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퀴즈쇼 사총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즈쇼 사총사는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퀴즈 프로그램으로, 4명이 한 팀을 이루어 퀴즈 대결을 펼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2011년 1월 2일부터 2014년 11월 2일까지 KBS 2TV에서 방송되었으며, 195회 마지막 방송을 했다. 기존 퀴즈 프로그램과 달리 중년층의 열정과 실력을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기획되었다. 프로그램은 1라운드, 2라운드, 최종 라운드로 구성되었으며, 각 라운드별로 다양한 형식의 퀴즈가 출제되었다. 패자부활전과 한우 쟁탈전 등 특별 코너도 진행되었다. 역대 진행자는 전현무, 김원효, 김준호, 김대희 등이 맡았으며, 서혜정과 박은영 아나운서가 나레이션을 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퀴즈 쇼 - 장학퀴즈
    1973년 MBC에서 시작하여 EBS로 옮겨 대한민국 최장수 퀴즈 프로그램이 된 《장학퀴즈》는 고등학생 대상 퀴즈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 방식과 특집 방송, 한중 청소년 교류 등을 통해 사랑받았으나 2024년 7월 종영 예정이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퀴즈 쇼 - 아는 형님
    JTBC 예능 프로그램 《아는 형님》은 형님학교 콘셉트로 출연자들이 학생, 게스트가 전학생이 되어 반말, 입학원서, 나를 맞춰봐 등의 코너와 특별 코너들로 웃음을 주는 프로그램이다.
  •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다큐극장
    《다큐극장》은 2013년 KBS 1TV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인물과 사건, 시대적 배경 등을 다루었으며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재연, 인터뷰, 자료 화면 등을 활용하여 제작되었으나, 기획 초기 단계에서 박정희 정권 미화 논란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 한국방송공사의 시사교양 프로그램 - 아침마당
    《아침마당》은 1991년부터 KBS 1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 특화된 주제로 전달하며 감동, 재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SBS 인기가요
    SBS 인기가요는 1991년 첫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장수 음악 프로그램으로, 순위 시스템과 형식을 변경하며 시청자 투표를 반영하고 기술적 발전을 거듭해왔으며, 현재는 인기가요 차트를 통해 1위를 선정하고 글로벌 투어로 팬들과 소통하고 있다.
  • 201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SNL 코리아
    SNL 코리아는 미국의 심야 코미디 쇼 새터데이 나이트 라이브의 한국판으로, tvN에서 시작해 쿠팡플레이에서 리부트되어 정치, 사회, 문화를 풍자하는 코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크루들의 활약과 정치 풍자로 화제를 모으고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퀴즈쇼 사총사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퀴즈쇼 사총사
방송명퀴즈쇼 사총사
시청 등급ALL
장르예능
교양
퀴즈
방송 시간매주 일요일 오전 8시 10분 ~ 9시
방송 분량50분
방송 기간파일럿 편성: 2010년 12월 12일
정규 편성: 2011년 1월 2일 ~ 2014년 11월 2일
방송 횟수195부작
방송 채널KBS 2TV
제작KBS 예능본부
프로듀서최인성
연출윤중경, 이은형, 최진영
조연출이민환
각본김주영, 손제주, 장종원, 권오현
김희진, 김부영, 황수진
출연자진행 : 김준호, 김대희
내레이터 : 서혜정
음성2채널 스테레오 사운드
자막폐쇄 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HD 방송

2. 프로그램 소개

퀴즈쇼 사총사한국어는 기존의 퀴즈 프로그램들과 달리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퀴즈쇼로, 4명이 한 팀을 이루어 퀴즈 대결을 펼치는 형식이다.[1]

2. 1. 기획 의도

기존의 프로그램이 중년층의 현실을 다룬 다큐 프로그램이나 청년층 위주의 퀴즈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감안하여, 유쾌한 중년의 열정과 패기, 그리고 실력과 자긍심을 보여줄 새로운 개념의 퀴즈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었다.[1]

3. 역대 진행 방식

《퀴즈쇼 사총사》는 시기별로 진행 방식에 변화가 있었다.[1]

1~7회에서는 총 4번의 기회 중 한 세트라도 전원이 성공하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고, 8~10회에서는 문제당 2.5억이 적립되었다.[1] 13회부터는 첫 세트를 모두 맞히면 한우 세트를, 1라운드 최다 정답자는 로봇 청소기를 받았다.[1]

