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쿤룬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쿤룬 산맥은 타지키스탄의 파미르 고원에서 시작하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칭하이 성까지 동쪽으로 뻗어 있는 산맥이다. 타클라마칸 사막과 고비 사막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하며, 카라카쉬 강과 유룽카쉬 강을 비롯한 여러 강들의 발원지이다. 쿤룬 산맥은 도교 신화에서 서왕모가 거주하는 성산으로 여겨지며, 중국 신화에서 중화 민족의 발상지로 묘사된다. 험준한 지형으로 인해 오랫동안 탐험되지 않은 지역이었으나, 20세기 이후 탐험가와 학자들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의 산맥 - 탕구라산맥
    탕구라산맥은 평균 해발고도가 5,000m가 넘는 산맥으로, 최고봉은 겔라단동(6,621m)이며, 양쯔강이 발원하고, 티베트 자치구와 칭하이성의 경계를 이루며, 중국 109번 국도와 칭하이-티베트 철도가 통과한다.
  • 칭하이성의 산맥 - 치롄산맥
    치롄산맥은 간쑤성 서부와 칭하이성 동북부 경계에 위치하며 티베트 고원 북동쪽과 허시 회랑 남서쪽 경계를 이루는 산맥으로, 하서 회랑 지역 사회의 관개 농업에 필요한 수자원을 공급하는 주요 하천의 발원지 역할을 하지만 최근 빙하 융해 속도가 빨라지면서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티베트고원 - 칭하이성
    칭하이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에 위치하며, 37개 이상의 민족이 거주하고 황하, 양쯔강, 메콩강의 발원지인 싼장위안 국가자연보호구를 포함하며, 석유, 천연 가스, 염호 자원이 주요 산업인 중국에서 가장 큰 성 중 하나이다.
  • 티베트고원 - 히말라야산맥
    히말라야 산맥은 인도 아대륙과 티베트 고원을 구분하며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2,400km에 걸쳐 뻗어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한 8,000m 이상의 봉우리들과 시왈리크, 소, 대, 티베트 히말라야 등의 하위 산맥들로 구성되고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형성되어 인도, 파키스탄, 네팔, 부탄, 중국 등에 걸쳐 있으며 주요 강의 발원지이자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지만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로 위협받고 있다.
  • 칭하이성의 지형 - 차이다무 분지
    차이다무 분지는 칭하이-티베트 고원 북동부의 내륙 분지로, 염호와 플라야가 발달한 건조한 고원 지대이며, 막대한 자원과 화성 유사 환경으로 인해 중요한 자원 중심지이자 화성 탐사 연구 지역으로 활용된다.
  • 칭하이성의 지형 - 치롄산맥
    치롄산맥은 간쑤성 서부와 칭하이성 동북부 경계에 위치하며 티베트 고원 북동쪽과 허시 회랑 남서쪽 경계를 이루는 산맥으로, 하서 회랑 지역 사회의 관개 농업에 필요한 수자원을 공급하는 주요 하천의 발원지 역할을 하지만 최근 빙하 융해 속도가 빨라지면서 수자원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쿤룬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2. 지리

쿤룬산맥은 타지키스탄의 파미르 고원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뻗어 나가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부를 지나 칭하이성까지 이어진다.[5] 타림 분지, 타클라마칸 사막, 고비 사막의 남쪽 가장자리를 따라 뻗어 있으며, 카라카쉬 강(흑옥 강)과 유룽카쉬 강(백옥 강) 등 여러 중요한 강들이 이 산맥에서 발원하여 호탄 오아시스를 거쳐 타클라마칸 사막으로 흘러든다. 쿤룬산맥 남쪽에는 인구 밀도가 낮은 창탕 지역이 있으며, 이는 티베트 고원의 일부를 형성한다.

쿤룬 산맥


티베트-신장 고속도로에서 바라본 서부 쿤룬 산맥의 카라카쉬 강


쿤룬 패스


알틴타그 산맥은 쿤룬산맥의 주요 북부 산맥 중 하나이며, 그 북동쪽 연장선인 칠련산 역시 또 다른 주요 북부 산맥이다. 남쪽으로 주요 연장선은 민 산이다. 쿤룬산맥의 남부 지류인 바얀 하르 산맥은 중국의 두 가장 긴 강인 양쯔강과 황허강의 유역 분지 사이의 분수계를 형성한다.

쿤룬산맥에서 가장 높은 산은 서부 쿤룬산맥의 커리야 현 지역에 있는 쿤룬 여신 봉우리(7,167m)이다. 일부 학자들은 쿤룬산맥이 콩구르 산(7,649m)과 무즈타그 아타(7,546m)까지 북서쪽으로 더 뻗어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 산들은 파미르 산맥과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아르카 산은 쿤룬산맥의 중앙에 있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울루그 무즈타그(6,973m)와 부카다반 펑(6,860m)이다. 쿤룬산맥 동부에서는 위주 봉우리(6,224m)와 암네 마친(드라둘룽숑이라고도 함, 6,282m)이 가장 높은 봉우리이며, 암네 마친은 쿤룬산맥의 주요 동쪽 봉우리로 간주되어 쿤룬산맥의 동쪽 가장자리로 여겨진다.

