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칭하이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칭하이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에 위치한 성으로, 티베트 고원의 북동부에 자리 잡고 있다. 약 2만 년 전부터 사람들이 거주했으며, 한족, 티베트족, 후이족, 투족, 몽골족 등 37개 이상의 민족이 함께 거주한다. 칭하이성은 중국에서 가장 큰 성 중 하나이며, 황하, 양쯔강, 메콩강의 발원지인 싼장위안 국가자연보호구를 포함하고 있다. 경제는 중국에서 가장 작은 규모이며, 석유와 천연 가스, 염호 자원이 주요 산업이다. 주요 관광지로는 칭하이 호, 타얼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 - 암도 티베트어
    암도 티베트어는 티베트어의 주요 방언 중 하나로, 중국 칭하이성과 간쑤성 등 여러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고 음운 체계에 변이가 존재하며, 중국 칭하이 티베트 라디오와 자유아시아방송에서 방송이 제공된다.
  • 칭하이성 - 차이다무 분지
    차이다무 분지는 칭하이-티베트 고원 북동부의 내륙 분지로, 염호와 플라야가 발달한 건조한 고원 지대이며, 막대한 자원과 화성 유사 환경으로 인해 중요한 자원 중심지이자 화성 탐사 연구 지역으로 활용된다.
  • 티베트고원 - 쿤룬산맥
    쿤룬 산맥은 타지키스탄의 파미르 고원에서 시작하여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칭하이 성까지 뻗어 있으며, 도교 신화에서 서왕모가 거주하는 성산이자 중국 신화에서 중화 민족의 발상지로 여겨진다.
  • 티베트고원 - 히말라야산맥
    히말라야 산맥은 인도 아대륙과 티베트 고원을 구분하며 서북서-동남동 방향으로 2,400km에 걸쳐 뻗어있는 거대한 산맥으로, 에베레스트 산을 포함한 8,000m 이상의 봉우리들과 시왈리크, 소, 대, 티베트 히말라야 등의 하위 산맥들로 구성되고 인도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로 형성되어 인도, 파키스탄, 네팔, 부탄, 중국 등에 걸쳐 있으며 주요 강의 발원지이자 생물다양성의 보고이지만 기후 변화와 자연재해로 위협받고 있다.
칭하이성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하이성의 위치
칭하이성의 위치 (중국 내)
좌표북위 35도, 동경 96도
국가중국
행정 구역 등급
성도 (省都)시닝
행정 구역지급행정구역: 8개
현급행정구역: 44개
향급행정구역: 404개
정부칭하이성 인민대표대회
당 서기천강
인민대표대회 주임천강
성장우샤오쥔
정협 주석괸보 자시
전국인민대표대회 대표24명
면적720,000 km²
면적 순위4위
최고 고도6860 m (부카다반 봉)
인구 통계
총인구 (2020년)5,923,957명
인구 순위31위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밀도 순위30위
민족 구성한족: 54%
티베트족: 21%
후이족: 16%
투족: 4%
몽골족: 1.8%
사라족: 1.8%
언어 및 방언중원 관화 (중국어)
암도 티베트어
몽골어
오이라트어 (몽골어)
사라어
서부 위구르어
경제
GDP(2023년)CN¥ 3799억6백만 (30위)
US$ 539억1천3백만
1인당 GDP (2023년)CN¥ 63,903 (24위)
US$ 9,069
기타 정보
HDI (2022년)0.719 (30위) - 높음
ISO 3166-2CN-QH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중국어)
"칭하이" 한자

2. 역사

칭하이성은 약 2만 년 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했으며, 초기 주민은 주로 강족으로, 티베트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칭하이성은 청동기 시대농업과 축산업에 종사하며 다른 중앙아시아인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다양한 유목 부족, 즉 카유 문화의 고향이었다. 이 지역에서는 3,000년 이상 전의 청동기 시대에 인류가 거주했으며, 그 시대에 그려진 동물 등의 암각화가 발견되었다.[63]

고대에는 서융의 땅으로, 한(漢) 시대에는 강족이 점거하여 서강(세이쿄)이라고 불렸다. 수나라는 서해, 하원 등의 군을 설치했지만, 토욕혼이 부상하여 영토로 삼았다. 7세기에는 토번의 티베트당나라중국 간의 항쟁 무대가 되었고, 8세기에는 대부분이 티베트 영토가 되었다. 822년, 티베트와 중국 사이에는 평화와 국경을 정하는 조약이 체결되어, 칭하이호의 서남쪽에 있는 르위에산이 양국의 국경으로 정해졌다. 조약의 문구는 티베트어중국어(한문)의 2개 국어로 비석에 새겨져, 티베트의 수도 라사, 중국의 수도 장안, 르위에산의 3곳에 설치되었다. 라사에 설치된 비석만 현재까지 남아 있으며, "당번회맹비"로 알려져 있다. 토번의 통치 하에서, 이 지역에 거주하는 여러 종족의 많은 사람들이 티베트인으로서의 자의식을 갖게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송나라(북송·남송) 시대에는 토번의 후예가 건립한 칭탕 왕국의 거점이 되었지만, 탕구트계의 서하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17세기 중반, 서몽골오이라트부의 구시 칸이 부하들을 이끌고 티베트 각지로 이주하여, 티베트를 정복했을 때 이 지역이 본거지가 되었다. 현재 이 성의 중앙부에서 북서부에 걸쳐 거주하고 있는 칭하이 몽골족은, 이때 이주해 온 구시 칸의 부하들의 후예이다. 18세기, 청나라의 옹정제는 구시 칸 일족의 내분에 편승하여 칭하이 지방에 침공(소위 "로브산단진의 난"), 구시 칸의 자손들을 굴복시키고, 일족이 티베트 각지에 보유하고 있던 권한, 권익을 모두 접수, 칭하이 몽골족은 맹기제에 의해 재편, 티베트인 제후들에게는 각 급의 "토사" 직의 칭호를 주고, 소유지를 안정시키는 지배 체제를 구축했다. 현대 청해성의 수도인 시닝은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기 시작했지만, 도시 자체는 당시 "티베트 변경 지역" 내의 간쑤성의 일부였다.[20][21] 1724년에는 청해성을 완전히 통제하기 위해 년갱요가 청해성 효과적인 통치를 위한 13개 조항(중국어:青海善后事宜十三条)을 제안했고, 중앙 정부가 이를 채택했다. 청나라 치하에서 총독은 황제의 부왕이었지만, 지역 민족들은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다. 많은 족장들은 전통적인 권위를 유지하며 지방 행정에 참여했다.[22]