157회~195회에는 전문가 3명이 문제를 출제하고, 상금 획득 방식이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출연진 나이를 합산하여 제한시간을 정했지만, 이 시기에는 팀원 나이와 관계없이 150초로 고정되었다. 1라운드에서 힌트 문제를 맞히면 2라운드에서 힌트를 사용할 수 있었다. 2라운드에서는 전문가들이 낸 문제를 맞힐 때마다 상금이 쌓였다. 최종 라운드에서는 누적된 상금을 걸고 문제를 풀었고, 성공하면 상금을 획득했다.[1]

2011년부터 2013년까지는 상반기, 하반기에 아쉽게 우승을 놓친 4팀을 모아 패자부활전을 진행했다. 패자부활전에서 최종 우승한 팀에게는 '사총사' 칭호와 함께 3000만이 주어졌다.[1]

3. 1. 1회 ~ 156회

1라운드는 단답형 주관식 문제로, 네 명의 출연자가 차례대로 답을 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4명의 나이를 합쳐 제한시간(초)이 주어졌으며(150세 이하일 경우 최소 150초), 이 시간 안에 20문제를 맞혀야 2라운드에 진출했다. 1라운드 통과 시 1000만이 적립되었고, 실패 시 한 명이 재도전하여 제한시간의 절반 안에 10문제를 맞히면 500만을 받고 2라운드에 진출했다.[1]

2라운드는 2지선다 객관식으로 총 8문제(각 4문제씩 2세트)가 주어졌다. 출연자당 2문제씩 주어지며, 한 문제라도 틀리면 탈락했다.[1]

최종 라운드는 다양한 주관식 문제(빈칸 넣기, 모두 선택, 순서 열거, 연상 문제 등)로 구성되었다. 4명의 나이를 합친 시간이 제한시간으로 주어졌고, 팀원들이 순차적으로 4문제를 풀었다.[1]

1~7회에서는 총 4번의 기회 중 한 세트라도 전원이 성공하면 최종 라운드에 진출했고(파일럿 때는 세트 성공 시 500만 적립), 8~10회에서는 문제당 2.5억이 적립되었다.[1] 13회부터는 첫 세트를 모두 맞히면 한우 세트를, 1라운드 최다 정답자는 로봇 청소기를 받았다(동점 시 팀 상의로 결정).[1]




3. 1. 1. 1라운드

팀원 4명이 차례대로 돌아가며 단답형 주관식 문제를 푼다.[1] 4명의 나이를 합친 숫자가 제한시간(초)으로 주어지는데, 150세 이하일 경우에는 최소 150초가 주어진다.[1] (예: 70세 + 50세 + 40세 + 30세 = 190세 → 190초)[1]

이 제한시간 안에 20문제를 맞혀야 2라운드에 진출하며, 1라운드 통과 시 상금 1000만이 적립된다.[1] 만약 실패하면 팀원 중 한 명이 재도전할 수 있는데, 이때는 제한시간의 절반 안에 10문제를 맞혀야 한다.[1] 재도전에 성공하면 상금은 절반인 500만이 적립된다.[1] 역대 최고 기록 시간은 4분 39초, 최저는 2분 27초였다.[1]

3. 1. 2. 2라운드

2지선다 객관식 문제가 1세트 당 4문제, 총 2세트(8문제)가 주어진다. 각 참가자에게는 총 2문제가 주어지며, 최소 1문제는 맞혀야 최종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다. 한 명이라도 2문제를 모두 틀리면 도전은 실패한다.[1]

3. 1. 3. 최종 라운드

최종 라운드에서는 빈칸 넣기, 모두 선택, 순서 열거, 연상 문제 등 다양한 유형의 주관식 문제가 출제되었다.[1]

  • 4명의 출연자의 나이를 합친 숫자가 제한 시간(초)으로 주어진다.[1]
  • 모든 팀원들은 제한 시간 내에 순차적으로 4문제를 풀어야 한다.[1]
  • 정답을 맞힐 때까지 계속 답을 말할 수 있으며, 앞 사람이 정답을 맞혀야 다음 사람의 문제로 넘어갈 수 있다.[1]
  • 제한 시간 1분이 남았을 때부터는 "찬스"를 이용하여 다른 팀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1]
  • 문제 출제 시간은 제한 시간에 포함되지 않는다.[1]
  • 4명의 출연자가 문제를 모두 맞히면 상금을 획득하고, '영광의 사총사'에 등극한다.[1]

