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반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반강은 캅카스산맥의 엘브루스산에서 발원하여 아조프해로 흘러드는 러시아의 주요 강이다. 울루캄강과 우치쿨람강의 합류 지점에서 시작하여 906km를 흐르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대를 통과한다. 쿠반강은 흑해와 아조프해로 모두 유입되었으나 지반 융기로 인해 현재는 아조프해로만 흘러든다. 이 강은 쌀 재배와 어업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크라스노다르까지 항해가 가능하다. 쿠반강 유역은 쿠반 코사크의 근거지였으며, 1994년에는 람사르 조약 등록지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쿠반강 | |
|---|---|
| 지도 | |
| 일반 정보 | |
| 이름 | 쿠반 강 |
| 원어 이름 | 러시아어: Кубань (쿠반) 아디게이어: Псыжъ (프시즈) 또는 Псыжь (프시즈) 아바르어: Къвбина (크브비나) 카라차이-발카르어: Къобан (코반) 노가이어: Кобан (코반) 우크라이나어: Кубань (쿠반) |
| 람사르 습지 | 쿠반 삼각주: 쿠반 강과 프로토카 강 사이의 석호 그룹 쿠반 삼각주: 아흐타로-그리벤스카야 석호 그룹 |
| 지리 | |
| 발원지 위치 | 주 캅카스 산맥 러시아 |
| 하구 | 아조프 해 |
| 위치 | 동유럽 |
| 국가 | 러시아 |
| 연방 주체 | 크라스노다르 지방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 스타브로폴 지방 아디게야 공화국 |
| 길이 | 870km |
| 하구 해발고도 | 0m |
| 발원지 해발고도 | 3400m |
| 평균 방류량 | 425m³/s (크라스노다르 근처 최대) |
| 유역 면적 | 57,900km² |
| 왼쪽 지류 | 우루프 강 라바 강 벨라야 강 |
2. 지리
쿠반강은 캅카스산맥의 엘브루스산 부근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다가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타만 반도 북안의 템류크에서 아조프해로 흘러든다. 강의 대부분은 항해가 가능하다. 유역에는 쿠반 코사크의 근거지가 설치되었다.
유역의 도시로는 크라스노다르, 체르케스크 등이 있다.
유역은 '''쿠반 지방''', '''쿠바니'''(쿠반)라고 불리며, 현재 러시아의 크라스노다르 지방, 스타브로폴 지방, 로스토프주 및 아디게 공화국,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등의 지역에 해당한다.
하구 부근의 삼각주에 있는 리만군은 1994년에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다. 이 일대에는 철갑상어과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2. 1. 지형

쿠반강은 엘브루스산의 비탈에서 발원하여 울루캄강과 우치쿨람강의 합류 지점에서 형성된다. 울루캄강의 발원지에서 삼각주까지의 길이는 906km이다. 발원지에서 네빈노미스크까지 강은 대부분 깊고 좁은 협곡을 따라 흐르며, 많은 여울이 있고 고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네빈노미스크 인근에서는 댐이 네빈노미스크 수로에 물을 공급한다. 중앙부, 즉 볼쇼야 라바강과의 합류 지점까지 쿠반강은 테라스형 비탈이 있는 넓고 평평한 계곡을 따라 흐른다. 그 후 서쪽으로 굽어지며 우스트-라빈스크 근처에서 4km 넓이의 좌안 범람원을 형성한다. 그곳에서는 굽이치며 많은 얕은 여울과 급류가 있다. 라바강의 하구 아래에서 강은 최대 20km까지 넓어진다.[3][4][5]