옹정제1723년부터 1724년에 걸쳐 티베트 전토를 지배하고 있던 오이라트몽골구시 칸 일족을 정복하고, 탕구라 산맥을 경계로 남북으로 분할하여 칭하이 40족과 시짱의 39족으로 이분했다. 청나라는 칭하이 몽골과 40족 등의 제후를 시닝에서 지배했으며, 이 틀은 중화민국에도 계승되어 '''칭하이성'''의 기초가 되었다.

청나라 말 이후, 무슬림(이슬람교도)의 마씨 정권의 지배 하에 놓였다. 동치 회민 반란(1862–1877)과 동치 회민 반란(1895–96)으로 회족 인구가 황폐화되기도 했다.

신해혁명 후, 중화민국은 칭하이를 "장래 성제를 시행해야 할" 특별 지구로 지정하고, 1928년 칭하이성을 발족했다. 이 동안, 마씨 일족에서는 마링이 등이 칭하이성 관련 요직을 역임했다.[64]

1933년 장제스는 쑨뎬잉을 칭하이 둔전 독판으로 임명하고, 마씨 일족과 4개월에 걸친 격전을 벌였으나, 쑨뎬잉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 전투는 종결되었다.

1938년 마부팡은 칭하이성 주석에 취임하고, 1945년 칭하이 지방의 지배자가 되었다. 1949년 국공 내전에서 펑더화이가 이끄는 중국 공산당군에 패배하여 마씨 일족의 지배가 종료되었다. 1949년 9월 26일, 칭하이성 인민군정위원회가 설립 선언을 했고, 1950년 1월 1일, 칭하이성 인민정부가 정식으로 성립되어 중화인민공화국의 지배 하에 들어갔다.

1950년대 중반, 중국 인민정부에 의한 민주 개혁이 실시된 것을 계기로 대규모의 항중 봉기가 발발하여, 티베트 봉기의 방아쇠가 되었다. 1958년 이후, 원자탄, 수소탄의 개발이 이 성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010년 4월 13일에는 칭하이 지진이 일어났다.

시닝 시


2005년 1월에 성장으로 취임한 쑹시우옌은 중국에서 20년 만의 여성 성장이다.

2. 1. 고대 ~ 중세

약 2만 년 전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이 당시 주민은 주로 강족이었다. 이들은 티베트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기원전 61년에 한(漢)이 강족을 평정하고 7개의 현을 설치하였다. 이때부터 중원지방에서 한족이 칭하이 성으로 들어와 농사를 지으면서 한족과 강족이 함께 살게 되었다. 기원후 4세기에는 토욕혼족이 들어와 한족, 강족과 섞여 살면서 경제를 발전시켰고 토욕혼 왕국을 세웠다. 토욕혼족은 약 300년 동안 칭하이를 다스리면서 실크로드의 남쪽 부분을 개통하여, 서방과의 교통무역에 공헌하였다. 수나라 양제(609년) 때 토욕혼을 멸망시키고 칭하이의 동부와 남부를 지배하였다.[11]

3세기 중반에 몽골선비족과 관련된 유목민들이 칭하이호 주변의 목초지로 이동하여 토욕혼 왕국을 세웠다.

7세기에는 토욕혼 왕국이 실크로드 무역로를 장악하려는 티베트 제국과 당나라의 공격을 받았다. 티베트 왕 송첸 감포가 승리하여 초곤(고호호, 또는 코코노르 호수)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12] 군사적 충돌로 토욕혼 왕국은 심각하게 약화되었고 티베트 제국에 편입되었다. 티베트 제국은 티송 데첸과 랄빠칸의 통치 기간 동안 초곤 너머로 계속 확장되었으며, 848년까지 초곤의 북쪽과 동쪽의 광대한 지역(시안 포함)을 통제했다.[13]