3. 2. 157회 ~ 195회

157회~195회에는 전문가 3명이 문제를 출제하고, 상금 획득 방식이 변경되었다.[1] 이전에는 출연진 나이를 합산하여 제한시간을 정했지만, 이 시기에는 팀원 나이와 관계없이 150초로 고정되었다. 1라운드에서 힌트 문제를 맞히면 2라운드에서 힌트를 사용할 수 있었다. 2라운드에서는 전문가들이 낸 문제를 맞힐 때마다 상금이 쌓였다. 최종 라운드에서는 누적된 상금을 걸고 문제를 풀었고, 성공하면 상금을 획득했다.[1]

3. 2. 1. 1라운드

1라운드는 단답형 주관식 문제로 진행되며, 네 명의 출연자가 차례대로 답을 한다.[1] 제한 시간은 출연자 네 명의 나이를 합한 시간(초)으로 결정된다. 예를 들어 70세, 50세, 40세, 30세 출연자의 나이를 합하면 190초가 된다.[1] 단, 네 명의 나이를 합쳐 150세 이하일 경우에는 최소 150초의 제한 시간이 주어진다.[1]

맞힌 문제 수만큼 1문제당 10만 원의 상금이 적립되며, 최대 300만 원까지 적립할 수 있다.[1] 2014년 1월 19일 방송분부터는 팀원의 나이와 관계없이 제한 시간 150초가 주어졌다.[1] 또한, 2014년 1월 12일 방송분부터는 중간에 등장하는 힌트 문제를 맞힐 때마다 2라운드에서 힌트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1]

3. 2. 2. 2라운드

2라운드에서는 전문가 3명이 출제한 문제를 풀고, 문제를 맞힐 때마다 상금이 적립되었다.[1]

2014년 1월 19일 방송분부터 팀원의 나이에 상관없이 제한시간 150초가 주어졌으며, 2014년 1월 12일부터는 중간에 힌트 문제를 맞힐 때마다 2라운드에서 힌트를 쓸 수 있었다.[1]

  • 전문가 3명이 각각 4문제씩 출제했다.[1]
  • 4명이 상의해서 풀 수 있으며, 한 문제를 맞힐 때마다 100만씩 적립되었다. (최대 1200만 적립 가능)[1]
  • 문제는 4지선다와 주관식으로 출제되었다.[1]
  • 한 세트를 모두 맞히면 한우 세트가 증정되었다.[1]
  • 중간에 사총사는 1라운드에서 얻은 힌트를 사용할 수 있었다. (한 분야, 최대 2개)[1]
  • 2014년 2월 9일 방송분부터는 한 분야 당 각각 3문제가 출제되었으며, 세 문제를 모두 맞히면 100만이 추가로 적립되었다.[1]

3. 2. 3. 최종 라운드

1~2라운드까지 적립한 상금을 가져가기 위해 사총사가 한 문제를 푼다.[1]

  • 도전팀은 전문가 3명 중 1명을 선택한다.[1]
  • 문제는 여러 답을 요구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1]
  • 한 사람씩 도전하여 한 명이라도 성공하면 적립금을 획득한다. 첫 번째 도전자가 성공하면 적립금의 두 배를 획득한다.[1]
  • 2014년 1월 5일부터는 대표자 한 명을 선정해 전문가의 문제를 푼다. 기회는 두 번 주어지며, 다른 형식은 이전과 같다. (중간에 3명이 각자 의견을 말할 수 있다)[1]
  • 2014년 3월 23일부터는 한 문제에 100초가 주어지며, 두 번의 50초 동안 사총사가 돌아가면서 빈칸에 답을 맞힌다. 처음 50초 안에 빈칸 4개를 모두 맞히면 적립금을 두 배로, 남은 50초 안에 모두 맞히면 원래 적립금을 획득한다.[1]

3. 3. 패자부활전 진행 형식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상반기, 하반기에 아쉽게 우승을 놓친 4팀을 모아 패자부활전을 진행했다. 패자부활전에서 최종 우승한 팀에게는 '사총사' 칭호와 함께 3000만이 주어졌다.[1] 패자부활전은 2~3주 분량으로 진행되었다.[1]

3. 3. 1. 한우 쟁탈전

패자부활전에서 특별히 진행되는 형식으로, 각 팀의 대표 한 명씩 나와서 문제를 푼다. 문제 유형은 상반기, 하반기 1라운드 때 출연한 팀들이 맞히지 못한 문제들로 구성되며, 스피드 형식으로 많이 맞힌 팀이 한우를 가져간다.[1]

3. 3. 2. 1라운드

이전 1라운드 형식과 동일하게 각 팀에게 공평하게 2분씩(2011년 상반기에는 3분) 주어지며, 가장 적게 맞힌 팀이 탈락한다.[1] 동점팀이 나올 경우에는 동점팀들에게 1분의 시간이 주어진다.