라바강과 아피프스강 사이의 아디게 늪은 약 300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아피프스강 아래에서는 약 800km2가 자쿠반스키 늪으로 덮여 있다. 하구에서 116km 떨어진 지점에서 쿠반강은 주요 지류인 프로토카강과 합류하며, 프로토카강의 길이는 130km이다. 하구 근처에서 쿠반강은 3km에서 4km로 좁아진 다음 약 4300km2의 면적을 덮는 삼각주를 형성한다. 삼각주는 수많은 석호를 포함하며, 그중 일부는 점차 강에서 분리되었다. 19세기까지 쿠반강은 흑해와 아조프해로 모두 유입되었다. 그러나 이후 지반이 융기하면서 강은 완전히 아조프해로 방향을 바꾸었다.[3][4][5]
상류에서 강은 주로 빙하와 고산 설원(49%)에 의해 공급된다. 크라스노다르 근처에서는 이 비율이 32%로 떨어지는 반면, 지하수 공급은 21%에서 32%로, 빗물 공급은 27%에서 32%로 증가한다. 상대적으로 따뜻한 기후와 상류의 빠른 흐름으로 인해 강은 얼지 않는다. 쿠반강은 겨울과 여름 모두 비와 해빙으로 인해 수많은(연중 6~7회) 홍수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수위는 최대 5m까지 변동했으며, 최고 수위는 7월, 최저 수위는 2월이었다. 이러한 변동 폭은 네빈노미스크 수로, 치크스코예 저수지, 크라스노다르 저수지 및 섑슈그 저수지의 건설로 인해 감소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또한 양식업과 벼농사에 물을 제공했다.[3][5]
쿠반강의 평균 유량은 크라스노다르 인근에서 최대 425m3/s이다. 이전에는 약 30m3/s 더 높았지만 저수지 건설로 인해 낮아졌다. 아르마비르 인근의 평균 유량은 163m3/s이며, 1980년대 크라스노다르 저수지가 채워지기 전에는 0.95m3/s에서 1160m3/s 사이에서 변동했다. 아조프해로의 연간 유출량은 약 12km3에서 13km3의 물, 8백만 톤의 퇴적물 및 4백만 톤의 용해된 염분이다.[5]
평균 탁도는 682 g/m3이다. 염도는 삼각주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반적으로 50~400 mg/L 사이에서 변동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1000 mg/L에 이를 수 있다. 모든 주요 지류는 쿠반강으로 왼쪽에서 흘러 들어오며 코카서스 산맥에서 발원한다.[3][4][5] 쿠반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지류 이름 |
|---|
| 테베르다강 |
| 말리 젤렌추크강 |
| 볼쇼이 젤렌추크강 |
| 우루프강 |
| 라바강 |
| 벨라야강 |
| 프시시강 |
| 압차스강 |
| 프세쿠프스강 |
| 아피프스강 |
2. 2. 수문
쿠반강은 엘브루스산의 비탈에서 발원하여 울루캄강과 우치쿨람강이 합쳐지는 지점에서 형성된다. 울루캄강의 발원지에서 삼각주까지의 길이는 906km이다. 발원지에서 네빈노미스크까지 강은 대부분 깊고 좁은 협곡을 따라 흐르며, 많은 여울이 있고 고도가 급격하게 변한다. 네빈노미스크 인근에서는 댐이 네빈노미스크 수로에 물을 공급한다. 볼쇼야 라바강과의 합류 지점까지 쿠반강은 테라스형 비탈이 있는 넓고 평평한 계곡을 따라 흐른다. 그 후 서쪽으로 굽어지며 우스트-라빈스크 근처에서 4km 넓이의 좌안 범람원을 형성한다. 그곳에서는 굽이치며 많은 얕은 여울과 급류가 있다. 