티베트 제국의 분열 시대 동안 북쪽의 서하와 동쪽의 송나라의 정치적 경쟁 속에서 일련의 지역 정치체가 등장했는데, 이는 귀의군의 군사 통치에서 티베트 부족 연맹, 그리고 결국 티베트의 신정 왕국인 총카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송나라는 결국 1070년대에 코코노르 왕국인 총카를 격파했다.[14] 몽골이 이끄는 원나라의 티베트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은 마추(마취강, 황하)와 얄롱강(양쯔강)의 수원으로 구성되었으며 암도로 알려졌지만 티베트 본토와는 다른 행정 구역으로 할당되었다.[15]

원나라가 전복된 후 짧은 기간 동안 청해성의 대부분은 초기 명나라의 통제를 받았지만, 나중에는 오이라트족이 세운 호쇼트 칸국에 점차 잃었다. 쉰화 살라족 자치현은 대부분의 살라족이 청해성에 거주하는 곳이다. 살라족은 1370년에 사마르칸트에서 청해성으로 이주했다.[16] 당시 4개의 상위 씨족의 수장은 한보원이었고 명나라는 그에게 백부장 직책을 부여했는데, 이때 그의 4개 씨족 사람들은 한을 성으로 사용했다.[17] 다른 4개 하위 살라족 씨족의 수장인 한산파는 명나라로부터 같은 직책을 받았고, 그의 씨족은 마를 성으로 사용했다.[18]

1640년부터 1724년까지 현재의 청해성 지역의 많은 부분이 호쇼트 몽골의 통제를 받았지만, 1724년에는 청나라 군대에 의해 정복되었다.[19]

2. 2. 근세 ~ 현대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붕괴된 후, 칭하이 성은 북양 군벌의 지배 하에 놓였다. 1929년 중국 국민당 정부에 의해 칭하이는 성으로 승격되었다. 1949년 9월 5일 시닝에 공산군이 진군하고 8일에 시닝 인민정부가 수립되었다.[11]

1912년 7월~8월, 마복상 장군은 "코코노르 행정 수석"(나중에 청해성이 된 지역의 사실상 총독)이었다.[23] 1928년에는 청해성이 설치되었다. 무슬림 군벌이자 장군 마치는 청해성의 군사 총독이 되었고, 그 뒤를 그의 동생 마린과 마치의 아들 마부방이 이었다. 1932년 티베트는 청해성을 침공하여 위수의 한 사찰을 둘러싼 분쟁 이후 청해성 남부를 점령하려 했으나, 마부방의 군대에 의해 격파되었다.

마부방은 회족과 살라족을 군에 대규모로 모집하여 청해성 정치에서 이들의 중요성을 높였다.[31] 마부방은 국가 운영 산업화 프로젝트를 시작하여 교육, 의료, 농업 및 위생 프로젝트를 직접 만들고 운영하거나 지원했다. 국가는 모든 학교에 음식과 유니폼을 제공했고, 도로와 극장을 건설했다. 국가는 모든 언론을 통제했으며 독립 언론인의 자유는 허용되지 않았다.[26]

1949년 중국 혁명이 칭하이에 다가오자 마부방은 직책을 포기하고 홍콩으로 떠났으며, 이후 해외로 여행했지만 중국으로는 돌아오지 않았다. 1950년 1월 1일, 청해성 인민 정부가 선포되었고, 이는 새로운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한 충성을 의미했다.[27]

3. 지리

칭하이-티베트 고원 동북부에 위치하며, 황허, 창장, 메콩 강의 수원지대이다. 성 동북부에는 중국 최대의 내륙 염호칭하이호가 있다. 서북부에는 건조한 차이다무 분지가 펼쳐져 있다. 칭하이성은 르웨산을 경계로 서쪽은 목축 지역, 동쪽은 농업 지역으로 나뉜다.[28] 대륙성 고원 기후로 일교차가 심하며, 강수량은 적다. 북부에서 동부로 간쑤성, 남동부는 쓰촨성, 남부에서 서부로 티베트 자치구, 서북부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접한다.

3. 1. 주요 지형

티베트고원 북동부에 위치하며 성의 중부에 있는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위수시황하의 발원지가 있고 남서부는 장강, 메콩강의 수원지이다. 칭하이의 평균 해발고도는 3000m가 넘는다.[29] 탕구라산맥, 쿤룬산맥 등의 산맥이 있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6,860m의 부카다반 펑이다.[30]

칭하이호는 중국에서 가장 큰 호수이다. 차이다무 분지가 칭하이 성 북서쪽에 놓여있다. 이 자원이 풍부한 분지의 3분의 1은 분지이다. 분지의 해발고도는 2600~3300m이다.

칭하이 성의 싼장위안 국가급 자연보호구(SNNR)는 황하, 장강, 메콩강(란창강)의 원류를 포함하고 있다. SNNR은 이 세 강의 원류를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보호구는 18개의 하위지역을 포함하고 있고 각각 다른 수준으로 관리되는 세 개의 구역을 포함한다.

3. 2. 기후

칭하이성은 티베트고원 북동부에 위치하며, 평균 해발고도가 3,000m가 넘는다.[29] 탕구라산맥, 쿤룬산맥 등이 칭하이성을 지나간다. 연평균 기온은 -5°C에서 8°C 사이이고, 1월 평균 기온은 -18°C에서 -7°C 사이, 7월 평균 기온은 15°C에서 21°C 사이이다. 2월부터 4월까지는 모래폭풍과 강풍이 자주 발생한다. 높은 고도로 인해 겨울은 매우 춥고 여름은 온화하며, 일교차가 크다. 강수량은 주로 여름에 집중되며, 겨울과 봄에는 매우 적어 대부분 지역이 반건조 기후 또는 건조 기후를 보인다.