3. 3. 3. 장기자랑

1라운드가 끝나면 4팀이 모여 장기자랑 시간을 가졌다.[1] 장기자랑 결과에 따라 상품을 수여했다.

연도상반기 특별 심사위원하반기 특별 심사위원
2011년송해이상용
2012년설운도, 김연자하춘화
2013년송대관이상해


3. 3. 4. 2라운드

팀 대표 한 명이 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중간에 대표가 문제를 풀지 못할 경우, 다른 사람으로 한 번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대표가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다른 팀원들은 눈보라 벌칙을 받았다.(2011년 상반기, 2013년 하반기에는 쟁반을 맞았다)[1] 가장 많이 맞힌 2팀이 결승에 진출하며, 동점팀이 나올 경우에는 동점팀의 대표 한 명이 각각 나와서 5문제 중 3문제를 버저 형식으로 먼저 맞히는 사람이 결승에 진출한다.(문제 형식은 전과 동일)[1]

3. 3. 5. 3라운드

팀 전원이 상의하여 문제를 푸는 스피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1] 어느 한 팀이 정답을 맞힐 때까지 계속 진행된다.[1]

유형점수
첫 번째 유형100점
두 번째 유형200점
세 번째 유형300점
네 번째 유형400점



어느 한 팀이 1000점에 도달할 때까지 대결은 계속되며, 먼저 1000점에 도달한 팀이 우승팀으로 등극한다.[1]

4. 역대 진행자


4. 1. 메인 진행자



모든 지시사항을 준수하여 수정 완료했습니다. 변경된 내용은 없습니다.

4. 2. 나레이션

서혜정, 박은영 아나운서가 나레이션을 맡았다.

5. 방송 시간

KBS 2TV에서 2011년 1월 2일부터 2014년 11월 2일까지 매주 일요일 오전에 방송되었다.

방송 기간방송 시간
2011년 1월 2일 ~ 2012년 4월 22일매주 일요일 오전 8:10 ~ 9:00
2012년 4월 29일 ~ 2012년 6월 10일매주 일요일 오전 8:15 ~ 9:05
2012년 6월 17일 ~ 2014년 11월 2일매주 일요일 오전 8:10 ~ 9:00


6. 역대 영광의 사총사팀

대수출연팀팀원회차비고
1대아나기(아줌마는 나라의 기둥)김용숙, 정옥용, 차가현, 정혜교5회
2대오빠는 풍각쟁이박준규, 송용태, 지유석, 강지원16회
3대전설의 야구왕하일성, 김봉연, 김성한, 이병훈26회
4대출발드림팀이창명, 변우민, 김현욱, 이상인23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32~34회)
5대오 맘마미아최정원, 전수경, 이경미, 성기윤45회
6대오늘도 참는다최창호, 배기성, 이종원, 한준희36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51~52회)
7대밤을 잊은 그대에게유영석, 표인봉, 김태훈, 홍록기62회
8대씨밀레 중창단전명철, 고일언, 이승엽, 장정웅76회
9대이태원 살아요정경순, 홍석천, 전영미, 낸시랭58회제58회에서는 낸시랭 대신 에바 포피엘 출연(패자부활전으로 우승(83~85회)
10대불 좀 꺼주세요이도원, 박정수, 이정훈, 설용철97회
11대조마조마 야구단이정용, 강성진, 이종원, 성대현93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103~105회)
12대동네 한바퀴손병호, 전일범, 이목을, 이수윤114회
13대남산 동창회김명국, 임대호, 김정균, 박경환124회
14대꽃보다 아름다워박현빈, 신지, 홍진영, 홍원빈125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131~133회)
15대20세기 청년안정훈, 권용운, 정규수, 김동균143회
16대스마일 야구단이봉원, 황현희, 박준형, 강신범136회156회에서는 황현희 대신 김한석 출연, 패자부활전으로 우승(154~156회)
17대퀴즈쇼 팀홍서범, 조갑경, 김정민, 루미코175회2014년 가정의 달 특집 부부 사총사 특집 우승(173~175회)
18대사총사 팀(여성팀)노사연, 이성미, 김지선, 신보라188회2014년 추석특집 퀴즈쇼(남성팀) VS 사총사(여성팀)(187~188회)
19대자매 사총사유혜리, 최수린, 강주희, 강승희195회마지막회 출연팀이자 마지막 우승팀 (획득상금: 2840만)


