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스노즈나멘스크 (칼리닌그라드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521년 독일어 문서에 하젤푸쉬(Haselpusch)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다. 18세기 초 라스데넨(Lasdehnen)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1938년 나치 독일 시기에는 하젤베르크(Haselberg)로 독일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편입되어 붉은 깃발 도시를 의미하는 크라스노즈나멘스크로 개명되었다. 현재 크라스노즈나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며, 제재업과 식품 공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 - 발티스크
발티스크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로, 프로이센의 마을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해군 발트 함대가 주둔하는 주요 해군 기지로 발전했다. - 칼리닌그라드주의 도시 - 소베츠크 (칼리닌그라드주)
소베츠크는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에 위치한 도시로, 1288년 튜턴 기사단에 의해 건설된 샬라우너 하우스 성에서 시작되어 틸지트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틸지트 조약이 체결된 역사적 장소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병합되어 소베츠크로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치즈 생산 전통을 바탕으로 산업 발전을 추구한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행정 구역 -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프리모르스키 변경주는 러시아 극동부에 위치하며 동해에 면하고 중국, 북한과 국경을 접하며, 주도는 블라디보스토크이고, 온대 습윤 기후와 다양한 동식물상을 보이며, 수산업, 기계 제작, 광업 등이 발달하고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과 교류한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크라스노즈나멘스크 (칼리닌그라드주) | |
---|---|
지리 정보 | |
기본 정보 | |
도시 이름 | 크라스노즈나멘스크 |
로마자 표기 | Krasnoznamensk |
독일어 이름 | 라스데넨 (Lasdehnen), 하젤베르크 (Haselberg) |
리투아니아어 이름 | 라즈디나이 (Lazdynai) |
폴란드어 이름 | 웟즈디니 (Łazdyny) |
위치 |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
행정 구역 | 크라스노즈나멘스키군 |
자치구 | 크라스노즈나멘스키 도시 자치구 |
도시 지위 획득 | 해당 정보 없음 |
설립일 | 1734년 |
면적 | |
면적 | 해당 정보 없음 |
인구 | |
2010년 인구 조사 | 3,522명 |
시간대 | |
시간대 | 해당 정보 없음 |
우편 번호 | |
우편 번호 | 238730 |
기타 | |
지역 코드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오랜 역사를 가진 도시이다. 1521년 독일어 기록에 하젤푸쉬(Haselpusch)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했으며, 러시아 자료에는 1576년에 나타난다.[3] 18세기 초에는 라스데넨(Lasdehnen)으로 불렸고, 1938년 나치 독일 시대에는 하젤베르크(Haselberg)로 개칭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이름인 크라스노즈나멘스크가 되었다.[3]
1578년에 교회가 세워졌으나 1661년 화재로 소실되었고, 현재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 교회는 1874년-1877년에 건설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연 4회 박람회가 열렸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 붉은 군대 진격으로 독일인 주민 대다수가 도시를 떠났고,[3] 전쟁 후 소련 칼리닌그라드주에 편입되었다. 인근 필칼렌(Pillkallen, 현재 도브로볼스크|Добровольскru)이 전쟁으로 파괴되어 크라스노즈나멘스크가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
2. 1. 초기 역사와 명칭 변화
1521년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정착지에 대한 독일어 기록이 있으며, 당시에는 개암 덤불을 의미하는 독일어인 하젤푸쉬(Haselpusch)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러시아 자료에서는 가장 오래된 기록이 1576년으로 나타난다.[3] 1578년에 마을에 교회가 있었지만 1661년에 불에 탔고, 대체 건물은 심각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1869년에 철거해야 했다. 18세기 초에 이 도시의 이름은 개암 덤불을 뜻하는 고대 프로이센어 단어에 기초하여 라스데넨(Lasdehnen)으로 변경되었다. 현재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교회는 1874년에서 1877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1938년, 나치 독일의 대규모 지명 개명 캠페인 동안, 이전 이름의 발트어 기원을 이유로 ''하젤베르크''(Haselberg, 문자 그대로 "개암 산")로 독일화되었다.1946년 4월 7일, 소련은 이 도시의 이름을 크라스노즈나멘스크(Krasnoznamensk), 문자 그대로 "붉은 깃발 도시"로 개명했다.[3] 도시의 깃발과 문장의 개암은 도시의 역사적인 이름과의 연관성을 유지한다.