4. 행정 구역

칭하이성은 현재 2개의 지급시, 6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다시 6개의 시할구, 3개의 현급시, 27개의 현, 7개의 자치현으로 나뉜다.

칭하이 성의 행정 구역
! №! 이름! 한자! 병음! 면적(km2)! 인구(2010)! 시청소재지
지급시
1시닝 시(서녕시)西宁市Xīníng Shì7424.11km22,208,708청중 구
2하이둥 시(해동시)海东市Hǎidōng Shì13043.99km21,396,846러두 구
자치주
3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해서몽고족장족자치주)海西蒙古族藏族自治州Hǎixī Měnggǔzú Zàngzú Zìzhìzhōu300854.48km2489,338더링하 시
4하이베이 티베트족 자치주(해북장족자치주)海北藏族自治州Hǎiběi Zàngzú Zìzhìzhōu33349.99km2273,304하이옌 현
5하이난 티베트족 자치주(해남장족자치주)海南藏族自治州Hǎinán Zàngzú Zìzhìzhōu43377.11km2441,689궁허 현
6황난 티베트족 자치주(황남장족자치주)黄南藏族自治州Huángnán Zàngzú Zìzhìzhōu17908.89km2256,716퉁런 시
7위수 티베트족 자치주(옥수장족자치주)玉树藏族自治州Yùshù Zàngzú Zìzhìzhōu197953.7km2378,439위수 시
8궈뤄 티베트족 자치주(과락장족자치주)果洛藏族自治州Guǒluò Zàngzú Zìzhìzhōu76442.38km2181,682마친 현


5. 인구와 민족

2004년 말 칭하이성의 총 인구는 538만 6천 명이었다. 이 중 한족은 261만 명(54.5%), 소수민족은 236만 명(45.5%)으로, 시짱과 신강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소수민족 비율이 높다.

칭하이성은 청동기 시대농업과 축산업을 하며 중앙아시아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던 카유 문화의 발상지였다. 약 2,000년 전에는 한나라의 통제를 받았으며, 당나라와 그 이후 중원 왕조가 티베트 부족과 싸울 때 격전지였다.[11]

3세기 중반, 몽골선비족과 관련된 유목민들이 칭하이호 주변으로 이동해 토욕혼 왕국을 세웠다. 7세기에는 티베트 제국과 당나라의 공격을 받아 실크로드 무역로 장악을 위한 다툼이 벌어졌다. 티베트 왕 송첸 감포가 승리하여 초곤(코코노르 호수) 주변에 정착했다.[12] 군사적 충돌로 토욕혼 왕국은 약화되어 티베트 제국에 편입되었다. 티베트 제국은 티송 데첸과 랄빠칸 통치 기간 동안 초곤 너머로 확장하여 848년까지 북쪽과 동쪽의 넓은 지역(시안 포함)을 통제했다.[13]

티베트 제국의 분열 시대 동안 서하송나라의 경쟁 속에서 여러 지역 정치체가 등장했다. 송나라는 1070년대에 코코노르 왕국인 총카를 격파했다.[14] 몽골이 이끄는 원나라의 티베트 통치 기간 동안 이 지역은 암도로 알려졌지만 티베트 본토와는 다른 행정 구역으로 할당되었다.[15]

원나라가 멸망한 후, 칭하이성 대부분은 명나라의 통제를 받았으나, 오이라트족이 세운 호쇼트 칸국에 점차 넘어갔다. 쉰화 살라족 자치현은 살라족이 주로 거주하는 곳으로, 이들은 1370년에 사마르칸트에서 이주해 왔다.[16]

1640년부터 1724년까지 칭하이성 지역은 호쇼트 몽골의 통제를 받았지만, 1724년 청나라 군대에 정복되었다.[19] 시닝은 행정 중심지였지만, 당시 "티베트 변경 지역" 내 간쑤성의 일부였다.[20][21] 1724년 년갱요는 칭하이성 통치를 위한 13개 조항을 제안했고, 중앙 정부가 채택했다.

청나라 치하에서 총독은 황제의 부왕이었지만, 지역 민족들은 상당한 자율성을 누렸다. 많은 족장들이 전통적 권위를 유지하며 지방 행정에 참여했다.[22] 동치 회민 반란(1862–1877)으로 회족 인구가 산시성에서 간쑤성과 칭하이성으로 이동했다.[55] 1895년 또 다른 동치 회민 반란이 발생하여 청나라에 대항했다. 1911년 신해혁명 이후, 이 지역은 중국 무슬림 군벌 마치의 통제를 받다가 중화민국의 북벌로 1928년 중앙 통제가 통합되었다.