라바강의 하구 아래에서 강은 최대 20km까지 넓어진다. 라바강과 아피프스강 사이의 아디게 늪은 약 300km2의 면적을 차지하며, 아피프스강 아래에서는 약 800km2가 자쿠반스키 늪으로 덮여 있다. 하구에서 116km 떨어진 지점에서 쿠반강은 주요 지류인 프로토카강과 합류하며, 프로토카강의 길이는 130km이다. 하구 근처에서 쿠반강은 3km에서 4km로 좁아진 다음 약 4300km2의 면적을 덮는 삼각주를 형성한다. 삼각주는 수많은 석호를 포함하며, 그중 일부는 점차 강에서 분리되었다. 19세기까지 쿠반강은 흑해와 아조프해로 모두 유입되었다. 그러나 이후 지반이 융기하면서 강은 완전히 아조프해로 방향을 바꾸었다.[3][4][5]상류에서 강은 주로 빙하와 고산 설원(49%)에 의해 공급된다. 크라스노다르 근처에서는 이 비율이 32%로 떨어지는 반면, 지하수 공급은 21%에서 32%로, 빗물 공급은 27%에서 32%로 증가한다. 상대적으로 따뜻한 기후와 상류의 빠른 흐름으로 인해 강은 얼지 않는다. 쿠반강은 겨울과 여름 모두 비와 해빙으로 인해 수많은(연중 6~7회) 홍수가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수위는 최대 5m까지 변동했으며, 최고 수위는 7월, 최저 수위는 2월이었다. 이러한 변동 폭은 네빈노미스크 수로, 치크스코예 저수지, 크라스노다르 저수지 및 섑슈그 저수지의 건설로 인해 감소했다. 이러한 조치들은 또한 양식업과 벼농사에 물을 제공했다.[3][5]
쿠반강의 평균 유량은 크라스노다르 인근에서 최대 425m3/s이다. 이전에는 약 30m3/s 더 높았지만 저수지 건설로 인해 낮아졌다. 아르마비르 인근의 평균 유량은 163m3/s이며, 1980년대 크라스노다르 저수지가 채워지기 전에는 0.95m3/s에서 1160m3/s 사이에서 변동했다. 아조프해로의 연간 유출량은 약 12km3에서 13km3의 물, 8백만 톤의 퇴적물 및 4백만 톤의 용해된 염분이다.[5]
평균 탁도는 682 g/m3이다. 염도는 삼각주로 갈수록 증가하며, 일반적으로 50~400 mg/L 사이에서 변동하며 일부 지역에서는 1000 mg/L에 이를 수 있다. 모든 주요 지류는 쿠반강으로 왼쪽에서 흘러 들어오며 코카서스 산맥에서 발원한다. [3][4][5]
쿠반강의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지류 이름 |
|---|
| 테베르다강 |
| 말리 젤렌추크강 |
| 볼쇼이 젤렌추크강 |
| 우루프강 |
| 라바강 |
| 벨라야강 |
| 프시시강 |
| 압차스강 |
| 프세쿠프스강 |
| 아피프스강 |
2. 3. 지류
쿠반강의 주요 지류는 코카서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쿠반강으로 왼쪽에서 흘러 들어온다.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3][4][5]| 지류 이름 | 합류 지점 |
|---|---|
| 테베르다강 | 좌안 |
| 말리 젤렌추크강 | 좌안 |
| 볼쇼이 젤렌추크강 | 좌안 |
| 우루프강 | 좌안 |
| 라바강 | 좌안 |
| 벨라야강 | 좌안 |
| 프시시강 | 좌안 |
| 압차스강 | 좌안 |
| 프세쿠프스강 | 좌안 |
| 아피프스강 | 좌안 |
쿠반강 유역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풍부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쿠반강은 남쪽의 코카서스 혼합림, 중앙부의 크림반도 지중해 하위 기후 숲, 북쪽의 스텝 지형을 통과한다.
3. 생태
하구 부근의 삼각주에 있는 리만군은 1994년에 람사르 조약 등록지가 되었으며, 이 일대에는 철갑상어과 어류가 서식하고 있다.