이 산맥은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시베리아와의 충돌로 인해 고생 테티스 해가 폐쇄되면서 키메리아 판의 북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었다.

쿤룬산맥에는 도로가 거의 없으며, 3,000km 길이에 걸쳐 단 두 개의 도로가 교차한다. 서쪽에서는 고속도로 219가 신장 예청에서 티베트 라체를 잇는 노선을 따라 산맥을 통과한다. 동쪽으로 더 가면 고속도로 109가 라싸와 골무드 사이를 가로지른다.

2. 1. 쿤룬 화산군

70개가 넘는 화산 원뿔이 쿤룬 화산군을 형성한다. 이들은 화산 산이 아니라 원뿔이기 때문에 세계 화산 산봉우리로 간주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이 군은 해발 5808m의 높이를 자랑한다. 만약 이들이 화산으로 간주된다면 아시아와 중국에서 가장 높은 화산이자 동반구에서 킬리만자로 산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화산이 되며, 해발 고도 기준으로 화산 7대 봉우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이 화산군에서 마지막으로 알려진 분화는 1951년 5월 27일이었다.[6]

3. 지질

쿤룬산맥은 후기 트라이아스기에 키메리아 판이 시베리아와 충돌하면서 고생 테티스 해가 닫히고, 그 결과 키메리아 판의 북쪽 가장자리에 형성되었다.[5]

쿤룬산맥에는 도로가 거의 없으며, 3,000km 길이에 걸쳐 단 두 개의 도로만이 산맥을 가로지른다. 서쪽에는 중국 국도 219호선이 신장 예청에서 티베트 라체를 잇는 노선을 따라 쿤룬산맥을 통과한다. 동쪽에는 중국 국도 109호선이 라싸와 골무드 사이를 가로지른다.

4. 신화와 전설

쿤룬산은 도교에서 서왕모(Xi Wang Mu)가 살고 있는 성산(聖山)으로 여겨지며, 중국 신화와 전설에서 중요한 장소로 등장한다.[7] 황허강의 발원지에서 멀지 않은 반(半) 신화적인 지역으로, 전국 시대(기원전 475–221년)부터 중국 문헌에 등장하며 중국 문화와 밀접하게 통합되었다.[8]

''산해경''에는 "쿤룬의 언덕, 황제의 수도이며, 신 루우가 관장한다"는 기록이 있다.

중국 신화 학자 구제강은 중국 신화 체계를 쿤룬 체계와 봉래산 체계로 나누고, 쿤룬 신화가 서부 고원에서 기원하여 동쪽으로 퍼져나가면서 봉래 신화 체계를 형성했다고 보았다.[9]

신화에서 쿤룬산은 중화 민족의 발상지이자 조상들의 고향으로 여겨지며, 천지와 세상의 중심이자 하늘로 향하는 계단으로 묘사된다. 콰푸가 해를 쫓는 이야기, 공공이 부주산을 건드려 화를 내는 이야기, 창어가 달로 날아가는 이야기 등이 모두 쿤룬 신화에서 유래한다.

마오둔은 원시인들이 신들이 무리 지어 살고 있다고 상상했고, 또한 신들이 극도로 높은 산에 살고 있다고 상상했기에 영토에서 가장 높은 산이 신화 속 신들의 거처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전설에 따르면 주 목왕(주 왕조)은 쿤룬산을 방문하여 황제의 옥경(옥루)을 찾고 서왕모(Xi Wang Mu)를 만났다고 한다.

5. 탐험

쿤룬산맥은 험준한 지형과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오랫동안 탐험되지 않은 지역으로 남아 있었다. 20세기 이후 여러 탐험가와 학자들이 쿤룬산맥을 탐험하고 연구하기 시작했다.[1][2][3]

5. 1. 탐험 기록


  • 주정 저, 타무라 타츠야 역, 《곤륜의 비경 탐험기》, 중앙공론신사, 1986년[1]
  • 오바 히데아키 저, 《비경·곤륜을 가다》, 이와나미 신서, 1989년[2]
  • 마츠모토 유키오 편, 《아득한 비경 가커시리》, 일본방송출판협회, 1999년 (중일 합동 학술 탐험대의 기록)[3]

참조

[1] 웹사이트 Kunlun Mountains http://www.foreigner[...] 2024-04-01
[2] 웹사이트 Kunlun Mountain Range - A Forever Legend https://www.hkywa.co[...] 2024-04-01
[3] 서적 Comprehensive Geography of the Chinese Empire
[4] 간행물 National Geographic Atlas of China
[5] 웹사이트 Kunlun Mountains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2009-11-19
[6] 웹사이트 Kunlun Volcanic Group 2014-03-15
[7] 서적 神怪小说与山岳信仰关系研究 《中央民族大学》 2011 年博士论文 http://cdmd.cnki.com[...]
[8] 논문 Decentralizing the origin of civilization: Early archaeological efforts in China https://www.journals[...] 2021-10-01
[9] 서적 中国神话的地域文化透视 http://a.xueshu.baid[...]
[10] 서적 地図で見る中国ハンドブック 原書房
[11]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7-08
[12] 웹사이트 MOUNT KUNLUN UNESCO GLOBAL GEOPARK (China) https://en.unesco.or[...] 2022-10-20
[13] 논문 孫文の北京における死とその政治効果 http://www.u-keia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