1928년 칭하이성이 설치되었고, 무슬림 군벌 마치가 군사 총독이 되었으며, 마린과 마부방이 그 뒤를 이었다. 1932년 티베트는 청해성을 침공하여 남부를 점령하려 했으나, 마부방의 군대가 티베트 군대를 격파했다. 마부방은 사회주의자로 묘사되기도 했다.[24]

1949년 중국 혁명 이후 마부방은 홍콩으로 갔고, 1950년 1월 1일 칭하이성 인민 정부가 선포되어 중화인민공화국에 충성을 맹세했다.[27] 국민당 이슬람 반란(1950–58) 형태로 공산주의 통치에 대한 저항이 계속되었다.[55]

현, 시(市) 및 현급시(县级市)의 도시 지역별 인구
#도시2020년 도시 지역[36]2010년 도시 지역[37]2020년 시(市) 전체 인구
1시닝(西宁)1,677,1771,153,4172,467,965
2하이둥(海东)204,7841,358,471
3거얼무(格尔木)197,153156,779
4위수(玉树)85,497
5더링하(德令哈)65,42454,844
(6)퉁런(同仁)49,962
7망나이(茫崖)18,856



역사적 인구[38][39][40][41][42][43][44][45][46][47]
연도인구
1912368,000
1928619,000
1936–371,196,000
19471,308,000
19541,676,534
19642,145,604
19823,895,706
19904,456,946
20004,822,963
20105,626,722
20205,923,957


5. 1. 주요 소수 민족

칭하이성에는 560만 명의 인구 중 37개 이상의 민족이 살고 있으며, 한족이 전체 인구의 50.5%를, 소수 민족이 49.5%를 차지한다.[48] 2010년 기준으로, 주요 소수 민족은 다음과 같다.

  • 티베트족: 109만 명으로 성 전체 인구의 20.87%를 차지한다. 주로 위슈(玉树), 궈뤄(果洛), 하이난(海南), 황난(黃南), 하이베이(海北)의 다섯 개 티베트족 자치주와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에 분포한다. 시닝 시의 다퉁 현과 하이둥 시에도 일부 거주한다. 칭하이 티베트족은 오랜 역사 속에서 토번족을 받아들이며 발전했다. 티베트어 방언은 한티베트어에 속하며, 위슈 지역의 캉바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암도 방언을 사용한다. 티베트족은 티베트 불교를 믿는다.
  • 후이족: 75만 명으로 성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며, 주로 칭하이 동부 지역에 분포한다.
  • 투족: 19만 명.
  • 살라족: 8만 7천 명.
  • 몽골족: 8만 6천 명.


한족은 시닝 시, 하이둥 시, 더링하 시, 거얼무 시와 북동부 지역의 도시에서 다수를 차지한다. 회족은 시닝 시, 하이둥 시, 민허 후이족 투족 자치현, 화룽 후이족 자치현, 다퉁 후이족 투족 자치현에 집중되어 있다. 투족후주 투족 자치현에, 살라족은 쉰화 살라족 자치현에 집중되어 있으며, 티베트족과 몽골족은 성의 서부 농촌 지역에 흩어져 살고 있다.[31]

칭하이성에는 회족, 살라족, 둥샹족, 바오안족 등 중국의 무슬림 민족들이 거주하고 있다.[16] 회족은 칭하이성의 도매업을 장악하고 있다.[49]

6. 경제

칭하이성의 경제 규모는 중국 전체에서 가장 작은 편이다. 2008년 명목 GDP는 9620억위안(1410억달러)였고 중국 전체 경제의 0.3%를 기여했다. 1인당 GDP는 17389위안(2546USD)였다.

성도 시닝시 주변에서 철강 생산을 포함한 중공업이 이루어진다. 차이다무 분지의 석유와 천연가스는 칭하이 성 경제에 중요하게 기여한다.

시닝 경제 기술 개발구(XETDZ)는 2000년 7월 국가급 개발구로 승인되었다. 칭하이-티베트 고원 지역에서 국가 차원에서 최초로 설립된 개발구로, 중국 서부 개발 전략 수행을 위해 설립되었다. XETDZ는 시닝-란저우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편리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시닝 차오자바오 공항은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등 주요 도시로 운항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주요 개발 산업은 다음과 같다.


  • 염호 자원을 기반으로 하는 화학 물질, 비철 금속, 석유 및 천연 가스 가공
  • 지역 고원 동물과 식물을 사용하는 특수 의약품, 식품 및 생화학 물질
  • 생태 및 환경 보호, 첨단 기술, 신소재 및 정보 기술을 포함하는 신제품
  • 물류, 은행, 부동산, 관광, 호텔, 케이터링, 대행 및 국제 무역과 같은 서비스[59]

6. 1. 주요 산업

칭하이성의 경제는 중국 내에서 가장 작은 규모 중 하나이다. 2022년 명목 GDP는 3.61조위안(500억달러)로, 중국 전체 경제의 약 0.30%를 차지한다. 1인당 GDP는 60,724CNY(9028USD)로 중국 내 24위이다.[57]

칭하이성의 중공업은 성도인 시닝시 인근의 철강 생산을 포함한다. 차이다무 분지에서 생산되는 석유와 천연가스는 칭하이성 경제의 중요한 부분이다.[58] 차이다무 분지의 석유 탐사 및 채굴은 1954년에 시작되었으며, 1955년 첫 유정 굴착 장치가 설치되었다. 현재 칭하이성 유전의 연간 생산량은 495만 톤에 달한다.

칭하이성 차이다무 유정


성 내 여러 염호에서는 염전이 운영되고 있다.