3. 1. 식생
쿠반강은 세 종류의 지형을 통과한다. 남쪽의 코카서스 혼합림, 중앙부의 크림반도 지중해 하위 기후 숲, 북쪽의 스텝이다. 코카서스 혼합림은 다양한 수종이 풍부하다. 중간 고도에서는 조지아 참나무 (''Quercus iberica''), 서양 물푸레나무 (''Carpinus caucasica''), 밤나무 (''Castanea sativa'') 및 동부 너도밤나무 (''Fagus orientalis'')가 우세하다. 더 높은 숲은 침엽수림이며 전나무 (''Abies nordmanniana'')와 가문비나무 (''Picea orientalis'')로 구성된다. 크림반도 지중해 하위 기후 숲도 침엽수림이며 전나무와 가문비나무가 우세하다.[4]
삼각주의 식생은 주로 갈대, 골풀, 사초, 가래 및 부들 덤불로 구성된다. 덜 흔한 식물로는 거머리말, 장수매, 화살 및 기타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 있다. 하구에는 돌말류, 검정말, 개미탑, 수련 및 기타 종의 풍부한 수중 식물이 있다. 이러한 식생의 총 면적은 40000ha에서 50000ha 사이이다. 일부 하구에는 아프리카에서 이 지역으로 가져온 연꽃 덤불이 있다.[5][6]
3. 2. 동물
쿠반강의 넓은 삼각주는 특히 플랑크톤과 저서생물이 풍부하다. 윤충류, 요각류, 가지뿔류, 연체동물, 벌레 등 약 400종의 동물성 플랑크톤이 있으며, 이는 물고기에게 풍부한 먹이를 제공한다. 쿠반강의 어류는 인근 돈강과 볼가강과는 다르며 16과에 속하는 65종 이상의 어류가 서식한다. 이들은 ''Gobio'', ''Romanogobio'', ''Squalius'', ''Chondrostoma'' 속이 우세하며 잉어, 붕어, 황어, 잉어, 실버 브림, 농어, 꺽지, ''Chalcalburnus'', ''Sprattus'', ''Mugil'' 등 다양한 종과 속을 포함한다. 은잉어와 초어와 같은 일부 종은 지난 10년 동안 적응되었다.[3][5]
고유종으로는 쿠반 잉어 (''Barbus kubanicus''), ''Gobio kubanicus'', 작은 쿠반 꺽저기 (''Romanogobio parvus''), 쿠반 긴 수염 꺽저기 (''R. pentatrichus''), 쿠반 코잉어 (''Chondrostoma kubanicum''), ''Sabanejewia kubanica'', ''Oxynoemacheilus merga'' 및 Aphips 잉어 등이 있다.[4]
쿠반 잉어와 쿠반 코잉어는 쿠반 분지 내에서 해당 속의 유일한 종이다. 이들은 급류와 모래 또는 암석 바닥이 있는 산악 하천을 선호하며, 그곳에서 산란한다. 1980년대 크라스노다르 댐 건설 이후 쿠반 잉어는 쿠반 하류에서 드물어졌다. 반대로 쿠반 코잉어는 겨울철에 하류로 이동하여 하류 지역이나 더 큰 지류로 이동한다. 이는 수질, 특히 탁도에 상당히 민감하다. 쿠반 코잉어 개체수 또한 크라스노다르 댐 건설 이후 감소했지만, 쿠반강과 지류의 중상류 지역에서는 여전히 많다.[4]
쿠반 꺽저기와 작은 쿠반 꺽저기는 적당히 빠른 흐름과 자갈 또는 모래 바닥이 있는 지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강 중류에 풍부하다. 쿠반 꺽저기는 5개의 항문 분지 기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특이하다. Aphips 잉어 (''Squalius aphipsi'')는 쿠반강의 남부 지류에서 발생하며, 여름에는 작은 웅덩이에 숨어 있다. 이들은 10cm~20cm 깊이의 급류에서 조약돌이나 바위 바닥에서 산란한다. 크게 이동하지 않지만, 겨울에는 더 깊은 웅덩이를 찾기 위해 하류로 이동하고, 여름에는 상류로 돌아온다. 이 종은 강 전체에 걸쳐 풍부하다.[4]
댐 건설 전에는 강에 철갑상어 (''Acipenser gueldenstaedtii'', ''A. stellatus'', ''Huso huso'')와 잉어과 어류 (''Alburnus mento'', ''Vimba vimba'')가 이주했다. 현재 이 종의 존재는 미미하다.[4]