7. 결방 사유


  • 2013년 6월 23일: 공감토크 대한민국 1% 방송
  • 2014년 2월 16일: 소치 동계 올림픽 특집 방송
  • 2014년 4월 20일 ~ 2014년 4월 27일: 진도 여객선 침몰 사고 추모 특집 방송
  • 2014년 6월 15일 ~ 2014년 6월 22일: 브라질 월드컵 특집 방송

8. 역대 에피소드

'퀴즈쇼 사총사'는 다양한 팀들이 출연하여 퀴즈 대결을 펼치는 프로그램이다. 역대 우승팀과 주요 출연팀은 다음과 같다.

역대출연팀팀원회차비고
1대아나기(아줌마는 나라의 기둥)김용숙, 정옥용, 차가현, 정혜교5회
2대오빠는 풍각쟁이박준규, 송용태, 지유석, 강지원16회
3대전설의 야구왕하일성, 김봉연, 김성한, 이병훈26회
4대출발드림팀이창명, 변우민, 김현욱, 이상인23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32~34회)
5대오 맘마미아최정원, 전수경, 이경미, 성기윤45회
6대오늘도 참는다최창호, 배기성, 이종원, 한준희36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51~52회)
7대밤을 잊은 그대에게유영석, 표인봉, 김태훈, 홍록기62회
8대씨밀레 중창단전명철, 고일언, 이승엽, 장정웅76회
9대이태원 살아요정경순, 홍석천, 전영미, 낸시랭58회제58회에서는 낸시랭 대신 에바 포피엘 출연(패자부활전으로 우승(83~85회)
10대불 좀 꺼주세요이도원, 박정수, 이정훈, 설용철97회
11대조마조마 야구단이정용, 강성진, 이종원, 성대현93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103~105회)
12대동네 한바퀴손병호, 전일범, 이목을, 이수윤114회
13대남산 동창회김명국, 임대호, 김정균, 박경환124회
14대꽃보다 아름다워박현빈, 신지, 홍진영, 홍원빈125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131~133회)
15대20세기 청년안정훈, 권용운, 정규수, 김동균143회
16대스마일 야구단이봉원, 황현희, 박준형, 강신범136회156회에서는 황현희 대신 김한석 출연, 패자부활전으로 우승(154~156회)
17대퀴즈쇼 팀홍서범, 조갑경, 김정민, 루미코175회2014년 가정의 달 특집 부부 사총사 특집 우승(173~175회)
18대사총사 팀(여성팀)노사연, 이성미, 김지선, 신보라188회2014년 추석특집 퀴즈쇼(남성팀) VS 사총사(여성팀)(187~188회)
19대자매 사총사유혜리, 최수린, 강주희, 강승희195회마지막 회 출연팀이자 마지막 우승팀 (획득상금: 2840만)



각 연도별 상세한 출연팀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8. 1. 2010년 ~ 2011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퀴즈쇼 사총사'에는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출연하여 퀴즈 대결을 펼쳤다. 다음은 해당 기간 동안 출연한 팀과 팀원, 그리고 회차 정보이다.

우승 순서출연팀팀원회차비고
1대아나기(아줌마는 나라의 기둥)김용숙, 정옥용, 차가현, 정혜교5회
2대오빠는 풍각쟁이박준규, 송용태, 지유석, 강지원16회
3대전설의 야구왕하일성, 김봉연, 김성한, 이병훈26회
4대출발드림팀이창명, 변우민, 김현욱, 이상인23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32~34회)
5대오 맘마미아최정원, 전수경, 이경미, 성기윤45회
6대오늘도 참는다최창호, 배기성, 이종원, 한준희36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51~52회)
7대밤을 잊은 그대에게유영석, 표인봉, 김태훈, 홍록기62회
8대씨밀레 중창단전명철, 고일언, 이승엽, 장정웅76회
9대이태원 살아요정경순, 홍석천, 전영미, 낸시랭58회제58회에서는 낸시랭 대신 에바 포피엘 출연(패자부활전으로 우승(83~85회)
10대불 좀 꺼주세요이도원, 박정수, 이정훈, 설용철97회
11대조마조마 야구단이정용, 강성진, 이종원, 성대현93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103~105회)
12대동네 한바퀴손병호, 전일범, 이목을, 이수윤114회
13대남산 동창회김명국, 임대호, 김정균, 박경환124회
14대꽃보다 아름다워박현빈, 신지, 홍진영, 홍원빈125회패자부활전으로 우승(131~133회)
15대20세기 청년안정훈, 권용운, 정규수, 김동균143회
16대스마일 야구단이봉원, 황현희, 박준형, 강신범136회156회에서는 황현희 대신 김한석 출연, 패자부활전으로 우승(154~156회)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팀들이 출연하여 퀴즈 대결을 펼쳤다.


