
- 9월 14일 - 존 피츠알란, 잉글랜드 귀족 (1272년 사망)
- 안젤로 다 푸르치, 이탈리아 사제, 웅변가, 신학자 (1327년 사망)
- 드라크파 오제르, 티베트 황실 사제 ('''디시''') (1303년 사망)
- 엔리케 엔리케스 ('''엘 에더'''), 카스티야 귀족 (1323년 사망)
- 링컨의 휴 ('''리틀 세인트'''), 잉글랜드 유대인 소년 (1255년 사망)
- 유타 오브 덴마크 (또는 '''주디스'''), 덴마크 공주이자 수녀원장
- 고노에 모토히라, 일본 귀족이자 섭정 (1268년 사망)
- 니콜라스 오브 톨렌티노, 이탈리아 수도사, 탁발 수도사, 신비주의자 (1305년 사망)
- 파올로 말라테스타, 이탈리아 귀족이자 외교관 (1285년 사망)
- 리코발도 오브 페라라, 이탈리아 연대기 작가이자 지리학자
- 사피 알-딘 알-힌디, 인도 학자이자 신학자 (1315년 사망)
- 타케자키 스에나가, 일본의 가신이자 사무라이 (1314년 사망)
- 테오도시예 더 힐렌다리안, 세르비아 성인 전기 작가 (1328년 사망)
- 오토모 사다치카,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오토모 씨의 제5대 당주
- 쿤후타 우헤르스카, 보헤미아 왕 오타카르 2세의 두 번째 왕비
- 쇼니 카게스케, 가마쿠라 시대의 고케닌
- 토인 온시, 고후카쿠사 천황의 황비
- 조반니 다 몬테코르비노, 이탈리아의 프란체스코회의 사제, 선교사
6. 사망
- 2월 25일 - 다피드 압 류웰린, 웨일스 공 (1212년 출생)
- 4월 15일 - 페테르 곤잘레스('''텔모'''), 카스티야 사제 (1190년 출생)
- 4월 15일 (간겐 4년 3월 28일) - 스가와라 타메나가, 헤이안 시대, 가마쿠라 시대의 공경 (1158년 출생)
- 5월 17일 (간겐 4년 윤 4월 1일) - 호조 쓰네토키, 가마쿠라 막부의 4대 집권 (1224년 출생)
- 5월 19일 - 우밀리아나 데 체르키, 이탈리아 귀족 여성 (1219년 출생)
- 5월 31일 - 이사벨라 오브 앙굴렘, 잉글랜드 왕 존의 두 번째 왕비 (1188년 출생)
- 6월 4일 - 앙굴렘의 이사벨라, 잉글랜드 왕비
- 6월 15일 - 프리드리히 2세, 오스트리아와 슈타이어마르크 공작 (1211년 출생)
- 6월 16일 - 뤼트가르디스 (혹은 '''뤼트가르데'''), 플랑드르 수녀 (1182년 출생)
- 6월 28일 - 알만수르 이브라힘, 아이유브 왕조 지사 및 통치자
- 7월 15일 (간겐 4년 6월 1일) - 호조 토키유키,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 (출생년도 미상)
- 9월 20일 - 미하일 체르니고프, 키예프 대공
- 9월 26일 (간겐 4년 8월 15일) - 익자 내친왕, 가마쿠라 시대의 황족, 이세 사이구 (1231년 출생)
- 9월 30일 - 야로슬라프 2세, 키예프 대공 (1191년 출생)
- 10월 22일 – 미에슈코 2세 ('''비만'''), 칼리시-비엘룬 공작
- 11월 3일 – 로버트 드 빙엄, 솔즈베리 주교
- 11월 8일 - 베렝게라 ('''대왕'''), 카스티야 여왕
- 아브드 알 라흐만, 몽골 제국의 관인 (출생년도 미상)
- 샹파뉴의 앨리스, 키프로스 왕비 (1193년 출생)
- 에드니페드 퓨찬, 웨일스 귀족 및 기사 (1170년 출생)
- 데르햄의 엘리아스, 잉글랜드 석공 건축가
- 에라르 드 브리엔-라메뤼프, 프랑스 귀족 (1170년 출생)
- 에바 마셜, 캄브로-노르만 귀족 여성 (1203년 출생)
- 조프루아 2세 드 빌아르두앵, 샹파뉴 출신의 제3대 아카이아 공 (1195년?)
- 헨리 오들리(혹은 '''알디텔'''), 잉글랜드 귀족 (1175년 출생)
- 칼리만 아센 1세, 불가리아 제국 통치자 (1234년 출생)
- 카이호스로 2세, 룸 술탄국 통치자 (1221년 출생)
- 마테오 로소 오르시니, 이탈리아 귀족 및 정치인
- 무하마드 알-마키, 아랍 통치자 및 탐험가 (1145년 출생)
- 리처드 피츠로이, 존 ('''무토지''')의 사생아
- 텔로 텔레스 데 메네세스, 팔렌시아 주교 (1170년 출생)
- 테무게 (혹은 '''오트곤'''), 칭기즈 칸의 형제 (1168년 출생)
- 테오도라 앙겔리나, 비잔틴 귀족 여성 (1190년 출생)
- 발터 4세 ('''대왕'''), 프랑스 귀족 및 기사
- 발터 스튜어트, 스코틀랜드 정치인 및 대 스튜어드
- 완송 싱슈, 중국 불교 승려 (1166년 출생)
- 도레게네, 몽골 제국의 제2대 카안·오고데이의 제6부인 (출생년도 미상)
- 멍궁, 남송의 무장 (1195년)
참조
[1]
서적
The New Cambridge Medieval History c.1198-c.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The Realm of Přemysl Ottokar II and Wenceslas II'
[3]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4]
서적
The Isma'ilis: Their History and Doctrin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5]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Vol III: The Kingdom of Acre
[6]
논문
The Medieval Origins of the Financial Rev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