쿠반강 삼각주와 강어귀는 야생 기러기, 오리, 가마우지, 펠리컨, 백조, 회색 왜가리와 같은 다양한 철새, 특히 물새들의 인기 있는 휴식지이다. 매, 여우, 야생 고양이와 같은 맹금류도 풍부하다. 사향쥐는 상업적인 모피 생산을 위해 20세기에 유역으로 도입되었다.[5]
4. 역사
수만 년 전, 아조프해는 훨씬 더 컸고 쿠반강 삼각주를 덮고 있었다. 쿠반강에 의한 뻘의 퇴적이 점차 바다를 밀어내어 수많은 석호와 얕은 하구를 가진 삼각주를 형성했다. 진흙 화산의 잦은 분출이 이러한 퇴적 과정에 기여했다. 이 지역에는 약 25개의 진흙 화산이 있으며, 일부는 여전히 활동 중이다.[5][6]
쿠반강 삼각주는 러시아의 중요한 쌀 재배 지역이다. 또한 농어, 붕어, 찰칼부르누스와 같은 주요 상업 어종을 이용한 어업도 발달했다. 이 강은 크라스노다르까지 항해가 가능하며, 이곳에서 크라스노다르 화력 발전에 전력을 공급한다.[3]
4. 1. 고대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을 '히파니스'라고 불렀다.4. 2. 쿠반 코사크
쿠반강은 18~19세기에 그 유역에 정착한 쿠반 코사크에게 이름을 부여받았다. 코카서스 정복 동안에는 북 코카서스 라인의 일부였다.4. 3. 20세기 초, 우크라이나인
1926년, 쿠반강 유역의 우크라이나인은 141만 2276명이었고, 북캅카스 전역의 우크라이나인은 310만 7000명이었다.[9] 스탈린에 의한 집단 농업으로 기근의 피해가 심각했다.[9]5. 인간 활동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 강을 ''히파니스''라고 불렀다. 쿠반강은 18~19세기에 그 유역에 정착한 쿠반 코사크에게 이름을 부여받았다. 코카서스 정복 동안에는 북 코카서스 라인의 일부였다.
쿠반강 삼각주는 러시아의 중요한 쌀 재배 지역이다. 또한 농어, 붕어, 찰칼부르누스와 같은 주요 상업 어종을 이용한 어업도 발달했다. 이 강은 크라스노다르까지 항해가 가능하며, 이곳에서 크라스노다르 화력 발전을 공급한다.[3]
6. 진흙 화산
수만 년 전, 아조프해는 훨씬 더 컸고 쿠반강 삼각주를 덮고 있었다. 쿠반강에 의한 뻘의 퇴적이 점차 바다를 밀어내어 수많은 석호와 얕은 하구를 가진 삼각주를 형성했다. 진흙 화산의 잦은 분출이 이러한 퇴적 과정에 기여했다. 이 지역에는 약 25개의 진흙 화산이 있으며, 일부는 여전히 활동 중이다.[5][6]
참조
[1]
웹사이트
Kuban Delta: Group of limans between Kuban & Protoka Rivers
https://rsis.ramsar.[...]
2018-04-25
[2]
웹사이트
Kuban Delta: Akhtaro-Grivenskaya group of limans
https://rsis.ramsar.[...]
2018-04-25
[3]
백과사전
Kuban River
https://rus-bse.slov[...]
Great Soviet Encyclopedia
[4]
웹사이트
428: Kuban
http://www.feow.org/[...]
Freshwater Ecoregions of the World
[5]
웹사이트
Kuban - the major river of the region
http://www.psekups.r[...]
[6]
서적
Sea of Azov
http://azov.tv/azovs[...]
KKI
2010-07-19
[7]
웹사이트
Kuban Delta: Group of limans between Kuban & Protoka River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97-01-01
[8]
웹사이트
Kuban Delta: Akhtaro-Grivenskaya group of liman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1997-01-01
[9]
서적
悲しみの収穫
恵雅堂出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