  • 파일럿: 친정 엄마팀, 57년 닭띠팀
  • 1회: 으랏차차 천하장사 팀, 자갈치 아지매 팀
  • 2회: 퀴즈는 우정을 싣고 팀, 목욕탕집 남자들 팀
  • 3회: 임현식과 사위들 팀, 답십리 사형제 팀
  • 4회: 답십리 사형제 팀, 이정섭 패밀리 팀
  • 5회: 천의 목소리 팀, 아줌마는 나라의 기둥 팀
  • 6회: 추억의 개그스타 팀
  • 7회: 죽마고우, 기관사 사총사 팀
  • 8회: 좋은 친구들 팀
  • 9회: 라디오 스타 팀, 연기 종결자 팀
  • 10회: 연기 종결자 팀, 현미가 좋아
  • 11회: 샌드페블즈 팀, 왕나비 팀
  • 12회: 슈퍼스타퀸 팀, 학교종이 땡땡땡 팀
  • 13회: 야 월척이다 팀
  • 14회: 굿모닝 라디오 팀, 과학수사대 CSI팀
  • 15회: 환상의 짝꿍 팀, 문경새재 팀
  • 16회: 오빠는 풍각쟁이
  • 17회: 전국노래자랑
  • 18회: 내사랑 붕어빵, 할리와 이웃사촌
  • 19회: 나 이런 사람이야, 공부합시다
  • 20회: 갈갈이 패밀리, 아껴야 잘 산다
  • 21회: 맨발의 청춘
  • 22회: 건강을 그대 품안에, 다함께 차차차
  • 23회: 출발 드림팀
  • 24회: 우리 것이 좋은 것이여, 샤방샤방 노래교실
  • 25회: 퀴즈는 아무나 하나, 노래하는 깔깔깔 팀
  • 26회: 전설의 야구왕
  • 27회: 서울 서울 서울 팀, 친구야 친구 팀
  • 28회: 해피투게더
  • 29회: 수사반장
  • 30회: 도와줘요! 뽀빠이팀, 노래하는 치과의사 팀
  • 31회: 나는 공처가다, 뽀드득 손을 씻자 팀
  • 32~34회: 상반기 패자부활전
  • 35회: top밴드 팀
  • 36회: 오늘도 참는다 팀, 내사랑 가야랑 팀
  • 37회: 추석엔 트로트야 팀
  • 38회: 그대 없이는 못 살아 팀, 선생님 우리 선생님
  • 39회: 빵빵한 여자들 팀, 출동 지리산 구조대
  • 40회: 님과 함께
  • 41회: 언제나 청춘
  • 42회: 다함께 태권 줄넘기, 편지왔어요
  • 43회: 청춘합창단, 나는 고3엄마다
  • 44회: 허니허니 팀
  • 45회: 오~ 맘마미아 팀
  • 46회: 내사랑 마님 팀, 천의 목소리 2팀
  • 47회: 한방에 산다, 솔로탈출
  • 48회: 날씨를 부탁해, 거침없이 하이패스
  • 49회: 양준혁과 친구들, 오빠가 돌아왔다
  • 50회: 야 홈런이다
  • 51~52회: 하반기 패자부활전

8. 2. 2012년

2012년에는 다양한 팀들이 퀴즈쇼 사총사에 출연했다. 53회에는 로버트 할리, 이다도시, 따루 살미넨, 샘 해밍턴이 '한국이 좋아' 팀으로 출연했다.[1] 54회에는 정한용, 박이정, 노윤정, 이영광이 '연극이 끝난 후' 팀으로, 김효진, 우종완, 도윤범, 강세미가 '거울아 거울아' 팀으로 출연했다.[1] 58회에는 홍석천, 에바 포피엘, 전영미, 정경순이 '이태원 살아요' 팀으로 출연했다.[1] 59회에는 김대희, 김준현, 김준호, 김원효가 '퀴즈대책위원회' 팀으로 출연했다.[1] 62회에는 표인봉, 홍록기, 김태훈, 유영석이 '밤을 잊은 그대에게' 팀으로 출연했다.[1]