시닝시 외 지역은 대부분 개발이 덜 된 상태이다. 칭하이성은 고속도로 총 연장이 중국 내에서 두 번째로 낮으며, 풍부한 천연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인프라 확충이 필요하다.[58]

2004년 칭하이성의 세관 수출입 총액은 5.76억달러로 전년 대비 69.7% 증가했다. 이 중 수출액은 4.55억달러(66.0% 증가), 수입액은 1.21억달러(85.0% 증가)였다. 주요 수출 시장은 일본(1.3억달러), 대한민국(8400만달러), 홍콩(5100만달러), 미국(3000만달러) 순이었다.

2004년 전성 생산 총액은 전년 대비 17.2% 증가한 455억 위안이었다. 마오쩌둥 시대에는 대소련 전쟁에 대비하여 군사 공업이 칭하이에 배치되었고, 2000년 이후 국무원의 서부 대개발 계획에 따라 공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소수 민족 농목민의 수입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2006년 7월 1일, 거얼무시라싸시를 잇는 칭장 철로가 개통되었다.

6. 2. 경제 개발

칭하이성의 경제 규모는 중국 전체에서 가장 작은 편에 속한다. 2022년 명목 GDP는 3.61조위안이었고, 이는 중국 전체 경제의 약 0.30%에 해당한다. 1인당 GDP는 60,724CNY로 중국 내 24위를 기록했다.[57]

칭하이성의 중공업은 성도인 시닝시 주변에 집중되어 있으며, 철강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차이다무 분지에서 생산되는 석유와 천연 가스는 칭하이성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58] 또한, 성 내 여러 염호에서는 염전이 운영되고 있다.

시닝시 외 지역은 대부분 개발이 미진한 상태이다. 칭하이성은 고속도로 총 연장이 중국에서 두 번째로 낮아, 풍부한 천연자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58]

시닝 경제 기술 개발구(XETDZ)는 2000년 7월 국가급 개발구로 승인되었다. XETDZ는 칭하이-티베트 고원 지역에서 국가 차원에서 최초로 설립된 개발구로, 중국 서부 개발 전략 수행을 위해 설립되었다. XETDZ는 시닝-란저우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편리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시닝 차오자바오 공항은 베이징, 광저우, 상하이 등 주요 도시로 운항하는 항공편을 제공한다.

2004년 칭하이성의 세관 수출입 총액은 57.599999999999994억달러였다. 그중 수출액은 45.5억달러, 수입액은 12.1억달러였다. 주요 수출 시장은 일본(1.3억달러), 한국(8400만달러), 홍콩(5100만달러), 미국(3000만달러) 순이었다.

2004년 전성 생산 총액은 455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7.2% 증가했다. 마오쩌둥 시대에는 군사 공업이 칭하이에 배치되었고, 2000년 이후 국무원의 서부 대개발 계획에 따라 공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2006년 7월 1일에는 거얼무와 라싸를 잇는 칭장 철로가 개통되었다.

7. 문화

칭하이성은 "몽골 문화와 티베트 문화의 남북 간 교류, 한족과 중앙아시아 무슬림 문화의 동서 간 교류"의 영향을 받아왔다.[31] 이처럼 칭하이성은 여러 민족이 섞여 살면서 다양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류 중국 문화에서 칭하이성은 주로 《목천자전》과 관련이 있다. 이 전설에 따르면 주나라 목왕(기원전 976–922년)은 적대적인 견융 유목민을 칭하이성 동부까지 추격했고, 그곳에서 여신 서왕모가 왕에게 곤륜산에서 연회를 열었다.[54]

칭하이성에 서식하는 야크는 교통 수단으로, 그리고 고기를 얻기 위해 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28]

퉁런 현은 국가역사문화명성으로 지정되었다. 칭하이성 출신의 유명한 인물로는 반찬어얼더니, 시라오지아춰, 겅둔춴페이 등이 있다.

7. 1. 종교

칭하이성 둥관 사원


칭하이성의 주요 종교는 한족 사이에서 중국 민간 신앙(도교유교 포함)과 중국 불교이다. 대규모의 티베트족은 티베트 불교 또는 전통적인 티베트 본교를 신봉하는 반면, 후이족이슬람교를 믿는다. 2004년 중국 일반 사회 조사에 따르면, 칭하이성 인구의 0.76%가 기독교를 믿는다.[50] 2010년 조사에 따르면 칭하이성 인구의 17.51%가 이슬람교를 믿는다.[51]

1848년 9월부터 이 도시는 짧은 기간 동안 존속했던 라틴 가톨릭 사도 대리구(교구 이전의 선교 관할 구역)인 코코누르(별칭 코우크쿠-누르, 코코노르)의 소재지였지만, 1861년에 폐지되었다. 기록된 담당자는 없다.[52]

시닝시, 두오바, 룬마롱 마을의 펑황산에 있는 구천현녀를 모시는 도교 사원
]--

칭하이성은 "몽골 문화와 티베트 문화의 남북 간 교류, 한족과 중앙아시아 무슬림 문화의 동서 간 교류"의 영향을 받아왔다.[31] 칭하이성의 주요 종교는 티베트 불교, 이슬람교, 중국 민간 신앙이다. 동관 청진사는 1380년부터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55]

7. 2. 언어

칭하이성은 "몽골 문화와 티베트 문화의 남북 간 교류, 한족과 중앙아시아 무슬림 문화의 동서 간 교류"의 영향을 받았다.[31] 칭하이성의 언어는 수세기 동안 언어 연합을 형성해 왔으며, 중원 관화, 암도 티베트어, 살라르어, 서부 유고르어, 몽골어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차용해 왔다.[53]