2. 2. 독일 통일과 나치 시대
1701년부터 프로이센 왕국에 속했으며, 1871년 독일 통일 이후에는 독일 제국에 속했고, 프로이센 주의 동프로이센에 위치했다. 18세기 초에 이 도시의 이름은 개암 덤불을 뜻하는 고대 프로이센어 단어에 기초하여 라스데넨(Lasdehnen)으로 변경되었고, 현재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교회는 1874년에서 1877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19세기 말에 이 도시에서는 연례 박람회가 4번 열렸다.[4] 1938년, 나치 독일의 대규모 지명 개명 캠페인 동안, 이전 이름의 발트어 기원을 이유로 ''하젤베르크''(Haselberg, 문자 그대로 "개암 산")로 독일화되었다.2. 3. 제2차 세계 대전과 소련 시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하젤베르크의 독일인들은 1월 18일 붉은 군대의 진격에 앞서 대부분 도망쳤다.[3] 전쟁이 끝난 후, 하젤베르크는 러시아 SFSR의 칼리닌그라드주로 편성된 소련에 의해 합병된 이전 동프로이센의 일부에 포함되었다. 인근 슐로스베르크(1938년 이전 이름은 필칼렌)의 역사적 지역 수도는 전쟁 과정에서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소련 당국은 필칼렌의 이전 행정 기능을 피해가 적었던 하젤베르크로 이전했다. 1946년 4월 7일, 소련은 이 도시의 이름을 크라스노즈나멘스크(문자 그대로 "붉은 깃발 도시")로 개명했고, 이듬해에는 새로운 크라스노즈나멘스크 구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3] 도시의 깃발과 문장의 개암은 도시의 역사적인 이름과의 연관성을 유지한다.1944년부터 1945년의 동프로이센 공세로, 동프로이센은 붉은 군대에 점령되어 소련에 편입되었고, 하젤베르크는 "붉은 깃발의 도시"를 의미하는 '''크라스노즈나멘스크'''로 바뀌어 시가 되었다. 전전까지 군 중심지였던 필칼렌 시(Pillkallen, 현재 도브로볼스크|Добровольскru)는 붉은 군대와 독일군이 여러 번 쟁탈전을 벌인 격전지가 되어 완전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전후에는 크라스노즈나멘스크가 이 지역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3. 행정 구역 및 인구
러시아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크라스노즈나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5] 2015년 5월 5일부터 크라스노즈나멘스키 도시 오크루크로 통합되었다.[6]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러시아인이 87.4%로 가장 다수를 차지한다.[9] 1885년 1,294명이던 인구는 2010년 3,522명으로 변화했다.
3. 1. 행정 구역
러시아의 행정 구역의 틀 내에서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크라스노즈나멘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다.[5] 행정 구역으로서,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두 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크라스노즈나멘스키 구 내에 "크라스노즈나멘스크 구의 중요성을 가진 도시"로 통합되어 있다.[5]지방 자치체의 틀 내에서, 2015년 5월 5일부터 크라스노즈나멘스크의 구의 중요성을 가진 도시와 크라스노즈나멘스키 구의 3개 농촌 오크루크의 영토는 크라스노즈나멘스키 도시 오크루크로 통합되었다.[6] 그 전에는 구의 중요성을 가진 도시가 크라스노즈나멘스키 지방 자치구 내에 "크라스노즈나멘스코예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었다.[6]
3. 2. 인구 구성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9]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리투아니아 소지역으로 알려진 민족지학적 지역에 속하며, 이 마을에는 리투아니아 문화 단체가 존재한다.[9]
1945년 이전의 인구 조사 데이터는 인구의 종교적 소속을 프로이센 개신교 연합으로 나타낸다.
3. 3. 인구 변화 추이
연도 | 인구 |
---|---|
1885년 | 1,294명 |
1910년 | 1,857명[8] |
1933년 | 2,065명[7] |
1939년 | 2,070명[7] |
1959년 | 2,843명 |
1970년 | 2,911명 |
1979년 | 3,392명 |
1989년 | 3,894명 |
2002년 | 3,751명 |
2010년 | 3,522명 |
4. 산업과 교통
크라스노즈나멘스크에는 제재업, 치즈 등을 제조하는 식품 공업이 발달해 있다.
4. 1. 도로
크라스노즈나멘스크에는 칼리닌그라드에서 Znamensk, Kaliningrad Oblast|즈나멘스크영어(베라우), 구세프(굼빈넨), 네만(라그니트)로 이어지는 R508번 도로가 지나간다. 또한 이곳에서 지구 동쪽을 지나 네스테로프(슈탈페넨)로 이어지는 R511번 도로가 분기된다.5. 문화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리투아니아 소지역으로 알려진 민족지리학적 지역에 속하며, 이 마을에는 리투아니아 문화 단체가 있다.[9]
5. 1. 종교
이 마을에는 1578년에 교회가 있었지만 1661년에 불에 탔고, 대체 건물은 심각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1869년에 철거해야 했다. 현재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교회는 1874년에서 1877년 사이에 건설되었다.[3] 1945년 이전의 인구 조사 데이터는 인구의 종교적 소속을 프로이센 개신교 연합으로 나타낸다.
5. 2. 리투아니아 문화
크라스노즈나멘스크는 리투아니아 소지역으로 알려진 민족지리학적 지역에 속하며, 이 마을에는 리투아니아 문화 단체가 존재한다.[9]6. 랜드마크
(랜드마크 섹션은 하위 섹션인 '교회' 외에 다른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별도의 내용을 추가하지 않습니다.)
6. 1. 교회
1578년에 마을에 교회가 세워졌지만 1661년에 불에 탔고, 이후 대체 건물이 세워졌으나 심각한 구조적 결함으로 인해 1869년에 철거해야 했다. 현재의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교회는 1874년에서 1877년 사이에 건설되었다.[3]참조
[1]
문서
Law #463
[2]
간행물
ru-pop-ref
2010Census
[3]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4]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V
[5]
문서
Resolution #640
[6]
문서
Law #419
[7]
웹사이트
1885 census data: note that the town then was identified as "Haselberg (früher Lasdehnen)" (Haselberg (formerly Lasdehnen))
http://www.geschicht[...]
[8]
웹사이트
1910 census data: note that the town then was called Lasdehnen
http://www.gemeindev[...]
[9]
웹사이트
Kaliningrado (Karaliaučiaus) srities Lietuvių Bendruomenė
http://www3.lrs.lt/p[...]
[10]
웹사이트
http://www3.lrs.lt/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