8. 3. 2013년

2013년에는 부모, 주부, 모델 등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퀴즈쇼 사총사에 출연하여 퀴즈 대결을 펼쳤다.[1]

회차팀명팀원비고
106회복덩어리 사총사유민상, 김준현, 김수영, 김지호
107회엄마와 아들송도순, 박준혁, 장미화, 김형준
108회용감한 부모들, 이목구비 사총사이운우, 손방나, 정경옥, 찰리박, 원창훈, 임형우, 엄수진, 백인수
109회내 남편의 모든 것, 사랑의 밥차최란, 김보민, 이교영, 박잎선, 노유정, 서남동, 임지혜, 조우선
110회아리송해이은하, 최홍림, 서진필, 최준용
111회설기획 특집홍경민-김수정, 최송현-양한열, 브라이언-황민우, 박휘순-알레이나
112회유유상종한무, 이상벽, 이지연, 김숙
113회은쟁반에 옥구슬이숙영, 윤영미, 김성경, 최희
114회동네 한바퀴손병호, 전일범, 이목을, 이수윤
115회과거를 묻지 마세요, 의뢰인 K황기순, 김정렬, 표영호, 전제향, 강성범, 김재철, 최단비, 박영린
116회복사꽃 필 무렵양택조, 김애경, 윤문식, 박윤배
117회러브인 시월드크리스티나, 이정자, 에바, 이현준
118회드림걸즈김완선, 보라, 효린, 정주리
119회식사동 체육회홍서범, 박강성, 추가열, 박상철
120회여배우들김영란, 유혜리, 안소영, 홍여진
121회환상의 커플, 하늘을 달리다임채원, 최승경, 윤기원, 황은정, 한고희, 김신, 박진우, 신강하
122회엔돌핀 축구단, 팔도 스타일김형일, 윤철형, 김명덕, 나경훈, 안태봉, 이정옥, 심명숙, 이태수
123회수다의 신노사연, 이성미, 안지환, 이지희
124회남산 동창회김명국, 임대호, 김정균, 박경환
125회꽃보다 아름다워신지, 홍진영, 박현빈, 홍원빈
126회아빠! 같이가~, 주부 퀴즈왕이동준, 이일민, 박일준, 박혜나, 김영근, 황능준, 정병준, 김국남
127회찍었어! 사총사송기윤, 김흥국, 김병찬, 조영구
128회코미디언 네 가지김영하, 지영옥, 문영미, 배영만
129회눈으로 말해요진미령, 오욱철, 옥희, 장용
130회풀하우스오한진, 김병준, 왕혜문, 조규문
131~133회2013 상반기 패자부활전꽃보다 아름다워, 러브인 시월드, 여배우팀, 유유상종팀
134회싱글레이디안영미, 강유미, 한영, 유지연
135회방학특집 사총사&사총사김준현, 효린/김기리, 보라/정범균, 소유/이광섭, 다솜
136회스마일 야구단이봉원, 황현희, 박준형, 강신범
137회거침없이 킥킥킥, 삼일로 사람들박상민, 이승윤, 서두원, 박시현, 최종원, 정대경, 박형준, 문혜준
138회연예가중계, 얼쑤! 우리가락김생민, 김태진, 김엔젤라, 가윤, 안숙선, 이춘희, 이희문, 이서윤
139회대화가 필요해이용식, 이수민/왕종근, 왕재민
140회살아있네~, 못찾겠다 꾀꼬리남보원, 엄용수, 정종철, 안윤상, 박슬기, 나건필, 김정훈, 김영현
141회요리하는 남자유현상, 서태화, 앤디, 조지훈
142회미스코리아 사총사홍여진, 권정주, 권민중, 김지연
143회20세기 청년 팀안정훈, 권용운, 정규수, 김동균
144회내 사랑 콩깍지김현철, 최은경/김보성, 박지윤
145회진품명품 사총사, 동물원 풍경윤인구, 김영복, 이상문, 진동만, 김창기, 박기영, 배영길, 송봉주
146회온 동네 예체능유상철, 이병진, 이정, 김동준
147회청춘불패, 수리수리마수리민욱, 정운용, 이병철, 이혜근, 최현우, 한영훈, 최민수, 최신혁
148회엄마와 딸조갑경, 홍석희/권영하, 조민희
149회맘마미아권인숙, 김영희/이수지, 박애희
150회모델모델, 필승! 공군 군악대이선진, 박둘선, 한창서, 한영, 윤영삼, 이민정, 이혜주, 이삭
151회둥근 해가 떴습니다염경환, 최형만, 윤성호, 쇼리 J
152회부자되세요, 중매의 기술김부자, 문희옥, 김혜연, 연지후, 차일호, 김경남, 유현숙, 류서정
153회태릉향우회제갈성렬, 여홍철, 임오경, 심권호
154~156회2013 하반기 패자부활전연예가중계, 대화가 필요해, 미스코리아, 스마일 야구단