7. 3. 축제

칭하이성의 주요 종교는 티베트 불교, 이슬람교, 중국 민간 신앙이다. 동관 청진사는 1380년부터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55] 칭하이 몽골족은 매년 차이다무 분지에서 나담 축제를 개최한다.[56]

8. 교통

칭하이성의 국도 109호선


칭하이성은 철도, 도로, 항공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

칭하이성은 중화인민공업정보화부의 "전화 보급 사업"으로 6.4억위안을 투자해 4,133개 행정 마을 중 3,860개 마을에 전화를 보급했다. 2006년 말 기준 299개 읍에 인터넷 접속이 가능했으나, 여전히 6.6%의 마을은 전화 접속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들 마을은 주로 칭난 지역, 특히 위수궈뤄에 90%가 분포하며, 평균 해발 3600m가 넘는 열악한 자연 조건으로 통신 시설 설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07년 9월 14일, 칭하이성 내 186개 외딴 마을에 위성 전화가 보급되었다.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와 궈뤄 티베트족 자치주가 혜택을 받았으며, 차이나샛콤은 이 지역을 위한 특별 위성 전화를 제작하여 각 마을에 두 대씩 무료로 제공했다. 시내 및 전국 통화 요금은 분당 0.2CNY(당시 미국 센트의 약 1/4)였고, 추가 요금은 차이나샛콤이 부담했다. 위성 전화 월 사용료는 없었으며, 국제 전화도 이용 가능했다.

8. 1. 철도

란칭 철도는 간쑤성 란저우와 칭하이성 성도인 시닝을 연결하며, 1959년에 완공되어 칭하이성을 드나드는 주요 교통로가 되었다. 이 노선의 연장선인 칭하이-티베트 철도는 거얼무를 경유하여 칭하이성 서부를 지나며 중화인민공화국 역사상 가장 야심찬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되었다. 이 철도는 2005년 10월에 완공되어 현재 칭하이성을 통해 티베트와 중국 본토를 연결한다.[1]

거얼무-둔황 철도 건설은 2012년에 시작되었다.[1]

2006년 7월 1일, 거얼무와 라싸를 잇는 칭장 철로가 개통되었다.[1]

8. 2. 도로



6개의 국도가 칭하이성을 통과한다.

8. 3. 항공

시닝 차오자바오 국제공항은 베이징, 란저우, 거얼무, 더링하를 운행한다. 더링하 공항, 골록 마친 공항, 화투거우 공항, 치롄 공항, 위수 바탕 공항과 같은 소규모 지역 공항들이 칭하이성의 작은 지역 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2020년까지 3개의 공항을 더 건설할 계획이다.

9. 교육


  • 칭하이 대학
  • 칭하이 사범대학
  • 칭하이 민족대학
  • 칭하이 의학원
  • 칭하이 방송텔레비전 대학

10. 관광

성도 시닝시를 중심으로 많은 관광지가 있다.

여름에는 많은 관광객들이 더위를 피해 시닝으로 여행온다. 시닝의 7, 8월 기후는 온화하고 안락하여 피서에 알맞다.[28]

칭하이호는 또 다른 관광지이며, 시닝에서 칭하이 호까지를 코스로 하는 국제적인 자전거 경주 대회가 해마다 열린다.[28]

10. 1. 주요 관광지

칭하이호는 칭하이성의 주요 관광지 중 하나이다. 중국에서 가장 큰 염호이며, "세계의 지붕"으로 불리는 티베트 고원에 위치해 있다. 호수는 해발 3,600m에 위치하며, 주변은 완만한 초원으로 이루어져 있고 티베트족이 거주한다. 대부분의 관광 코스는 냐오다오(鸟岛)를 거친다. 시닝에서 칭하이 호까지를 코스로 하는 국제적인 자전거 경주 대회가 해마다 열린다.[28]

칭하이 호


칭하이호의 전망

참조

[1] 웹사이트 Qinghai Province http://www.qhcom.gov[...] Qinghai Province Department of Commerce 2013-08-05
[2]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Seventh National Population Census (No. 3)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1-05-11
[3]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China NBS 2024-03
[4]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Indices (8.0)- China https://globaldatala[...] 2024-09-23
[5] 백과사전 Qinghai http://www.lexico.co[...]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中国地名录 China Maps Press
[7] 간행물 Tibet and Manchu: An Assessment of Tibet-Manchu Relations in Five Phases of Development Narthang Press 2001
[8] 뉴스 中華民國政府令 https://twinfo.ncl.e[...] 國民政府秘書處 1928-09
[9] 뉴스 中華民國十七年十月十九日 中華民國政府令 https://twinfo.ncl.e[...] 國民政府文官處印鑄局 1928-10-27
[10] 뉴스 中華民國十八年一月二十九日 國民政府指令一八九號 https://twinfo.ncl.e[...] 國民政府文官處印鑄局 1929-01-31
[11] 웹사이트 Purdue – Tibetan history http://cc.purdue.edu[...]
[12] 간행물 Histoire du Tibet Fayard 1997
[13] 간행물 The Dunhuang Region during Tibetan Rule (787-848) Harrassowitz Verlag 2012
[14] 웹사이트 Leung 2007 https://books.google[...]
[15] 서적 China's Tibet?: Autonomy or Assimilation Rowman & Littlefield
[16] 서적 The Other Middle Kingdom: A Brief History of Muslims in China Indianapolis University Press
[17] 서적 Gladstone-Gordon correspondence, 1851–1896: selections from the private correspondence of a British Prime Minister and a colonial Governor, Volume 5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0-06-28
[18] 서적 Gladstone-Gordon correspondence, 1851–1896: selections from the private correspondence of a British Prime Minister and a colonial Governor, Volume 51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10-06-28
[19] 서적 The Times Atlas of World History Hammond 1989
[20] 서적 The Monguors of the Kansu-Tibetan Frontier: Their Origin, History, and Social Organization https://books.google[...] Kessinger Publishing 2010-06-28
[21] 서적 Modern China: a guide to a century of chang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0-06-28
[22] 서적 Change, Conflict and Continuity among a community of nomadic pastoralists—A Case Study from western Tibet, 1950–1990., Resistance and Reform in Tibet Hurst & Co.
[23] 서적 The China year book, Part 2 https://books.google[...] North China Daily News & Herald 2011-06-05
[24] 서적 Covering China: the story of an American reporter from revolutionary days to the Deng era https://books.google[...] Imprint Publications 2010-06-28
[25] 서적 China pilot: flying for Chiang and Chennault https://books.google[...] Brassey's 2010-06-28
[26] 서적 China's communist revolutions: fifty yea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4-09
[27] 서적 Authenticating Tibet: Answers to China's 100 Ques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8] 서적 Ethnic Minorities and Regional Development in Asia: Reality and Challenges Amsterdam University Press
[29] 웹사이트 Qinghai Province Mountains https://peakvisor.co[...]
[30] 웹사이트 Bukadaban Feng, Peakbagger.com http://www.peakbagge[...]
[31] 서적 China's Campaign to "Open Up the West": National, Provincial, and Local Perspec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县以上行政区划代码 http://files2.mca.go[...] Ministry of Civil Affairs
[33] 서적 深圳统计年鉴2014 http://www.sztj.gov.[...] China Statistics Print 2015-05-29
[34]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分乡、镇、街道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
[35] 서적 中国民政统计年鉴2014 China Statistics Print 2014-08
[36] 서적 中国202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22
[37] 서적 中国2010年人口普查分县资料 China Statistics Print 2012
[38] 웹사이트 1912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39] 웹사이트 1928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40] 웹사이트 1936–37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41] 웹사이트 1947年全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4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第一次全国人口调查登记结果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3] 웹사이트 第二次全国人口普查结果的几项主要统计数字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4]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一九八二年人口普查主要数字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5]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一九九〇年人口普查主要数据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6] 웹사이트 现将2000年第五次全国人口普查快速汇总的人口地区分布数据公布如下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7] 웹사이트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48] 웹사이트 How Much Does Beijing Control the Ethnic Makeup of Tibet? https://www.chinafil[...] 2021-09-02
[49] 뉴스 Demand for an aphrodisiac has brought unprecedented wealth to rural Tibet—and trouble in its wake https://www.economis[...] 2015-12-20
[50] 간행물 China General Social Survey (CGSS) 2009. Report by: Xiuhua Wang (2015, p. 15) https://baylor-ir.td[...]
[51] 간행물 The Present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slam in China https://doors.doshis[...]
[52] 웹사이트 Apostolic Vicariate of Kokonur, China http://www.gcatholic[...] 2017-02-27
[53] 서적 Tumen Jalafun Jecen Aku Otto Harrassowitz Verlag
[54] 서적 Chinese History: Ancient China to 1911 Asiapac Books
[55] 논문 Surviving State and Society in Northwest China: The Hui Experience in Qinghai Province under the PRC.
[56] 뉴스 Qaidam culture shines in Qinghai, NW China http://news.cultural[...] 2013-06-05
[57] 웹사이트 National Data https://data.stats.g[...]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2022-03-23
[58] 웹사이트 Qinghai Province: Economic News and Statistics for Qinghai's Economy http://www.thechinap[...] 2011-10-25
[59] 웹사이트 Xining Economic & Technological Development Zone http://rightsite.asi[...]
[60] 웹사이트 Qinghai to build 3 new airports before 2020 http://www.chinacivi[...] 2010-04-25
[61] 웹사이트 Qīnghăi/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 2022-11-14
[62] 웹사이트 青海省2017年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 http://www.qh.gov.cn[...] Statistical Bureau of Qinghai Province 2018-06-22
[63] 웹사이트 中国青海省で3000年以上前の岩絵群を発見 https://www.jiji.com[...] 2024-06-03
[64] 문서 郭卿友,1990,pp.153,793
[65] 웹인용 1912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66] 웹인용 1928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67] 웹인용 1936–37年中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68] 웹인용 1947年全国人口 http://www.ier.hit-u[...] 2014-03-06
[69] 웹인용 中华人民共和国国家统计局关于第一次全国人口调查登记结果的公报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0] 웹인용 第二次全国人口普查结果的几项主要统计数字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1]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2]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3] 웹인용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74] 웹인용 Communiqué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People's Republic of China on Major Figures of the 2010 Population Census http://www.stats.gov[...]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