[1]

8. 4. 2014년

다음은 2014년에 방영된 퀴즈쇼 사총사의 에피소드 정보이다.

회차출연팀팀원비고
175회퀴즈쇼 팀홍서범, 조갑경, 김정민, 루미코2014년 가정의 달 특집 부부 사총사 특집 우승 (173~175회)
188회사총사 팀(여성팀)노사연, 이성미, 김지선, 신보라2014년 추석특집 퀴즈쇼(남성팀) VS 사총사(여성팀) (187~188회)
195회자매 사총사유혜리, 최수린, 강주희, 강승희마지막 회 출연팀이자 마지막 우승팀 (획득상금: 2840만)



회차출연팀팀원
157회여자 대장부팽현숙, 현미, 엄앵란, 이윤성
158회대박나세요~김학래, 이재포, 성대현, 홍인규
159회퀴즈의 신신영일, 엄지인, 박태원, 정지원
160회전설의 주먹이계인, 박종팔, 유명우, 김광선
161회까치까치 설날로버트 할리, 크리스티나, 따루, 굴사남
162회소치 사총사제갈성렬, 전이경, 이정용, 문세윤
163회로커 사총사김도균, 김종서, 박완규, 손진영
164회아내없인 못살아홍록기, 도경완, 조영구, 정종철
165회스마트맘 사총사장영란, 이정민, 안연홍, 김경아
166회개그의 여왕김지민, 박지선, 김민경, 박소영
167회드림팀 사총사조윤호, 이상호, 박재민, 이창명
168회여신 사총사김연자, 정주리, 김혜선, 김정민
169회너의 목소리가 들려선우용여, 전원주, 전영미, 유병권
170회멋진 사나이정찬, 태상호, 이상인, 김재우
171회사투리 사총사윤문식, 박상철, 박수빈, AOA 민아
172회산사랑 사총사김형일, 윤택, 서수남, 윤용현
173~175회가정의 달 특집 부부 사총사홍서범&조갑경, 박준규&진송아, 김정민&루미코, 김원효&심진화
176회선남선녀 사총사김종민, 빽가, 메이비, 천이슬
177회반갑지 아니한가하리수, 채리나, 이종수, 최왕순
178회별에서 온 그녀이승신, 낸시랭, 사유리, 강예빈
179회큰 미녀 사총사문영미, 이국주, 김민경, 홍현희
180회6시 내고향배연정, 엄용수, 김솔희, 김정연
181회꽃보다 아빠최재원, 염경환, 김현철, 이승윤
182회언제나 청춘성병숙, 이경애, 김보화, 이하얀
183회나는 전설이다이병훈, 석주일, 최현호, 신수지
184회동안미녀윤영미, 김효진, 김준희, 공서영
185회근사랑 사총사양택조, 이상용, 이정용, 김지호
186회사랑은 노래를 타고서영은, 변진섭, 다솜, 소유
187~188회추석특집 남성팀 vs 여성팀김응수, 유정현, 우현, 박성호/노사연, 이성미, 김지선, 신보라
189회8090 동창생김완선, 강수지, 이상우, 이범학
190회가요계 형제자매김흥국, 박상민, 전효성, 정하나
191회애인 없어요~송은이, 김숙, 신봉선, 백보람
192회큰 세계유민상, 김준현, 송영길, 김수영
193회한국 사랑 사총사파비앙, 욤비 토나, 브로닌 멀렌, 아키바 리에
194회나름 가수다배기성, 유상무, 박휘순, 윤성호
최종회자매팀유혜리, 최수린, 윙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